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095A - 선재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095A
KR20170142095A KR1020167035591A KR20167035591A KR20170142095A KR 20170142095 A KR20170142095 A KR 20170142095A KR 1020167035591 A KR1020167035591 A KR 1020167035591A KR 20167035591 A KR20167035591 A KR 20167035591A KR 20170142095 A KR20170142095 A KR 2017014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winding
flange
traver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곤도
도시히코 나카오
마사키 후카다
유야 이스루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케이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케이엑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케이엑스
Publication of KR2017014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03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with a traversely moving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84Microprocessor-controlled traversing devices in so far the control is not special to one of the traversing devices of groups B65H54/2803 - B65H54/325 or group B65H54/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사용하는 보빈의 치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선재의 이송속도의 변화나 보빈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각 층이 평탄하게 권취되는 선재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보빈(11)의 회전수단(12)과, 보빈(11)의 트래버서(14)와, 선재(17)의 권취 반경(r)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20)와, 거리 센서(20)에 의해 측정된 권취 반경(r)의 값을 기억하는 기억장치(22)와, 기억장치(22)에 기억된 권취 반경(r)의 값에 기초하여 보빈(11)의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수단(23)을 구비하고, 거리 센서(20)는 선재(17)의 진입위치와 플랜지(21)의 사이의 위치에 있다.

Description

선재 권취장치{WIRE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양단에 플랜지를 가지는 원통형 보빈(bobbin)에 선재를 권취하는 선재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양단에 플랜지를 가지는 원통형 보빈에 선재를 권취하는 선재 권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선재 권취장치에서는, 선재를 정렬시켜 1층씩 권취한다. 어느 1층의 권취가 완료되면 그 위에 다음 층의 선재를 다시 권취한다. 그것을 반복하여, 선재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권취한다.
선재를 권취할 때, 선재의 권취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선재를 가이드 풀리의 홈을 따라서 주행시킨다.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보빈의 회전축이 수평의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이후의 기재는, 보빈의 회전축이 수평인 것으로 하여 행한다. 보빈의 회전축이 수직인 경우는, 「수평」을 「수직」으로, 또 「좌우」를 「상하」로 바꿔 읽는다. 보빈의 회전축이 수평의 경우, 선재를 권취하면서, 보빈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보빈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가이드 풀리와 선재가 좌우로 이동하는 타입의 선재 권취장치도 있다. 보빈이 1회전 했을 때의 보빈의 이동 피치는, 선재가 중첩되지 않게 권취하기 위해, 통상, 선재의 직경보다 크게 한다.
예를 들면, 어느 1층을 권취할 때는, 보빈을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우단의 플랜지로부터 좌단의 플랜지까지 선재를 권취한다. 이 층의 권취가 끝나면 보빈의 이동 방향을 왼쪽방향으로 반전시키고, 좌단의 플랜지로부터 우단의 플랜지까지 다음 층을 권취한다. 선재는 먼저 권취된 층 상에 정렬 상태로 적층된다. 또한 이 층의 권취가 끝나면 보빈의 이동 방향을 다시 오른쪽 방향으로 반전시키고, 우단의 플랜지로부터 좌단의 플랜지까지 선재를 권취한다.
보빈 또는 선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장치를 「트래버서(traverser)」, 보빈 또는 선재의 왕복 이동거리를 「트래버스 폭」, 보빈 또는 선재의 이동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을 「트래버서의 반전」이라고 한다.
보빈은 통상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보빈은 종류가 많고, 치수가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각각의 보빈에 맞추어 트래버스 폭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고정한 채로, 선재를 보빈에 권취하면, 플랜지 부근에서 권취량이 과잉으로 되거나(「두껍게 감김」이라고 함), 반대로 과소하게 되거나(얇게 감김이라고 함) 하는 경우가 있다. 두껍게 감기거나 얇게 감기면, 선재의 각 층이 평탄하지 않게 된다. 적층된 선재의 각 층이 평탄하지 않은 것을 「선재의 감긴 상태가 붕괴되어 있다」라고 한다.
선재의 감긴 상태가 붕괴되어 있는 경우, 선재의 권취 반경에 편차가 생겨 선재를 정확하게 송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후공정에서 선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선재의 감긴 상태는 각 층이 평탄한 것이 요구된다.
종래는 각 층이 평탄하게 되도록 선재를 권취하기 위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감긴 상태를 감시하여 적당히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수정하거나, 센서 등에 의해 플랜지 위치를 검지하여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수정하거나 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934)에서는, 광 센서가 플랜지를 검지했을 때, 트래버서를 반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플랜지 위치의 편차나 보빈의 부착 오차에 영향을 받지 않고, 플랜지 근처까지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랜지의 검지로부터 트래버서 반전까지의 시차(time lag)를 무시할 수 없으며, 그 시차의 편차에 의해 플랜지 부근에서는 권취 반경이 커질(두껍게 감길) 우려가 있다. 또, 권취 중에 발생한 두껍게 감기거나 얇게 감기는 것에 대하여 수정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3326)에서는, 광 센서가 권취 보빈의 플랜지를 검지하여, 소정의 시간 후에 트래버서를 반전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보빈 몸통부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래버서의 정속 이동에서는, 권취 반경의 변동에 의해 선재의 권취 피치를 일정하게 권취할 수 없다. 또, 선재의 권취 피치를 일정하게 하려고 하면, 트래버서의 이동속도를 선재의 권취 반경이나 이송속도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트래버서의 이동속도의 변경과 동시에, 광 센서가 권취 보빈의 플랜지를 검지하고, 트래버서의 반전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지 않으면 선재를 평탄하게 권취할 수 없다.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15810)에서는, 보빈 중앙부의 권취 외경과 플랜지 근처의 권취 외경의 차이를 구하고, 그 차이에 따라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수정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보빈 치수나 보빈 외형에 관계없이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트래버서 풀리의 마모나 보빈의 회전속도의 변동에 의한 영향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고정 지립(abrasive grain) 방식의 쏘우 와이어(saw wire)에 있어서는, 트래버서 풀리의 홈 마모의 영향이 크고,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의 계산의 정밀도를 올리는 것이 어렵다. 또 센서가 플랜지를 검출했을 때의 1개소만으로 권취 외경을 계산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의 장소에서 권취 외경이 이상이 있어도 검출할 수 없다.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934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3326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158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는 보빈의 치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선재의 이송속도의 변화나 보빈의 회전속도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각 층이 평탄하게 권취되는 선재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는, 양단에 플랜지를 가지는 원통형 보빈에 선재를 권취하는 선재 권취장치이다.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는 다음의 것을 구비한다.
·보빈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선재의 보빈으로의 진입위치 또는 보빈을, 보빈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트래버서
·선재의 권취 반경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
·거리 센서에 의해 측정된 권취 반경의 값을 기억하는 기억장치
·기억장치에 기억된 권취 반경의 값에 기초하여, 선재의 진입위치 또는 보빈의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수단
거리 센서는, 선재의 보빈으로의 진입위치와 플랜지의 사이의 위치에 있다.
「선재의 보빈으로의 진입위치」란, 선재가 보빈에 권취될 때에, 선재가 보빈 혹은 이미 보빈에 감겨져 있는 선재와 접하는 위치이다.
(2)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플랜지가 선재의 진입위치에 가까워질 때, 플랜지가 선재의 진입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거리 센서에 의해 플랜지가 검지된다.
(3)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거리 센서가 플랜지를 검지한 시점의 권취 반경의 값에 기초하여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설정한다.
(4)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권취 순으로 기억장치에 기억된 3개소 이상의 권취 반경에 기초하여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가 설정된다.
(5)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보빈 혹은 선재의 트래버서의 반전마다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수정한다.
(6)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 선재는 지립이 표면에 고착된 선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하는 보빈의 치수가 달라도 자동적으로 선재의 각 층의 권취 상태를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권취 중에 가이드 풀리의 마모나 보빈의 회전속도의 변화 등에 의해 선재의 이송속도가 변화해도, 권취 반경의 측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감긴 상태의 붕괴가 생기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의 주요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폭 제어의 설명도(권취가 평탄한 때).
도 3은,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폭 제어의 설명도(두껍게 감겼을 때).
도 4는,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폭 제어의 설명도(얇게 감겼을 때)
본 발명은, 양단에 플랜지를 가지는 원통형 보빈에, 선재를 권취하는 선재 권취장치이며, 특히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의 제어에 특징이 있다. 선재로서 금속선, 와이어 로프(금속 연선), 전선, 광섬유, 금속 파이프, 수지선, 수지 파이프, 실, 망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재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재가, 와이어 쏘우로 사용되는, 표면에 지립이 고착된 직경 100㎛정도의 쏘우 와이어의 경우, 서로 이웃하는 선재의 지립이 걸리기 때문에 선재끼리의 미끄러짐이 없고, 트래버서의 반전을 정밀도 좋게 실시하지 않으면 선재를 평탄하게 권취할 수 없다. 또, 쏘우 와이어는 표면에 지립이 고착되어 있고, 가이드 풀리의 마모가 빨라, 가이드 풀리의 홈 형상의 변동이 크다. 그 때문에 가이드 풀리의 회전수로부터 선속이나 권취 거리를 구하고, 또한 그것을 기본으로 권취 반경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쏘우 와이어와 같은 권취가 어려운 선재에 특별히 적합하다.
도 1에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선재 권취장치(10)는, 보빈(11)을 그 회전축(13) 주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2)과, 보빈(11)을 그 회전축(13)과 평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래버서(14)를 구비하고 있다. 보빈(11)은 선재 권취장치(1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보빈(11)의 치수는, 예를 들면, 선재(17)의 권취부가 직경 100㎜, 플랜지(21)가 직경 150㎜, 권취부의 길이가 200㎜이다. 그러나 보빈(11)의 치수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중의 파선은 신호선을 나타낸다. 선재(17)는 도시하지 않은 선재 송출장치로부터 일정한 장력으로 내보내진다.
보빈(11)의 회전수단(12)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동 모터를 들 수 있다. 보빈(11)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에는,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24)가 부속되어 있어, 전동 모터의 회전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11)의 트래버서(14)로서는, 예를 들면, 보빈(11)과, 보빈(11)의 회전수단(12)을 보빈 지지대(30)로 지지하고, 보빈 지지대(30)를 보빈(11)의 회전축(13)에 평행하게 왕복시키는 왕복 이동수단(15)을 들 수 있다. 왕복 이동수단(15)은, 보빈(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빈 지지대(30)와, 보빈 지지대(30)를 지지하는 베이스체(31)에 고정되는 펄스모터(16)와, 펄스모터(16)에 연결되는 볼 나사(25)와, 볼 나사(25)에 나사 결합되어 보빈 지지대(30)에 고정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펄스모터(16)로 볼 나사(25)를 회전시켜 보빈 지지대(30)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보빈(11)이 왕복 이동된다. 펄스모터(16) 대신에 서버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펄스모터(16)와 볼 나사(25)의 조합 대신에, 리니어 펄스모터 혹은 리니어 서버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보빈(11)의 트래버서(14)가 이들의 왕복 이동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재(17)를 보빈(11)에 권취할 때, 선재(17)의 진입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선재(17)는 가이드 풀리(18)의 홈에 안내되어 주행한다. 도 1의 선재 권취장치(10)에서는 보빈(11)이 좌우로 평행 이동하지만, 보빈(11) 대신에 가이드 풀리(18) 및 선재(17)가 좌우로 평행 이동해도 좋다.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10)는 거리 센서(20)를 구비하고 있다. 거리 센서(20)는, 보빈(11)의 플랜지(21) 외주를 기준(제로점)으로 하여, 제로점으로부터 권취된 선재(17)의 표면 층(19)까지의 거리(l)를 측정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권취 반경(r)」은, 보빈(11)의 플랜지(21)의 외주 지름(L)으로부터, 권취된 선재(17)의 표면 층(19)까지의 거리(l)를 뺀 값에 의해 구해진다.
거리 센서(20)는, 선재(17)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1개씩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향하여 좌측의 거리 센서(20)(L)는, 좌측의 플랜지(21)가 선재(17)의 진입위치에 가까워졌을 때에 트래버서의 반전의 제어에 이용된다. 우측의 거리 센서(20)(R)는, 우측의 플랜지(21)가 선재(17)의 진입위치에 가까워졌을 때에 트래버서의 반전의 제어에 이용된다. 선재(17)의 진입위치와 좌측의 거리 센서(20)(L)의 거리(LO)를 좌측 오프셋량, 선재(17)의 진입위치와 우측의 거리 센서(20)(R)의 거리(RO)를 우측 오프셋량이라고 한다. 좌측 오프셋량 및 우측 오프셋량은, 트래버서의 이동속도나 거리 센서(20(R), 20(L))의 반응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거리 센서(20)(L) 혹은 거리 센서(20)(R)가 플랜지(21)를 검지하고 나서, 트래버서의 반전이 개시될 때까지, 트래버서의 관성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좌측 오프셋량 및 우측 오프셋량이 너무 작으면, 트래버서의 반전이 맞지 않을 우려가 있다.
거리 센서(20)는, 선재(17)의 권취 반경(r)을 보빈(11)의 회전축(13) 방향의 복수의 개소에서 차례차례 측정한다. 권취 반경(r)의 측정 간격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보빈(11)의 1회전마다(보빈(11)의 트래버서가 1피치 진행될 때마다) 권취 반경(r)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센서(2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식 변위 센서 혹은 초음파식 근접 센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거리 센서(20)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리 센서(20)는 선재(17)의 진입위치와 플랜지(21)의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플랜지(21)가 선재(17)의 진입위치에 이르기 전에 거리 센서(20)가 플랜지(21)를 검지하는 것이, 트래버서의 제어에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거리 센서(20)가 측정한 권취 반경(r)의 값이, 플랜지(21) 반경의 값으로부터 소정의 값을 뺀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거리 센서(20)가 플랜지(21)를 검지했다고 판정한다.
거리 센서(20)는, 예를 들면 보빈(11)의 트래버서가 1피치 진행될 때마다 권취 반경(r)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 반경(r)의 값을 차례 차례로 얻어진다. 권취 반경(r)의 값은 기억장치(22)에 기억된다. 트래버서의 제어방법은, 최저 3개소의 권취 반경(r)의 값이 있으면 가능하다. 또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16개소의 권취 반경(r)의 값을 이용한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권취 순서로 최신 16개소의 권취 반경(r)의 값을 기억장치(22)에 기억하게 한다. 거리 센서(20)가 플랜지(21)를 검지했을 때, 기억되어 있던 최신의 권취 반경(r)의 값(플랜지(21)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외한 15개소의 권취 반경(r1∼r15))을 후술하는 트래버서의 제어에 이용한다.
또, 플랜지(21)의 검지에 대해서는, 플랜지(21)의 반경보다 작은 소정의 값을 임계치로 하고, 거리 센서(20)가 측정한 값이 그 임계치를 초과한 개소를 플랜지(21)로 인식하도록 한다.
선재 권취장치(10)에 있어서는, 기억장치(22)에 기억된 선재(17)의 권취 반경의 값(r1∼r15)에 기초하여, 제어수단(23)에 의해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변경한다. 다음으로 제어수단(23)으로부터 지시된 반전 위치에서 트래버서를 반전시킨다.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내는, 좌측의 거리 센서(20)(L) 및 우측의 거리 센서(20)(R)를 구비한 선재 권취장치(10)의 트래버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보빈(11)은 선재(17)를 권취하면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 2에서 트래버서의 제어에 이용되는 것은 좌측의 거리 센서(20)(L)이다. 우측의 거리 센서(20)(R)는, 보빈(11)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는 트래버서의 제어에 이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빈(11)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는, 우측의 거리 센서(20)(R)가 트래버서 제어에 이용된다(후술의 도 3, 도 4도 마찬가지).
도 2는 보빈(11)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해 오고, 좌측의 거리 센서(20)(L)가 좌측의 플랜지(21)를 검지한 순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이 순간에 가장 가까운 과거에 거리 센서(20)(L)에 의해 측정되어 기억되어 있는 15개소의 권취 반경(r)의 값(이것을 최신 15개소의 권취 반경의 값(r1∼r15)으로 함)이 트래버서의 제어에 이용된다.
플랜지(21)를 검지했을 때의 권취 반경의 값(r0)은, 플랜지(21)의 반경의 값이며, 권취 반경의 값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한다. 플랜지(21)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예를 들면, 5개소의 권취 반경의 값(r1∼r5)의 평균치를 「플랜지측의 권취 반경(r)의 값의 평균치」라고 한다. 또, 플랜지(21)로부터 먼 측에 있는, 예를 들면, 10개소의 권취 반경의 값(r6∼r15)의 평균치를 「중앙측의 권취 반경(r)의 평균치」라고 한다.
플랜지측의 권취 반경의 값(r1∼r5)의 평균치를 a로 하고, 중앙측의 권취 반경의 값(r6∼r15)의 평균치를 b로 한다. (a-b)의 값이 설정된 두껍게 감긴 것의 임계치 이상이면, 이것은 두껍게 감긴 것이라고 판정하고, 트래버스 폭을 좁게 한다(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플랜지(21)로부터 멀리한다). (a-b)의 값이 설정된 두껍게 감긴 것의 임계치와 얇게 감긴 것의 임계치의 사이에 있으면 트래버스 폭을 변경하지 않는다(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또, (a-b)의 값이 설정된 얇게 감긴 것의 임계치 이하이면, 이것은 얇게 감긴 것이라고 판정하고, 트래버스 폭을 넓게 한다(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플랜지(21)에 가까이한다).
보빈(11)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트래버서의 반전의 위치는, 좌측의 거리 센서(20)(L)가 좌측의 플랜지(21)를 검지하고 나서, 보빈(11)이 한층 더 좌측 오프셋량(LO)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된다. 이것은 선재(17)의 진입위치가 좌측의 플랜지(21)에 접하는 위치에서 트래버서가 반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빈(11)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는, 우측의 거리 센서(20)(R)가 우측의 플랜지(21)를 검지하고 나서, 보빈(11)이 한층 더 우측 오프셋량(RO)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된다. 이것은 선재(17)의 진입위치가 우측의 플랜지(21)에 접하는 위치에서 트래버서가 반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서는, 플랜지(21)의 근처에서 선재(17)의 감긴 상태가 붕괴되지 않고(두껍게 감긴 것도 얇게 감긴 것도 없는 상태), 권취 반경(r)이 일정하기 때문에, (a-b)의 값이 설정된 임계치의 범위 내가 된다. 그 때문에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도 3에서는, 좌측의 플랜지(21) 근처에서 선재(17)의 감긴 상태가 붕괴되어 있고, 선재(17)의 권취 반경(r)의 값이 플랜지(21)의 근처에서 커지고 있다(두껍게 감김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플랜지(21) 가까이의 두껍게 감기는 것의 개소에, 선재(17)를 권취하여 더 적층하면, 언제까지나 두껍게 감기는 것이 해소되지 않는다. 그래서 두껍게 감기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트래버서를 제어한다.
도 3은, 보빈(11)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해 와서, 좌측의 거리 센서(20)(L)가 좌측의 플랜지(21)를 검지한 순간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21)에 가까운 측에 있는, 예를 들면, 5개소의 권취 반경(r1∼r5)의 평균치(플랜지측의 권취 반경(r1∼r5)의 평균치)를 a로 한다. 또, 플랜지(21)로부터 먼 측에 있는, 예를 들면, 10개소의 권취 반경(r6∼r15)의 평균치(중앙측의 권취 반경(r)의 평균치)를 b로 한다.
도 3의 경우, 권취 반경(r)이 플랜지(21)의 근처에서 커지고 있기(두껍게 감김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a-b)의 값이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트래버스 폭이 좁아지도록,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가 변경된다.
두껍게 감김이 발생하고 있을 때 트래버스를 반전하는 위치(X)는, 경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 반전 위치(X)는 고정이 된다. 혹은 (a-b)의 값에 의하여 반전 위치(X)를 변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 반전 위치(X)는 가변이 된다. 반전 위치(X)를 가변으로 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a-b)의 값이 클 때는, 두껍게 감기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트래버스 폭을 좁게 하는 정도를 크게 한다. 반대로 (a-b)의 값이 작을 때는, 두껍게 감기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트래버스 폭을 좁게 하는 정도를 작게 한다. 선재(17)의 권취 상태를 보다 이상적으로 평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전 위치(X)를 가변으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트래버서를 제어함으로써, 좌측 플랜지(21) 가까이의 선재(17)가 두껍게 감기는 상태를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권취 상태의 수정을 신속하게, 또, 정밀도 좋게 하기 위해, 보빈(11)의 1트래버스마다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X)가 수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좌측 플랜지(21)의 근처에서 선재(17)의 감긴 상태가 붕괴되어 있고, 선재(17)의 권취 반경(r)이 플랜지(21)의 근처에서 작게 되어 있다(얇게 감김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얇게 감기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트래버서를 제어한다.
도 4의 경우, 권취 반경(r)이 플랜지(21) 근처에서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a-b)의 값이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된다. 그 때문에 트래버스 폭이 넓어지도록,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가 변경된다.
얇게 감김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 트래버서를 반전시키는 위치는, 경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 반전 위치는 고정이 된다. 혹은 (a-b)의 값에 의하여 반전 위치를 변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 반전 위치는 가변이 된다. 반전 위치를 가변으로 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a-b)의 값이 클 때는, 얇게 감기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트래버스 폭을 넓게 하는 정도를 크게 한다. 반대로 (a-b)의 값이 작을 때는, 얇게 감기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트래버스 폭을 넓게 하는 정도를 작게 한다. 선재(17)의 권취 상태를 보다 이상적으로 평탄하게 하려면, 반전 위치를 가변으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에서는, 상술한 트래버서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감김 상태의 붕괴가 없는 평탄한 권취가 자동적으로 실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선재 권취장치는, 모든 선재, 예를 들면, 금속선, 와이어 로프(금속 연선), 전선, 광섬유, 금속 파이프, 수지선, 수지 파이프, 실, 망 등의 권취에 널리 이용된다.
10: 선재 권취장치
11: 보빈
12: 보빈의 회전수단
13: 보빈의 회전축
14: 트래버서
15: 왕복 이동수단
16: 펄스모터
17: 선재
18: 가이드 풀리
19: 표면의 층
20: 거리 센서
21: 플랜지
22 : 기억장치
23: 펄스모터의 제어수단
24: 인코더
25: 볼 나사

Claims (6)

  1. 양단에 플랜지를 가지는 원통형 보빈에 선재를 권취하는 선재 권취장치로서,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선재의 상기 보빈으로의 진입위치 또는 상기 보빈을, 상기 보빈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트래버서와,
    상기 선재의 권취 반경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권취 반경의 값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상기 권취 반경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보빈의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 센서는, 상기 선재의 상기 보빈으로의 진입위치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의 위치에 있는 선재 권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선재의 진입위치에 가까워질 때, 상기 플랜지가 상기 선재의 진입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해 상기 플랜지가 검지되는 선재 권취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가 상기 플랜지를 검지한 시점의 상기 권취 반경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가 설정되는 선재 권취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권취 순서로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3개소 이상의 상기 권취 반경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가 설정되는 선재 권취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서의 반전마다, 상기 트래버서의 반전 위치가 수정되는 선재 권취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지립이 표면에 고착된 선재인 선재 권취장치.
KR1020167035591A 2015-04-30 2016-04-19 선재 권취장치 KR20170142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2982A JP6005797B1 (ja) 2015-04-30 2015-04-30 線材巻き取り装置
JPJP-P-2015-092982 2015-04-30
PCT/JP2016/062318 WO2016175083A1 (ja) 2015-04-30 2016-04-19 線材巻き取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95A true KR20170142095A (ko) 2017-12-27

Family

ID=5712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591A KR20170142095A (ko) 2015-04-30 2016-04-19 선재 권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005797B1 (ko)
KR (1) KR20170142095A (ko)
CN (1) CN106687401A (ko)
SG (1) SG11201705955QA (ko)
TW (1) TW201702169A (ko)
WO (1) WO2016175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701A (en) * 2017-10-23 2019-04-24 Hexcel Composites Ltd Unwinding of materials
CN110371776A (zh) * 2019-08-16 2019-10-25 赛奥机械(广州)有限公司 一种精密交错卷绕机
CN111891841A (zh) * 2020-08-21 2020-11-06 赛奥机械(广州)有限公司 一种三自由度联动卷绕锭轴的卷绕机
CN112093578B (zh) * 2020-08-28 2023-04-25 惠民县钰冉化纤绳网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用连续绕线装置
CN112390077B (zh) * 2020-11-11 2022-11-29 上杭鑫昌龙实业有限公司 一种变频电子恒张力缠绕机
CN112895185B (zh) * 2021-02-09 2023-03-21 西安奕斯伟材料科技有限公司 绕线装置及绕线方法
CN114057021B (zh) * 2021-10-31 2023-06-02 镇江原轼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金刚线收线排线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057017A (zh) * 2021-12-07 2022-02-18 江苏泰力松新材料有限公司 一种固定线盘收线装置
CN114436072B (zh) * 2022-03-04 2024-05-14 宁波港吉码头经营有限公司 一种卷盘控制模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8363A (ja) * 1988-02-12 1989-12-13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線条体巻取機における線条体のトラバース制御方法
JPH1170456A (ja) * 1997-08-29 1999-03-16 Tokyo Seimitsu Co Ltd 固定砥粒ワイヤソーのワイヤクリーニング装置
JP5100727B2 (ja) * 2009-09-14 2012-12-19 直江津電子工業株式会社 トラバー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10530A (ja) 2016-12-15
WO2016175083A1 (ja) 2016-11-03
WO2016175083A8 (ja) 2017-01-05
TW201702169A (zh) 2017-01-16
SG11201705955QA (en) 2017-08-30
JP6005797B1 (ja) 2016-10-12
CN106687401A (zh)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2095A (ko) 선재 권취장치
US20130320129A1 (en) Filament Winding Device
WO2013011854A1 (ja) ワイヤソー
US20170088389A1 (en) Winding device for strand-like material to be wound
KR102088154B1 (ko) 코일을 와인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9074B1 (ko) 다-직경 케이블용 케이블 가이드 장치
US4725010A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3863889B (zh) 线材的卷取装置及线材的卷取方法
EP2343261B1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JP6695330B2 (ja) スプール上にワイヤを正しく巻き取るための方法およびマシン
JP2017532268A5 (ko)
CN113526387B (zh) 一种异形储缆卷筒缆绳排缆装置及实现方法
CN216182975U (zh) 一种钢丝圈螺旋包布机检测装置
US4738406A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RE33240E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8436724B (zh) 线状锯及线状锯的运转方法
JP5250376B2 (ja) ワイヤ巻取り装置およびワイヤソー
JPH10157925A (ja) オートトラバース方法及びその装置
JP7447378B2 (ja) 線材の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JPS604108B2 (ja) 線材巻取り装置
JPH02209369A (ja) 線材巻取装置
JP2003050122A (ja) 線状体製造ラインのパスライン測長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異常検査方法
CN115667109A (zh) 用于检测横动缠绕缺陷的方法及系统
WO2004024606A2 (en) Automatic spool package edge quality assessment and correction algorithm for winding applications
JPS5822265A (ja) 線条体の整列巻取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