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816U -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816U
KR20130002816U KR2020110009696U KR20110009696U KR20130002816U KR 20130002816 U KR20130002816 U KR 20130002816U KR 2020110009696 U KR2020110009696 U KR 2020110009696U KR 20110009696 U KR20110009696 U KR 20110009696U KR 20130002816 U KR20130002816 U KR 20130002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sing
lane departure
camera modul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모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816U/ko
Publication of KR20130002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를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만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주변 불빛에 따른 카메라 헐레이션 현상 등을 방지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는 카메라 모듈과; 내부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격납되고, 상기 렌즈의 노출을 위한 렌즈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부재로서 밑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케이싱을 내부로 인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출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갖는 함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Lane Departure Warning Device}
본 고안은 차량용 촬영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선이탈 내지 추돌위험과 같은 운전 중 위험 정보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해 주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LDWS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은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현재 주행 중인 차선을 파악한 후, 만약 운전자가 부주의나 졸음 운전 등으로 차선을 이탈하려고하면 소리 또는 이미지로 경고해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은, 주행 차선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영기구와, 상기 촬영기구에서 촬영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차선 이탈을 판단하는 마이크로제어장치(MCU)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차선이탈 경보를 발하는 경보출력부(ALARM-OU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국공개특허 제0000533호는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촬영기구를 보여준다. 근데 종래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의 촬영기구(2)는 도 1과 같이 차량 전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룸미러(1)나 전방유리(3)에 부착시킨 구조인 바, 카메라(2)가 전,후,좌,우 전방위로 노출되어 있어 특히 야간 주행시 불필요한 주변 불빛(예컨데, 차량 실내등, 측방향/후방향 차량의 전조등 따위)에 의한 촬영 방해(예컨데, 헐레이션(Halation) 현상 등)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차선을 정확히 감지 및 판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선이탈 내지 추돌위험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는 카메라가 필요한 영상(전방의 차선 및 차량)만 정확히 촬영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카메라 촬영 각도와 연관된다. 즉, 차량마다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차량의 너비 등이 상이하므로 차선 이탈 경고 장치를 특정 차량에 설치할 때는 해당 차량의 고유 상태(즉, 높이, 너비 등)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하게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차선이탈 내지 추돌위험 정보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종래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의 촬영기구는 카메라가 차량의 전방유리(3)나 룸미러(1)에 확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해당 촬영기구가 부착될 차종에 최적으로 적합한 촬영 각도로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의 촬영기구는 카메라 모듈이 본체 내부에 확정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는 바, 카메라 모듈의 고장으로 이를 수리 및 교체하고자 할 때, 카메라 모듈 뿐만 아니라 촬영기구 전체(예컨데, 케이스 등)를 전방유리(또는 룸미러)로부터 함께 떼어내어 교체해야하는 불편함과 낭비가 뒤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를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만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주변 불빛에 따른 카메라 헐레이션 현상 등을 방지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과; 내부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격납되고, 상기 렌즈의 노출을 위한 렌즈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부재로서 밑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케이싱을 내부로 인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출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갖는 함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출입공을 통해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측벽의 외면 상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이 케이싱과 소켓에 의해 함체 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취부되고, 사용자는 제1 측벽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케이싱을 회전시키면 손쉽게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차량에 설치하더라도 차량 전방의 필요한 영상(즉, 차선)만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백플레이트에 의해 양측과 후방이 차폐되고 단지 개구면을 통해서만 외부로 노출되되 특히 전방유리와 함체 사이에 이격면에 의해 뜬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차량 전방 영상의 촬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야와 광원은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불필요한 빛(예컨데, 차량 실내등, 측방향/후방향 차량의 전조등 따위)에 의한 촬영 방해(예컨데, 헐레이션(Halation) 현상 등)는 차단할 수 있어 차량 전방 영상을 선명하게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선이탈 및 추돌위험을 보다 정확히 경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밀폐된 공간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위치 변형(즉, 촬영각도 변경)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선 이탈 장치는 장치의 고장 발생시 전방유리에 부착된 함체는 그대로 놔둔 채 케이싱만을 매우 손쉽게 탈거하여 카메라 모듈의 교체 내지 수리를 실시할 수 있는 바,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 전체가 박스형 부재(즉, 함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장치 구조에 의해 장치 외관을 깔끔하고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 제0000533호에 개시된 종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촬영 각도 조절을 위한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상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카메라 모듈 착탈 동작을 보여주는 상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장치가 전방유리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본 고안은 차량의 차선이탈 내지 추돌위험을 영상으로 감지하여 운전자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의를 환기시키는 차선 이탈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과 함체의 유기적인 결합 구조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를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만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주변 불빛에 따른 카메라 헐레이션(Halation) 현상 등을 방지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기술 특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는 카메라 모듈(40), 케이싱(20), 손잡이(30) 및 함체(1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40)은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의 차선이탈 내지 추돌위험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기본적으로 렌즈(41)와 이미지 센서(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42)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전하결합소자(CCD) 또는 CMOS 센서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41)는 카메라 모듈(40)로 입사된 광이 이미지 센서(42)에 상을 맺을 수 있도록 결상렌즈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결상렌즈는 이미지 센서(42)의 광축 상에 배치된다.
한편, 카메라 모듈(40)은 케이싱(20) 내부에 격납되고, 내부에 카메라 모듈(40)을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20)은 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케이싱(20)은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 지점에는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40)의 렌즈(41) 위치에 대응하여 렌즈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20)은 원통형으로 형성하였고, 렌즈홀(21)은 케이싱(20)의 중심부에 관통되게 형성하여 케이싱(20) 내부에 배치된 렌즈(41)가 렌즈홀(2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손잡이(30)는 케이싱(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해당 손잡이(30)를 이용하여 케이싱(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케이싱(20)의 회전이란 케이싱(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을 의미한다. 따라서, 손잡이(3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케이싱(20)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반형으로 형성하여 케이싱(20)과 손잡이(30)는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함체(10)는 카메라 모듈(40)이 내장된 케이싱(2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카메라 모듈(40)이 차량의 전방유리(9)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차량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로서 그 기본 형상은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세부적으로는 밑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19)과, 상기 케이싱(20)을 내부로 인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출입공(17)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일측 벽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함체(10)는 베이스 플레이트(14), 제1 측벽(11), 제2 측벽(12), 백플레이트(13), 및 소켓(50,51)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직사각형의 판체에 해당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양측 모서리에는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이 상호 대향하는 구조로 베이스 플레이트(14)로부터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백플레이트(13)는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의 후방측 세로방향 모서리를 상호 연결하며 일체로 형성된 판체에 해당한다. 따라서, 함체(10)의 제1 측벽(11), 제2 측벽(12) 및 백플레이트(13)는 전체적으로 "∩"자 형 단면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실시예의 함체(10)는 상호 대향하며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후단을 각각 연결하는 백 플레이트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상측에는 전면(全面)이 개방된 개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빈 공간이 마련되게 되는데, 상기 내부 빈 공간에는 카메라 모듈(40)이 내장된 케이싱(20)이 장착되고, 함체(10)의 내부 공간에 취부된 카메라 모듈(40)은 상기 개구면을 통해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함체(10)는 상기 개구면의 주연부를 따라 경사면(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2 실시예의 경우 제1 측벽(11), 제2 측벽(12) 및 백플레이트(13)의 상단면이 상기 경사면(19)에 해당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11), 제2 측벽(12) 및 백플레이트(13)는 베이스 플레이트(14)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자 형으로 연결된 벽체를 형성하되, 상기 "∩"자 형 벽체의 상단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대해 소정의 구배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개구면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경사면(19)의 구배는 차량 전방유리(9)의 경사도와 유사한 범위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체(10)의 경사면(19)은 부착면(15)과 이격면(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부착면(15)은 경사면(19)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격면(16)은 경사면(19)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 2의 실시예는 백플레이트(13)의 상단면 전체와,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의 상단면의 상측 영역을 부착면(15)으로 형성하였고,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의 하측 영역 즉 부착면(15)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이격면(16)으로 형성하였다.
부착면(15)은 그 면상에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유리(9)에 부착되는 면에 해당한다. 참고로, 접착수단은 접착테이프 또는 점착제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접착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격면(16)은 부착면(15)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즉, 베이스 플레이트 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격면(16)과 부착면(15)은 층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부착면(15)이 차량의 전방유리(9)에 부착되면 이격면(16)은 해당 전방유리(9)로부터 이격된 공간을 두고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격면(16)은 다수의 층 구조로 세분화되게 형성하였다. 즉, 제1, 제2,...제n 이격면으로 형성하여, 제1 이격면(16a)은 부착면(15)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2 이격면(16b)은 제1 이격면(16a)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제n 이격면(16c)은 제n-1(16b) 이격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 제2,...제n 이격면은 적어도 3 개 이상의 층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는 카메라 모듈(40)이 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40)을 함체(10)로부터 손쉽게 분리/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전술한 원통형 케이싱(20)과 후술할 출입공(17) 및 소켓(50,51)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입공(17)은 제1 측벽(1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케이싱(20)을 함체(10) 내부로 인입하거나 함체(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출입공(17)의 내경은 케이싱(20)의 외경과 적어도 같거나 또는 조금 더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야 한다.
출입공(17)을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된 케이싱(20)은 소켓(50,5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길이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함체(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소켓은 제1 측벽(11)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된 중공의 제1 소켓(51)과, 제2 측벽(12)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된 중공의 제2 소켓(50)으로 구성된다.
제1 소켓(51)은 제1 측벽(11)의 출입공(1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소켓(50)은 제1 소켓(51)과 대향하게 형성된다. 제1 소켓(51)과 제2 소켓(50)의 중공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경은 케이싱(2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된다.
한편, 제1 소켓(51)은 그 양단이 개방 형성되어 일측 개방구는 출입공(17)과 연통되고, 타측 개방구는 제2 소켓(50)과 대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소켓(51)의 타측 개방구에 대향하는 제2 소켓(50)의 일단 역시 개방 형성(이하, '삽입구'라 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는 도 4와 같이 카메라 모듈(40)의 촬영각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카메라 모듈(40)만을 함체(10)로부터 손쉽게 분리 결합 가능하여 그 점검 또는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촬영 각도 조절을 위한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카메라 모듈 착탈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40)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원통형의 케이싱(20)은 출입공(17)을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된 후 바로 제1 소켓(51)의 중공을 경유하여 제2 소켓(50)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함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렌즈홀(21)은 함체(1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전방에 형성된 개구면을 통해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선이탈 내지 추돌위험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40)이 필요한 영상(전방의 차선 및 차량)만 정확히 촬영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카메라 촬영 각도와 연관된다. 즉, 차량마다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차량의 너비 등이 상이하므로 차선 이탈 경고 장치를 특정 차량에 설치할 때는 해당 차량의 고유 상태(즉, 높이, 너비 등)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하게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차선이탈 내지 추돌위험 정보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는 카메라 모듈(40)이 케이싱(20)과 소켓에 의해 함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고, 사용자는 제1 측벽(11)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30)를 이용하여 케이싱(20)을 회전시키면 손쉽게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차량에 설치하더라도 차선이탈 및 추돌위험의 판별을 위한 영상 정보를 정확히 획득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30)의 일면(도 2의 경우 둘레면)에는 기준자(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준자(31)는 렌즈홀(2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30)를 이용하여 케이싱(20)의 회전 조작시 렌즈홀(21)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하며 목적하는 촬영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카메라 모듈(40)이 함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도 필요에 따라 함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40)을 원통형의 케이싱(20) 내부에 격납시키고, 이렇게 구성된 케이싱(20)은 제1 측벽(11)의 출입공(17)을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한 쌍의 소켓에 의해 바로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출입공(17)을 통해 케이싱(20)을 삽입하거나 빼내기만 하면 카메라 모듈(40)만을 함체(1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장치는 장치의 고장 발생시 전방유리(9)에 부착된 함체(10)는 그대로 놔둔 채 케이싱(20)만을 매우 손쉽게 탈거하여 카메라 모듈(40)의 교체 내지 수리를 실시할 수 있는 바,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차선 이탈 장치가 전방유리(9)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장치는 카메라 모듈(40)을 내부에 수용한 함체(10)가 전방유리(9)에 고정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함체(10)는 경사면(19)을 이용하여 전방유리(9)에 장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함체(10)의 경사면(19) 중 접착수단이 도포된 부착면(15)이 전방유리(9)에 접촉하며 부착되면 경사면(19) 중 접착수단이 도포되지 않은 이격면은 전방유리(9)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격면과 전방유리(9) 사이에 뜬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함체(10) 내부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40)은 함체(10)의 개구면을 통해서만 외부로 노출되고, 그 양측은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밀폐되고 그 하측은 베이스 플레이트(14)에 의해 밀폐되며 그 후방은 백플레이트(13)에 의해 밀폐된 구조로 설치되어 전방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에 의해, 본 고안의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는 카메라 모듈(40)을 밀폐된 공간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위치 변형(즉, 촬영각도 변경)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에 따라 적합한 촬영 각도로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40)은 제1 측벽(11), 제2 측벽(12) 및 백플레이트(13)에 의해 양측과 후방이 차폐되고 단지 개구면을 통해서만 외부로 노출되되 특히 전방유리(9)와 함체(10) 사이에 이격면에 의해 뜬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차량 전방 영상의 촬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야와 광원은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불필요한 주변 불빛(예컨데, 차량 실내등, 측방향/후방향 차량의 전조등 따위)에 의한 촬영 방해(예컨데, 헐레이션(Halation) 현상 등)는 차단할 수 있어 차량 전방 영상을 선명하게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선이탈 및 추돌위험을 보다 정확히 경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함체 11: 제1 측벽
12: 제2 측벽 13: 백플레이트
14: 베이스 플레이트 15: 부착면
16: 이격면 17: 출입공
19: 경사면 20: 케이싱
21: 렌즈홀 30: 손잡이
31: 기준자 41: 렌즈
42: 이미지 센서 40: 카메라 모듈
50: 제2 소켓 51: 제1 소켓

Claims (6)

  1. 렌즈와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내부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격납되고, 상기 렌즈의 노출을 위한 렌즈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부재로서 밑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케이싱을 내부로 인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출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갖는 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출입공을 통해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측벽의 외면 상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하, '제1 측벽' 이라 함)에 대향하며 이격 배치된 또 다른 하나의 측벽(이하, '제2 측벽' 이라 함);
    상기 제1 측벽의 내면에 상기 출입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1 소켓; 및
    상기 제2 측벽의 내면에 상기 제1 소켓과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2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은 상기 출입공을 통해 인입된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양단은 상기 출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소켓은 상기 제1 소켓에 대향하고 있는 일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경사지게 형성된 상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면상에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유리에 부착되는 부착면; 및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부착면이 상기 전방유리에 부착시 차량의 전방유리로부터 이격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이격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면은,
    제1, 제2,...제n 이격면으로 형성되어, 제1 이격면은 부착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2 이격면은 제1 이격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제n 이격면은 제n-1 이격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격면은 적어도 3 개 이상의 층 구조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KR2020110009696U 2011-11-02 2011-11-02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KR201300028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96U KR20130002816U (ko) 2011-11-02 2011-11-02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96U KR20130002816U (ko) 2011-11-02 2011-11-02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16U true KR20130002816U (ko) 2013-05-10

Family

ID=5242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696U KR20130002816U (ko) 2011-11-02 2011-11-02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81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04Y1 (ko) * 2016-07-26 2018-01-30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180000353U (ko) * 2016-07-26 2018-02-05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180002757U (ko) * 2018-09-14 2018-09-28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CN108995586A (zh) * 2018-08-30 2018-12-14 上海航盛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驾驶的车道偏离预警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04Y1 (ko) * 2016-07-26 2018-01-30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180000353U (ko) * 2016-07-26 2018-02-05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CN108995586A (zh) * 2018-08-30 2018-12-14 上海航盛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驾驶的车道偏离预警装置
CN108995586B (zh) * 2018-08-30 2024-02-20 上海航盛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驾驶的车道偏离预警装置
KR20180002757U (ko) * 2018-09-14 2018-09-28 팅크웨어(주) 카메라 하우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41357A1 (ja) カメラユニット、車両及びカメラ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130002816U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JP2010026263A (ja) 撮影装置
KR101111230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US20160185296A1 (en) Vehicle black box mountable on rear-view mirror support
US10802271B2 (en) Lens device
JP2008109615A (ja) 統合された複数の撮像装置
KR200400882Y1 (ko) 차량 외부 감시장치
JP2017154653A (ja) カメラ付き後方確認装置
KR102511624B1 (ko) 카메라 모듈
WO2016158397A1 (ja) 撮像装置
KR101013656B1 (ko) 이동단말기의 카메라장치
JP2005309051A (ja) 光学フィルタ保持装置
TW201325976A (zh) 傳動工具
KR20070066662A (ko) 차량 사고 정보 저장장치
JP2008216706A (ja) 防水用レンズ、防水用レンズ組立体および撮影装置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JP2007180939A (ja) 透光体を選択的に配置する電気機器
KR101884868B1 (ko) 구면 반사경을 이용하여 사각지대 영상 취득 및 저장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JP2013105014A (ja) 交換レンズおよび交換レンズアクセサリ
WO2020184498A1 (ja) 小型レンズユニット
JP2010286733A (ja) 露光条件切替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KR200485604Y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20130100754A (ko) 후방카메라가 탈착되는 블랙박스
JP2015097323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