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04Y1 - 카메라 하우징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하우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04Y1
KR200485604Y1 KR2020160004293U KR20160004293U KR200485604Y1 KR 200485604 Y1 KR200485604 Y1 KR 200485604Y1 KR 2020160004293 U KR2020160004293 U KR 2020160004293U KR 20160004293 U KR20160004293 U KR 20160004293U KR 200485604 Y1 KR200485604 Y1 KR 200485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ccommodating
lens
housing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민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2020160004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04Y1/ko
Priority to CN201720906428.1U priority patent/CN207234924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종류나 부착 위치에 상관없이 부착 후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주행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하우징 장치{A CAMERA HOUSING}
본 고안은 카메라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일 측에 부착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개발된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에 매핑 시켜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인지하여 운전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제 현실에 가깝게 주변 상황 정보를 이미지화 하거나, 시간에 따라 밤과 낮을 구분하여 표시하지만 주행 중 짧은 순간에 경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실제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현실과 내비게이션 장치 간의 이미지 정보 차이로 인해 주행 경로를 착각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환경에 가상의 객체를 합성하여 가상의 객체가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인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즉, 사용자가 주행 중에 인식하는 현실 상황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들을 겹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이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0694(공개일 2016.01.28)는 의도와 특징을 살려 알림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알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속으로 운행중인 차량에서 촬영된 영상을 활용한 정보의 표시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영상 처리뿐 아니라, 하드웨어적으로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의 구성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주행 중에 차량 내 위치하는 유리 등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반사 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카메라의 각도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카메라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카메라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는 소정 깊이의 렌치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카메라 연결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 일부 또는 원반형의 표면 일부에 수평계가 삽입되는 수평계 삽입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상기 수평계 삽입 홈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의 원반형의 표면 일부에 형성된 상기 수평계 삽입 홈은 원반형의 호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상기 각도 조절부와 상기 카메라 수용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카메라 연결부의 사이에서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중심에서 원호의 단면을 가져 상기 카메라 연결부를 수용하고, 양 단은 상기 카메라 수용부와 나사 결합 또는 스프링 와셔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하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서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카메라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카메라 연결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행 중에 반사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 중인 사용자가 용이하게 경로 정보와 같은 주행 보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종류나 부착 위치에 상관없이 부착 후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주행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의 수평계 및 렌치의 결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의 결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는 카메라 수용부(110), 가이드부(120), 및 각도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의 상기 개구부(112)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122)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벽(124)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100)는 실제 카메라가 수용되는 부분과, 카메라의 렌즈 전방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부분은 연속되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면을 기준으로 카메라 하우징(100) 장치를 카메라 수용부(110)와 가이드부(120)로 분할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다만, 카메라의 렌즈는 외부로 노출되어야 광을 수집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부(112)를 카메라 수용부(110)의 한 면에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수용된 카메라의 렌즈는 개구부(112)의 구멍을 통과하여 더욱 외부로 돌출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설치위치에 맞도록 회전하여 전방으로부터 카메라의 렌즈가 광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에 대해 설명하면, 가이드부(120)는 개구부(112)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0)는 바닥면(122)과 가이드벽(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바닥면(122)은 4개의 방향 중 2개의 면은 가이드벽(124)으로, 1개면은 수용부(110)의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면으로 막히게 되며, 카메라의 렌즈를 기준으로 전방의 1개면만 개방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20)를 통해 카메라의 렌즈는 전방에서 유입되는 광만을 수집할 수 있고, 반사 등에 의한 외부 잡광의 수집을 막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이드벽(124)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가이드벽(124)은 렌즈의 형성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바닥면(122)에서 그 높이가 낮아지고,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가이드벽(124)의 높이가 낮아지고, 폭이 좁아질수록 개방되는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광량을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때 개방되는 폭은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32도 내지 47도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의 바닥면(122)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연속하는 패턴을 형성하고, 패턴은 렌즈로 유입되는 광의 반사, 산란 등을 방지하여 카메라가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가이드벽(124) 역시 벽면이 매끈하지 않고, 복수의 층이 연속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0)의 바닥면(122)과 가이드벽(124)의 벽면의 층은 서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면(122)과 가이드벽(124)의 층 중, 이웃하는 층은 그 표면이 연속되도록 하여 광의 난 반사 등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선명한 이미지를 카메라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패턴으로 형성되는 면은 임계치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구성 또는 코팅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130)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수용부(1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를 차량 내에 부착하고, 각도 조절부(130)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렌즈가 전방을 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하여 렌즈의 축이 평행하도록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130)는 회전부(132), 카메라 연결부(134), 마찰부(136)를 포함한다.
회전부(132)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원반형의 형태로 카메라 수용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반형의 외주면에는 톱니와 같은 복수의 요철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회전부(132)를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연결부(134)는 카메라 수용부(110)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132)와 상기 카메라(10)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132)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10)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즉, 카메라 연결부(134)는 봉 형으로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부(132) 사이에서 결합되며, 카메라의 회전축으로 기능한다. 이 때 카메라(10)는 카메라 연결부(134)의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부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마찰부(136)는 카메라 연결부(134)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132)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를 기준으로 마찰부(136)는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136)는 카메라 수용부(110)의 내부 표면에 접합 및 고정되며 카메라 연결부(134)의 표면과는 일부 접할 수 있다. 이때, 마찰부(136)가 카메라 연결부(134)와 접하는 부분은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큰 물질로 구성되어 카메라 연결부(134)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차량 내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 중의 진동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가 처음에 사용자가 설정한 카메라의 각도에서 변경될 수 있다.
즉, 마찰부(136)는 사용자의 설정 외의 요인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이용하여 카메라 연결부(134)를 고정시킨다.
마찰부(136)의 구성은 전체가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연결부(134)와 접하는 부분만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카메라 수용부(110)와 고정되는 부분은 카메라 수용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찰부(136)의 고정되는 부분이 카메라 수용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사출 시 카메라 수용부(110)와 함께 한번에 제조할 수 있으며, 추가로 회전부와 실제 접하는 부분에만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통해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32)의 중심에는 소정 깊이의 렌치 홈(133)이 더욱 형성 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부(132)의 표면에는 톱니와 같은 요철이 있어 사용자가 회전부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나, 더욱 미세한 각도 조절을 위해 회전부(132)의 회전 중심 부에 렌치 홈(133)을 형성하여 렌치를 통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도 조절을 위한 가이드로써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32)의 톱니가 형성된 외주면의 일부에는 수평계의 삽입이 가능한 수평계 삽입 홈(137)을 더욱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수평계 삽입 홈(137)에 수평계(20)가 삽입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수평계(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카메라 렌즈의 방향을 맞추는 것 보다 더욱 정확하게 렌즈를 수평면에 평행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수평계(20)가 삽입되는 수평계 삽입 홈(137)은 카메라 렌즈의 축과 카메라 연결부가 형성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계 삽입 홈(137)에 삽입된 수평계(20)가 수평을 가리키도록 회전부를 조작하는 것을 통해, 동일 평면상에 축이 형성된 렌즈 역시 수평면과 평행하게 위치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본 실시예에서 수평계(20)를 회전부의 외주면이 아닌 원반형의 표면 중 일부에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132)의 표면 중 하단에 복수의 수평계 삽입을 위한 홈인 수평계 삽입 홈 (137)을 형성하고, 도 7과 같이 이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된 수평계(20)를 수평계 삽입 홈(137)에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32)의 중심에는 렌치 홈(133)을 형성하고, 도 7과 같이 렌치(30)를 렌치 홈(133)에 삽입하여 미세한 수평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렌치의 아래에서 회전부(132)와 결합된 수평계(20)를 통해 카메라의 각도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136)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마찰부(136)는 카메라 수용부(110)의 내부 표면에 접합 및 고정되며 카메라 연결부(134)의 표면과 일부 접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보다 상세하게 마찰부(136)는 각도 조절부(130)가 카메라 하우징 장치(10)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카메라 하우징 장치에 각도 조절부(130)가 결합된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로써, 카메라 하우징 장치에서 각도 조절부와 결합되는 결합부(114)는 열가소성플라스틱 소재로 일부가 원호의 단면을 가지므로 원통형의 카메라 연결부(134)가 밀착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4)의 원호의 단면에는 추가적으로 고무 재질의 우레탄으로 구성된 마찰부(136)가 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연결부(134)와 카메라 하우징 장치 결합 시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각도 조절부(13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8에서 결합부의 양단은 나사못(114a)을 이용하여 카메라 하우징과 결합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서 결합부(114)는 도 8과 같이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로 일부가 원호를 갖는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단면은 각도 조절부(130)의 카메라 연결부(134)와 결합되며, 원호의 굴곡면을 따라 형성된 우레탄 소재의 마찰부(136)는 카메라 연결부(134)와의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추가적으로 도 9에서는 결합부(114)의 양단을 나사못 대신 스프링 와셔(114b)로 구성하여 차량의 진동에 의한 풀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의 상부와 하부 하우징을 예시하는 도로써,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카메라 수용부(110)의 상부 및 가이드부(120)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110a)과 상부 하우징(110a)과 결합하고, 카메라 수용부(110)의 하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부(13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a) 및 하부 하우징(110b)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하부 하우징(110b)에 도 8 내지 도 9에 따른 결합부(114)와 각도 조절부(13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전부(132)의 외주면 중 일부에 결합되는 오-링(O-ring)(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O-ring)(116)은 상부 하우징(110a), 하부 하우징(110b) 사이에서 회전부(132)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카메라의 각도 변화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주행 중에 반사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 중인 사용자가 용이하게 경로 정보와 같은 주행 보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종류나 부착 위치에 상관없이 부착 후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주행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카메라 100:카메라 하우징 장치
110:카메라 수용부 112:개구부
114: 결합부 120: 가이드부
122:바닥면 124:가이드벽
130:각도 조절부 132:회전부
133:렌치 홈 134:카메라 연결부
136:마찰부 137:수평계 삽입홈
110a:상부 하우징 110b:하부 하우징
20: 수평계 30:렌치
116: 오링(O-ring)

Claims (19)

  1.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카메라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카메라 연결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의 원반형의 호를 따라 표면 일부에 수평계가 삽입되는 복수의 수평계 삽입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계 삽입 홈은 일부의 상기 삽입 홈에만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평계의 돌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는 소정 깊이의 렌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카메라 연결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상기 각도 조절부와 상기 카메라 수용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카메라 연결부의 사이에서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중심에서 원호의 단면을 가져 상기 카메라 연결부를 수용하고, 양 단은 상기 카메라 수용부와 나사 결합 또는 스프링 와셔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하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서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4.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하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서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하는 오-링(O-ring);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수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한 회전부, 상기 카메라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카메라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카메라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카메라 연결부 및 상기 카메라 연결부와 접촉하며, 원호의 굴곡면을 따라 형성된 마찰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의 원반형의 호를 따라 표면 일부에 수평계가 삽입되는 복수의 수평계 삽입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계 삽입 홈은 일부의 상기 삽입 홈에만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평계의 돌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상기 각도 조절부와 상기 카메라 수용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카메라 연결부의 사이에서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8. 삭제
  19. 삭제
KR2020160004293U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0485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93U KR200485604Y1 (ko)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CN201720906428.1U CN207234924U (zh) 2016-07-26 2017-07-25 摄像机外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93U KR200485604Y1 (ko)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04Y1 true KR200485604Y1 (ko) 2018-01-30

Family

ID=6128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93U KR200485604Y1 (ko) 2016-07-26 2016-07-26 카메라 하우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5604Y1 (ko)
CN (1) CN207234924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124U (ja) * 2000-07-25 2001-02-09 株式会社マルハマ 室内貼着型テレビジョンカメラ
US8400560B1 (en) * 2012-02-23 2013-03-19 E-Lead Electronic Co., Ltd. Viewing angle adjustable vehicle camera device
KR20130002816U (ko) * 2011-11-02 2013-05-10 모본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124U (ja) * 2000-07-25 2001-02-09 株式会社マルハマ 室内貼着型テレビジョンカメラ
KR20130002816U (ko) * 2011-11-02 2013-05-10 모본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US8400560B1 (en) * 2012-02-23 2013-03-19 E-Lead Electronic Co., Ltd. Viewing angle adjustable vehicle camer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234924U (zh)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0055T3 (es)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especialmente para un vehículo, así como vehículo con un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 ese tipo
US7006303B2 (en) Camera device
BR112014005430B1 (pt) sistema de rastreamento e sistema para monitorar a velocidade de um ou mais alvos
PT1903534E (pt) Método e sistema para produzir uma imagem panorâmica a partir de um veículo
KR200485604Y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EP3130510B1 (en) Automobile room mirror adapter
KR200487470Y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180002757U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US10310157B2 (en) Multi-piece light guide for enhanced alignment through an opaque surface
KR200487110Y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130002816U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US20070025724A1 (en) Camera viewer device
JP2007186016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60051273A (ko) 거리측정장치
CN105022221A (zh) 智能投影仪
KR102511624B1 (ko) 카메라 모듈
JP6400185B2 (ja) 車両用表示装置
EP2725280B1 (fr) Dispositif de stabilisation miniaturisé pour appareil embarqué et support mobile appareillé
JPS6263910A (ja) 内視鏡
TWM561432U (zh) 前投影安全帽
CN204903938U (zh) 智能投影仪
FR3064389A1 (fr) Dispositif de modelisation et de representation, et procede correspondant
JP2007071990A (ja) 防水ハウジング
KR20070043538A (ko) 렌즈가 장착된 네비게이션
KR20210085566A (ko)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