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919A -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919A
KR20170141919A KR1020160074932A KR20160074932A KR20170141919A KR 20170141919 A KR20170141919 A KR 20170141919A KR 1020160074932 A KR1020160074932 A KR 1020160074932A KR 20160074932 A KR20160074932 A KR 20160074932A KR 20170141919 A KR20170141919 A KR 20170141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mixture
chungkukjang
dried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희
Original Assignee
함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정희 filed Critical 함정희
Priority to KR102016007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919A/ko
Publication of KR2017014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23L11/20
    • A23L11/09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강을 선별하여 껍질을 박피한 후 세척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상기 탈수된 생강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1차 분쇄된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1차 건조하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생강에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과 찹쌀죽을 혼합하여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2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넣은 후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생강 청국장을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생강즙을 도포한 다음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ILL OF GRINDED MIXTURE OF GINGER}
본 발명은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강을 선별하여 껍질을 박피한 후 세척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상기 탈수된 생강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1차 분쇄된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1차 건조하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생강에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과 찹쌀죽을 혼합하여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2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넣은 후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생강 청국장을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생강즙을 도포한 다음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Ginger)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새앙, 새양이라고도 하며,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재배지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인도, 중국,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호주 등의 아열대 지역이며, 특유의 매운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어 기호성이 우수하여 전세계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채소로 재배하지만 향신료와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강의 약용작용으로는 몸을 따뜻하게 하여 여성 질환을 예방하고, 기력을 돋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면역력을 개선하고,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멀미를 예방하는 것에 효과가 있으며, 수분조절로 부기를 제거하고 가래 기침을 없애는 약효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생강에 포함되어 있는 진저롤 및 쇼가올이라는 성분은 각종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청국장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대두를 주원료로 하여 바실러스(Bacillus)속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거나, 이를 고춧가루, 마늘 등으로 조미한 것으로 페이스트, 환, 분말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청국장에는 각종 항암물질, 항산화물질, 면역증강물질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있으며, 레시틴과 사포닌이란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 이 성분들로 인하여 체내의 과다한 지방을 흡수해 몸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이 있으며,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익한 균이 많아 변비개선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생강과 청국장을 이용하여 섭취가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한 환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은 개시된 바가 없었으며, 점차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우수한 영양성분과 효능이 있는 생강과 청국장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34028호 (마늘 청국장환 및 그 제조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704호 (섭취가 용이한 생강분말 및 청국장 분말을 이용한 알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한과 해열, 해독 및 건위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기능으로 면역체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염증을 진정시키며, 체내의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하며, 여러 가지 병원성 균에 대해 강한 살균력이 있어 항균작용 효과가 있는 생강을 비롯한 각종 항암물질과 항산화물질 및 면역증강물질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청국장을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을 더욱 높인 생강 청국장 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강즙을 이용하여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로 보존성을 높이고, 특유의 향을 갖도록 하여 섭취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기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포 이후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보관하기에 더욱 유리한 상태가 되는 효과가 있는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강을 선별하여 껍질을 박피한 후 세척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상기 탈수된 생강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1차 분쇄된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1차 건조하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생강에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과 찹쌀죽을 혼합하여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2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넣은 후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생강 청국장을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생강즙을 도포한 다음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건조 단계에서는 생강 청국장 혼합물의 혼합 및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 제조단계에서는 1차 건조된 생강 0.9kg에 대하여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 20kg과 찹쌀죽 1.5kg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부어 반죽하기 전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찹쌀가루, 쌀가루, 밀가루, 녹말가루, 또는 보리가루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체내의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를 비롯하여 면역능력 증진효과, 섬유질을 분해하여 장내 환경을 좋게 하고 유익균으로 변비 해소 및 혈액순환을 도와 체내 세포의 활력 증강 효과를 포함한 기능성이 함유된 생강 청국장 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된 생강의 함수율을 1~3%가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과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며 분쇄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된 상태의 환은 소화흡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소화를 돕고 소화기 계통을 편안하게 해주는 작용에 효능이 있는 생강 및 생강즙을 이용하여 생강 청국장 환을 제조함으로써 소화기관에 부담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강 청국장 환을 제환한 다음 생강즙을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도포하기 때문에 청국장의 냄새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고 더욱 생강 특유의 향을 갖도록 하여 기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섭취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강에는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항균작용 효과가 있으며, 생강즙을 도포함으로써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균의 번식을 억제하므로 보존성을 향상시키며, 휴대와 보관하기에 더욱 유리한 상태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강즙 도포 이후 20℃ 이하의 저온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생강 청국장 환의 영양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유용성분 및 유익균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청국장 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
본 발명은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수단계와 1차 분쇄단계, 1차 건조단계, 혼합물 제조단계, 2차 분쇄단계, 반죽단계, 환 제조단계, 도포 및 2차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등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강(Ginger)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새앙 또는 새양이라고도 하며,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재배지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인도, 중국, 나이지리아, 호주 등의 아열대 지역이며, 특유의 매운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어 기호성이 우수하여 전세계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채소로 재배하지만 향신료와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강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뿌리줄기의 각 마디에서 잎집으로 만들어진 가짜 줄기가 곧게 서고 높이가 30~5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배열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끝이 좁고 밑 부분이 긴 잎집이 된다. 한국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꽃 이삭이 달리며 꽃이 핀다.
생강의 뿌리줄기는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소스, 피클 등에 향신료로 사용하고, 껍질을 벗기고 끓인 후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건강(乾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을 비롯한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다.
예부터 생강은 한방에서도 비린내 등 좋지 못한 냄새나 맛을 고쳐주는 방향성 물질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외에도 구역질 치료용으로도 쓰였으며, 건강(健薑)은 신진대사 기능이 떨어졌을 때 쓰이거나 기침, 현기증, 손발이 찬 경우 요통, 설사, 구토 등의 치료제로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생강은 인체에 필요한 다양한 약리 성분뿐만 아니라 향을 간직하고 있다.
생강의 풍미 성분은 정유성분(essential oil)과 매운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올레오레진(oleoresin)성분으로 분류된다. 정유 성분은 감기, 두통, 관절염 및 정신적 치료에 효과적이며 올레오레진(oleoresin)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gingerol), 진저론(ginerone), 쇼가올(shogaol) 등은 항산화효과가 높다.
또한, 이들 분획(fraction)이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면역능력을 증진시키며 만병의 원인이 되는 혈액의 오염을 정화시키는 효능이 뛰어나다. 생강의 핵심적인 효능은 백혈구의 수를 늘려 혈액의 활동을 촉진하고 면역력을 높이며, 위장 내벽의 혈액 순환을 도와 위장 활동을 촉진시켜 소화 흡수력을 높인다. 생강의 진저롤 성분은 담즙을 촉진시켜 피 속의 콜레스테롤을 없애며, 체온 상승 작용뿐만 아니라 노화를 예방하고 발한, 배뇨, 배변 작용을 촉진시켜 체내의 음식물(식독)이나 혈액(어혈, 오염된 피), 체액(수독)을 정화시키고, 에너지가 과도하게 축적된 경우에는 혈액순환을 도와 체내 세포의 활력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이 생강은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의 저하효과, 종양억제, 소염작용 등이 있다.
표 1은 생강 100g당 함유 영양 성분표.
영양성분 함량
니아신 1.00mg
나트륨 5.00mg
단백질 1.50g
당질 12.30g
비타민 B1 0.03mg
비타민 B2 0.04mg
비타민 B6 0.16mg
비타민 C 5.00mg
비타민 E 0.50mg
식이섬유 2.90g
아연 0.40mg
엽산 7.00㎍
28.00mg
지질 0.20g
철분 0.80mg
칼륨 344.00mg
칼슘 13.00mg
회분 1.10g
한편, 한방에서 알려진 생강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생강의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생강을 건조시킨 것을 한방에서는 ‘건강’이라 부르며, 주 효능으로서는 구토를 멈추게 하며, 폐, 위, 비경에 작용한다. 또한 심경, 간경, 담경에도 작용한다. 표사를 발산시키고 찬기운을 풀어주며 가래를 소통시키는 효능이 있다. 감기, 풍한, 구토, 담음, 천식, 해수, 창만, 설사를 치료한다.
동의보감에서는 생강이 담을 없애고 기를 내리며 구토를 그치게 하고 풍한과 종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천식을 다스린다고 하였다. 생강의 방향신미성분은 혈액순환과 체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오래전부터 한방에서는 생강을 발한 해열약, 혈행장해, 감기풍한 등에 이용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생강은 위(胃)를 비롯한 소화기관에 가벼운 자극을 줘서 식욕을 돋우고 소화흡수를 도우며, 기력을 돕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냉한 것과 풍을 제거시키고 해독, 소염작용을 하며 치통의 약취를 제거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습양(濕痒)을 가라앉히며, 반하, 후박, 천남성, 물고기, 새고기, 짐승의 고기를 먹고 체한 것을 해독하며, 가벼운 항균작용도 있어 음식의 부패를 막고 소화기 염증의 발생을 줄여주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으로 알려진 생강의 효능 및 활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생강은 몸을 훈훈하게 하여 냉강증, 불감증, 생리불순 등을 고쳐준다. 따라서, 산후의 혈체와 하복통에는 생강을 차를 달여 소주에 타서 마시면 효과가 크고, 월경시의 복통이나 사지가 찬 여성은 매일 식전에 생강차 한 잔을 마시면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은 소화기뿐 아니라 호흡기에도 효과가 있는데, 생강을 복용하면 심장을 빨리 강하게 뛰게 하고 호흡을 증가시키게 되며 결국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체온을 올려 땀을 나게 하며 이를 통해 초기 감기를 낫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며, 기관지 점막을 자극해 가래를 쉽게 배출하게 하는 등 호흡기 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특히 수족냉증을 앓는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며, 평소 몸이 차거나, 겨울에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빈혈이나 갱년기 증상으로 어지러움과 현기증을 느낄 때도 생강차를 복용하면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다.
천식환자들은 천식약을 복용할 때 생강을 함께 섭취하면 도움이 되며, 원형탈모증에도 생강즙을 짜서 바르거나 생강을 썰어서 두피에 하루에 2∼3회 문지르면 효과가 나타나며, 개에 물렸을 때 생강즙을 마시면 독이 풀리며, 체했을 때 생강즙을 먹으면 생강의 매운맛이 위점막을 자극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되며, 생강즙을 타서 복용하거나 달여서 복용하면 반하, 남성, 어해 등의 독을 해독하는 효과가 있으며, 관절염과 류머티즘의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대 의학적으로 밝혀진 생강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생강에는 디아스타제와 단백질 분해효소가 들어 있어 생선회 등의 소화를 돕고 생강의 향미성분은 소화기관에서의 소화흡수를 돕는 효능이 있으며,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에 대해 살균, 항균 작용을 하여 천연 보존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생강은 본래 2%가량의 정유(精油)를 함유하고 있는데 독특한 향기가 있으며, 그 주성분은 진지베롤(zingiberol), 진지베린(zingiberene) 등이며, 특유의 매운 맛은 진제론(zingerone)에서 나온다. 이러한 정유 성분은 소화기 계통에 작용을 하는데, 많은 실험에서 생강즙은 소화기를 편안하게 하며 특히 구토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됐다. 생강의 맵싸한 성분은 진저롤과 쇼가올이 주성분이며, 향기 성분은 여러 가지 정유 성분인데 이 정유들이 매운 성분과 어울려 장티푸스균이나 콜레라균 등의 병원성 균에 대한 강한 살균작용이 있다.
생강은 속이 거북하거나 메스꺼움, 딸꾹질 등을 멈추는 작용이 있다. 최근 밝혀진 바에 의하면 멀미를 진정시키는데 흔히 사용하는 멀미약 드라마민(Dramamine)보다 생강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됐다. 특히 생강은 뇌에 작용하지 않고 장에 작용하기 때문에 드라마민처럼 졸음을 가져오는 법이 없다. 동양에서는 수세기 전부터 생강이 멀미에 효과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고 하는데, 일예로 홍콩에서는 배를 타는 사람들이 절인 생강을 먹고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생강은 흩어지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각종 처방에 생강을 조금 넣어 약물의 빠른 전달효과와 해독효과에 좋으며,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두통을 멎게 하고 관절염을 개선시키며, 위장 운동을 개선시키고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키며 특히 단백질 분해 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소화가 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생강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상승효과를 강력하게 억제하고 뇌경색과 심근경색, 고혈압을 예방 및 개선한다. 생강은 항산화 기능이 있어 체내의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무좀의 원인인 진균에 대한 항균 능력이 뛰어나며, 혈액의 점도를 낮추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DNA 변형에 의한 암 유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해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효과가 있다. 날 생강과 가공한 생강은 모두 통증을 진정시키고 구토를 예방하며 위산과다를 바로잡고 혈압을 낮추며 심장을 자극한다.
생강은 '부신수질'이라는 호르몬을 자극해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촉진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도와 몸을 따뜻하게 하므로 수족 냉증 및 냉증에 좋으며, 체온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므로 해열에도 효과가 있으며 신진 대사를 촉진하여 감기 및 기관지에 좋다.
생강은 감기에 걸렸을 때 열을 발생하는 '프로스타글란디'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데 아스피린의 80%에 해당하는 해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소염진통제와도 같은 역할도 하여 예를 들면 여성의 생리통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 등을 하며, 화학약제와 달리 위벽을 보호 하는 효과가 있다.
생강에는 항 궤양 성분도 있는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비롯해 대장균과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식중독균을 모두 없애 식중독이나 속병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능이 있는 생강을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을 높인 생강 청국장 환을 제조하고자 한다.
(1) 탈수단계
생강은 3~5cm의 크기로 육질이 단단하고 굴곡이 적으며, 노란색을 띠며, 껍질에 주름이 없고 얇으며, 절단했을 때 섬유질이 적고, 고유의 매운맛과 향기가 강한 것을 선별한다. 이때, 상기 선별한 생강의 표면에 있는 흙과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흐르는 물로 2~3회 세척을 시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선별된 생강의 껍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후, 흐르는 물 15~20℃로 4~5회 세척한 다음 물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한다.
(2) 1차 분쇄단계
상기 탈수된 생강을 1차 분쇄할 때에는 생강의 진액이 분쇄기에 들러붙거나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분쇄기 또는 회전분쇄기보다는 압착 분쇄기 또는 카트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 분쇄기 또는 카트 분쇄기는 생강의 손실분을 최소화하며, 생강 진액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생강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들이 빠져나가거나 낭비되지 않는 효과가 있게 된다.
(3) 1차 건조단계
1차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1차 분쇄된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될 수 있도록 건조기에 투입하여 3~4일간 60~70℃로 건조한다.
1차 건조단계를 시행하는 이유로, 생강은 수분 함량이 80~90%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강에 포함된 수분함량이 너무 높아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함으로써 벌레 및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기 1차 건조 단계 이후, 제조될 생강 청국장 혼합물이 골고루 섞이면서 혼합되도록 하며,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다.
(4) 혼합물 제조단계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1차 건조된 생강에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 및 찹쌀죽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청국장을 준비하고 50~60℃로 48시간 건조시킨다. 그 다음으로 대두 입자들을 고루 다지기 위함과 동시에 2차 분쇄 단계에서의 시간을 단축하고 환 형태로의 손쉬운 제조를 위하여 건조된 청국장을 분쇄기로 분쇄하게 됨으로써, 생강 청국장 혼합물에 투입할 건조된 분쇄 청국장을 얻게 된다. 청국장은 특유의 점질성 조직감을 가지는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으로서, 전통 콩 발효 식품류 중 가장 짧은 기일에 완성할 수 있으면서도 그 풍미가 독특하고 각종 항암물질, 항산화물질, 면역증강물질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영양적, 경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콩의 섭취방법으로 알려진 식품이다.
상기 찹쌀죽은 차진 기운이 높은 쌀로 만든 죽으로써, 찹쌀의 주성분인 전분이 주로 아밀로펙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멥쌀보다도 소화가 용이하여,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이 먹으면 소화가 잘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찹쌀죽의 제조방법으로는 깨끗한 물에 찹쌀을 세척하여 1~2시간 담가 충분히 불린 후, 건져내 물기를 제거한 다음 믹서기로 분쇄한다.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려서 분쇄한 찹쌀 20~40중량부를 넣고 찹쌀이 서서히 끓어오를 때 까지 저어주면서 가열한다. 상기 찹쌀죽은 약간의 점성이 있기 때문에 분쇄된 생강과 청국장 분말이 잘 섞일 수 있도록 일종의 윤활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혼합효율이 향상되어 생강 청국장 혼합물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1차 건조된 생강과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 및 찹쌀죽을 혼합하는데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차 건조된 생강 0.9kg에 대하여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 20kg과 찹쌀죽 1.5kg을 혼합함으로써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5) 2차 분쇄단계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가지고 더욱 고운 입자를 얻기 위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자 크기 50~100mesh로 2차 분쇄하여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이 제조되도록 한다.
(6) 반죽단계
상기 2차 분쇄하여 제조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은 단순히 물을 넣어도 반죽이 가능하며,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강화제를 따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그 자체만으로 반죽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부어 반죽하기 전에 접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강화제로 찹쌀가루, 쌀가루, 밀가루, 녹말가루, 또는 보리가루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7) 환 제조단계
생강 청국장 환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반죽을 이용한 제환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제환기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수행한다. 생강 청국장 환의 섭취에 있어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반지름 2~3mm 크기의 환 형태로 성형하며, 상기와 같은 크기의 성형은 생강 청국장환을 대량으로 제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8) 도포 및 2차 건조단계
상기 생강 청국장 환에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들에 대한 살균 및 항균작용으로 보존성을 높이고, 특유의 향을 갖도록 하여 섭취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기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생강즙을 도포한다.
이때, 원형의 생강 청국장 환을 굴려주며 모든 면이 균일하게 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면 식품용 붓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생강즙을 도포하는 이유로는 생강 청국장 환의 외관을 헤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서 생강 청국장 환에 생강즙이 스며들어 생강의 유용한 성분들이 더욱 첨가될 수 있도록 하며, 청국장의 냄새를 상대적으로 더욱 약하게 하고 생강 특유의 향을 갖도록 하여 기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로 인해 섭취가 용이하게 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생강즙을 도포하면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생강 청국장 환의 보존성을 더욱 높이고 취급과 휴대에도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생강즙 도포를 거쳐 이루어진 생강 청국장 환은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보관 및 유통을 위하여 2차로 건조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2차 건조는 2~3일간 20℃ 이하에서 저온건조하여 영양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유익균으로 알려진 바실러스 균이 사멸되지 않고 가공되도록 함으로써, 생강 청국장 환에 포함된 유익한 균의 성분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생강을 3cm의 크기로 육질이 단단하고 굴곡이 적으며, 노란색을 띠며, 껍질에 주름이 없고 매운맛과 향기가 강한 것을 선별하였다. 이때, 상기 선별한 생강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흐르는 물로 2회 세척을 시행하였다.
상기 선별된 생강의 껍질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 18℃로 5회 세척한 다음 물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하였다.
상기 탈수된 생강의 진액이 분쇄기에 들러붙거나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착 분쇄기 또는 카트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하였다.
상기 1차 분쇄된 생강의 함수율이 2%가 될 때까지 건조기에 투입하여 3일간 60℃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1차 건조된 생강과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 및 찹쌀죽을 준비한다.
상기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을 준비하기 위해서 청국장을 준비하여 55℃로 48시간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을 얻었다.
상기 찹쌀죽을 준비하기 위하여 찹쌀을 세척하여 물에서 2시간 담가 불린 후 건져 물기를 제거한 다음 믹서기로 분쇄하였다.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려서 분쇄한 찹쌀 30중량부를 넣고 찹쌀이 서서히 끓어 오를 때 까지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찹쌀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된 생강 0.9kg에 대하여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 20kg과 찹쌀풀 1.5kg을 혼합함으로써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자 크기 95mesh로 2차 분쇄하여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넣어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이용한 제환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제환기를 통하여 반지름 2mm 크기의 환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생강 청국장 환을 고루 뒤집고 굴려주면서 생강즙을 식품용 붓을 이용하여 도포한 다음 3일간 15℃로 저온건조 함으로써, 건강 기능성을 높인 생강 청국장 환을 제조하였다.

Claims (4)

  1. 생강을 선별하여 껍질을 박피한 후 세척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상기 탈수된 생강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1차 분쇄된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1차 건조하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생강에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과 찹쌀죽을 혼합하여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2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넣은 후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생강 청국장을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강 청국장 환의 표면에 생강즙을 도포한 다음 2차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 단계에서는 생강 청국장 혼합물의 혼합 및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생강의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청국장 혼합물 제조단계에서는 1차 건조된 생강 0.9kg에 대하여 건조시켜 분쇄한 청국장 20kg과 찹쌀죽 1.5kg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된 생강 청국장 혼합 분말에 물을 부어 반죽하기 전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찹쌀가루, 쌀가루, 밀가루, 녹말가루, 또는 보리가루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1020160074932A 2016-06-16 2016-06-16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20170141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32A KR20170141919A (ko) 2016-06-16 2016-06-16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32A KR20170141919A (ko) 2016-06-16 2016-06-16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19A true KR20170141919A (ko) 2017-12-27

Family

ID=6093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932A KR20170141919A (ko) 2016-06-16 2016-06-16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9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38798A (zh) 一种石斛营养片及制备方法
Tarantul et al. Onion (lat. Állium cépa)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4686768A (zh) 一种高效增强免疫力的海参压片糖果
JP2018535673A (ja) 乳酸菌発酵丸ごとニンニクの製造方法
CN110037139A (zh) 一种养生擂茶及其生产工艺
KR20130027108A (ko) 양(소의 혹위, 제1위)과 찹쌀을 주원료로 하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CN103947716A (zh) 一种葡萄籽蛋白米糕及其加工方法
CN106222012A (zh) 一种缓解风湿的无花果酒
CN104012722B (zh) 一种松花茶及其制备方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100082688A (ko)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072143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70024319A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41919A (ko) 생강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CN104323144A (zh) 一种假蒌风味保健燕麦片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3535575A (zh) 一种新型的玫瑰花粉片产品配方及生产工艺
CN108740249A (zh) 一种鹿肉粉、鹿茸血粉的压片糖果
KR101186509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주먹밥 제조방법
KR101394202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N107692208A (zh) 一种蜂王玛咖片及制备方法
KR20100072144A (ko)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