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77U - 롱헤드타이 - Google Patents

롱헤드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77U
KR20180000477U KR2020160004625U KR20160004625U KR20180000477U KR 20180000477 U KR20180000477 U KR 20180000477U KR 2020160004625 U KR2020160004625 U KR 2020160004625U KR 20160004625 U KR20160004625 U KR 20160004625U KR 20180000477 U KR20180000477 U KR 201800004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ead
tie
strap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원
Original Assignee
헬러만타이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러만타이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헬러만타이툰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4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77U/ko
Publication of KR20180000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65D63/1063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 B65D63/1072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 B65D25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2563/101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 B65D2563/103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details of the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teeth on the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 B65D25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2563/101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 B65D2563/107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having a release mechanism, e.g. reusable bundling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롱헤드타이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는 테일부와 상기 테일부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테일부와 연동되며 케이블을 결속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단면에 배치되고 특정위치에 케이블이 고정위치되도록 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르면, 묶은 케이블을 작업자가 원하는 특정위치에 보다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타이 절단시 절단부위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타이에 곡면을 부여하여 결속되는 케이블의 편심고정량을 감소시켜 유격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롱헤드타이{TIE HAVING LONG HEAD}
본 고안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묶은 케이블을 작업자가 원하는 차량 등의 특정위치에 보다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타이 절단시 절단부위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타이에 곡면을 부여하여 결속되는 케이블의 편심량을 감소시켜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케이블 타이는 전선, 통신선, 가스연결선 등 다수의 케이블을 함께 묶어 정리정돈해 놓음으로써, 차후에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한다. 이러한 케이블 타이는 비단 차량뿐만 아니라 일반가정, 산업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던 케이블 타이의 일반적인 형태로는 도 1에 도시된 형태를 들 수 있다. 종래 케이블 타이의 기본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헤드부(4)와 헤드부(4)에 연결된 스트랩부(1)로 나눌 수 있으며, 헤드부(4)에는 결속홀(3)과 결속홀(3) 내부에는 탄성고정편(5)이 배치되고, 스트랩부(1)에는 결속돌기(2)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작업자는 다수의 케이블을 스트랩부(1)로 감싸며 묶고 결속홀(3)로 통과시켜, 탄성고정편(5)과 결속돌기(2)간의 상호 결속으로 케이블을 고정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형태의 케이블 타이는 복수의 케이블을 서로 묶어 정리할 수는 있으나, 차량의 특정부위에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없어, 운행 중 진동이나 충격으로 케이블의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케이블을 감싼 스트랩부(1)가 헤드부(4)에 결속될 때, 위치가 정확이 일치되지 않아 케이블이 헤드부(4)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고정되었고, 이는 케이블과 케이블을 감싼 스트랩부(1)간의 유격을 발생시켜 케이블의 단단히 고정되는 않는 문제 또한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타이 구조는 스트랩부(1)를 헤드부(4)에 결속한 후에 여분의 스트랩를 제거할 때, 깔끔하게 커팅이 되지 않는 등 미관상의 문제, 작업자가 손을 베는 등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다. 만약 너무 짧게 커팅을 한다면, 탄성고정편(5)과 커팅되지 않은 잔여스트랩간의 길이가 짧아 차량 운행 중 진동이나 충격 등이 인가되면 결속이 해제되는 문제도 있다.
실용신안 공개번호:20-2016-000245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묶은 케이블을 작업자가 원하는 특정위치에 보다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타이 절단시 절단부위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타이에 곡면을 부여하여 결속되는 케이블의 편심고정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유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롱헤드타이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는 테일부와 상기 테일부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테일부와 연동되며 케이블을 결속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단면에 배치되고 특정위치에 케이블이 고정위치되도록 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일단면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가 관통삽입되는 제1 결속홀이 형성된 헤드본체부와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가 관통삽입되는 제2 결속홀이 형성된 롱헤드부 및 상기 제1 결속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와 결속 또는 분리되며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제공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일부는,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에 결속되는 치형부가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트랩부 및 상기 스트랩부에서 상기 치형부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케이블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랩부와 케이블간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스트랩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라인부 및 상기 헤드본체부에서 케이블 접촉부위에 복수 열로 배치되는 제2 라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일부는, 결속되는 케이블이 편심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헤드본체부와 상기 스트랩부간의 연결부위에 배치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부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특정위치에 제공되는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홀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계적인 크기로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단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외측단에 양측으로 한 쌍으로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날개부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단면에서 상기 돌기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롱헤드부의 신장범위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경계선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타이의 헤드부에 롱헤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결속 후 작업자가 여분의 스트랩을 절단할 때, 절단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날카로운 절단부위로 인한 미관 손상이나 작업자가 손을 베는 등의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일부에 곡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을 고정할 때 종래보다 타이의 중심부에서 편심되어 고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가 고정하고자 하는 특정위치에 보다 정확히 고정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일부에 케이블의 둘레 접촉되는 돌기된 접촉라인을 형성함으로써, 타이로 고정할 때 타이와 케이블간의 유격을 제거하여, 보다 단단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더하여, 클램프부에는 단계적인 크기로 형성된 걸림부를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고정시키고자 하는 특정위치에 형성된 고정홀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종류에 제한없이 타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타이에 대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에 대한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에 대한 정면도.
도 2d는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에 대한 후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클램프부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안에서 클램프부의 작동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서 헤드부의 부분확대도.
도 6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고안에서 헤드부의 작동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서 테일부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롱헤드타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2d는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에 대한 후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클램프부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안에서 클램프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서 헤드부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6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고안에서 헤드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서 테일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a 내지 도 7b를 참고하면,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100)의 실시예는 테일부(300), 헤드부(200) 및 클램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100)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플라스틱, 고무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롱헤드타이(100)의 실시예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테일부(300)는 고정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끈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력이 있어 케이블의 둘레를 따라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테일부(300)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테일부(300)와 연동되며 케이블을 결속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부(400)는 상기 헤드부(200)의 일단면에 배치되고 특정위치에 케이블이 고정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a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헤드부(200)는 자세하게는 헤드본체부(210), 롱헤드부(220) 및 고정바(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본체부(210)는 상기 클램프부(400)의 일단면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300)가 관통삽입되는 제1 결속홀(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헤드본체부(210)는 직육면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속홀(211)은 상기 테일부(300)의 스트랩부(3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스트랩부(3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각 단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롱헤드부(220)는 상기 헤드본체부(210)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300)가 관통삽입되는 제2 결속홀(2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롱헤드부(220)는 상기 헤드본체부(210)상에서 상기 테일부(300)의 스트랩부(310)가 삽입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신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롱헤드부(220)의 신장범위는 도 5a를 참고하면 상기 클램프부(400)의 지지부(420) 외측경계선(A-A')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제1 결속홀(211)에 삽입고정된 상기 테일부(300)의 스트랩부(310)의 여분을 커팅할 때, 돌출된 상기 클램프부(400)의 지지부(420)의 형상때문에 커팅이 제대로 되지 않아 스트랩부(310)가 깔끔하게 절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롱헤드부(220)가 상기 클램프부(400)의 지지부(420) 외측경계선까지 신장되어 있어, 작업자는 상기 롱헤드부(220)의 외측단(A-A')을 따라 커팅함으로써, 수월하고 깔끔하게 여분의 스트랩부(31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롱헤드부(22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속홀(221)도 상기 테일부(300)의 스트랩부(3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음 상기 고정바(230)는 상기 제1 결속홀(2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300)의 치형부(311)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고정바(230)의 일단부(232)는 상기 제1 결속홀(211)의 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230)의 타단부(233)는 상기 롱헤드부(220)의 제2 결속홀(221)까지 신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테일부(300)의 스트랩부(310)가 상기 제1 결속홀(211)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바(230)의 하단 결속돌기(231)와 스트랩부(310)에 배치되는 치형부(311)간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테일부(300)는 상기 헤드부(200)에 단단히 결속되고 케이블은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결속을 해제하고자 한다면, 상기 고정바(230)의 타단부(233)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면 되며, 이 경우 상기 결속돌기(231)와 치형부(311)가 분리되면서, 작업자는 스트랩부(310)를 잡고 당기어 상기 헤드부(200)에서 상기 테일부(300)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d를 참고하면 상기 테일부(300)는 스트랩부(310), 유격방지부(320) 및 곡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스트랩부(310)는 상기 헤드본체부(210)의 일단에 연결되고 끈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바(230)에 결속되는 치형부(311)가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형부(311)는 복수의 톱니 형상이 복수의 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향은 경사진 형태이고 타방향은 직각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고정바(230)의 결속돌기(231)와 직각으로 맞물리며 케이블을 결속하게 된다.
상기 유격방지부(320)는 상기 스트랩부(310)에서 상기 치형부(311)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랩부(310)와 케이블간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격방지부(320)는 상기 스트랩부(3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라인부(321)와 상기 헤드본체부(210)에서 케이블 접촉부위에 복수 열로 배치되는 제2 라인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310)가 케이블의 둘레를 감쌀 때, 상기 제1 라인부(321)가 상기 스트랩부(310)의 양측단에서 케이블에 눌러지면서, 케이블과 상기 스트랩부(310)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부(310)를 상기 제1 결속홀(211)에 삽입함에 따라 케이블은 상기 헤드본체부(210)의 일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 라인부(322)가 케이블에 역시 눌러지면서 접촉되면 유격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유격 방지 기능은 일반적인 케이블의 피복이 플라스틱,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감싸져 있어, 상기 유격방지부(320)가 케이블의 피복에 접촉되어 눌러지면서 그 효과를 증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330)는 결속되는 케이블이 편심고정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헤드본체부(210)와 상기 스트랩부(310)간의 연결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종래의 케이블 타이는 헤드에 스트랩이 바로 연결되어 있어 케이블을 감싸더라도 헤드 하단에 바로 케이블의 중심이 위치하지 않아, 유격 발생이 심하였다.
그에 비해 본원고안은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케이블의 원형 단면 형상에 맞게 제작된 상기 곡면부(330)에 의해 상기 스트랩부(310)의 시작 부위부터 케이블의 개수에 상관없이 케이블의 둘레를 유격을 최소화하면서 감쌀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헤드본체부(210)의 중심선(B-B')에 케이블의 중심이 최대한 근접 위치하도록 하여 케이블의 편심결속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유격 발생을 보다 완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테일부(300)의 개선된 형상에 의해 케이블의 둘레를 보다 밀착되어 감쌀 수 있게 됨으로써, 유격 발생은 최소화되고 케이블은 보다 단단히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클램프부(400)는 삽입부(410), 걸림부(430) 및 지지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삽입부(410)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특정위치에 제공되는 고정홀에 삽입되는 부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410)는 돌기부(411) 및 날개부(4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411)는 상기 헤드본체부(210)의 일단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기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412)는 상기 돌기부(411)의 외측단에 양측으로 한 쌍으로 신장되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430)는 상기 삽입부(410)의 날개부(412)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홀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계적인 크기로 계단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고정홀에 삽입될 때는 상기 날개부(412)가 접히면서 고정홀에 삽입되게 되고, 삽입된 후에는 상기 날개부(412)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힘과 고정홀의 크기에 대응되는 계단식의 상기 걸림부(430)가 고정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클램프부(400)가 특정 위치에 단단히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헤드본체부(210)의 일단면에서 상기 돌기부(4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410)가 고정홀에 삽입 고정될 때, 상기 지지부(420)는 고정홀의 주변부에 눌러지며 밀착되어 상기 삽입부(410)가 고정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헤드본체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기부(411)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적 특징은 상기 지지부(420)가 고정홀의 주변부에 눌러지면서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클램프부(400)에 의해 결속된 케이블이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거나 위치 변경으로 인해 작동 중인 기계부품 사이에 끼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롱헤드타이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롱헤드타이
200:헤드부 210:헤드본체부
211:제1 결속홀 220:롱헤드부
221:제2 결속홀 230:고정바
231:결속돌기
300:테일부 310:스트랩부
311:치형부 320:유격방지부
321:제1 라인부 322:제2 라인부
330:곡면부
400:클램프부 410:삽입부
411:돌기부 412:날개부
420:지지부 430:걸림부
C:케이블

Claims (10)

  1.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는 테일부;
    상기 테일부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테일부와 연동되며 케이블을 결속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단면에 배치되고 특정위치에 케이블이 고정위치되도록 하는 클램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일단면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가 관통삽입되는 제1 결속홀이 형성된 헤드본체부;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가 관통삽입되는 제2 결속홀이 형성된 롱헤드부; 및
    상기 제1 결속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테일부와 결속 또는 분리되며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제공되는 고정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부는,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에 결속되는 치형부가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트랩부; 및
    상기 스트랩부에서 상기 치형부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케이블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랩부와 케이블간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유격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스트랩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라인부; 및
    상기 헤드본체부에서 케이블 접촉부위에 복수 열로 배치되는 제2 라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부는,
    결속되는 케이블이 편심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헤드본체부와 상기 스트랩부간의 연결부위에 배치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특정위치에 제공되는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홀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계적인 크기로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단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외측단에 양측으로 한 쌍으로 연결되는 날개부;
    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날개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헤드본체부의 일단면에서 상기 돌기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롱헤드부의 신장범위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경계선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헤드타이.

KR2020160004625U 2016-08-10 2016-08-10 롱헤드타이 KR201800004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25U KR20180000477U (ko) 2016-08-10 2016-08-10 롱헤드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25U KR20180000477U (ko) 2016-08-10 2016-08-10 롱헤드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77U true KR20180000477U (ko) 2018-02-21

Family

ID=6138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625U KR20180000477U (ko) 2016-08-10 2016-08-10 롱헤드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7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51U (ko) 2015-01-05 2016-07-13 이동현 케이블 타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51U (ko) 2015-01-05 2016-07-13 이동현 케이블 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2525B2 (ja) 電気コネクタ留め具付き結束バンド
EP2468581B1 (en) Fastener
JP2019113134A (ja) 結束バンド
KR20180000477U (ko) 롱헤드타이
US20120233818A1 (en) Cable tie with an improved buckle
KR200483892Y1 (ko) 케이블 타이
JP6317441B2 (ja) 結束バンド
US5915424A (en) Guide tool for guiding a harnessing device underneath a plurality of wires disposed on a harness board
JP2002152940A (ja) プロテクタ
KR20150001045U (ko) 케이블 타이
KR20130049846A (ko) 케이블 타이
KR102003545B1 (ko) 케이블 타이
KR200410932Y1 (ko) 케이블타이
KR100559591B1 (ko) 케이블 타이
KR200467862Y1 (ko) 밴드 케이블
KR101778125B1 (ko) 전선 결속부재
KR20170021498A (ko) 재사용 가능한 다용도 금속 케이블 타이
KR20150136425A (ko) 자동차용 박스의 케이블 고정장치
JP2020028157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プロテクタ
JPH09116278A (ja) 屈曲矯正具
KR200497464Y1 (ko) 케이블 타이
JP2018009590A (ja) ベルトクランプ
KR200475852Y1 (ko) 밴드 케이블
KR20080003053U (ko) 포장용 케이블 타이
JP7140733B2 (ja) コネクタ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