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796Y1 - 차용기 - Google Patents

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796Y1
KR200442796Y1 KR2020070003111U KR20070003111U KR200442796Y1 KR 200442796 Y1 KR200442796 Y1 KR 200442796Y1 KR 2020070003111 U KR2020070003111 U KR 2020070003111U KR 20070003111 U KR20070003111 U KR 20070003111U KR 200442796 Y1 KR200442796 Y1 KR 200442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ontainer
inner container
bag
tea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564U (ko
Inventor
민홍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70003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9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사용하는 차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차(茶)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변하여지지 않도록 하여 차가운 차(茶)는 냉기가 오래가도록 함과 동시에 따뜻한 차(茶)는 온기가 오랜시간 지속되도록 하고, 차(茶)가 담겨진 티백을 가지런하게 담궈 놓은 상태에서 차(茶)를 우려냄은 물론 우러난 차(茶)의 색깔에 의해 차용기가 변화되게 하여 차(茶) 음용과 함께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을 부어 녹차 등의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내용기(11)에서 우려낸 차(茶)의 온도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내용기(11)에 대하여 공간(40)을 갖고 외용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11) 상부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을 담아둘 수 있도록 된 거름망부재(30)가 분리 조립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지되, 상기 거름망부재(30)는 내용기(11)의 상연부에 형성된 고정부(11a)에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돌부(31a)를 구비한 테두리(31)를 포함하는 바닥판(32)에 물 유통이 가능한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100)을 넣어 놓을 수 있는 티백수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티백수납부(33)는 티백(100)에 담겨진 차(茶)로부터 차(茶)가 우러날 수 있도록 하는 물유통공(33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용기본체, 내용기, 외용기. 마감받침, 거름망부재, 뚜껑

Description

차용기{case of tea}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용기의 결합 단면도로써, 티백을 거름망부재에 넣어 차(茶)를 우려내는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내용기
12 : 외용기 20 : 마감받침
30 : 거름망부재 31 : 테두리
31a : 장착돌부 32 : 바닥판
32a : 구멍 33 : 티백수납부
40 : 공간 50 : 뚜껑
100 : 티백
본 고안은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사용하는 차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차(茶)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변하여지지 않도록 하여 차가운 차(茶)는 냉기가 오래가도록 함과 동시에 따뜻한 차(茶)는 온기가 오랜시간 지속되도록 하고, 차(茶)가 담겨진 티백을 가지런하게 담궈 놓은 상태에서 차(茶)를 우려냄은 물론 우러난 차(茶)의 색깔에 의해 차용기가 변화되게 하여 차(茶) 음용과 함께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차와 같이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에는 컵 또는 용기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사용하는 용기 또는 컵은 물이 수납되어지는 수납부만을 단순히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차(茶)가 담긴 티백을 넣어 차(茶)를 우려낼 때 티백이 용기 또는 컵 내부에 단순히 담겨있어 컵 또는 용기가 투명의 것일 때에는 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다.
또한 차(茶)를 우려내어 마시는 기존의 컵 또는 용기는, 단일두께로 형성되어진 것이어서 차(茶)를 우려내어 음용할 때 차(茶)에 온도변화가 급격하게 변하여지게 된다.
즉, 우려내어 마시는 차(茶)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변하여져 차가운 차(茶)는 냉기가 쉽게 사라지는 반면, 따뜻한 차(茶)는 온기가 오랜시간 지속되지 못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차(茶) 맛을 유지시키면서 음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열 또는 냉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용기본체를 내용기와 외용기로 형성하되, 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우려내어 음용하는 차(茶)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을 용기본체의 상부로 장착되어지는 거름망부재에 가지런하게 넣어 차(茶)를 우려냄에 따라 티백이 단순히 담겨져있어 미관을 해치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우러난 차(茶)의 색깔에 의해 차용기가 변화되게 하여 차(茶) 음용과 함께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녹차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을 부어 녹차 등의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내용기(11)에서 우려낸 차(茶)의 온도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내용기(11)에 대하여 공간(40)을 갖고 외용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11) 상부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을 담아둘 수 있도록 된 거름망부재(30)가 분리 조립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지되, 상기 거름망부재(30)는 내용기(11)의 상연부에 형성된 고정부(11a)에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돌부(31a)를 구비한 테두리(31)를 포함하는 바닥판(32)에 물 유통이 가능한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100)을 넣어 놓을 수 있는 티백수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티백수납부(33)는 티백(100)에 담겨진 차(茶)로부터 차(茶)가 우러날 수 있도록 하는 물유통공(33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용기는, 물을 부어 차(茶)를 우려 내는 내용기(11)의 단턱진 상부에 거름망부재(30)의 장착돌부(31a) 가 끼워지는 고정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용기(11) 외측으로 사출 형성되어지는 외용기(12)는 내용기(11)에 우려낸 차(茶)의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날 수 있도록 공간(40)을 갖고 사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용기(12)의 하단에는 마감받침(20)이 언더컷 장착되어지는 결합단턱(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용기(12)의 하단으로 장착되는 마감받침(20)은 개방된 상부가 외용기(12)의 결합단턱(12a)으로 삽입 장착되어 진다.
상기 마감받침(20)은 아래로 가면서 넓어지는 형상이어서 녹차용기를 안정적으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내용기(11)로 장착되는 거름망부재(30)는, 내용기(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의 테두리(31)를 가지고 있고, 물 유통이 가능하도록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32) 중앙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100)을 넣어 놓을 수 있는 티백수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티백수납부(33)는 티백(100)에 담겨진 차(茶)로부터 차(茶)가 우러날 수 있도록 물유통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름망부재(30)의 테두리(31)상에는 내용기(11)의 상연부에 형성된 고정부(11a)에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돌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에는 뚜껑(50)이 선택적으로 장착 되어진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차용기를 이용하여 차(茶)를 우려내어 음용하고자할 때에는 용기본체(10)를 구성하는 내용기(11)의 상부에 장착된 거름망부재(30)의 티백수납부(33)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100)을 도4에서와 같이 넣은 상태에서 물을 부어 차(茶)를 우려낸다.
상기와 같이 티백(100)을 거름망부재(30)의 티백수납부(33)에 넣어 차(茶)를 우려냄에 따라 티백(100)이 단순히 담겨있어 보기 흉해지는 현상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차(茶)로부터 우러난 차의 색깔로 인해 차용기가 변화되어 시각적인 효과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녹차용기는, 열 또는 냉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용기본체(10)를 내용기(11)와 외용기(12)로 형성하되, 사이에 공간(40)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우려 내어 음용하는 차(茶)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100)을 용기본체(10)의 상부로 장착되어지는 거름망부재(30)에 가지런하게 넣어 차(茶)를 우려 냄에 따라 티백(100)이 단순히 담겨져 있어 미관을 해치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우러난 차(茶)의 색깔에 의해 차용기가 변화되게 하여 차(茶) 음용과 함께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삭제
  2. 물을 부어 녹차 등의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내용기(11)에서 우려낸 차(茶)의 온도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내용기(11)에 대하여 공간(40)을 갖고 외용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11) 상부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을 담아둘 수 있도록 된 거름망부재(30)가 분리 조립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지되, 상기 거름망부재(30)는 내용기(11)의 상연부에 형성된 고정부(11a)에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돌부(31a)를 구비한 테두리(31)를 포함하는 바닥판(32)에 물 유통이 가능한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차(茶)가 담겨진 티백(100)을 넣어 놓을 수 있는 티백수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티백수납부(33)는 티백(100)에 담겨진 차(茶)로부터 차(茶)가 우러날 수 있도록 하는 물유통공(33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기.
KR2020070003111U 2007-02-23 2007-02-23 차용기 KR200442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111U KR200442796Y1 (ko) 2007-02-23 2007-02-23 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111U KR200442796Y1 (ko) 2007-02-23 2007-02-23 차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64U KR20080003564U (ko) 2008-08-27
KR200442796Y1 true KR200442796Y1 (ko) 2008-12-11

Family

ID=4149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111U KR200442796Y1 (ko) 2007-02-23 2007-02-23 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248A (ko) * 2016-06-17 2017-12-28 장성식 텀블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248A (ko) * 2016-06-17 2017-12-28 장성식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64U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939B2 (en) Dual mode tea flask
KR20130006572U (ko) 보온용기
KR200442796Y1 (ko) 차용기
JP3212760U (ja) ポット
KR20090005514U (ko) 휴대용 차 용기
CN201518862U (zh) 摇杯
KR101540622B1 (ko)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WO20071426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KR200478717Y1 (ko)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KR20070114940A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20090045485A (ko) 냉각수단을 갖는 테이블용 주류 배출기
JP4658559B2 (ja) 容器
KR200448621Y1 (ko) 인퓨저를 구비한 차 포장 용기
KR200358662Y1 (ko)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CN203399918U (zh) 一种水壶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CN211559096U (zh) 一种新型茶具套装
JPS5940903Y2 (ja) ろ過器付き魔法びん
CN209136088U (zh) 水罐
CN219020759U (zh) 一种功夫茶壶
CN210697214U (zh) 热水壶
CN209750660U (zh) 水杯
KR200258426Y1 (ko) 음료 용기
KR200373606Y1 (ko) 여과수단을 구비한 뚜껑
JP3112741U (ja) 多機能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