KR20180001298U -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98U
KR20180001298U KR2020160006245U KR20160006245U KR20180001298U KR 20180001298 U KR20180001298 U KR 20180001298U KR 2020160006245 U KR2020160006245 U KR 2020160006245U KR 20160006245 U KR20160006245 U KR 20160006245U KR 20180001298 U KR20180001298 U KR 20180001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ixing device
concrete layer
fastening hole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612Y1 (ko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160006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1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램프 측에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다양한 지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층과 단차가 발생되게 잘못 시공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작업자가 밟아 콘크리트층 하부의 단열층이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부 마감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기존의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제작되는 금형을 일부 수정하여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적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는 입상배관이 그 내부로 관통 위치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고정단턱이 외향 돌출 형성되는 관통슬리브와, 상기 관통슬리브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와,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관통슬리브 내에 관통 위치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연이 지지되되 하향 연장되는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a vertical pipe having supporting means}
본 고안은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 측에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다양한 지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층과 단차가 발생되게 잘못 시공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작업자가 밟아 콘크리트층 하부의 단열층이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부 마감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기존의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제작되는 금형을 일부 수정하여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적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건물은 각 층을 연결되는 입상배관이 시공된다.
이러한 입상배관은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슬라브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입상배관이 설치될 지점에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위치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입상배관 고정장치 내에 입상배관이 관통 위치되며, 이 입상배관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각 층의 배관들이 서로 연통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거푸집 상에 단열층을 시공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거푸집 상에 단열층이 적층 시공되는데 단열층 상에는 입상배관이 설치될 지점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관통구 내에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삽입해 거푸집 측에 체결시키고 단열층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런데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층의 두께가 오차가 발생 될 경우 콘크리트층과 입상배관 고정장치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는데, 작업자가 이를 밟을 경우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하측으로 밀려나면서 단열층이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부 마감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콘크리트층 내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 경우 종래의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제조하던 금형이 그대로 사용될 수 없어 금형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51427호(2010.12.08) 2.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57482호(2012.06.12) 3.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08782호(2011.01.27)
따라서 본 고안은 클램프 측에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다양한 지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층과 단차가 발생되게 잘못 시공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작업자가 밟아 콘크리트층 하부의 단열층이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부 마감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기존의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제작되는 금형을 일부 수정하여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적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입상배관이 그 내부로 관통 위치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고정단턱이 외향 돌출 형성되는 관통슬리브와, 상기 관통슬리브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와,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관통슬리브 내에 관통 위치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연이 지지되되 하향 연장되는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클램프 상에 형성된 체결공 내에 체결되는 장나사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클램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는 위치의 직하부에 연장부가 돌출 구비되고 이 연장부 위치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클램프 하부면에 그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바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클램프 일부가 하향 절곡 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절개선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절개선은 그 단부가 상기 클램프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11"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클램프 내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에 의하면 클램프 측에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다양한 지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층과 단차가 발생되게 잘못 시공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작업자가 밟아 콘크리트층 하부의 단열층이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부 마감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제작되는 금형을 일부 수정하여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대한 작동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대한 다른 작동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대한 다른 작동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대한 작동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대한 다른 작동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대한 다른 작동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는 입상배관이 그 내부로 관통 위치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고정단턱이 외향 돌출 형성되는 관통슬리브와, 상기 관통슬리브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와,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관통슬리브 내에 관통 위치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연이 지지되되 하향 연장되는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관통슬리브(10)는 입상배관이 슬라브 측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후술 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입상배관이 그 내부로 관통 위치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체결구(1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고정단턱(12)이 외향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관통슬리브(10)는 거푸집 상에 적층된 단열층(100)에 형성되는 구멍 내에 위치되어 거푸집 측에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단열층(100)의 상부로 콘크리트층(200)이 형성될 수 있게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러한 관통슬리브(10)는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장치에서 사용되는 관통슬리브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관통슬리브(10)의 상단에는 실링부재(20)가 기밀하게 결합되는데, 이 기밀부재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유해가스가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링부재(20)는 전술한 관통슬리브(10)와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장치에서 사용되는 실링부재(20)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관통슬리브(10) 상에는 클램프(30)가 위치되는데, 이 클램프(30)는 관통슬리브(10) 내에 관통 위치된 입상배관의 외주연이 지지되는 것으로 관통슬리브(10)의 체결구(11) 측에 체결나사에 의해서 고정 체결된다. 이와 같은 관통슬리브(10)에는 하향 연장되는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된다. 전술한 지지수단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1)와 콘크리트층(200) 사이에 단차가 발생 될 경우 이를 보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콘크리트층(200)과 단차가 발생되게 잘못 시공된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1)를 작업자가 밟게되면 콘크리트층(200) 하부의 단열층이 콘크리트층(2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부 마감이 손상된다. 그런데 클램프(30) 하측에 콘크리트층(200)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될 경우 작업자가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1)를 밟는다고 해도 지지수단에 의해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1)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수단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램프(30) 상에 형성된 체결공(32) 내에 체결되는 장나사(33)일 수도 있다. 이때 체결공(32)은 클램프(3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도록 체결공(32)이 형성되는 위치의 직하부에 연장부(31)가 돌출 구비되고 이 연장부(31) 위치에 체결공(3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 연장부(31)가 구비될 경우, 연장부(31)가 구비되지 않을 때보다 클램프(3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체결공(32)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장나사(33)가 보다 큰 하중에도 비교적 견고하게 지지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나사(33)는 그 높이가 체결공(32) 내에서 나사방식으로 회전됨에 따라 콘크리트층(200)과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1)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 따라 콘크리트층(200)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지지수단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램프(30) 하부면에 그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바(34)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바(34)는 콘크리트층(200) 양생이 완료된 후 클램프(30)가 관통슬리브(10) 측에 체결되기 전 단차에 따라서 클램프(30) 측에 시공된다.
또한, 전술한 지지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램프(30) 일부가 하향 절곡 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절개선(35)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절개선(35)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단부가 클램프(3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11"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클램프(30) 내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클램프(30)의 상단에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40)가 결합되는데, 이 탄성부재(40)는 전술한 클램프(30)에 그 외주연이 지지 된 입상배관의 진동을 막아 입상배관의 파손이 방지되게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40)는 전술한 관통슬리브(10) 및 실링부재(20)와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장치에서 사용되는 탄성부재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1)에 의하면 클램프(30) 측에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다양한 지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층(200)과 단차가 발생되게 잘못 시공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작업자가 밟아 콘크리트층(200) 하부의 단열층이 콘크리트층(2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부 마감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금형을 구매하지 않고도 기존의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제작되는 금형을 일부 수정하여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적이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10 : 관통슬리브
11 : 체결구
12 : 고정단턱
20 : 실링부재
30 : 클램프
31 : 연장부
32 : 체결공
33 : 장나사
34 : 지지바
35 : 절개선
40 : 탄성부재
100 : 단열층
200 : 콘크리트층

Claims (7)

  1. 입상배관이 그 내부로 관통 위치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체결구(1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고정단턱(12)이 외향 돌출 형성되는 관통슬리브(10);
    상기 관통슬리브(10)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20);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1) 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관통슬리브(10) 내에 관통 위치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연이 지지되되 하향 연장되는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클램프(30); 및
    상기 클램프(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클램프(30) 상에 형성된 체결공(32) 내에 체결되는 장나사(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32)은 상기 클램프(3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32)이 형성되는 위치의 직하부에 연장부(31)가 돌출 구비되고 이 연장부(31) 위치에 체결공(32)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클램프(30) 하부면에 그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바(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클램프(30) 일부가 하향 절곡 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절개선(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35)은 그 단부가 상기 클램프(3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11"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35)은 상기 클램프(30) 내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20160006245U 2016-10-27 2016-10-27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0486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45U KR200486612Y1 (ko) 2016-10-27 2016-10-27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45U KR200486612Y1 (ko) 2016-10-27 2016-10-27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98U true KR20180001298U (ko) 2018-05-08
KR200486612Y1 KR200486612Y1 (ko) 2018-08-02

Family

ID=6216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45U KR200486612Y1 (ko) 2016-10-27 2016-10-27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1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544A (ja) * 1996-09-12 1998-05-29 Noriatsu Kojima 管の支持具
KR20040101470A (ko) * 2002-04-15 2004-12-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관통로 화재 차단 장치
KR20090006409U (ko) * 2007-12-24 2009-06-29 임영순 소방용 스프링클러 지지대 클램프
KR200451427Y1 (ko)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10008782A (ko) 2009-07-21 2011-01-27 주식회사 청완 관통 슬리브 고정핀
KR101157482B1 (ko) 2011-11-16 2012-06-2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544A (ja) * 1996-09-12 1998-05-29 Noriatsu Kojima 管の支持具
KR20040101470A (ko) * 2002-04-15 2004-12-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관통로 화재 차단 장치
KR20090006409U (ko) * 2007-12-24 2009-06-29 임영순 소방용 스프링클러 지지대 클램프
KR20110008782A (ko) 2009-07-21 2011-01-27 주식회사 청완 관통 슬리브 고정핀
KR200451427Y1 (ko)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157482B1 (ko) 2011-11-16 2012-06-2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12Y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3875B2 (en) Concret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US9512593B2 (en) Anti-torsion anchor bolt
KR20180001297U (ko) 밀림방지용 돌기가 구비된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51427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036505B1 (ko) 슬래브용 슬리브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의 매설 시공법
KR20210009227A (ko) 매입형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US6725611B2 (en) Sleeve holder for utility conduit
KR200486612Y1 (ko) 밀림방지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0540299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200462907Y1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1940468B1 (ko)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US10458111B1 (en) Shower pan drainage stability apparatus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0487309Y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JP3199417U (ja) 床スリーブ
JPH1181663A (ja) 床貫通孔工事用スリーブ管取付具
JP5703338B2 (ja) 受入容器、並びにそれを用いた建築物の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JP4369912B2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用のスペーサ固定盤およびスペーサ固定装置ならびにルーフドレインの施工方法
KR101788069B1 (ko) 베란다 난간 고정용 나사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