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53U - 카메라 하우징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하우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53U
KR20180000353U KR2020160004292U KR20160004292U KR20180000353U KR 20180000353 U KR20180000353 U KR 20180000353U KR 2020160004292 U KR2020160004292 U KR 2020160004292U KR 20160004292 U KR20160004292 U KR 20160004292U KR 20180000353 U KR20180000353 U KR 20180000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wheel
rotation
accommodat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470Y1 (ko
Inventor
고석필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2020160004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70Y1/ko
Priority to CN201720905959.9U priority patent/CN207502878U/zh
Publication of KR20180000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복수의 휠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종류나 부착 위치에 상관없이 부착 후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주행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하우징 장치{A CAMERA HOUSING}
본 고안은 카메라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일 측에 부착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개발된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에 매핑 시켜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인지하여 운전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제 현실에 가깝게 주변 상황 정보를 이미지화 하거나, 시간에 따라 밤과 낮을 구분하여 표시하지만 주행 중 짧은 순간에 경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실제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현실과 내비게이션 장치 간의 이미지 정보 차이로 인해 주행 경로를 착각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환경에 가상의 객체를 합성하여 가상의 객체가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인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즉, 사용자가 주행 중에 인식하는 현실 상황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들을 겹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이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0694(공개일 2016.01.28)는 의도와 특징을 살려 알림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알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속으로 운행중인 차량에서 촬영된 영상을 활용한 정보의 표시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영상 처리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적으로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의 구성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주행 중에 차량 내 위치하는 유리 등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반사 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카메라의 각도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복수의 휠을 이용햐여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다른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제1 회전부; 및 일측에서 상기 제1 회전부와 기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서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는 소정 깊이의 렌치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휠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휠을 포함하는 웜이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휠과 결합되고 제2 직경을 갖는 제2 휠을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제1 또는 제2 회전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회전부의 일 측면에는 수평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다른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제1 회전부와, 일측에서 상기 제1 회전부와 기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서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행 중에 반사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 중인 사용자가 용이하게 경로 정보와 같은 주행 보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종류나 부착 위치에 상관없이 부착 후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주행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의 반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는 카메라 수용부(110), 가이드부(120), 및 각도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의 상기 개구부(112)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122)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벽(124)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는 실제 카메라가 수용되는 부분과, 카메라의 렌즈 전방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부분은 연속되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면을 기준으로 카메라 하우징(100) 장치를 카메라 수용부(110)와 가이드부(120)로 분할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다만, 카메라의 렌즈는 외부로 노출되어야 광을 수집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부(112)를 카메라 수용부(110)의 한 면에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수용된 카메라의 렌즈는 개구부(112)의 구멍을 통과하여 더욱 외부로 돌출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설치위치에 맞도록 회전하여 전방으로부터 카메라의 렌즈가 광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에 대해 설명하면, 가이드부(120)는 개구부(112)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0)는 바닥면(122)과 가이드벽(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바닥면(122)은 4개의 방향 중 2개의 면은 가이드벽(124)으로, 1개면은 수용부(110)의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면으로 막히게 되며, 카메라의 렌즈를 기준으로 전방의 1개면만 개방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20)를 통해 카메라의 렌즈는 전방에서 유입되는 광만을 수집할 수 있고, 반사 등에 의한 외부 잡광의 수집을 막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이드벽(124)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가이드벽(124)은 렌즈의 형성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바닥면(122)에서 그 높이가 낮아지고,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가이드벽(124)의 높이가 낮아지고, 폭이 좁아질수록 개방되는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광량을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때 개방되는 폭은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32도 내지 47도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의 바닥면(122)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연속하는 패턴을 형성하고, 패턴은 렌즈로 유입되는 광의 반사, 산란 등을 방지하여 카메라가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가이드벽(124) 역시 벽면이 매끈하지 않고, 복수의 층이 연속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0)의 바닥면(122)과 가이드벽(124)의 벽면의 층은 서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면(122)과 가이드벽(124)의 층 중, 이웃하는 층은 그 표면이 연속되도록 하여 광의 난 반사 등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선명한 이미지를 카메라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패턴으로 형성되는 면은 임계치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구성 또는 코팅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130)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수용부(110)의 일 측면에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를 차량 내에 부착하고, 각도 조절부(130)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렌즈가 전방을 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하여 렌즈의 축이 평행하도록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의 반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에 따른 렌치 홈(133)이 형성된 각도 조절부(130)의 반대면에는 수평계(2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대면에는 수평계(20)를 수용할 수 있는 원반형의 회전체가 구성되고, 원반형의 회전체 상에 결합된다.
이때, 수평계(20)는 카메라 렌즈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한 위치에서각도 조절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계(20)가 수평을 가리키도록 회전부를 조작하는 것을 통해, 평행한 평면상에 축이 형성된 렌즈 역시 수평면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1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130)는 렌치 홈(133), 제1 회전부(142), 제2회전부(152) 및 마찰부(15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142)는 수용된 카메라(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133)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 내부에서 상기 다른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회전부(152)는 일측에서 상기 제1 회전부(142)와 기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서 상기 카메라(10)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회전부(142)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10)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회전부(142)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휠(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152)는 상기 제1 휠(144)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휠(15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홈은 렌치 홈(133)일 수 있다. 즉, 렌치 홈(133)을 포함하는 제1 회전부(142)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휠(144)로 구성되고, 제2 회전부(152)는 상대적으로 큰 휠(1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회전부(142)를 실제 회전시키는 것보다 제2 회전부(152)가 적게 회전하게 한다. 이를 통해, 제2 회전부(152)와 결합된 카메라(10)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130)은 마찰부(156)를 포함하여, 카메라(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는 차량 내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 중의 진동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가 처음에 사용자가 설정한 카메라의 각도에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마찰부(156)는 제2 회전부(152)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마찰부(156)는 제2 회전부(152)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10)의 각도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 제2 회전부(152) 대신 제1 회전부(142)에 접하도록 마찰부(156)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 회전부(142) 및 제2 회전부(152) 모두 접하도록 마찰부(156)를 복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마찰부(156)는 사용자의 설정 외의 요인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1 회전부(142) 또는 제2 회전부(152)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부(156)의 구성은 전체가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회전부(142) 또는 제2 회전부(152)와 접하는 부분만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카메라 수용부(110)와 고정되는 부분은 카메라 수용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부(156)의 카메라 수용부(110)와 결합하는 부분이 서로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사출 시 카메라 수용부(110)와 함께 한번에 제조할 수 있으며, 추가로 회전부와 실제 접하는 부분에만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통해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부(142)의 제1 휠(144)는 웜으로 구성되고, 제2 회전부(152)의 제2 휠(154)는 웜 휠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 각도 조절부(130)의 렌치 홈(133)은 카메라 수용부(110)의 일 측면이 아닌 개구부(112)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142)는 렌치 홈(133)에서 카메라의 개구부(112)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휠(144)는 제1 회전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제2 회전부(152)는 제1 회전부(142)의 상단에 형성되고, 톱니를 갖는 제2 휠(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휠(154)는 제1 휠(144)와 결합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제1 회전부(142)의 회전축과 제2 회전부(152)의 회전축은 서로 교차하게 된다.
또한, 이때 제1 휠(144)와 제2 휠(154)의 결합은 도 3에 따른 기어의 결합에 비하여 톱니가 보다 많이 물리게 되어 더욱 정밀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기어 유격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156)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마찰부(156)는 카메라 수용부(110)의 내부 표면에 접합 및 고정되며 제2 회전부(152)의 표면의 일부에 접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보다 상세하게 마찰부(156)는 제2 회전부(152)가 카메라 하우징 장치(10)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에 제2 회전부(152)가 결합된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로서,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에서 제2 회전부(152)와 결합되는 결합부(114)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로 일부가 원호의 단면 형태를 가져서 원통형의 제2 회전부(152)가 밀착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4)의 원호의 단면에는 추가적으로 고무 재질의 우레탄으로 구성된 마찰부(156)가 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회전부(152)와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 결합 시 마찰력을 발생시켜 카메라(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에서 결합부(114)의 양단은 나사못(114a)을 이용하여 카메라 하우징(100)과 결합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결합부(114)의 양단을 나사못 대신 스프링 와셔로 구성하여 차량의 진동에 의한 풀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주행 중에 반사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 중인 사용자가 용이하게 경로 정보와 같은 주행 보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종류나 부착 위치에 상관없이 부착 후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주행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카메라 100:카메라 하우징 장치
110:카메라 수용부
112:개구부 120: 가이드부
122:바닥면 124:가이드벽
130:각도 조절부 133:렌치 홈
156:마찰부 114:결합부
142:제1 회전부 144:제1 휠
152:제2 회전부 154:제2 휠
20: 수평계

Claims (15)

  1.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복수의 휠을 이용햐여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다른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제1 회전부; 및
    일측에서 상기 제1 회전부와 기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서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는 소정 깊이의 렌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휠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휠을 포함하는 웜이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휠과 결합되고 제2 직경을 갖는 제2 휠을 포함하는 웜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제1 또는 제2 회전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의 일 측면에는 수평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0.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다른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제1 회전부와, 일측에서 상기 제1 회전부와 기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서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는 소정 깊이의 렌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휠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휠을 포함하는 웜이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휠과 결합되고 제2 직경을 갖는 제2 휠을 포함하는 웜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제1 또는 제2 회전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의 일 측면에는 수평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20160004292U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0487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92U KR200487470Y1 (ko)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CN201720905959.9U CN207502878U (zh) 2016-07-26 2017-07-25 摄像机外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92U KR200487470Y1 (ko)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302U Division KR200491889Y1 (ko) 2018-09-14 2018-09-14 카메라 하우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53U true KR20180000353U (ko) 2018-02-05
KR200487470Y1 KR200487470Y1 (ko) 2018-11-02

Family

ID=6128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92U KR200487470Y1 (ko)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7470Y1 (ko)
CN (1) CN207502878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254U (ko) * 2010-11-02 2012-05-10 박만금 차량용 블랙박스의 카메라 틸팅장치
KR20120115831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일신하이텍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US8400560B1 (en) * 2012-02-23 2013-03-19 E-Lead Electronic Co., Ltd. Viewing angle adjustable vehicle camera device
KR20130002816U (ko) * 2011-11-02 2013-05-10 모본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KR20140038000A (ko) * 2012-09-19 2014-03-28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KR20150074609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차량용 블랙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254U (ko) * 2010-11-02 2012-05-10 박만금 차량용 블랙박스의 카메라 틸팅장치
KR20120115831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일신하이텍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20130002816U (ko) * 2011-11-02 2013-05-10 모본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US8400560B1 (en) * 2012-02-23 2013-03-19 E-Lead Electronic Co., Ltd. Viewing angle adjustable vehicle camera device
KR20140038000A (ko) * 2012-09-19 2014-03-28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KR20150074609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차량용 블랙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70Y1 (ko) 2018-11-02
CN207502878U (zh)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1305A1 (en) Content visualizing method and apparatus
ES2900055T3 (es)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especialmente para un vehículo, así como vehículo con un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 ese tipo
KR101822890B1 (ko) 차량의 전방 촬영 카메라 모듈
US9076248B2 (en) Display apparatus
ES2959475T3 (es) Método, dispositivo y medio de almacenamiento legible por ordenador con instrucciones para el control de una visualización de un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 realidad aumentada para un vehículo de motor
ES2935067T3 (es) Seguimiento de peatones de visión-inercial robusto con autoalineación de rumbo
JP6342704B2 (ja) 表示装置
US20080091338A1 (en) Navigation System And Indicator Image Display System
US2017008584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PT1903534E (pt) Método e sistema para produzir uma imagem panorâmica a partir de um veículo
WO2011144849A1 (fr) Aide a la navigation a traitement de donnees d'affichage perfectionne
US11915340B2 (en) Generating a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for a motor vehicle
EP3130510B1 (en) Automobile room mirror adapter
KR200487470Y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FR2715243A1 (fr)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nformations pour conducteur routier.
KR20180002757U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0485604Y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WO2020195308A1 (ja) 虚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移動体
ES2733483T3 (es) Sistema de visualización basado en una cámara
KR200487110Y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JP6552244B2 (ja) 車載機器
KR20130002816U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WO2019072585A1 (en) IMAGING DEVICE ARRANGED WITHIN AN INSTRUMENT IN A GROUP OF INSTRUMENTS
CN105022221A (zh) 智能投影仪
EP2725280B1 (fr) Dispositif de stabilisation miniaturisé pour appareil embarqué et support mobile appareill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