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26U - 이중용기 - Google Patents

이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26U
KR20180000326U KR2020160004249U KR20160004249U KR20180000326U KR 20180000326 U KR20180000326 U KR 20180000326U KR 2020160004249 U KR2020160004249 U KR 2020160004249U KR 20160004249 U KR20160004249 U KR 20160004249U KR 20180000326 U KR20180000326 U KR 201800003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uxiliary
auxiliary container
container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146Y1 (ko
Inventor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이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헌 filed Critical 이승헌
Priority to KR2020160004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14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31Groove or hollow b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와 음식물을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한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음식물을 담기 위한 보조용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용기 {Double container}
본 고안은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와 음식물을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한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식문화가 발달함으로써 밖에서 음식을 사먹는 일이 많아졌다. 또한 바쁜 현대생활로 인해 거리에서 음식을 먹는 일도 잦아졌다. 대게 외식들은 즉석식품이거나 패스트푸드 등이 대부분인데, 주 메뉴뿐만 아니라 디저트 메뉴 및 음료까지 각각 포장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817호(2014.10.08 등록)는 컵뚜껑에 조각 케익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음료를 음용하면서 조각 케익을 손쉽게 먹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테이크아웃 컵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테이크아웃 컵은 음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단 둘레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컵몸체와 상기 끼움턱에 억지끼움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단 둘레에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컵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가리며, 그 상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상면이 평평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중앙부위에서 하부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조각 케익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으로 상기 돌출부에 거치홈이 형성되는 컵뚜껑과 상기 거치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조각 케익을 먹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9899호(2001.09.27 등록)는 식품과 음료를 동시에 취식 할 수 있는, 식품과 음료를 구분하여 담을 수 있는 식품겸용 음료컵에 관한 것으로, 상부컵과 하부컵이 결합되면 상광하협의 하나의 컵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되, 상부컵의 바닥면에는 빨대삽지공이 천공되고 하부주연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하부컵의 상부주연에 상부컵의 단턱이 결합되도록 하고 빨대를 삽지공을 통해 삽지하면 빨대의 하단부가 하부컵의 바닥면에 닿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2개의 컵에 음료수와 음식물을 각각 분리해서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는 양손으로 각각의 컵을 잡아야하므로취식이 불편하고, 컵을 쉽게 엎지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식품겸용 음료컵은, 음료 또는 음식물의 상부를 덮어 보관할 수 없으며, 기울였을 경우에 음료 또는 음식물이 새어나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이중으로 삽입되는 컵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음료 또는 음식물을 담는 양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81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9899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용기부를 용기부의 상부에 삽입 결합하여 음료와 음식물을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이중용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음식물을 담기 위한 보조용기부를 포함하는 이중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용기부는,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삽입되어, 음식물을 담기 위한 보조용기부재; 상기 보조용기부재의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걸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보조용기부재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빨대를 삽입하기 위한 빨대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덮어 주기 위한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보조용기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뚜껑부는, 하부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용기부의 상부 테두리를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부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부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기 위한 다수개의 받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면에 접착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용기부는,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링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부는, 하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칸막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용기부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부재의 상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부와 보조용기부에 콜라, 사이다 등의 음료수와 닭강정, 튀김 등의 음식물을 각각 분리해서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컵을 잡고 편리하게 음식물과 음료수를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부를 용기부의 상부에 덮어줌으로써, 내부의 음료 또는 음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부에 삽입 결합되는 보조용기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료수 또는 음식물을 담는 양을 서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용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3에 있는 뚜껑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1에 있는 용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용기(10)는, 용기부(100), 보조용기부(200)를 포함한다.
용기부(100)는, 내부에 콜라, 사이다 등의 음료를 담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상부 내측에 보조용기부(200)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부(100)는, 상단 테두리 부분이 보조용기부(200)를 걸어줄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부(100)는,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부(100)는, 하부 내측에 음료를 담고 상부 내측에 보조용기부(2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예를 들어, 약 10 ~ 20cm)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부(100)는, 외측면에 손가락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치시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파지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용기부(200)는,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닭강정, 튀김 등의 음식물을 담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용기부(200)는,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용기부(100)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용기부(200)는, 용기부(1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100)의 길이가 10cm로 형성된 경우에 보조용기부(200)를 3 ~ 5cm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용기부(100)의 길이가 20cm로 형성된 경우에는 보조용기부(200)를 5 ~ 8cm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용기부(200)는, 내측 가운데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다른 음식물을 나누어 담을 수 있도록 보조칸막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이중용기(10)는, 용기부(100)에는 콜라, 사이다 등의 음료를 담고 보조용기부(200)에는 닭강정, 튀김 등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으므로, 음료와 음식물을 각각 분리해서 담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컵을 잡고 편리하게 음료와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용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용기부(200)는, 보조용기부재(210), 걸림턱(220), 빨대삽입홀(230)을 포함한다.
보조용기부재(210)는,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며, 음식물을 담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다.
걸림턱(220)은, 보조용기부재(210)의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기부(1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걸린다.
빨대삽입홀(230)은, 보조용기부재(21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빨대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빨대삽입홀(23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빨대삽입홀(230)은, 빨대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삽입된 빨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중용기(10)는, 용기부(100), 보조용기부(200), 뚜껑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부(100), 보조용기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뚜껑부(30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부(100)의 상부를 덮어 씌워 용기부(100) 내부의 음료를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뚜껑부(300)는, 보조용기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조용기부(200)의 상부를 덮어씌워 보조용기부(200) 내부의 음식물을 보호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뚜껑부(300)는, 보조용기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로 튀어나온 경우에도 용기부(100)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보조용기부(2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뚜껑부(300)는, 빨대삽입홀(230)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빨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3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이중용기(10)는, 뚜껑부(300)를 용기부(100)의 상부와 결합하여 용기부(100)의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용기부(100) 내부의 음료 또는 보조용기부(200) 내부의 음식물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은 도 3에 있는 뚜껑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뚜껑부(300)는, 결합턱(310)을 포함한다.
결합턱(310)은, 뚜껑부(300)의 하부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0.2 ~ 1cm)을 두고 2개로 형성되며, 그 간격 사이에 용기부(100)의 상부 테두리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턱(310)은, 하부 내측에 2개의 돌출된 라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중용기(10)는, 용기부(100), 보조용기부(200), 뚜껑부(300), 결합돌기(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부(100), 보조용기부(200), 뚜껑부(30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결합돌기(101)는, 용기부(100)의 외측(용기부(1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의 아래쪽)에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1cm)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결합턱(31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결합턱(310)과 결합되는 결합돌기(101)에 따라 뚜껑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조용기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가장 아래쪽에 형성된 결합돌기(101)와 결합턱(310)을 결합시킬 수 있으며, 보조용기부(200)의 하부는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보조용기부(200)의 상부가 용기부(100)의 상부 외측으로 튀어나온 경우에는 위쪽에 형성된 결합돌기(101)와 결합턱(3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는 도 1에 있는 용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받침돌기(110)를 포함한다.
받침돌기(110)는,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보조용기부(200)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돌기(110)는, 다수 개의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하거나, 돌출된 라인형태로 형성하여 보조용기부(200)를 받쳐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돌기(110)는, 보조용기부(200)에 음식이 담기더라도 무게를 이길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고무링(120)을 더 포함하며, 보조용기부(200)는, 고정홈(240)을 더 포함한다.
고무링(120)은,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접착 형성되어, 보조용기부(20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무링(120)은,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평평한 면이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접착 형성되고, 둥근 부분이 고정홈(240)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무링(120)은,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무링삽입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무링(120)은, 탄성력이 있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무링(120)은, 빨대삽입홀(230)을 통해 삽입된 빨대와 접촉하여 빨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홈(240)은, 보조용기부(200)의 외측면에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예를 들어, 0.5cm)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며, 고무링(120)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240)은, 사용자가 보조용기부(2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홈(240)에 고무링(120)이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시키거나, 위쪽에 형성된 고정홈(240)에 고무링(120)이 삽입되도록 하여 보조용기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위쪽에 형성된 고정홈(240)에 고무링(120)이 삽입되도록 하여 보조용기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 것이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홈(240)에 고무링(120)이 삽입되도록 하여, 보조용기부(200)의 하부는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보조용기부(200)의 상부는 용기부(100)의 상부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도 8의 (a)처럼 용기부(100)와 보조용기부(200)가 결합된 것 보다 음료의 양을 많이 담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이중용기(10)는, 용기부(100)에 삽입 결합되는 보조용기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료수 또는 음식물을 담는 양을 서로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칸막이부재(130)를 더 포함하며, 보조용기부(200)는, 삽입홈(250)을 더 포함한다.
칸막이부재(130)는, 용기부(100)의 하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용기부(100) 내부 공간을 분리시켜 다른 종류의 음료를 각각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칸막이부재(13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보조용기부(200)가 삽입되는 부분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삽입홈(250)은, 보조용기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칸막이부재(130)의 상부를 삽입하도록 한다. 즉, 칸막이부재(130)가 보조용기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경우에도 보조용기부(200)를 용기부(1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용기부(200)는, 양측에 빨대삽입홀(230)을 형성하여, 칸막이부재(130)를 중심으로 용기부(100)의 양쪽에 담긴 다른 음료를 각각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이중용기
100 : 용기부
101 : 결합돌기
110 : 받침돌기
120 : 고무링
130 : 칸막이부재
200 : 보조용기부
210 : 보조용기부재
220 : 걸림턱
230 : 빨대삽입홀
240 : 고정홈
250 : 삽입홈
300 : 뚜껑부
301 : 삽입홀
310 : 결합턱

Claims (10)

  1. 내부에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부(100); 및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음식물을 담기 위한 보조용기부(200)를 포함하는 이중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부(200)는,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에 삽입되어, 음식물을 담기 위한 보조용기부재(210);
    상기 보조용기부재(200)의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 걸기 위한 걸림턱(220); 및
    상기 보조용기부재(21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빨대를 삽입하기 위한 빨대삽입홀(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덮어 주기 위한 뚜껑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300)는,
    상기 보조용기부(2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300)는,
    하부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 테두리를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턱(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부(200)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기 위한 다수개의 받침돌기(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는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접착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링(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부(200)는,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링(120)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는,
    하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칸막이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부(200)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부재(130)의 상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KR2020160004249U 2016-07-22 2016-07-22 이중용기 KR200486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49U KR200486146Y1 (ko) 2016-07-22 2016-07-22 이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49U KR200486146Y1 (ko) 2016-07-22 2016-07-22 이중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26U true KR20180000326U (ko) 2018-01-31
KR200486146Y1 KR200486146Y1 (ko) 2018-05-28

Family

ID=6128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49U KR200486146Y1 (ko) 2016-07-22 2016-07-22 이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7362A1 (en) * 2018-12-17 2020-06-25 Rpc Superfos A/S Packaging article with removable insert to divide the enclosed volume into a lower and an upper volu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70Y2 (ja) * 1989-03-06 1995-03-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食品入れ容器
KR200241995Y1 (ko) * 2001-03-02 2001-09-26 이창규 1회용 컵
KR200249899Y1 (ko) 2001-07-04 2001-11-16 강성모 식품겸용 음료용 컵
KR20040051387A (ko) * 2002-12-12 2004-06-18 신현확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040074817A (ko) 2003-02-19 2004-08-2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060134017A (ko) * 2004-01-16 2006-12-27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컵과 뚜껑을 구비한 스프레이 건용유체 공급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70Y2 (ja) * 1989-03-06 1995-03-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食品入れ容器
KR200241995Y1 (ko) * 2001-03-02 2001-09-26 이창규 1회용 컵
KR200249899Y1 (ko) 2001-07-04 2001-11-16 강성모 식품겸용 음료용 컵
KR20040051387A (ko) * 2002-12-12 2004-06-18 신현확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040074817A (ko) 2003-02-19 2004-08-2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060134017A (ko) * 2004-01-16 2006-12-27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컵과 뚜껑을 구비한 스프레이 건용유체 공급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7362A1 (en) * 2018-12-17 2020-06-25 Rpc Superfos A/S Packaging article with removable insert to divide the enclosed volume into a lower and an upper volu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146Y1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020A (en) Dinner tray
US8857653B2 (en) Plate with cup attachment
US9181009B1 (en) Cup with outwardly protruding straw channel and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US10542845B2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US20140144910A1 (en) Food and drink container
US20150374178A1 (en) Food container with a support for drinks
US20150114963A1 (en) Combination Beverage Cup and Lid or Base
EP2954805A1 (en) Drink carrier and food container
CN103476299A (zh) 用于要在运动中被食用的食品和/或饮料的容器及制作该容器的方法
WO2016038568A1 (en) A disposable lid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CN112313159A (zh) 食物容器和分配器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US9675190B1 (en) Combined plate and collapsible beverage holder
KR101349435B1 (ko) 다중 컵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US20150297010A1 (en) Weighted Cup Holder and Identification Medallion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US20140263352A1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CN208228747U (zh) 零食饮料容器
KR20160097580A (ko)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463573Y1 (ko) 음료수컵 조립용기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