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321A - 지중 매립용 밸브실 - Google Patents

지중 매립용 밸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321A
KR20170141321A KR1020160074055A KR20160074055A KR20170141321A KR 20170141321 A KR20170141321 A KR 20170141321A KR 1020160074055 A KR1020160074055 A KR 1020160074055A KR 20160074055 A KR20160074055 A KR 20160074055A KR 20170141321 A KR20170141321 A KR 20170141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support plate
reinforc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무
Original Assignee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321A/ko
Publication of KR2017014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관로를 연결하는 밸브가 수용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에 관한 것이자, 특히 상부 또는 측부에 가해지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고, 수용 공간 내 습기를 제거하여 누전 및 밸브 부식을 방지하고, 집수정에 고이는 물을 최소화하여 내부 공간의 습도를 최소화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바닥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덮개프레임, 그리고 상기 덮개프레임 상부로 설치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입구프레임, 그리고 상기 덮개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일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타 모서리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중 매립용 밸브실{UNDERGROUND VALVE ROOM}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관로를 연결하는 밸브가 수용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또는 측부에 가해지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고, 수용 공간 내 습기를 제거하여 누전 및 밸브 부식을 방지하고, 집수정에 고이는 물을 최소화하여 내부 공간의 습도를 최소화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서 상/하수도가 흐르는 관로, 도시가스가 흐르는 관로, 통신케이블이 관통하는 관로 등 각종 관로가 매설된다. 그리고 관로는 곳곳에서 밸브실에 연결되어서, 관로 또는 관로를 관통하는 통신케이블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에 먼저 밸브실에 장착된 밸브를 이용해 관로를 흐르는 상/하수도나 도시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통신케이블을 흐르는 전력을 차단하여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이처럼 관로를 곳곳에서 연결하는 밸브실은 보통 원기둥 또는 사각박스 구조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밸브가 장착되고 관로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들어와 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출입구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지중에 매립 시 주변의 흙이 가하는 토압과 위를 지나가는 차량 등에 의한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예: 철제)로 제작된다.
이러한 밸브실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62932호 (2011년08월31일) [간편 설치형 밸브실] (이하 종래기술)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밸브실을 제작한 후 이를 지하에 매설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단축과 교통소통에 문제가 없게 하고, 배관이 밸브실에 끼워질 때 수밀이 보장되게 하는 한편 밸브실 상측에 씌워지는 맨홀뚜껑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게 하고, 희생양극의 설치로 부식이 방지되는 한편 밸브실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된 덮개를 열고 자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비록 철제 소재를 사용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구비하고 있으나, 그 저항력에 아쉬움이 있고, 내부 공간 내 습기에 의해 부식 또는 누전의 우려가 있으며, 특히 대부분의 밸브실이 구비하고 있는 집수정 내에 물이 고여 있어 내부 공간의 습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덮개프레임 상부에 보강프레임을 도입하여 밸브실 상부로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부 공간과 지상을 연결하는 통기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내부 공간 내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를 통해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고, 밸브를 제어하는 전기장치들의 누전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특유의 집수정 및 배수펌프 구조를 통해, 집수정 내에 물이 고이지 않고 즉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공간 내 수분이 바닥에 남아 있지 않고 모두 집수정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펌프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 내 습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측면프레임에 지지프레임을 더하여, 밸브실 측부로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보다 강화함과 더불어 상부로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함께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덮개프레임, 그리고 상기 덮개프레임 상부로 설치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입구프레임, 그리고 상기 덮개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일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타 모서리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 또는 상기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지상을 연결하는 통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프레임 하부에는 안착홈을 구비한 집수정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되되, 상기 배수펌프는 하단 받침대 및, 이 받침대 상단에 구비된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받침대의 높이는 상기 안착홈의 높이와 동일하여, 상기 흡입구는 상기 집수정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측면프레임은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덮개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에 연결되어 측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측면판 및, 인접한 두 측면판 사이에 결합되고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에 연결되는 수직 보강지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추가로 상기 보강지주판 외측에는, 상기 보강지주판을 중심으로, 일단은 일 측 제1측면판에, 타단은 타 측 제2측면판에, 중앙은 상기 보강지주판에 접하는 'ㄷ'자 모양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의 도입으로 인해 상부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되고, 또한 통기구를 도입하여 내부 공간 내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밸브의 부식 및 누전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특유의 집수정 및 배수펌프 구조를 통해 내부 공간 내 습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며, 나아가 지지프레임을 부가하여 측부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보다 강화함과 더불어 상부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함께 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관로를 연결하는 밸브가 수용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에 관한 것이자, 특히 상부 또는 측부에 가해지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고, 수용 공간 내 습기를 제거하여 누전 및 밸브 부식을 방지하고, 집수정에 고이는 물을 최소화하여 내부 공간의 습도를 최소화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립용 밸브실(이하 본 밸브실(R))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밸브실(R)의 주요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밸브실(R)은 바닥프레임(1), 측면프레임(2), 덮개프레임(3), 입구프레임(4) 및 보강프레임(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바닥프레임(1)은 하부에 배치되어 본 밸브실(R)의 내부 공간의 저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바닥프레임(1)은 사각형의 평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형상의 한정을 가질 필요는 없다.
다음, 측면프레임(2)은 바닥프레임(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측면프레임(2)은 본 밸브실(R)이 측방 토압에 대한 강한 저항력을 갖도록 한다.
다음, 덮개프레임(3)은 측면프레임(2)의 상부를 덮는 구성으로, 본 밸브실(R)이 상방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음, 입구프레임(4)은 덮개프레임(3) 상부로 설치되어 출입구(4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작업자가 본 밸브실(R)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4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서는 이 입구프레임(4)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원통 형상은 측방향 압력에 대항하기에 적합한 구조이고, 추가적으로 입구프레임(4)에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름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작업자의 원활한 출입을 위해 입구프레임(4)에는 사다리와 같은 출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보강프레임(5)은 덮개프레임(3)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일단이 덮개프레임(3)의 일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덮개프레임(3)의 타 모서리에 고정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5)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덮개프레임(3)의 상부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보강프레임(5)의 다양한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재차 서술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5)은 덮개프레임(3)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일단이 덮개프레임(3)의 일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덮개프레임(3)의 타 모서리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보강프레임(5)이 '일단이 덮개프레임(3)의 일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덮개프레임(3)의 타 모서리에 고정된다.'는 것은 덮개프레임(3)의 형상을 다각형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인데, 덮개프레임(3)이 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덮개프레임(3)의 원주 상에 위치한 일치하지 않는 두 지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 해석의 용이성을 위해 덮개프레임(3)이 돔 유사 형상으로, 사각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보강프레임(5)의 다양한 실시를 도시한 실시예(제1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를 대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기본 실시로,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5)은 덮개프레임(3)의 제1모서리(e1)와 제3모서리(e3)에 양단이 고정된 제1보강판(51)과 제2모서리(e2)와 제4모서리(e4)에 양단이 고정된 제2보강판(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보강판(51)과 제2보강판(52)은 상호 교차되어 구비되고, 제1보강판(51)과 제2보강판(52)의 교차 지점은 용접, 끼움(홈과 돌기), 용융 및 기타 방법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모서리(e1)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차 명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5)은 일단은 제1보강판(51)에, 타단은 제2보강판(52)에 고정되어 제1보강판(51)과 제2보강판(52)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보강판(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보강판(55)은 보강프레임(5)의 전체 강성을 향상시켜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5)은 덮개프레임(3)의 제1모서리(e1)와 제4모서리(e4)에 양단이 고정된 절곡형 제3보강판(53)과 제2모서리(e2)와 제3모서리(e3)에 양단이 고정된 절곡형 제4보강판(5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보강판(53)과 제4보강판(54)은 덮개프레임(3)의 중앙에 접점을 형성하고, 이 접점은 용접, 끼움(홈과 돌기), 용융 및 기타 방법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아울러 도 2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보강판(53)과 제4보강판(54) 사이에도 보조보강판(55)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보강프레임(5)은 양 단이 반드시 상기한 제1 내지 제4모서리(e1~e4), 즉 꼭짓점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2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프레임(3)의 테두리 변(이 역시 모서리에 해당함)에 양 단이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 2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5)은 서로 마주보는 덮개프레임(3)의 테두리 변에 양단이 고정된 가로보강판(57)과 이 가로보강판(57)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세로보강판(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보강판(58) 역시 덮개프레임(3)의 테두리 변에 양단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의 각 실시들은 모두, 제1보강판(51)(또는 제3보강판(53))과 제2보강판(52)(또는 제4보강판(54))의 결합이 상호 교차를 이루도록(또는 접점을 구비하도록) 구비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일점 교차 결합'은 보다 강화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일점 교차 결합 구조를 갖는 보강프레임(5)의 구비를 통해 덮개프레임(3)을 통한 상부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가로보강판 및 세로보강판의 실시 역시 상부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밸브실(R)은 덮개프레임(3) 또는 측면프레임(2)에 내부 공간과 지상을 연결하는 통기구(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좌측에는 통기구(7)가 덮개프레임(3)에 구비된 실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우측에는 통기구(7)가 측면프레임(2)에 구비된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구(7)는 내부 공간과 지상을 연결하여, 내부 공간 내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러한 통기구(7)의 구비를 통해 본 발명은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고, 밸브를 제어하는 전기장치들의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측면 관찰 시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밸브실(R)은 바닥프레임(1) 하부에는 안착홈(810)을 구비한 집수정(81)이 구비되고, 집수정(81)에는 배수펌프(8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수정(81)은 본 밸브실(R)의 내부 공간 내 수분을 모으고, 배수펌프(83)는 집수정(81) 내 모인 수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에서 집수정(81)에 구비된 안착홈(810)은 집수정(81) 내의 물을 재차 모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4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배수펌프(83)는 안착홈(810) 내 삽입되는 하단 받침대(833) 및, 이 받침대(833) 상단에 구비된 흡입구(831)를 포함하고, 받침대(833)의 높이는 안착홈(810)의 높이와 동일하여, 흡입구(831)가 집수정(81)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집수정(81) 및 배수펌프(83)의 구조 및 특징을 살펴보면, 안착홈(810)은 배수펌프(83)의 받침대(833)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구비되기 때문에, 이에 집수정(81) 내에 물이 조금도 고여 있지 않고 완전히 배출되며, 이에 집수정(81) 내에 고인 물에 의해 내부 공간의 습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배수펌프(83)의 흡입구(831)가 집수정(81)의 저면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 내에 수분이 침습하더라도 바닥프레임(1) 및 집수정(81)의 저면 상에 남아 있지 않고 모두 집수정(81)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펌프(8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바닥프레임(1)과 집수정(81)의 저면이 일정 경사를 가져, 내부 공간 내의 물이 흡입구(831)를 통해 집수정(81)으로, 그리고 배수펌프(83)의 흡입구(831)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밸브실(R)의 일 구성인 측면프레임(2)은 하부지지판(21)과 상부지지판(22), 다수의 측면판(23) 및, 수직 보강지주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하부지지판(21)과 상부지지판(22)은 바닥프레임(1)과 덮개프레임(3)에 각각 체결되어 측면프레임(2)을 구성하는데, 하부지지판(21)은 측면판(23)들과 보강지주판(24)들의 하부에, 상부지지판(22)은 측면판(23)들과 보강지주판(24) 상부에 틈새 없이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지지판(21)은 바닥프레임(1)과, 상부지지판(22)은 덮개프레임(3)과 볼트로 조립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측면판(23)은 측면프레임(2)의 면적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요소로, 하부지지판(21)과 상부지지판(22)에 연결되어 측벽을 구성한다. 이러한 측면판(23)은 다수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측면판(23)이 측방향 토압에 대한 향상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라운드 외면을 갖고, 나아가 측면판(23)의 외면에도 주름진 구조가 도입될 수 있다.
다음 보강지주판(24)은 인접한 두 측면판(23) 사이에 결합되고 하부지지판(21)과 상부지지판(22)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수직 배치되며, 보강지주판(24)과 측면판(23)은 용접을 통해 틈새 없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지주판(24)은 'ㄱ'자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 모서리에 측면판(23)의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가 지지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지주판(24) 외측에는, 보강지주판(24)을 중심으로, 일단은 일 측 제1측면판(231)에, 타단은 타 측 제2측면판(232)에, 중앙은 보강지주판(24)에 접하는 'ㄷ'자 모양의 지지프레임(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먼저 측면판(23)을 보강지주판(24)을 중심으로 하여 일 측을 제1측면판(231)으로, 타 측을 제2측면판(232)으로 명명한다. 도 5를 기준으로 일 측은 보강지주판(24)의 좌측이고, 타 측은 보강지주판(24)의 우측이다.
따라서 지지프레임(6)은 일단이 좌측 제1측면판(231)에, 타단이 우측 제2측면판(232)에 접하고, 중앙이 보강지주판(24)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제1측면판(231), 제2측면판(232), 보강지주판(24)에 용접 또는 접착제 등을 활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프레임(6)이 구비를 통해 본 발명은 측방향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보다 향상되고, 이에 보다 견고한 밸브실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지지프레임(6)이 제1측면판(231), 제2측면판(232), 보강지주판(24)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아도 일정 저항력을 갖출 수는 있으나, 바람직한 내구성 확보를 위해서는 반드시 접촉 및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이러한 지지프레임(6)의 구비를 통해 측방향 토압은 물론,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 역시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덮개프레임(3)을 구성하는 체결판(31), 조립판(33), 덮개판(35), 커버판(37), 보강리브판(39)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상부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판(35)은 전후 길이방향에서 좌우로 볼록한 하중 대항 구조를 가져, 상부 토압을 좌우 단부로 분산시킨다.
조립판(33)은 덮개판(35)의 전후 방향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게끔 구비되어 다른 덮개판(35) 또는 커버판(37)에 볼트 체결되는데, 이러한 조립판(33)은 덮개판(35)의 양측에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체결판(31)은 'ㄱ'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수직방향의 내측 단부는 덮개판(35)의 내면을 접촉 지지한다.
커버판(37)은 측면프레임(2)의 측면판(23)의 전후 길이방향에서 양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는다.
특히, 커버판(37)에는 보강리브판(39)이 구비될 수 있고, 보강리브판(39)은 커버판(37)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끔 구비되어 커버판(37)의 강도를 보강하여 토압에 의한 변형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 본 밸브실
1: 바닥프레임
2: 측면프레임
21: 하부지지판 22: 상부지지판
23: 측면판 231: 제1측면판
232: 제2측면판 24: 보강지주판
3: 덮개프레임
4: 입구프레임 40: 출입구
5: 보강프레임 6: 지지프레임
7; 통기구
81: 집수정 810: 안착홈
83: 배수펌프 831: 흡입구
833: 받침대

Claims (4)

  1. 지중에 매립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에 있어서,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덮개프레임;
    상기 덮개프레임 상부로 설치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입구프레임; 및
    상기 덮개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일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타 모서리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중 매립용 밸브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 또는 상기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지상을 연결하는 통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 하부에는 안착홈을 구비한 집수정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되되,
    상기 배수펌프는 하단 받침대 및, 이 받침대 상단에 구비된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높이는 상기 안착홈의 높이와 동일하여, 상기 흡입구는 상기 집수정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덮개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에 연결되어 측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측면판 및, 인접한 두 측면판 사이에 결합되고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에 연결되는 수직 보강지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지주판 외측에는, 상기 보강지주판을 중심으로, 일단은 일 측 제1측면판에, 타단은 타 측 제2측면판에, 중앙은 상기 보강지주판에 접하는 'ㄷ'자 모양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용 밸브실.
KR1020160074055A 2016-06-14 2016-06-14 지중 매립용 밸브실 KR20170141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055A KR20170141321A (ko) 2016-06-14 2016-06-14 지중 매립용 밸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055A KR20170141321A (ko) 2016-06-14 2016-06-14 지중 매립용 밸브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321A true KR20170141321A (ko) 2017-12-26

Family

ID=6093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055A KR20170141321A (ko) 2016-06-14 2016-06-14 지중 매립용 밸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3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842B1 (ko) 결로수의 배출 및 그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물탱크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101601076B1 (ko) 토압에 강한 지중 매립용 철제 밸브실
CA2708046C (en) Effluent filtration tank
JP2012057388A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EP2949826B1 (en) Drainage cell
KR20170141321A (ko) 지중 매립용 밸브실
US4242847A (en) Modular lift station construction
KR101935100B1 (ko) 지하수의 저류조 유입을 위한 저수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101013733B1 (ko)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
KR101009949B1 (ko) 이탈방지 및 안정성과 조립성을 향상한 맨홀
KR101800545B1 (ko) 빗물 저수조
KR101054490B1 (ko) 조립식 물탱크의 칸막이패널 방수장치
KR100929687B1 (ko) 암거용 어셈블리
JP3878187B2 (ja) 給油所用のマンホール装置
KR101371151B1 (ko) 밸브실
JP5364601B2 (ja) 蓋部材、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地下貯水施設
KR2008007405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JP2017218830A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
KR100883798B1 (ko) 집수정
JP6889655B2 (ja) 貯留槽
KR101746706B1 (ko) 통패드 바닥구조체가 구비된 조립식 패널수조
KR20010049248A (ko) 원통형 스테인레스 물탱크
KR100574854B1 (ko) 맨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5362298B2 (ja) 地下構造体、ユニット式建物、地下室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