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248A - 텀블러 - Google Patents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248A
KR20170142248A KR1020160075394A KR20160075394A KR20170142248A KR 20170142248 A KR20170142248 A KR 20170142248A KR 1020160075394 A KR1020160075394 A KR 1020160075394A KR 20160075394 A KR20160075394 A KR 20160075394A KR 20170142248 A KR20170142248 A KR 20170142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ottle
openings
receiving member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식
Original Assignee
장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식 filed Critical 장성식
Priority to KR102016007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2248A/ko
Publication of KR2017014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제1 개구를 갖는 보틀; 상기 보틀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 및 상기 보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틀은; 상기 제1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단에 복수의 지지 홈들을 갖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는 저장 공간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수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부; 상기 상기 제2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복수의 제3 개구들을 갖는 측면 플레이트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지지 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텀블러{A tumbler}
본 발명은 음료 백을 수용하는 백 수용 부재를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커피, 차 등의 마시는 수요자들이 급증하고 있어, 커피, 차 등에 관련된 음료 시장이 양적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자들의 대부분은 커피, 차 등을 판매하는 카페에서 커피, 차 등을 마시고 있다. 하지만, 카페에서 판매하는 커피, 차 등은 가격이 비싸고, 획일화된 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부 수요자들은 합리적 가격으로 다양한 종류의 차, 커피 등을 마시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찻잎, 다양한 종류의 원두 등이 각각 저장된 음료 백들 중 하나를 텀블러 내에 넣어 차, 커피 등을 우려내어 마시고 있다. 그러므로, 음료 백을 텀블러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텀블러에 대한 수요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료 백을 텀블러 내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상부에 제1 개구를 갖는 보틀; 상기 보틀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 및 상기 보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틀은; 상기 제1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단에 복수의 지지 홈들을 갖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는 저장 공간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수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부; 상기 상기 제2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복수의 제3 개구들을 갖는 측면 플레이트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지지 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홈들은 상기 보틀의 상부 중심과 하부 중심을 지나가는 중심 축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위치되고, 상기 일정 각도는 360도에 상기 지지 홈들의 개수를 나눈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돌기들 중 2개는 상기 제2 개구의 길이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외측면에 제1 나사산이 제공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제1 개구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제공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는; 사각 형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와 대향된 사각 형상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3 및 제4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와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4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개구들은 상기 제2 개구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백 수용 부재는 상기 제4 개구들 내에 배치되는 필터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상부에 제1 개구를 갖는 보틀; 상기 보틀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 및 상기 보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틀은; 상기 제1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단에 복수의 지지 홈들을 갖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된 삽입 돌기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는 저장 공간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수용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안착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플랜지부는 상기 삽입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돌기부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삽입 개구는 상기 안착 플랜지부의 하부에 링 형상의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돌기부와 삽입 개구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 돌기부들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료 백이 텀블러 내에 쉽게 고정될 수 있어, 음료 백으로부터 쉽게 차, 커피 등을 우려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백 수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2의 보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백 수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음료 백이 텀블러 내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B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백 수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백 수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10)는 차,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 텀블러(10)는 내부에 저장 공간(S1)을 갖는 보틀(100), 보틀(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200), 및 보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틀(100)은 상부에 제1 개구(110)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110)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틀(100)은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틀(100)은 제1 개구(110)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부(120)와, 제1 결합부(120)의 하측에 연결되는 몸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결합부(120)와 몸체부(13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120)와 몸체부(130)는 별도로 제작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상단에 복수의 지지 홈들(121)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결합부(120)는 지지 홈들(121)의 하측에 배치되는 고정 홈들(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홈들은 지지 홈들(1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외측면에 나선형의 제1 나사산(122)이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130)는 내부에 제1 개구(110)와 연결되는 저장 공간(S1)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30)는 제1 결합부(120)의 하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131), 플랜지부(131)의 경계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둘레부(132)와, 둘레부(132)의 하부와 연결되는 바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31)는 원형을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랜지부(131)는 뚜껑(300)이 보틀(100)에 결합될 때, 뚜껑(300)이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둘레부(132)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둘레부(132)는 바닥부(133)와 함께 보틀(100)의 저장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133)는 원형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바닥부(133)는 하면이 평탄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틀(100)은 바닥부(133)의 하면에 배치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는 하면에 미끄럼 방지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부재(미도시)는 고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백 수용 부재(200)는 차 재료, 원두 등을 포함하는 음료 백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S2)을 가질 수 있다. 백 수용 부재(200)는 제1 개구(110) 내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부(210)와,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수용부(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 수용 부재(200)는 지지 돌기들(240)과 고정 돌기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부(210)는 제1 개구(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개구(110)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부(210)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110) 내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부(210)는 그의 경계 영역과 제1 결합부(120)의 내측면 사이에 미세한 간극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수용 부재(200)는 제1 개구(110)를 통해 용이하게 보틀(1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부(210)는 지지부(211), 및 지지부(211)의 경계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1)는 그를 관통하는 제2 개구(211a)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211a)는 지지부(211)의 중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211a)는 일 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개구(211a)의 길이는 원형의 지지부(211)의 지름보다 조금 작을 수 있다.
지지부(211)는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4 개구들(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개구들(211b)은 제2 개구(211a)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4 개구들(211b)은 제2 개구(211a)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4 개구들(21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은 제2 개구(211a)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4 개구들(211b)의 길이는 제2 개구(211a)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측벽부(212)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돌기들(240)은 측벽부(212)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지지 돌기들(240)은 제1 결합부(120)의 지지 홈들(12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수용 부재(200)는 수용부(220, 230)가 보틀(100)의 저장 공간(S1)에 배치된 상태로 보틀(10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 돌기들(240)에 대한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고정 돌기들(미도시)은 지지 돌기들(240)의 하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고정 돌기들(미도시)은 고정 홈들(미도시)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돌기들이 고정 홈들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백 수용 부재(200)는 보틀(10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수용부(220, 230)는 내부에 제2 개구(211a)와 연결되는 수용 공간(S2)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220, 230)는 측면 플레이트부(220)와,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하부와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복수의 제3 개구들(22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상하가 개구된 사각 통 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사각 형상의 제1 측면 플레이트(221), 제1 측면 플레이트(221)와 대향된 사각 형상의 제2 측면 플레이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22)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3 및 제4 측면 플레이트들(223, 22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측면 플레이트들(223, 224)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개구들(225)은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들(222)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들(221, 222)에 제공된 제3 개구들(225)은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들(221, 222)을 관통하는 길쭉한 슬릿들일 수 있다.
또한, 제3 개구들(225)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플레이트부(210)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제3 개구들(225)은 상부 플레이트부(210)에 대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제3 개구들(225)의 길이 방향은 상부 플레이트부(210)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221)에 제공된 제3 개구들(225)과, 제2 측면 플레이트(222)에 제공된 제3 개구들(225)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 플레이트(221)에 제공된 제3 개구들(225)과, 제2 측면 플레이트(222)에 제공된 제3 개구들(225)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측면 플레이트들(223, 224)은 상하 방향으로 길쭉한 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 및 제4 측면 플레이트들(223, 224)은 그들을 관통하는 홀들을 가지지 않는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3 및 제4 측면 플레이들(223, 224)은 복수의 홀들(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제2 개구(211a)의 길이방향으로 길쭉한 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그를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지 않는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그를 관통하는 홀들(231, 도 14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뚜껑(300)은 보틀(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개구(110)를 개폐할 수 있다. 뚜껑(300)은 제1 개구(110)를 덮는 덮개부(310)와, 덮개부(310)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10)는 제1 개구(110)와 대응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덮개부(310)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덮개부(310)는 상면은 평탄 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는 제1 결합부(120)를 감싸면서 제1 결합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32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결합부(320)는 내측면에 제1 나사산(122)과 맞물리는 나선형의 제2 나사산(321)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320)는 제1 결합부(1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뚜껑(300)이 보틀(100)의 상부에 결합될 때, 제2 결합부(320)의 하단은 보틀(100)의 플랜지부(131)와 접촉할 수 있다.
도 7는 도 2의 보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백 수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홈들(121)은 보틀(100)의 상부 중심과 하부 중심을 지나가는 중심 축(C1, 이하, 제1 중심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1 결합부(120)의 상단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각도(θ1)는 360도에 지지 홈들(121)의 개수를 나눈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120)는 4개의 지지 홈들(121)이 가질 수 있고, 지지 홈들(121)은 제1 중심 축(C1)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제1 결합부(1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심 축(C1)은 몸체부(130)의 바닥부(133)의 상면과 수직할 수 있다. 지지 홈들(121)이 짝수 개일 때, 지지 홈들(121)은 제1 중심 축(C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지지 돌기들(240)은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돌기들(240)은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상부 중심 및 하부 중심을 지나가는 중심 축(C2, 이하, 제2 중심 축)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각도(θ2)는 360도에 지지 돌기들(240)의 개수를 나눈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백 수용 부재(200)는 4개의 지지 돌기들(240)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돌기들(240)은 제2 중심 축(C2)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들(240)이 짝수 개일 때, 지지 돌기들(240)은 제2 중심 축(C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들(240) 중 2개는 제2 개구(211a)의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중심 축과 제2 중심 축(C1, C2)은 백 수용 부재(200)가 보틀(100)의 상부에 안착될 때, 일치할 수 있다.
도 9b는 음료 백이 텀블러 내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료 백(bag, B)은 분쇄된 원두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 백(B)은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분쇄된 원두가 내부로 저장될 수 있다. 음료 백(B)은 내부에 분쇄된 원두가 저장될 경우, 일측을 재봉하여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들에서, 음료 백(B)은 차 재료, 과일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음료 백(B)은 외피(미도시)와 내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캔버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피는 융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음료 백(B)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원두의 성분을 우려낼 수 있다. 또한, 융 재질의 내피는 분쇄된 원두가 음료 백(B)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기능을 할 수 있다.
음료 백(B)은 백 수용 부재(200)의 제2 개구(211a)를 통해 수용부(220, 2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백(B)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보틀(100)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음료 백(B)이 보틀(100) 내로 배치됨으로써, 보틀(100) 내의 물은 수용부(220, 230) 내에 배치된 음료 백(B)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 백(B)으로부터 원두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백 수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11)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텀블러(10)와 유사하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고,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11)는 보틀(100), 보틀(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200), 및 보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틀(100)은 상부에 제1 개구(110)를 가질 수 있다. 보틀(100)은 제1 개구(110)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부(120)와, 제1 결합부(120)의 하측에 연결되는 몸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틀(100)은 제1 결합부(120)의 상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삽입 돌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 돌기부(123)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백 수용 부재(200)는 상부 플레이트부(210), 수용부(220, 230), 및 안착 플랜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부(210)는 제2 개구(211a)와 제4 개구들(211b)을 갖는 지지부(211)와, 지지부(211)의 경계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211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개구들(211b)은 제2 개구(211a)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개구(211a)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원형의 음료 백이 수용부(220, 2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백 수용 부재(200)는 제4 개구들(211b) 상에 배치되는 필터 망(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틀(100) 내의 음료를 마실 때, 음료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마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 플랜지부(250)는 측벽부(212)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플랜지부(25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착 플랜지부(250)는 삽입 돌기부(123)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삽입 개구(251)는 안착 플랜지부(250)의 하부에 링 형상의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돌기부(123)가 삽입 개구(251)에 삽입될 때, 백 수용 부재(200)는 보틀(10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12)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텀블러(10)와 유사하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고,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12)는 보틀(100), 보틀(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200), 및 보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틀(100)은 상부에 제1 개구(110)를 가질 수 있다. 보틀(100)은 제1 개구(110)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부(120)와, 제1 결합부(120)의 하측에 연결되는 몸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틀(100)은 제1 결합부(12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삽입 돌기부들(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 돌기부들(123)은 제1 결합부(120)의 상단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 돌기부들(123)은 보틀의 제1 중심축(C1, 도 7 참조)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정 각도는 360도에서 삽입 돌기부들(123)의 개수를 나눈 값일 수 있다.
백 수용 부재(200)는 상부 플레이트부(210), 수용부(220, 230), 및 안착 플랜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부(210)는 제2 개구(211a)와 제4 개구들(211b)을 갖는 지지부(211)와, 지지부(211)의 경계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플랜지부(250)는 측벽부(212)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플랜지부(25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착 플랜지부(250)는 삽입 돌기부들(123)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개구들(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삽입 개구들(251)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제2 중심 축(C2, 도 8 참조)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삽입 개구들(251)은 안착 플랜지부(25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함돌된 홈들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들에서, 삽입 개구들(251)은 안착 플랜지부(250)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11, 12: 텀블러 100: 보틀
110: 제1 개구 120: 제1 결합부
121: 지지 홈들 122: 제1 나사산
123: 삽입 돌기부 130: 몸체부
131: 플랜지부 132: 둘레부
133: 바닥부 200: 백 수용 부재
210: 상부 플레이트부 211: 지지부
211a: 제2 개구 211b: 제4 개구들
212: 측벽부 220: 측면 플레이트부
221~224: 제1 내지 제4 측면 플레이트들 225: 제3 개구들
230: 하부 플레이트부 240: 지지 돌기들
250: 안착 플랜지부 251: 삽입 개구
260: 필터 망 300: 뚜껑
310: 덮개부 320: 제2 결합부

Claims (13)

  1. 상부에 제1 개구를 갖는 보틀;
    상기 보틀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 및
    상기 보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틀은;
    상기 제1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단에 복수의 지지 홈들을 갖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는 저장 공간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수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부;
    상기 상기 제2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복수의 제3 개구들을 갖는 측면 플레이트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지지 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는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들은 상기 보틀의 상부 중심과 하부 중심을 지나가는 중심 축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위치되고,
    상기 일정 각도는 360도에 상기 지지 홈들의 개수를 나눈 값인 텀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돌기들 중 2개는 상기 제2 개구의 길이 방향 상에 위치하는 텀블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외측면에 제1 나사산이 제공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제1 개구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제공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텀블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는;
    사각 형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와 대향된 사각 형상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3 및 제4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들에 제공되는 텀블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텀블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와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4 개구들을 갖는 텀블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개구들은 상기 제2 개구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텀블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 수용 부재는 상기 제4 개구들 내에 배치되는 필터 망을 포함하는 텀블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텀블러.
  11. 상부에 제1 개구를 갖는 보틀;
    상기 보틀의 상부에 안착되는 백 수용 부재; 및
    상기 보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틀은;
    상기 제1 개구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단에 복수의 지지 홈들을 갖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된 삽입 돌기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는 저장 공간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수용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안착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플랜지부는 상기 삽입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를 포함하는 텀블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부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삽입 개구는 상기 안착 플랜지부의 하부에 링 형상의 홈으로 제공되는 텀블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부와 삽입 개구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 돌기부들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텀블러.
KR1020160075394A 2016-06-17 2016-06-17 텀블러 KR20170142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394A KR20170142248A (ko) 2016-06-17 2016-06-17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394A KR20170142248A (ko) 2016-06-17 2016-06-17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248A true KR20170142248A (ko) 2017-12-28

Family

ID=6093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394A KR20170142248A (ko) 2016-06-17 2016-06-17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248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34Y1 (ko) * 2006-05-26 2006-08-03 병 호 양 휴대용 차(茶) 용기
KR200442796Y1 (ko) * 2007-02-23 2008-12-11 (주)아모레퍼시픽 차용기
KR20090000673U (ko) * 2007-07-19 2009-01-22 (주)아모레퍼시픽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JP2011056254A (ja) * 2009-09-10 2011-03-24 Takeya Usa Inc インフューザー付きピッチャー
KR200475003Y1 (ko) * 2013-09-10 2014-11-03 우충일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KR20140127575A (ko) * 2013-04-25 2014-11-04 주식회사 한주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US20160075477A1 (en) * 2014-09-15 2016-03-17 Michael HALIOUA Chilling and Infusion Insert for Beve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34Y1 (ko) * 2006-05-26 2006-08-03 병 호 양 휴대용 차(茶) 용기
KR200442796Y1 (ko) * 2007-02-23 2008-12-11 (주)아모레퍼시픽 차용기
KR20090000673U (ko) * 2007-07-19 2009-01-22 (주)아모레퍼시픽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JP2011056254A (ja) * 2009-09-10 2011-03-24 Takeya Usa Inc インフューザー付きピッチャー
KR20140127575A (ko) * 2013-04-25 2014-11-04 주식회사 한주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KR200475003Y1 (ko) * 2013-09-10 2014-11-03 우충일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US20160075477A1 (en) * 2014-09-15 2016-03-17 Michael HALIOUA Chilling and Infusion Insert for Beve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2098A (en) Filtration apparatus for brewing and drinking coffee and like beverages and concurrently enabling a user to drink directly from the apparatus
US5887510A (en) Device for making coffee
US6511031B2 (en) Coffee mug removable docking station
US5240136A (en) Plate-and-glass assemblies
JP6684796B2 (ja) 飲料調製用のカプセルを製造するための収容体、及び、単一タイプの収容体を用いて異なる量の粉末食品を含むカプセルを製造する方法
JP5368563B2 (ja) 容器に挿入された挿入部を有する飲料メーカー
US20180009590A1 (en) Portable Feeding Bottle
US9169060B2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JP6804521B2 (ja) 調節可能な取っ手を具えるコップ
US8038087B2 (en) Spice grinders
US20210282585A1 (en) Cup lid structure
US20130240547A1 (en) Lip-operable spill-proof container
US9719061B2 (en) Assembly for selectively aerating a beverage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100757255B1 (ko) 차 우림구
US20130220142A1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KR20170142248A (ko) 텀블러
JP7311391B2 (ja) クーラーボックス
JP3185488U (ja) 携帯用飲料容器
US20220273130A1 (en) Reusable filter cartridge
KR101694762B1 (ko)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US20110068101A1 (en) Disposable leak-resistant lid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20140059530A (ko)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KR200364716Y1 (ko) 필터망을 갖춘 머그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