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742U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Google Patents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742U KR20180000742U KR2020160005139U KR20160005139U KR20180000742U KR 20180000742 U KR20180000742 U KR 20180000742U KR 2020160005139 U KR2020160005139 U KR 2020160005139U KR 20160005139 U KR20160005139 U KR 20160005139U KR 20180000742 U KR20180000742 U KR 2018000074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container body
- cover
- fixing part
- lower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면서 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커버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나 이상의 상부 유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로 구성된 상부고정부와, 상기 커버의 하측으로 위치되며 내측으로 상부고정부에 형성된 볼트부가 결합되는 너트홈과 하나 이상의 하부 유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 상기 하부 돌출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오링이 결합되는 오링홈이 포함되는 밀착부로 구성된 하부고정부와, 상기 하부고정부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의 너트홈에 결합되며, 용기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상부고정부에 형성된 상부 유통공과 하부고정부에 형성된 하부 유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용기 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필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커버에 결합되는 상, 하부고정부를 이용하여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필터를 커버에서 편리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상, 하부 절삭면을 통해 필터를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커버에 결합되는 상, 하부고정부를 이용하여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필터를 커버에서 편리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상, 하부 절삭면을 통해 필터를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커버에 가스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부재를 설치하여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며, 용기의 내부로의 가스 유입을 차단하여 용기에 담겨진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기는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375609호와 같이 용기에 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공의 외측 부분에 멤브레인 필름 및 카본 필름을 형성하여 용기에 담겨진 식품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형성된 통기공의 외측으로 멤브레인 필름 및 카본 필름을 부착하여 용기에 담겨진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지만, 용기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지 못하고 용기의 내부로도 유입이 가능하여, 용기에 담겨진 식품에 가스에 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커버에 결합되는 상, 하부고정부를 이용하여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필터를 커버에서 편리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상, 하부 절삭면을 통해 필터를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부고정부에 형성되어 오링이 결합되는 오링홈 및 보조오링홈을 통해 상, 하부고정부 간의 결합력을 우수하게 하여 상, 하부고정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기밀성을 향상시켜 가스의 이동을 항상 일정하게 하면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 가수 누수에 따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고정부의 사이로 위치되어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필터가 한 방향으로만 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용기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에서 용기 몸체의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가스 유입에 따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면서 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커버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나 이상의 상부 유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로 구성된 상부고정부와, 상기 커버의 하측으로 위치되며 내측으로 상부고정부에 형성된 볼트부가 결합되는 너트홈과 하나 이상의 하부 유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 상기 하부 돌출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오링이 결합되는 오링홈이 포함되는 밀착부로 구성된 하부고정부와, 상기 하부고정부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의 너트홈에 결합되며, 용기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상부고정부에 형성된 상부 유통공과 하부고정부에 형성된 하부 유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용기 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필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커버에 결합되는 상, 하부고정부를 이용하여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필터를 커버에서 편리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상, 하부 절삭면을 통해 필터를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고정부에 형성되어 오링이 결합되는 오링홈 및 보조오링홈을 통해 상, 하부고정부 간의 결합력을 우수하게 하여 상, 하부고정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기밀성을 향상시켜 가스의 이동을 항상 일정하게 하면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 가수 누수에 따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고정부의 사이로 위치되어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필터가 한 방향으로만 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용기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에서 용기 몸체의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가스 유입에 따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상부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내지 7은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하부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 내지 9는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필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상부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내지 7은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하부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 내지 9는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필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인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0), 커버(20), 상부고정부(30), 하부고정부(40), 필터(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용기 몸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그 공간에 다양한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용기 몸체(10)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색상, 종류, 모양, 재질, 투명도 등은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20)는 용기 몸체(10)의 상측으로 나사형태로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커버(20)로 용기 몸체(10)와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의 것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용기 몸체(10)와 커버(20)는 나사형태로 탈, 부착되는 것으로 용기 몸체(10)와 커버(20)가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이에 더해, 상기 커버(20)의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고정부(3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결합홈(21)에 탈,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20)에 형성된 결합홈(21)에 결합되며 중공관 형태의 볼트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31)는 커버(20)의 결합홈(21)에 결합되면서 커버(20)의 하측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31)의 상측으로 형성되면서 커버(20)의 상측 외부로 노출되며, 기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상부 유통공(32a)이 포함되는 상부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돌출부(32)가 커버(20)의 상측 외부로 거치되면서 상부고정부(30)가 커버(20)의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볼트부(31)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돌출부(32)에 형성된 상부 유통공(32a)으로 유동되는 기체가 볼트부(31)의 내부로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부(31)와 상부 돌출부(3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볼트부(31)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돌출부(32)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상부 돌출부(32)에는 양측 일부가 절삭된 상부 절삭면(32b)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고정부(30)를 커버(20)에 고정시킬 때, 보다 우수한 고정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드라이버, 스패너와 같은 부재(도면에 미도시)를 상부 돌출부(32)에 형성된 상부 절삭면(32b)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고정부(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의 하측 내부로 위치되며 내측으로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볼트부(31)가 결합되는 너트홈(41a)과 하나 이상의 하부 유통공(41b)이 포함되는 하부 돌출부(41)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돌출부(41)에 상부고정부(30)의 볼트부(31)가 결합될 때, 하부 돌출부(41)와 볼트부(31)는 상부고정부(30)와 하부고정부(40)를 간편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나사 결합으로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고정부(30)의 볼트부(31)와 상기 볼트부(31)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부(40)의 하부 돌출부(41)에 형성된 너트홈(41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볼트부(31) 및 상부 유통공(32a)으로 흐르는 기체는 하부 돌출부(41)에 형성된 너트홈(41a) 및 하부 유통공(41b)을 거치 면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출부(41)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오링이 결합되는 오링홈(42a)이 포함되는 밀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밀착부(42)가 커버(20)의 하측 내부에 밀착되면서 하부 돌출부(41)가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볼트부(31)에 결합되면서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41)는 용기 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42)는 커버(20)의 하측 내부에 밀착되어 하부고정부(40)가 커버(20)의 결합홈(21)으로 쉽게 빠지는 것을 예방하며, 상기 밀착부(42)가 커버(2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가스가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링홈(42a)에 결합되는 오링은 커버(20)와 하부고정부(40) 사이의 기밀성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용기 몸체(10)에 담겨진 물품에서 발생되는 기체가 누수되어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중공관 형태의 볼트부(31)의 내부 및 상부 유통공(32a)으로만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출부(41)의 측면으로 상부 돌출부(32)에 형성된 상부 절삭면(32b)과 같이 상, 하부고정부(30, 40)의 탈, 부착을 원활하게 하면서 견고한 고정력을 위해 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부 절삭면(41c)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부 돌출부(41)에 형성된 하부 유통공(41b)의 주위로 상부고정부(30)와 하부고정부(40)의 결합시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오링이 결합되는 보조오링홈(41d)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오링홈(42a)과 같이 상기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중공관 형태의 볼트부(31), 상부 유통공(32a), 하부고정부(40)의 너트홈(41a), 하부 유통공(41b)으로만 기체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오링홈(41d) 및 오링홈(42a)에 결합되는 오링은 현재 일반적으로 기밀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어떠한 형태의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필터(5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부(40)에 형성된 너트홈(41a)에 결합되어 용기 몸체(10)의 내부에 담겨진 물품에서 발생되는 기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며 외부의 기체가 용기 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몸체(10)의 바닥을 향하는 최하측에 조직 사이로 기체기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부직포(5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51)는 직물지 등을 직조하여 사용되며 조직의 사이로 틈새가 있어 그 틈새로 기체가 유동될 수 있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것으로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51)의 상측으로 기체가 흐를 수 있는 제1공간(52a)이 포함되는 하드 필름(5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공간(52a)은 사용자의 목적이나 편의에 따라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절취선과 같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필름(52)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여 기체의 흐름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거나 뒤틀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드 필름(52)의 상측으로 내부로 기체가 흐를 수 있는 제2공간(53a)이 포함되는 플렉시블 필름(5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필름(53)은 하드 필름(52)과는 다르게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체의 흐름에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기체의 흐름에 의해 플렉시블 필름(53)이 유동되면서 용기 몸체(10)에서 외부로 나가는 기체는 원활하게 통과시키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통과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필름(53)에 형성된 제2공간(53a)도 하드 필름(52)에 형성된 제1공간(52a)과 같이 구멍형태로 형성되거나 절취선과 같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해, 상기 하드 필름(52)의 상측으로 플렉시블 필름(53)이 형성될 때, 하드 필름(52)에 형성된 제1공간(52a)은 플렉시블 필름(53)에 형성된 제2공간(53a)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플렉시블 필름(53)이 기체의 흐름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유동될 때, 용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기체는 원활하게 통과시키되, 용기 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면서 플렉시블 필름(53)이 유동될 때, 상기 플렉시블 필름(53)이 상기 하드 필름(52)에 형성된 제1공간(52a)을 막아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드 필름(52)에 형성된 제1공간(52a)은 플렉시블 필름(53)에 형성된 제2공간(53a)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멍의 형태나 절취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제1공간(52a)은 구멍형태로 형성되고 제2공간(53a)은 절취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 필름(52) 및 플렉시블 필름(53)은 제1, 2공간(52a, 53a) 외에 기체가 유동되지 못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부(40)의 내부에 필름(50)을 결합할 때, 용기 몸체(10)에 담겨진 물품 중 기체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액체 및 고체의 물품은 용기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필름(54)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차단필름(54)의 조직은 기체는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액체나 고체는 유동될 수 없는 형성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름(5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필름(50)의 직경은 상, 하부고정부(30, 40)에 형성된 상, 하부 유통공(32a, 41b)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상, 하부고정부(30, 40)를 통과하는 모든 기체가 필름(50)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기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서는 필름(50)은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보조오링홈(41d) 보다 크게 하여, 상부고정부(30)와 하부고정부(40)가 결합되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목적이나 편의에 따라 부직포(51), 하드 필름(52), 플렉시블 필름(53) 및 차단필름(54)을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으며, 열을 이용한 열융착시킬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너트홈(41a)의 내측으로 필름(50)을 결합시키도록 하는데, 필름(50)에 형성된 부직포(51)가 용기 몸체(1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면서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보조오링홈(41d) 및 오링홈(42a)에 오링을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20)의 외측 상부로부터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볼트부(31)를 결합하면서 커버(20)의 하측 내부로 상기 볼트부(31)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상부고정부(30)에 하부고정부(4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필름(50)이 결합된 하부고정부(40)의 하부 유통공(41b)이 용기 몸체(10)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면서 하부고정부(40)의 너트홈(41a)에 상부고정부(30)의 볼트부(31)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부(30)와 하부고정부(40)에 각각 형성된 상부 절삭면(32b) 및 하부 절삭면(41c)을 통해 부재를 이용하여 커버(20)에 상부고정부(30) 및 하부고정부(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 하부고정부(30, 40)가 결합된 커버(20)를 용기 몸체(10)에 결합하도록 하되 용기 몸체(10)에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넣은 후, 커버(20)를 이용하여 밀봉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다, 상기 용기 몸체(10)에 저장된 물품에서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에 위치된 하부고정부(40)의 하부 유통공(32a)을 통해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41)의 내부로 흐르면서 너트홈(41a)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부(40)의 너트홈(41a)에 결합된 필름(50)으로 흐르게 되면서 상부고정부(30)에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 볼트부(31)로 흐르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41)의 내부로 용기 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유입되면서 필름(50)의 최하측에 형성된 차단필름(54)이나 부직포(51)를 지나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50)의 최하측에 형성된 차단필름(54)이나 부직포(51)에 의해 용기 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 액체, 고체상태 중 기체상태의 가스만이 통과하게 되면서 하드 필름(52)에 형성된 제1공간(52a)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간(52a)을 통과한 기체는 하드 필름(52)의 상측에 형성된 플렉시블 필름(53)에 형성된 제2공간(53a)을 통과하면서 커버(2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드 필름(52)의 상측에 형성된 플렉시블 필름(53)은 하드 필름(52)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로 형성되어 있어, 플렉시블 필름(53)이 기체의 흐름에 의해 쉽게 유동되면서 상기 제2공간(53a)을 통해 기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보조오링홈(41d) 및 오링홈(42)에 결합된 오링에 의해 상, 하부고정부(30, 40) 간의 틈새를 막아 용기 몸체(10)에서 발생된 기체가 상, 하부고정부(30, 40)에서 누수되어 다시 용기 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상, 하부고정부(30, 40)로만 기체가 흐르도록 하여 용기 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용기 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외부에서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에서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려면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상부 유통공(32a)으로 기체가 유입되게 된다.
그런 후, 기체가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볼트부(31)의 내측으로 흐르면서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너트홈(41a)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다, 상기 너트홈(41a)에 결합된 필름(50)으로 흐르게 되는데 필름(50)의 최상측에 형성된 플렉시블 필름(53)에 먼저 맞닿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플렉시블 필름(53)이 기체의 흐름에 의해 플렉시블 필름(53) 자체가 유동되면서 플렉시블 필름(53)에 형성된 제2공간(53a)으로 유입되면서 하드 필름(52)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기체가 플렉시블 필름(53)에 형성된 제2공간(53a)을 통해 하드 필름(52)의 제1공간(52a)으로 이동하게 될 때, 제1공간(52a)은 제2공간(53a)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플렉시블 필름(53)이 기체의 흐름에 의해 유동되더라도 하드 필름(52)에 막히게 되면서 외부의 기체가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기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필름(50)를 상, 하부고정부(30, 40)를 통해 커버(20)에서 용이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부 절삭면(32b), 하부 절삭면(41c)를 통해 부재를 이용하여 상, 하부공부(30, 40)를 견고하게 커버(20)에 고정시키면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오링홈(42a) 및 보조오링홈(41d)을 통해 용기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체가 상, 하부고정부(30, 40)의 외부로 누수되어 다시 용기 몸체(10)로 유입되지 않고 상, 하부고정부로만 흐르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기체 배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 하부고정부(30, 40)에 결합되는 필름(50)을 통해 가스의 누수 및 외부 가스의 유입을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고, 가스의 흐름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가스 유입, 누수, 가스 미배출에 대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용기 몸체
20 : 커버 21 : 결합홈
30 : 상부고정부
31 : 볼트부
32 : 상부 돌출부
32a : 상부 유통공 32b : 상부 절삭면
40 : 하부고정부
41 : 하부 돌출부
41a : 너트홈 41b : 하부 유통공
41c : 하부 절삭면 41d : 보조오링홈
42 : 밀착부
42a : 오링홈
50 : 필터
51 : 부직포
52 : 하드필름
52a : 제1공간
53 : 플렉시블 필름
53a : 제2공간
54 : 차단필름
100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20 : 커버 21 : 결합홈
30 : 상부고정부
31 : 볼트부
32 : 상부 돌출부
32a : 상부 유통공 32b : 상부 절삭면
40 : 하부고정부
41 : 하부 돌출부
41a : 너트홈 41b : 하부 유통공
41c : 하부 절삭면 41d : 보조오링홈
42 : 밀착부
42a : 오링홈
50 : 필터
51 : 부직포
52 : 하드필름
52a : 제1공간
53 : 플렉시블 필름
53a : 제2공간
54 : 차단필름
100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Claims (5)
-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10);
상기 용기 몸체(10)의 상측으로 결합되면서 결합홈(21)이 형성되는 커버(20);
상기 커버(20)에 형성된 결합홈(21)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볼트부(31), 상기 볼트부(31)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커버(2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나 이상의 상부 유통공(32a)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32)로 구성된 상부고정부(30);
상기 커버(20)의 하측으로 위치되며, 내측으로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볼트부(31)가 결합되는 너트홈(41a)과 하나 이상의 하부 유통공(41b)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41), 상기 하부 돌출부(41)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오링이 결합되는 오링홈(42a)이 포함되는 밀착부(42)로 구성된 하부고정부(40);
상기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41)의 너트홈(41a)에 결합되며, 용기 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상부 유통공(32a)과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하부 유통공(41b)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용기 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필터(50);
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30)에 형성된 상부 돌출부(32)에는 외측면 일부가 절삭된 상부 절삭면(32b)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40)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41)에는 외측면 일부가 절개된 하부 절삭면(41c)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홈(41a)의 내측으로 형성되면서 하부 유통공(41b)의 주위로 오링이 결합되는 보조오링홈(41d)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는 용기 몸체(10)의 바닥을 향하는 하측으로 기체가 이동될 수 있는 부직포(51), 상기 부직포(51)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기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1공간(52a)이 포함되는 하드 필름(52), 상기 하드 필름(52)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기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공간(53a)이 포함되는 플렉시블 필름(53)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의 플렉시블 필름(53)에 형성된 제2공간(53a)은 하드 필름(52)에 형성된 제1공간(52a)보다 크게 형성되며, 부직포(51)의 하측으로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액체나 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필름(54)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139U KR20180000742U (ko) | 2016-09-05 | 2016-09-05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139U KR20180000742U (ko) | 2016-09-05 | 2016-09-05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742U true KR20180000742U (ko) | 2018-03-14 |
Family
ID=6164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139U KR20180000742U (ko) | 2016-09-05 | 2016-09-05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0742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5854A (ko) * | 2021-06-08 | 2022-12-16 |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 나노섬유 필터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
-
2016
- 2016-09-05 KR KR2020160005139U patent/KR20180000742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5854A (ko) * | 2021-06-08 | 2022-12-16 |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 나노섬유 필터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29396B2 (en) | Media purification devices having integral flow controllers | |
DK2139620T3 (en) | Fluidopsamlings-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practices | |
US8342737B2 (en) | Vibrational mixer | |
US20240123379A1 (en) | Fluid purification device | |
KR101849264B1 (ko)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
CN104293657B (zh) | 一种封闭式培养皿 | |
CA2997580C (en) | Media purification devices having integral flow controllers | |
KR101514811B1 (ko) |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 |
WO2012155213A1 (en) | Soda lime cartridge | |
KR20180000742U (ko) | 가스배출 조절장치가 부착된 용기 | |
TW201429812A (zh) | 多腔室容器(四) | |
JP2016506899A (ja) | 柔軟なパウチ用のベント型取り付け具 | |
US11890583B2 (en) | Stand-alone valve, adapter and aerator for use with a suction pump | |
JP2008151219A (ja) | 吸着式ガス貯蔵容器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 |
US7054582B2 (en) | Toner cartridge | |
KR100996491B1 (ko) |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 |
ES2934416T3 (es) | Dispositivo de purificación de fluidos | |
WO2011093197A1 (ja) | 浄水器 | |
JP6134816B2 (ja) | 細胞培養装置 | |
EP3772487A1 (en) | Fluid purification device | |
KR100810561B1 (ko) | 식품저장 용기 | |
JP6430731B2 (ja) | 飲料水供給装置 | |
JP5637815B2 (ja) | メンブレン式散気装置 | |
JP2010142755A (ja) |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圧力調整弁 | |
KR20150019666A (ko) | 누출 방지용 용기뚜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