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26U - 복공판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복공판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26U
KR20180000626U KR2020160004924U KR20160004924U KR20180000626U KR 20180000626 U KR20180000626 U KR 20180000626U KR 2020160004924 U KR2020160004924 U KR 2020160004924U KR 20160004924 U KR20160004924 U KR 20160004924U KR 20180000626 U KR20180000626 U KR 20180000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flat plate
suppor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감
임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안철강
윤태감
임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안철강, 윤태감, 임문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안철강
Priority to KR2020160004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626U/ko
Publication of KR20180000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공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복공판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한편, 시공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체결 브래킷(10)과; 상기 체결 브래킷(10)과 복공판(1)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5)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10)을 상기 복공판(1)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20)를 포함하여, 복공판과 지지대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공판용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DECK PLATE}
본 고안은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공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복공판이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여 전도를 방지하는 한편, 시공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써, 복공판과 지지대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deck plate)이란 지하에 개삭공법으로 터널을 축조하는 경우, 굴삭에 앞서 노상의 왕래에 지장을 끼치지 않도록 부설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복공판을 도시하는 도로서, 도 1의 (a)는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저면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복공판(1)은 대개 다수의 I형강 또는 H형강을 나란히 용접하여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복공판(1)의 상측면에는 도 1의 (a)와 같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며, 복공판(1)의 모서리 인근에는 운반용 홀(2)을 형성하여 복공판(1)의 운반 등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복공판(1)의 하측면에는 도 1의 (b)와 같이 스토퍼(4)를 마련하여 복공판(1)의 시공 후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조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체결공(3)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복공판의 시공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형강 또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지지대(5)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이 지지대(5) 상에 복공판(1)을 올려놓는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5) 상에 시공된 복공판(1)은 그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4)에 의해 좌우 유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복공판(1)의 저면에 형성되는 스토퍼(4)는 시공 시 요구되는 공차를 포함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복공판(1)의 좌우 유동이 전혀 발생치 않도록 할 수는 없었다.
게다가, 이러한 스토퍼(4)는 단지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공판(1)의 저면과 지지대(5)의 사이에 미세한 들뜸이 발생할 경우, 복공판(1)의 위로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서는 반복적으로 상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지지대(5) 상에서 복공판(1)이 좌우 방향이나 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없었다.
그 결과, 복공판(1)이나 지지대(5)의 손상을 유발시키기 쉬울 뿐 아니라, 충격음을 발생시켜 소음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복공판을 지지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지지대 상에서 복공판이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복공판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공판과 지지대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체결 브래킷과; 상기 체결 브래킷과 복공판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을 상기 복공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 브래킷은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수평하게 위치하는 받침단과, 상기 받침단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여 복공판의 저면을 향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받침단의 체결공 및 상기 복공판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삽입되는 메인 볼트와; 상기 복공판 위에서 상기 메인 볼트에 체결되는 메인 너트와; 상기 메인 너트와 상기 복공판 사이에 개재되는 메인 와셔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와셔와 상기 복공판 사이에 추가로 개재되는 평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 브래킷에는 체결공의 둘레에 받침 파이프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추가로, 상기 체결 브래킷과 상기 복공판의 저면 사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복공판의 저면에 접하는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에 대하여 수직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결 브래킷의 받침단 측면에 접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수직단을 포함하는 고정 브래킷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볼트에는 몸통부 외주에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메인 볼트에는 몸통부 끝단에 상기 몸통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수나사가 형성된 보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볼트에는 보조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보조 너트와 상기 메인 볼트 사이에는 보조 와셔가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복공판을 지지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지지대 상에서 복공판이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공판과 지지대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공판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종래의 복공판의 시공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는 복공판(1)을 지지대(5)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지지대(5) 상에서 복공판(1)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복공판(1)과 지지대(5)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체결 브래킷(10)과; 상기 체결 브래킷(10)과 복공판(1)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5)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10)을 상기 복공판(1)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는 크게 체결 브래킷(10) 및 체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의 복공판(1)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3)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1의 (b) 참조).
우선, 체결 브래킷(10)은 비교적 높은 강성을 지닌 금속 판재를 절곡시키는 등으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체결부재(20)는 상기 체결 브래킷(10)과 복공판(1)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5)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10)을 상기 복공판(1)에 고정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여기에서 지지대(5)의 일부란 상측면과 하측면, 그리고 상측면과 하측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지지대(5)에 있어서, 상측면의 끝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 브래킷(10)과 상기 체결부재(2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5)에 놓인 복공판(1)이 상기 지지대(5)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 브래킷(10)과 상기 체결부재(20)은 바람직한 시공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래킷(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5)를 지지하도록 수평하게 위치하는 받침단(12)과, 상기 받침단(12)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여 복공판(1)의 저면을 향하는 지지단(18)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체결 브래킷(10)은 대략 ㄴ자 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 수평한 받침단(12)과 수직한 지지단(18)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받침단(12)의 대략 중앙에는 원형의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어 이후에 설명할 체결부재(20)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단(12)의 한쪽 끝단은 지지대(5),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5)의 상측면 아래를 받치게 되며, 다른쪽 끝단에는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단(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단(18)의 높이는 상기 지지대(5)의 상측면 두께와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단(18)의 상단은 시공 시 복공판(1)의 저면을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는 상기 받침단(12)의 체결공(13) 및 상기 복공판(1)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삽입되는 메인 볼트(22)와; 상기 복공판(1) 위에서 상기 메인 볼트(22)에 체결되는 메인 너트(26)와; 상기 메인 너트(26)와 상기 복공판(1) 사이에 개재되는 메인 와셔(27)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우선, 상기 메인 볼트(2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22-2)와, 상기 몸통부(22-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머리부(22-1)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메인 볼트(22)는 상술한 받침단(12)에 형성된 체결공(13) 및 상기 복공판(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3)을 관통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메인 볼트(22)의 머리부(22-1)는 받침단(12)의 저면에 위치하고 몸통부(22-2)의 일부는 복공판(1)을 관통하여 위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복공판(1)을 관통하여 돌출된 메인 볼트(22)의 몸통부(22-2)에 메인 너트(26)가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볼트(22)에 상기 메인 너트(26)를 체결할 때, 메인 와셔(27)를 중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 너트(26)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메인 와셔(27)는 메인 너트(26)의 풀림을 방지하고 복공판(1)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메인 와셔(27)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20)는 체결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와셔(27)와 상기 복공판(1) 사이에 추가로 개재되는 평판(21)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평판(21)은 비교적 높은 강성을 지닌 금속으로 제작되어, 상술한 메인 와셔(27)와 함께, 메인 너트(26)의 풀림을 방지하고 복공판(1)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데 일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되어, 복공판(1)이 지지대(5)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체결 브래킷(10)에는; 체결공(13)의 둘레에 받침 파이프(1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 파이프(14)는 상기 체결 브래킷(10)의 체결공(13)보다 다소 큰 내경으로 일정 높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이 받침 파이프(14)의 높이는 상술한 지지단(18)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체결 브래킷(10)과 상기 복공판(1)의 저면 사이에는 체결공(33)이 형성되며 상기 복공판(1)의 저면에 접하는 수평단(32)과, 상기 수평단(32)에 대하여 수직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결 브래킷(10)의 받침단(12) 측면에 접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수직단(34)을 포함하는 고정 브래킷(30)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 브래킷(3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것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단(32)과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단(34)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수평단(32)의 대략 중앙에는 원형의 체결공(33)이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체결부재(20)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단(32)의 윗면은 복공판(1)의 저면과 접촉하게 되며, 아래쪽 면은 상술한 체결 브래킷(10)의 받침 파이프(14)에 접촉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 브래킷(30)에 형성된 수직단(34)은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술한 체결 브래킷(10)의 받침단(12) 측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체결 브래킷(10) 및 고정 브래킷(30)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단(34)의 길이는 상기 받침 파이프(14)의 높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체결 브래킷(10)과 함께 고정 브래킷(30)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볼트(22)의 몸통부(22-2) 외주에 코일 스프링(2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23)은 상기 메인 볼트(22)의 몸통부(22-2) 외주와 받침 파이프(14)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한편, 그 하단은 받침 파이프(14) 내에서 상기 체결 브래킷(10)의 받침단(12)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23)의 상단은 고정 브래킷(30)의 수평단(32) 아랫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체결 브래킷(10)의 받침단(12)과 상기 고정 브래킷(30)의 수평단(32) 사이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작용하게 한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 볼트(22)에는 몸통부(22-2) 끝단에 상기 몸통부(22-2)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수나사가 형성된 보조 볼트(25)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볼트(25)에는 보조 너트(28)가 체결되며; 상기 보조 너트(28)와 상기 메인 볼트(22) 사이에는 보조 와셔(29)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 볼트(22)의 몸통부(22-2) 끝단에 상기 몸통부(22-2)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된 보조 볼트(25)를 추가로 형성하며, 이 보조 볼트(25)에는 별도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조 볼트(25)에 보조 너트(28)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볼트(25)에 상기 보조 너트(28)를 체결할 때, 보조 와셔(29)를 중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보조 너트(28)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보조 와셔(29)는 보조 너트(28)의 풀림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일예는 지지대(5) 상에 복공판(1)을 올려놓은 후, 지지대(5)의 상측면 끝단 일부가 체결 브래킷(10)의 받침단(12)과 복공판(1)의 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팅한다.
이후, 메인 볼트(22)를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받침단(12)의 체결공(13), 복공판(1)의 체결공(3), 그리고 평판(21)의 체결공(2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메인 와셔(27)를 삽입한 후 메인 너트(26)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복공판(1)이 지지대(5) 상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포함하여 모든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다른 예에 있어서는 고정 브래킷(30)을 추가로 삽입하는 것으로 수직단(34)에 의해 체결 브래킷(10)이 바람직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된다.
이와 함께, 체결 브래킷(10)의 받침단(12)에 받침 파이프(14)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 브래킷(10) 및 상기 고정 브래킷(30)이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메인 볼트(22)의 외주에 코일 스프링(23)을 부가하는 것으로, 체결 브래킷(10) 및 고정 브래킷(30)이 탄력적으로 벌어져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 더욱 일조하게 된다.
특히, 체결부재(20)에 보조 볼트(25), 보조 너트(28), 그리고 보조 와셔(29)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체결부재(20)의 결합력을 보다 높이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복공판용 고정 장치는 복공판(1)을 지지대(5)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지지대(5) 상에서 복공판(1)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결과적으로는 복공판(1)과 지지대(5)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복공판 3 : 체결공
5 : 지지대 10 : 체결 브래킷
12 : 받침단 13 : 체결공
14 : 받침 파이프 18 : 지지단
20 : 체결부재 21 : 평판
22 : 메인 볼트 22-1 : 머리부
22-2 : 몸통부 23 : 코일 스프링
25 : 보조 볼트 26 : 메인 너트
27 : 메인 와셔 28 : 보조 너트
29 : 보조 와셔 30 : 고정 브래킷
32 : 수평단 33 : 체결공
34 : 수직단

Claims (8)

  1.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체결 브래킷과;
    상기 체결 브래킷과 복공판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을 상기 복공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래킷은;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수평하게 위치하는 받침단과, 상기 받침단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여 복공판의 저면을 향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받침단의 체결공 및 상기 복공판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삽입되는 메인 볼트와;
    상기 복공판 위에서 상기 메인 볼트에 체결되는 메인 너트와;
    상기 메인 너트와 상기 복공판 사이에 개재되는 메인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와셔와 상기 복공판 사이에 추가로 개재되는 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래킷에는;
    체결공의 둘레에 받침 파이프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래킷과 상기 복공판의 저면 사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복공판의 저면에 접하는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에 대하여 수직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결 브래킷의 받침단 측면에 접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수직단을 포함하는 고정 브래킷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볼트에는;
    몸통부 외주에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볼트에는;
    몸통부 끝단에 상기 몸통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수나사가 형성된 보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볼트에는 보조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보조 너트와 상기 메인 볼트 사이에는 보조 와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
KR2020160004924U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고정 장치 KR201800006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24U KR20180000626U (ko)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24U KR20180000626U (ko)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고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34U Division KR20180000637U (ko) 2018-01-10 2018-01-10 복공판용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26U true KR20180000626U (ko) 2018-03-06

Family

ID=6164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924U KR20180000626U (ko)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626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07A (ja) * 1994-05-25 1995-12-05 Kawashiyou Lease Syst Kk 覆工板の取付構造
JP2006161549A (ja) * 2004-11-12 2006-06-22 Gecoss Corp 覆工板取付け構造
KR20100085856A (ko) * 2009-01-20 2010-07-29 히로타 에츠코 세이드 풀림방지 파스너
JP2010168800A (ja) * 2009-01-22 2010-08-05 Taiyo Kk 覆工板締結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07A (ja) * 1994-05-25 1995-12-05 Kawashiyou Lease Syst Kk 覆工板の取付構造
JP2006161549A (ja) * 2004-11-12 2006-06-22 Gecoss Corp 覆工板取付け構造
KR20100085856A (ko) * 2009-01-20 2010-07-29 히로타 에츠코 세이드 풀림방지 파스너
JP2010168800A (ja) * 2009-01-22 2010-08-05 Taiyo Kk 覆工板締結方法及びそ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566B1 (ko) 탱크 고정 장치
JP4502936B2 (ja) 覆工板取付け構造
US2921760A (en) Adjustable resilient foot for machinery
US5386962A (en) Shock and vibration absorbing mounts
US11027765B2 (en) Steering wheel for vehicle
CN105417026A (zh) 一种自动化生产振动输送机
KR20180000626U (ko) 복공판용 고정 장치
KR20180000637U (ko) 복공판용 고정 장치
KR20100114780A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US11421748B2 (en) Coil spring support for vehicular suspension system
KR102415758B1 (ko) 임시 지지용 파이프 지지 장치
US20150115687A1 (en) Seat component positioning structure
WO2020195047A1 (ja) 圧縮機および圧縮機用支持部材
KR102258060B1 (ko) 차량용 코일 스프링 지지구조
KR20180000624U (ko)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KR101888134B1 (ko) 캡핑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JP2008195425A (ja) パレットへの機器取付構造
JP2016142338A (ja)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装置
CN205500097U (zh) 一种自动化生产振动输送机底座
JP6396776B2 (ja) 移動間仕切用防振装置
CN205500107U (zh) 一种动力摆动装置
CN219317759U (zh) 卡扣及具有其的阀装置
KR102080877B1 (ko) 레이스웨이 유닛 및 이를 갖는 oht
KR20020080706A (ko) 바디 마운팅 러버의 조립구조
KR20080107038A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