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250A -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above steel, and a cutting tool manufactured from the semi-finished product - Google Patents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above steel, and a cutting tool manufactured from the semi-finished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250A
KR20170141250A KR1020177034728A KR20177034728A KR20170141250A KR 20170141250 A KR20170141250 A KR 20170141250A KR 1020177034728 A KR1020177034728 A KR 1020177034728A KR 20177034728 A KR20177034728 A KR 20177034728A KR 20170141250 A KR20170141250 A KR 20170141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e amount
semi
finished product
stee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프란시스 샤샤뉴
프랑수아즈 하젤리
Original Assignee
아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뻬랑 filed Critical 아뻬랑
Publication of KR2017014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2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005Manufacture of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8Decarburising
    • C21C7/0685Decarburising of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22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1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knives, scythes, scissors, or like hand cutt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중량 백분율로: 0.10% ≤ C ≤ 0.45%; 미량 ≤ Mn ≤ 1.0%; 미량 ≤ Si ≤ 1.0%; 미량 ≤ S ≤ 0.01%; 미량 ≤ P ≤ 0.04%; 15.0% ≤ Cr ≤ 18.0%; 미량 ≤ Ni ≤ 0.50%; 미량 ≤ Mo ≤ 0.50%; 미량 ≤ Cu ≤ 0.50%; 미량 ≤ V ≤ 0.50%; 미량 ≤ Nb ≤ 0.03%; 미량 ≤ Ti ≤ 0.03%; 미량 ≤ Zr ≤ 0.03%; 미량 ≤ Al ≤ 0.010%; 미량 ≤ O ≤ 0.0080%; 미량 ≤ Pb ≤ 0.02%; 미량 ≤ Bi ≤ 0.02%; 미량 ≤ Sn ≤ 0.02%; 0.10% ≤ N ≤ 0.20%; C + N ≥ 0.25%; Cr + 16 N - 5 C ≥ 16.0%; 바람직하게는 17 Cr + 500 C + 500 N ≤ 570%;
및 디벨로프먼트의 결과인 불순물과 철인 잔부의 조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이러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부터의 반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반제품으로부터 제조된 절삭 공구.
By weight percentage: 0.10%? C? 0.45%; Trace amount? Mn? 1.0%; Trace amount? Si? 1.0%; Trace amount? S? 0.01%; Trace amount? P? 0.04%; 15.0%? Cr? 18.0%; Trace amount Ni < = 0.50%; Trace amount? Mo? 0.50%; Trace amount? Cu? 0.50%; Trace amount? V? 0.50%; Trace amount? Nb? 0.03%; Trace amount? Ti? 0.03%; Trace amount? Zr? 0.03%; Trace amount? Al? 0.010%; Trace amount? O? 0.0080%; Trace amount? Pb? 0.02%; Trace amount? Bi? 0.02%; Trace amount? Sn? 0.02%; 0.10%? N? 0.20%; C + N? 0.25%; Cr + 16 N - 5 C ≥ 16.0%; Preferably 17 Cr + 500 C + 500 N < = 570%;
And a composition of impurities resulting from development and a remnant of ir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mediate product from such a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a cutting tool manufactured from such a semi-finished product.

Description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상기 강으로부터의 반제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반제품으로부터 제조된 절삭 공구Martensitic stainless steel,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above steel, and a cutting tool manufactured from the semi-finished product

본 발명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강은 주로 절삭 공구, 특히 메스, 시저 블레이드, 또는 나이프 블레이드 또는 가정용 푸드 프로세서와 같은, 커트러리의 피스 (pieces)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uch steels are mainly for producing cutter pieces, such as cutting tools, especially scalpels, scissor blades, or knife blades or domestic food processors.

커트러리용 강은 높은 내식성 (corrosion resistance), 연마 능력 (ability to be polished) 및 경도 (hardness)를 가져야 한다.Cutlery steels should have high corrosion resistance, ability to be polished and hardness.

EN 1.4021, EN 1.4028 및 EN 1.4034 유형의 강과 같은 절삭 공구의 블레이드를 생산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14 중량% 또는 14.5 중량% 이하의 Cr 함량 레벨 및 다양한 C 함량 레벨, 즉 EN 1.4021의 경우 0.16%-0.25%, EN 1.4028의 경우 0.26-0.35%, 그리고 EN 1.4034의 경우 2.43-0.50%를 갖는다. 상기 강의 경도 레벨은 주로 이러한 C 함량 레벨에 달려 있다.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currently used for producing blades of cutting tools such as steels of the type EN 1.4021, EN 1.4028 and EN 1.4034 have Cr content levels of up to 14% or 14.5% by weight and various C content levels, namely EN 1.4021 0.16% -0.25% for EN 1.4028, 0.26-0.35% for EN 1.4028 and 2.43-0.50% for EN 1.4034. The hardness level of the steel mainly depends on this C content level.

더 우수한 내식성이 요구되는 경우, 0.36-0.42% C, 13.0-14.5% Cr 및 0.60-1.00% Mo를 갖는 EN 1.4419 등급을 사용할 수 있다.If better corrosion resistance is required, EN 1.4419 grades with 0.36-0.42% C, 13.0-14.5% Cr and 0.60-1.00% Mo can be used.

제조 과정 동안, 이들 강은 일반적으로 AOD 또는 VOD 전로 (converter)에서 용융되고, 이어서 슬래브 (slabs), 블룸 (blooms) 또는 빌릿 (billets)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주입되고, 코일, 압연 바 (rolled bar) 또는 선재 (wire rod)를 얻기 위해 열간 압연된다. 그 다음에, 그것들은 평판 제품 (flat products)을 위해 냉간 압연을 수행하거나, 또는 길이가 긴 제품 (long products)을 위해 열간 압연된 반제품을 단조하기 전에 톱질 (sawing)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충분히 연질 (soft)인, 탄화물을 함유하는 페라이트 구조를 얻기 위해 어닐링 (annealing)을 겪는다.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se steels are generally melted in AOD or VOD converters and then continuously injected in the form of slabs, blooms or billets, Or hot rolled to obtain a wire rod. They are then subjected to cold rolling for flat products, or to cold rolling for flat products, or for sufficient long enough to facilitate sawing before forging hot rolled semi-finished products for long products And undergoes annealing to obtain a soft, ferrite structure containing carbide.

그 다음에 상기 제품은 재결정화 어닐링 (recrystallization annealing)을 겪는다. 재결정화된 페라이트 함유 탄화물의 이러한 연화된 상태에서, 제품은 일반적으로 950℃와 1150℃ 사이의 고온의 오스테나이트화를 포함하는 열처리를 겪기 전에, 예를 들어 나이프 블레이드와 같은 최종 형상을 갖도록 절단되고, 이어서 주위 온도로 ??칭(quenching)하여 주로 마르텐사이트계 구조를 유도한다.The product then undergoes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n this softened state of the recrystallized ferrite-containing carbide, the product is cut to have a final shape such as, for example, a knife blade, before undergoing a heat treatment comprising a high temperature austenitization, generally between 950 ° C and 1150 ° C , Followed by quenching at ambient temperature to induce a mainly martensitic structure.

이러한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상기 제품은 높은 경도를 가지며, 이것은 탄소 함량이 높은 경우 더 높아지지만, 또한 매우 취성이다. 일반적으로 100℃와 300 ℃ 사이에서의 어닐링 처리는 경도를 너무 낮추지 않으면서 취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후에 수행된다. 그 다음에 상기 블레이드는 샤프닝(sharpening)과 폴리싱(polishing)을 포함하여 절단 품질과 미적 외관을 제공하는 다양한 작업들을 겪는다.In this martensitic state, the product has a high hardness, which is higher when the carbon content is higher, but is also more brittle. In general, annealing treatments between 100 [deg.] C and 300 [deg.] C are performed later to reduce brittleness without too low a hardness. The blade then undergoes various tasks, including sharpening and polishing, to provide cutting quality and aesthetic appearance.

인용된 4개의 등급 중 어느 것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우수한 내식성, 우수한 표면 상태 및 높은 경도를 동시에 허용하지 않는다.None of the four grades quoted simultaneously tolerates good corrosion resistance, good surface condition and high hardness at a reasonable cost.

EN 1.4419 등급은 우수한 내식성 및 높은 경도를 갖지만, 다량의 Mo를 첨가로 인해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EN 1.4419 grades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igh hardness, but the addition of large amounts of Mo is very costly.

EN 1.4034 등급은 높은 경도를 갖지만, 이 등급의 높은 C 함량 레벨으로 인해 오스테나이트화 중에 용해되지 않는 다량의 탄화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폴리싱 후 또한 평범한 (mediocre) 표면 외관을 갖는다. 특히 Cr의 일부가 용해되지 않은 탄화물에 포획되어있는 점을 고려하면, Cr 함량 레벨이 매트릭스 내에서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에 내식성은 불충분하다. 게다가, 상기 블레이드의 절삭 날은 연속 주조 동안 응고 (solidification)의 종료에서 나타나는 1차 탄화물의 큰 쪼개짐 (cleavage)으로부터 오는 틈새 부식 (crevice corrosion)을 종종 거친다.The EN 1.4034 grade has a high hardness but also has a mediocre surface appearance after polishing because of the presence of large amounts of carbides that do not dissolve during the austenitization due to the high C content level of this grade. Particularl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 part of Cr is entrapped in the undissolved carbide, the corrosion resistance is insufficient because the Cr content level is not sufficiently high in the matrix. In addition, the cutting edge of the blade often undergoes crevice corrosion resulting from the large cleavage of the primary carbide at the end of solidification during continuous casting.

적은 양의 C를 함유하는, EN 1.4021 및 1.4028 등급들은 낮은 경도를 갖지만, 과도하게 낮은 Cr 함량 레벨으로 인해 충분한 내식성을 갖지 않는다. EN 1.4021 and 1.4028 grades, which contain small amounts of C, have low hardness but do not have sufficient corrosion resistance due to excessively low Cr content level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우수한 내식성, 우수한 연마성 및 높은 경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가급적 비용 효율이 높은 절삭 공구용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particular, a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cutting tools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high hardness, which is as cost effective as possible, is proposed.

이것을 위해, 본 발명은 중량 백분율로: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by weight percentage:

- 0.10% ≤ C ≤ 0.45%; 바람직하게는 0.20% ≤ C ≤ 0.38%; 더 양호하게는 (better) 0.20% ≤ C ≤ 0.35%; 최적으로는 (optimally) 0.30% ≤ C ≤ 0.35%;- 0.10%? C? 0.45%; Preferably 0.20%? C? 0.38%; More preferably 0.20%? C? 0.35%; Optimally 0.30%? C? 0.35%;

- 미량 ≤ Mn ≤ 1.0%; 바람직하게는 미량 ≤ Mn ≤ 0.6%;- trace amount? Mn? 1.0%; Preferably a trace amount? Mn? 0.6%;

- 미량 ≤ Si ≤ 1.0%;- trace amount? Si? 1.0%;

- 미량 ≤ S ≤ 0.01%; 바람직하게는 미량 ≤ S ≤ 0.005%;- trace amount? S? 0.01%; Preferably, the trace amount? S? 0.005%;

- 미량 ≤ P ≤ 0.04%;- trace amount? P? 0.04%;

- 15.0% ≤ Cr ≤ 18.0%; 바람직하게는 15.0% ≤ Cr ≤ 17.0%; 더 양호하게는 15.2% ≤ Cr ≤ 17.0%; 최적으로는 15.5% ≤ Cr ≤ 16.0%;- 15.0%? Cr? 18.0%; Preferably 15.0%? Cr? 17.0%; More preferably 15.2%? Cr? 17.0%; Optimally 15.5% < = Cr < = 16.0%;

- 미량 ≤ Ni ≤ 0.50%;- trace amount Ni < = 0.50%;

- 미량 ≤ Mo ≤ 0.50%; 바람직하게는 미량 ≤ Mo ≤ 0.01%; 더 양호하게는 미량 ≤ Mo ≤ 0.05%;- trace amount? Mo? 0.50%; Preferably a trace amount? Mo? 0.01%; More preferably a trace amount? Mo? 0.05%;

- 미량 ≤ Cu ≤ 0.50%; 바람직하게는 미량 ≤ Cu ≤ 0.3%;- trace amount? Cu? 0.50%; Preferably a trace amount? Cu? 0.3%;

- 미량 ≤ V ≤ 0.50%; 바람직하게는 미량 ≤ V ≤ 0.2%;- trace amount? V? 0.50%; Preferably a trace amount? V? 0.2%;

- 미량 ≤ Nb ≤ 0.03%;- trace amount? Nb? 0.03%;

- 미량 ≤ Ti ≤ 0.03%;- trace amount? Ti? 0.03%;

- 미량 ≤ Zr ≤ 0.03%;- trace amount? Zr? 0.03%;

- 미량 ≤ Al ≤ 0.010%;- trace amount? Al? 0.010%;

- 미량 ≤ O ≤ 0.0080%;- trace amount? O? 0.0080%;

- 미량 ≤ Pb ≤ 0.02%;- trace amount? Pb? 0.02%;

- 미량 ≤ Bi ≤ 0.02%;- trace amount? Bi? 0.02%;

- 미량 ≤ Sn ≤ 0.02%;- trace amount? Sn? 0.02%;

- 0.10% ≤ N ≤ 0.20%; 바람직하게는 0.15% ≤ N ≤ 0.20%;- 0.10%? N? 0.20%; Preferably 0.15%? N? 0.20%;

- C + N ≥ 0.25%; 바람직하게는 C + N ≥ 0.30%; 더 양호하게는 C + N ≥ 0.45%;- C + N? 0.25%; C + N > = 0.30%; More preferably C + N > = 0.45%;

- Cr + 16 N - 5 C ≥ 16.0%;- Cr + 16 N - 5 C ≥ 16.0%;

- 바람직하게는 17 Cr + 500 C + 500 N ≤ 570%;- 17 Cr + 500 C + 500 N < = 570%;

및 용융 (melting)의 결과인 불순물과 철인 잔부 (rest)의 조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And a composition of an impurity and a rest of iron which is a result of mel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tensitic stainless steel.

바람직하게는 그 자신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e)가 적어도 75%의 마르텐사이트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Preferably, its own microstructure contains at least 75% of martensit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emi-finished products comprising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characterized by:

- 전술한 조성을 갖는 강으로부터 반제품이 용융되고 (molten) 주조되며 (cast);- molten and casting the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steel with th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 상기 반제품은 10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고;The semi-finished product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1000 캜 or higher;

- 상기 반제품은 시트 (sheet), 바 (bar) 또는 선재 (wire rod)를 얻기 위해 열간 압연되며;The semi-finished product is hot-rolled to obtain a sheet, a bar or a wire rod;

- 상기 시트, 바 또는 선재는 700℃와 900℃ 사이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어닐링되고; The sheet, bar or wire is annealed at a temperature comprised between 700 [deg.] C and 900 [deg.] C;

- 상기 시트, 바 또는 선재에 대한 성형 작업 (shaping operation)이 수행된다. A shap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sheet, bar or wire.

상기 반제품은 시트일 수 있고, 상기 성형 작업은 냉간 압연일 수 있다.The semi-finished product may be a sheet, and the molding operation may be cold rolling.

상기 반제품은 바 또는 선재일 수 있고, 상기 성형 작업은 단조 (forging)일 수 있다.The semi-finished product may be a bar or a wire rod, and the molding operation may be forging.

성형된 상기 반제품은, 그 자신의 Cr 함량 레벨이 15%와 17% 사이로 포함되는 경우, 다음에 950℃와 1150℃ 사이에서 오스테나이트화될 수 있고, 이후에 적어도 15℃/s의 속도에서 2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100℃와 300℃ 사이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어닐링을 겪을 수 있다.The molded semi-finished product can then be austenitized between 950 ° C and 1150 ° C, if its Cr content level is between 15% and 17%, and then at 20 ° C / s at a rate of at least 20 ° C / RTI ID = 0.0 > 100 C < / RTI > and < RTI ID = 0.0 > 300 C. < / RTI >

성형된 상기 반제품은 다음에 950℃와 1150℃ 사이에서 오스테나이트화 될 수 있고, 이후에 적어도 15℃/s의 속도에서 2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220℃ 내지 -50℃의 온도에서 극저온 처리 (cryogenic treatment)를 겪은 후, 100℃와 300℃ 사이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어닐링을 겪을 수 있다.The shaped semi-finished product can then be austenitized between 950 ° C and 1150 ° C and then cooled to a temperature of 20 ° C or less at a rate of at least 15 ° C / s and then cooled to a temperature of -220 ° C to -50 ° C After undergoing a cryogenic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between < RTI ID = 0.0 > 100 C < / RTI >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제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cutting tool)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utt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mi-finished produc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상기 절삭 공구는 나이프 블레이드 (knife blade), 푸드 프로세서 블레이드 (food processor blade), 메스 (scalpel), 또는 시저 블레이드 (scissor blade)와 같은 커트러리 물품(cutlery item) 일 수 있다.The cutting tool may be a cutlery item such as a knife blade, a food processor blade, a scalpel, or a scissor blade.

이해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삭 공구를 생산하기 위해 특정 조성을 갖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사용하여, 높은 함량 레벨을 갖는 값비싼 원소들은 없으나, 잘 정의된 범위에서 위치된 비교적 다량의 질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Cr, C 및 N 함량 레벨의 특정한 밸런싱 (balancing)이 또한 필요하다.As will be appreciated,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having a specific composition to produce cutting tools, so that there is no expensive element with a high content level, bu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nitrogen . Specific balancing of Cr, C and N content levels is also requir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수행된 다음의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인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오스테나이트화, ??칭 및 어닐링 후의 마르텐사이트 레벨에 기초하여, 1kg의 하중 하에서 상기 강의 비커스 경도 (Vickers hardness)의 변화(evolution)를 나타낸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given by way of example and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1, which shows that austenitiz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Vickers hardness of the steel under a load of 1 kg, based on the martensite level after the addition.

본 발명에 따른 강의 화학적 조성에 관하여, 하기의 증거 (support)가 제출된다. 우선적인 것으로 고려되는 다양한 원소들의 함량 레벨 범위들은 서로 독립적이고, 다음의 설명에서 정의된 범위들의 임의의 조합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 고려될 수 있는 한, 이들이 동시에 허용하는 C, N 및 Cr의 개별 함량 레벨들은 본 발명에 따라 그들 사이에 존재해야 하는 관련성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With respect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upport is submitted. As long as the content level ranges of the various elements considered to be prioritie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any combination of the ranges defi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content levels can take into account the relevance that must exist between th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는 오스테나이트화, ??칭 및 어닐링 후의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경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것은 응고 동안의 M7C3 1차 탄화물의 석출을 또한 촉진하는데, 이것은 블레이드의 폴리싱 또는 샤프닝 동안에 스트립 (stripped) 될 수 있고, 제품의 표면 외관을 저하시킨다. 폴리싱 이전에 발견된 위치들(sites)도 또한 틈새 부식의 자리가 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에 따라, 과도한 C 함량 레벨은 어닐링 이후 충분한 마르텐사이트 부분을 더 이상 얻을 수 없는 오스테나이트계 매트릭스에서 지나치게 높은 C 함량 레벨 또는 오스테나이트계 매트릭스에서 Cr을 고갈시킨 용해되지 않은 M23C6 탄화물의 잔류 중 하나를 또한 초래한다. 따라서 이들은 내식성을 감소시키고 연마성 (polishability)에 유해하다.C increases the hardness in a martensitic state after austenitization, crystallization and annealing. However, this means that M 7 C 3 It also promotes the precipitation of primary carbides, which can be stripped during polishing or sharpening of the blades, degrading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product. Sites found before polishing can also be places of crevice corrosion. Austenite in accordance with nitro change temperature, excessive C content level is not dissolved depletion of Cr in an excessively high C content level or austenitic matrix in the austenitic matrix, it can not be obtained any longer sufficient martensite section after annealing M 23 C 6 carbide. ≪ / RTI > They therefore reduce corrosion resistance and are detrimental to polishability.

따라서, C의 함량 레벨은 충분한 경도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10%, 폴리싱 후 우수한 내식성 및 만족스러운 표면 외관을 얻기 위해서는 0.45% 이하이어야 한다. 사용되는 주조 및 응고 방법에 따라,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M7C3 1차 탄화물의 석출을 방지하기 위해 응고 동안에 강의 충분한 균질성을 보장하지 못할 위험이 있는 경우, 최대 C 함량 레벨을 약간 더 제한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의 함량 레벨을 0.38%, 바람직하게는 0.20% ≤ C ≤ 0.38%; 더 양호하게는 0.20% ≤ C ≤ 0.35%; 최적으로는 0.30% ≤ C ≤ 0.3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ntent level of C should be at least 0.10% to obtain sufficient hardness, 0.45% or less to obtain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satisfactory surface appearance after polishing. Depending on the casting and solidification methods used, however, if there is a risk that this method will not ensure sufficient homogeneity of the steel during solidification to prevent precipitation of the M 7 C 3 primary carbides, a slight further limitation of the maximum C content level It can be useful. In this case, the content level of C is 0.38%, preferably 0.20%? C? 0.38%; More preferably 0.20%? C? 0.35%; It is preferable to limit it to 0.30%? C? 0.35% optimally.

특히 최적의 범위는 탄화물 형성을 허용 가능한 비율 이내로 제한하면서 높은 경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추후에 알 수 있듯이, 보다 일반적인 범위에 비해 최대 C 함량 레벨에서의 감소로 인한 경도의 손실 가능성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질소 존재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optimum range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high hardness while limiting the formation of carbides within an acceptable range, and as will be seen later, the possibility of loss of hardness due to reduction at the maximum C content level relative to the more general range, Can be compensated for by the presence of sufficient nitrogen in order to achieve < RTI ID = 0.0 >

또한, 이후에 설명되어질 것과 같이, C의 함량 레벨은 N의 함량 레벨과 N 및 Cr의 함량 레벨과 관련된 식을 만족해야 한다.Fur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ent level of C must satisfy the expression relating to the content level of N and the content level of N and Cr.

Mn은 오스테나이트계 구조를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소위 감마유도성 (gammagenous) 원소이다. 과도한 Mn 함량 레벨은 오스테나이트화 및 ??칭 처리 후에 불충분한 마르텐사이트 레벨을 초래하고, 이것은 경도의 감소를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로, Mn 함량 레벨은 용융의 결과인 미량과 1.0% 사이에서 포함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자신의 함량 레벨은 최적으로 낮은 Ms 온도를 얻는데 도움이 되도록 0.6%로 제한된다.Mn is a so-called gammagenous element because it stabilizes the austenitic structure. Excessive Mn content levels result in insufficient martensite levels after austenitizing and casting treatment,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hardness. For this reason, the Mn content level should be included between the trace amount which is the result of melting and 1.0%. Preferably, its own level of content is limited to 0.6% to help optimally achieve a low Ms temperature.

Si는 제강 공정에서 유용한 원소이다. 그것은 고도로 환원되므로, 따라서 AOD 또는 VOD 전로에서 탈탄 단계 (decarburization phase)를 따르는 강의 환원 상에서 Cr 산화물을 환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최종 강에서의 Si 함량 레벨은 미량과 1.0% 사이에서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원소는 열간 압연 중 또는 단조 중에서 열 변형 (hot deformation)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고온 경화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자신의 함량 레벨은 최적으로 낮은 Ms 온도를 얻는데 도움이 되도록 0.6%로 제한된다.Si is a useful element in the steelmaking process. It is highly reduced, thus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Cr oxides on reduction of the steel in the AOD or VOD converter following the decarburization phase. However, the level of Si content in the final steel should be between trace and 1.0%, since these elements have a hot hardening effect which limits the possibility of hot deformation during hot rolling or forging. Preferably, its own level of content is limited to 0.6% to help optimally achieve a low Ms temperature.

S 및 P는 고온 연성을 감소시키는 불순물이다. P는 결정립계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고 그의 쪼개짐을 촉진시킨다. 또한, S는 이러한 유형의 부식에 대한 개시 지점 역할을 하는 Mn을 갖는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피팅 (pitting)으로 인한 부식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이 목적을 위해, S 및 P 함량 레벨은 미량과, 각각 0.01 중량% 및 0.04 중량% 사이에서 각각 포함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S의 함량 레벨은 0.005%를 초과하지 않고 더욱 더 우수한 충분한 내식성을 보장한다.S and P are impurities that reduce high temperature ductility. P easily separates at the grain boundaries and promotes its cleavage. In addition, S forms a compound with Mn that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this type of corrosion, thereby reducing corrosion resistance due to pitting. For this purpose, the S and P content levels should be included between trace amounts, respectively, between 0.01% and 0.04% by weight, respectively. Preferably, the content level of S does not exceed 0.005% and ensures even mor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Cr은 내식성에 대한 필수 원소이다. 그러나, 높은 함량 레벨은 주위 온도 미만의 온도 Mf (마르텐사이트계 변태 말기의 온도)로 낮아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그 자신의 함량 레벨을 제한해야 한다. 이것은 오스테나이트화 및 주위 온도로의 ??칭 이후에, 지나치게 불완전한 마르텐사이트 변태 및 불충분한 경도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Cr 함량 레벨은 15.0 중량%과 18.0 중량% 사이에서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강의 극저온 처리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개시에서 지나치게 고온의 Ms를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15.0-17.0%, 더 양호하게는 15.2-17.0%, 더욱 더 양호하게는 15.5-16.0%로 Cr 함량 레벨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경도를 제한할 수 있는 너무 많은 잔부의 오스테나이트를 남기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인장 강도 Rm은 마르텐사이트계 강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필요한 경우, 최대 Cr 함량 레벨에서의 감소로 인한 감소된 내식성은, 다른 곳에서 규정된 한도 내에서 높은 N 함량 레벨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Cr is an essential element for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since the high content level is at risk of lowering to a temperature Mf (th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martensitic transformation) below the ambient temperature, its own content level should be limited. This will lead to an excessively incomplete martensitic transformation and insufficient hardness after the austenitization and the application to ambient temperature. For these various reasons, the Cr content level should be included between 15.0 wt.% And 18.0 wt.%. However, if the cryogenic treatment of the steel is not carried out,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15.0-17.0%, more preferably 15.2-17.0%, even more preferably 15.5-17.0%, in order to avoid having an excessively hot Ms at the beginning of the martensitic transformation.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Cr content level to 16.0% and thus not leave too much of the austenite remaining to limit the hardness, and thus the tensile strength Rm is undesirable in martensitic steels. If necessary, the reduced corrosion resistance due to reduction in the maximum Cr content level can be compensated by a high N content level within the limits specified elsewhere.

그러나, Cr 함량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액체 금속 중의 N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액체 금속 중의 15% 미만의 Cr을 더 이상 보유할 수 없으며, 강의 응고 온도에서 충분히 용해된 N은 응고 동안에 N2 버블 (bubbles)의 형성을 초래하고, 내식성에 관하여 Cr의 감소를 N이 보상하는 것을 더이상 허용하지 않는다. 응고에서 철정압(ferrostatic pressure)이 감소하는 경우, N의 용해도에 대한 이러한 낮은 Cr의 한계가 또한 증가한다. N2 버블 형성의 어떠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조 조건 및 주조 방법의 유형에 따라 최소 Cr 함량 레벨을 15.0% 내지 15.2% 또는 15.5%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owever, Cr if the reduced content level, and the N-solubility in the liquid metal decreases, no longer possesses the Cr is less than 15% of the liquid metal, is sufficiently dissolved in a river solidification temperature N is N 2 bubbles during solidification bubbles and does not allow N to compensate for the reduction of Cr with respect to corrosion resistance. If the ferrostatic pressure decreases in the solidification, this low Cr limit for solubility of N also increases. It may be desirable to increase the minimum Cr content level from 15.0% to 15.2% or 15.5% depending on the casting conditions and type of casting method used to protect against any risk of N 2 bubble formation.

하기에서 설명되어질 것과 같이, Cr의 함량 레벨은 N 및 C의 함량 레벨과 관련된 식을 또한 만족해야 한다.As described below, the content level of Cr must also satisfy an expression relating to the content levels of N and C.

원소 Ni, Cu, Mo 및 V는 고가이며, 또한 온도 Mf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들 원소 각각의 함량 레벨은 미량과 0.50 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Mo의 경우 0.10% 이하로 제한되어야 한다. 따라서, 원료를 용융시킨 후에 아무것도 첨가할 필요가 없다. 최적으로 저온의 Ms을 얻는 것을 돕기 위하여, Mo의 함량 레벨이 0.0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Cu의 함량 레벨이 0.3%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V의 함량 레벨이 0.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The elements Ni, Cu, Mo and V are expensive and also reduce the temperature Mf. Therefore, the content level of each of these elements should be limited to a trace amount of 0.50 wt%, preferably 0.10% or less in the case of Mo.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dd anything after melting the raw material. To help obtain the optimum low temperature Ms, it is more preferred that the Mo content level does not exceed 0.05%. For the same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level of Cu does not exceed 0.3%, and the content level of V should not exceed 0.2%.

Nb, Ti 및 Zr은, N 및 C의 존재 하에서 그리고 고온에서 Cr의 탄화물 및 질화물보다 더 안정한 탄화물 및 질화물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소위 "안정화" 원소이다. 그러나, 일단 생산 공정 동안에 형성된 이들 각각의 탄화물 및 질화물은 오스테나이트화 동안에 더이상 쉽게 용해될 수 없고, 이것은 오스테나이트 중의 C 및 N의 함량 레벨과, 따라서 ??칭 후의 마르텐사이트의 해당하는 경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이들 원소들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 원소들의 각각의 함량 레벨은 미량과 0.03% 사이로 포함되어야 한다. Nb, Ti and Zr are so-called "stabilizing" elements, which means to form carbides and nitrides that are more stable than carbides and nitrides of Cr in the presence of N and C and at high temperatures. However, once each of these carbides and nitrides form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is no longer readily soluble during austenitization, this limits the level of C and N content in the austenite and therefore the corresponding hardness of the martensite after casting , These elements are not preferable. Therefore, the content level of each of these elements should be between trace and 0.03%.

마찬가지로, Al의 함량 레벨은 Al 질화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량과 0.010% 사이로 포함되어야 하며, 이의 용해 온도는 너무 높을 수 있고, 오스테나이트의 N의 함량 레벨과 따라서 ??칭 후의 마르텐사이트의 경도를 감소시킬 것이다.Likewise, the content level of Al must be between a trace amount and 0.010% in orde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l nitride, its melting temperature may be too high, and the level of N content of austenite and therefore the hardness of martensite after casting .

O의 함량 레벨은 강의 제조 방법 및 그 자신의 조성을 따른다. 너무 많은 및/또는 지나치게 큰 산화물의 개재물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것은 미량과 0.0080% (80 ppm) 최대값 사이에서 포함되어야 하며, 이것은 피팅에 의한 부식의 경우 바람직한 개시 지점을 구성할 수 있고, 제품의 표면 외관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폴리싱 동안에 또한 스트립될 수 있다. O의 함량 레벨은 강의 기계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통적으로, 임의로 최종 제품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초과할 수 없는 80ppm 보다 낮은 한계를 설정할 수도 있다.The content level of O depends 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el and its own composition.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oo much and / or too large an oxide inclusions, it must be contained between a trace amount and a maximum value of 0.0080% (80 ppm), which can constitute a preferred starting point in the case of corrosion by fitting, And can also be stripped during polishing i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unsatisfactory. The content level of O also affect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teel, and traditionally, it may set limits below 80ppm, which can not be exceeded,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the end user, optionally.

Pb, Bi 및 Sn 함량 레벨은 용융의 결과인 미량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열간 변형 (hot transformations)을 너무 어렵게 만들지 않도록 각각은 0.02%를 초과해서는 안된다.The Pb, Bi and Sn content levels may be limited to trace amounts resulting from melting and each should not exceed 0.02% so as not to make hot transformations too difficult.

잘-정의된 레벨에 대하여 N의 함량 레벨을 제어하는 (Controlling) 것은 본 발명의 필수 양상이다. C와 같이, 고용체 (solid solution)로 존재하는 경우, 응고 동안 석출물을 형성하는 결점을 갖지 않으면서 마르텐사이트의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너무 많은 석출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나치게 높은 C 함량 레벨을 갖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N을 첨가하여 경도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질화물은 탄화물 보다 낮은 온도에서 형성되므로, 이것을 오스테나이트화 동안에 용액 중에 주입하기 더 용이하다. 고용체 중의 N의 존재는 또한 내식성을 향상시킨다.Controlling the content level of N for a well-defined level is an essenti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ardness of martensite without having the drawback of forming a precipitate during solidification, when it is present as a solid solution. If it is not desired to have an excessively high C content level to prevent too much precipitate from forming, N can be added to compensate for the loss of hardness. Since the nitride is form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carbide, it is easier to inject it into the solution during the austenitization. The presence of N in the solid solution also improves the corrosion resistance.

그러나, 과도한 N의 함량 레벨은 응고 동안 이의 완전한 용해를 더이상 허용하지 않고, 강의 응고 동안 블로홀(기공)을 형성하고, 금속의 내부 건강 상태 (internal health)에 유해한 N2 버블의 형성을 초래한다.However, excess N content levels do not allow for its complete dissolution during solidification, but form blowholes during the solidification of the steel and lead to the formation of N 2 bubbles which are detrimental to the internal health of the metal.

이러한 다양한 이유들로, N의 함량 레벨은 0.10 중량%와 0.20 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와 0.20 중량% 사이로 포함되어야 한다.For these various reasons, the N content level should be between 0.10 wt.% And 0.20 wt.%, Preferably between 0.15 wt.% And 0.20 wt.%.

N의 함량 레벨은 Cr 및 C의 함량 레벨과 관련된 식을 또한 만족해야 한다.The content level of N should also satisfy an expression related to the content levels of Cr and C.

실제로, 마르텐사이트의 경도는 그 자신의 C 및 N의 함량 레벨에 달려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두 원소들의 경화 효과가 유사하고, 따라서 마르텐사이트의 경도가 그 자신의 총 C + N 함량 레벨에 의존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하기의 식을 고려하는 경우, ??칭 및 어닐링 후의 경도가 충분할 것임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규명되었다:Indeed, the hardness of martensite depends on its own C and N content levels. The present inventors have shown that the hardening effects of these two elements are similar and thus the hardness of the martensite is dependent on its own total C + N content level. It has been clarified by the present inventors that, considering the following equations, the hardness after crystallization and annealing will be sufficient:

C + N ≥ 0.25%, 바람직하게는 C + N ≥ 0.30%C + N? 0.25%, preferably C + N? 0.30%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하기의 식을 고려하는 경우, ??칭 및 어닐링 후에 더욱 더 높은 경도가 얻어진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er hardness is obtained after the etching and annealing, when the following formula is taken into consideration:

C + N ≥ 0.45%.C + N? 0.45%.

3가지의 원소들이 내식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화 동안 Cr의 탄화물을 모두 용해시킬 수 없기 때문에, Cr 및 N은 유익한 반면 C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데, 왜냐하면 이는 생산성 및 비용면에서 산업 현장에서 처리 기간과 온도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용해되지 않은 Cr 탄화물은 오스테나이트계 매트릭스의 Cr의 함량 레벨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부식 함량 레벨을 감소시킨다.Three elements affect corrosion resistance. Cr and N are beneficial, while C has a negative effect, since in general it is not possible to dissolve all of the carbides of Cr during austenitization, since this limits the duration and temperature of the process in the industrial field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cost. The undissolved Cr carbide decreases the level of Cr content of the austenitic matrix and thus reduces the level of corrosion content.

Cr, N 및 C의 상이한 중량 함량을 갖는 마르텐사이트계 강의 내식성 연구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매우 우수한 내식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들 다양한 원소들을 조합한 식을 발견하였다.From the corrosion resistance studies of martensitic steels with different weight contents of Cr, N and C,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a combination of these various elements which can guarantee very good corrosion resistance.

Cr + 16 N - 5 C ≥ 16.0%Cr + 16 N - 5 C ≥ 16.0%

하나의 바람직한 조건 (단, 필수적인 것은 아님)은 다음과 같다:One preferred condition (but not necessarily) is as follows:

17Cr + 500C + 500N ≤ 570%17Cr + 500C + 500N ≤ 570%

이 조건은 온도 Ms가 너무 높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는데, 이는 이와 함께 컴플라이언스(compliance)가 선택된 상위의 C, N 및 Cr의 함량 레벨의 한계의 동시 만족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것에 비해 약 60℃의 Ms의 감소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This condition can ensure that the temperature Ms is not too high, which, in turn, is about 60% higher than what compliance can be tolerated by the simultaneous satisfaction of the limits of the content levels of the selected higher C, N and Cr Lt; 0 > C.

본 발명에 따른 강은 100℃/s 보다 높은 냉각 속도로 20℃에서의 물 중에서 ??칭하기 전에 상이한 온도에서 오스테나이트화 테스트를 거치고, 이어서 200℃에서 어닐링하는데, 용해된 탄화물의 비율, 결과적으로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 함량 레벨, 및 ??칭 후 마르텐사이트 중의 탄소 함량 레벨을 변화시킨다. 상기 마르텐사이트 레벨 뿐만 아니라 비커스 경도가 마르텐사이트 레벨의 함수로서 경도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측정되었고, 표 1의 실시예 I4의 조성을 갖는 강에 대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The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es austenitization tests at different temperatures prior to casting in water at 20 DEG C at a cooling rate of greater than 100 DEG C / s and then annealed at 200 DEG C so that the ratio of dissolved carbides, The carbon content level in the austenite, and the carbon content level in the post-martensite. The results, as well as the martensite level as well as the Vickers hardness, were measured to track the change in hardness as a function of martensite level and for the steels hav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I4 of Table 1, the results of which are shown in FIG.

도 1은 마르텐사이트가 탄소 부화 (carbon enrichment)로 인해 경화되기 때문에, 경도는 마르텐사이트 레벨의 저하 (drop)와 함께 증가함으로써 개시함을 나타낸다. 경도는 최대값에 도달한 후, 마르텐사이트 레벨이 너무 낮아질 때까지 감소한다. 75% 미만의 마르텐사이트는, 마르텐사이트의 경화가 더 낮은 경도를 갖는 잔류의 오스테나이트의 존재와 관련된 연화 (softening)를 더이상 상쇄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주강 (cast steel)으로부터 절삭 공구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오스테나이트화 이후에 적어도 15℃/s의 속도에서 20℃ 이하의 온도로 ??칭한 다음, 100℃ 내지 300℃, 일반적으로는 200℃의 온도에서 어닐링된 상기 강의 마르텐사이트 레벨은 75% 이상이다.Figure 1 shows that the hardness begins by increasing with the drop of the martensite level since the martensite is cured by carbon enrichment. The hardness decreases after reaching the maximum value, until the martensite level becomes too low. Less than 75% martensite no longer compensates for the softening of the martensite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residual austenite with lower hardness. For this reas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e for producing cutting tools from cast steel, after austenitization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15 [deg.] C / s and no more than 20 [deg.] C, The martensite level of the steel annealed at a temperature of 100 占 폚 to 300 占 폚, typically 200 占 폚, is 75% or more.

100%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은 마르텐사이트 레벨의 획득은 20℃ 이하로 ??칭 한 후에, 극저온 처리(cryogenic treatment)가 수행되는 경우, 더 잘 보장될 수 있는데, 즉, ??칭은 매질 (medium)에서, -220℃ 내지 -50℃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196℃에서의 액체 질소에서 또는 -80℃에서의 드라이아이스 (carbon dioxide snow)에서, 100-300℃에서 어닐링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된다.Acquisition of a high martensite level that can reach 100% can be better ensured if the cryogenic treatment is carried out after 20 ° C or below, annealing is carried out at a very low temperature of -220 ° C to -50 ° C, generally at -196 ° C in liquid nitrogen or in a carbon dioxide snow at -80 ° C, at 100-300 ° C Before it is done.

마르텐사이트 함량 레벨이 100%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나머지 미세구조는 일반적으로 잔류의 오스테나이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는 또한 페라이트가 존재할 수도 있다.If the martensite content level does not reach 100%, the remaining microstructure is essentially made up of the residual austenite. Ferrite may also be present here.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기의 결과들은 본 발명에 의해 부여된 유리한 특성들을 나타낼 것이다.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the following results will show advantageous properties impa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상이한 테스트된 강 샘플의 조성을 중량 백분율로 표현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밑줄 친 값들은 본 발명에 부합하지 않는 것들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C + N, Cr + 16 N - 5 C 및 17Cr + 500C + 500N의 값을 보고하였다.The compositions of the different tested steel samples are shown in Table 1, expressed as weight percentages. The underlined values are those that do not comply with the present invention. We have also reported values of C + N, Cr + 16N-5C and 17Cr + 500C + 500N for each sample.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표 1: 테스트된 샘플의 조성Table 1: Composition of tested samples

주조 후, 이들 강은 1100℃ 초과의 온도로 가열되었고, 3 mm의 두께로 열간 압연되었고, 800℃의 온도에서 어닐링된 후, 산세되고 (pickled) 1.5 mm의 두께로 냉간 압연되었다.After casting, these steels were heated to a temperature exceeding 1100 占 폚, hot rolled to a thickness of 3 mm, annealed at a temperature of 800 占 폚, pickled and cold-rolled to a thickness of 1.5 mm.

상기 강판은 그 다음에 800℃의 온도에서 어닐링되었다.The steel sheet was then anneal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상기 어닐링된 강판은 그 다음에 1050℃에서 15분의 오스테나이트화 처리를 겪고, 이어서 20℃의 온도로 물 중에서 ??칭하였다. The annealed steel sheet then underwent austenitization treatment at 1050 占 폚 for 15 minutes, followed by quenching in water at a temperature of 20 占 폚.

상기 판들을 두 개의 부분으로 절단한 후, 그 부분 중 하나를 -80℃의 서모스탯 배스 (thermostated bath)에 10분 동안 담근 다음, 극저온 처리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물 중에서 단순 ??칭을 추가하였다. After cutting the plates into two parts, one of them was immersed in a thermostated bath at -80 DEG C for 10 minutes and then a simple addition of water was added so that the effect of the cryogenic treatment could be evaluated Respectively.

200℃에서 1시간 동안 어닐링을 그 다음에 각각의 시트 부분에 대하여 수행하였다.Annealing for 1 hour at < RTI ID = 0.0 > 200 C < / RTI > was then performed on each sheet portion.

표 2는 이러한 강들에 대하여 수행된 테스트 및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밑줄 친 값들은 불충분하다고 여겨지는 성능 수준에 해당한다.Table 2 shows the tests and observations performed on these steels. The underlined values correspond to performance levels that are considered insufficient.

내부 건강 상태는 주입 후 미가공 응고 상태 (raw solidification state)에 대하여 평가되며, 후속 변형 작업으로 인해 이것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The internal health state is assessed for the raw solidification state after injection and is known not to damage it due to subsequent deformation work.

마르텐사이트 레벨은 20℃에서 물 중에서 ??칭한 후, -80℃에서 ??칭에 의해 극저온 처리한 후에 측정되는데, 이러한 ??칭, 또는 이들 ??칭 작업 중 두번째는 200℃에서 이어서 어닐링을 거친다. 20℃의 물 중에서 ??칭한 후 마르텐사이트 레벨이 75% 이상인 경우, 표 2에 주어진 다른 결과들은 20℃에서 ??칭, 이어서 200℃에서 어닐링된 상태에 관한 것이다. 20℃의 물 중에서 ??칭한 후 마르텐사이트 레벨이 75% 이하인 경우, 표 2에 주어진 다른 결과들은 -80℃에서 극저온 처리 (매우 낮은 온도로 ??칭, 예를 들어 드라이아이스에서 수행됨), 이어서 200℃에서 어닐링된 상태에 관한 것이다.The martensite level is measured after being cured in water at 20 ° C and then cryogenically treated at -80 ° C, and the second of these crystallization operations is followed by annealing at 200 ° C It goes through. Other results given in Table 2 when the martensite level is greater than 75% after being implanted in water at 20 ° C relates to a state at 20 ° C followed by an annealed state at 200 ° C. If the martensite level is less than 75% after being treated in water at 20 ° C, the other results given in Table 2 are cryogenic at very low temperatures (performed at very low temperatures, for example in dry ice) RTI ID = 0.0 > 200 C. < / RTI >

내식성은 NaCl 0.02M, 23℃ 및 pH 6.6으로 이루어진 환경에서 피팅하여 전기 화학적 부식 테스트로 평가된다. 24개의 샘플들에 대해 수행된 전기화학적 테스트는 기본 피팅 확률 (elementary pitting probability)이 0.1 cm-2와 같은 전위 (potential) E0.1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식성은 KCl로 포화된 칼로멜 전극(350 mV/ECS)과 비교하여 측정된 전위 E0.1가 350mV 보다 작은 경우,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전위 E0.1가 350 mV/ECS와 450 mV/ECS 사이로 포함되는 경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전위 E0.1가 450 mV/ECS 보다 큰 경우,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The corrosion resistance was evaluated by an electrochemical corrosion test by fitting in an environment of 0.02M NaCl, 23 DEG C and pH 6.6. The electrochemical tests performed on 24 samples enable the elementary pitting probability to determine a potential E 0.1 equal to 0.1 cm -2 . Corrosion resistance is considered unsatisfactory when the measured potential E 0.1 is less than 350 mV compared to a KCl saturated calomel electrode (350 mV / ECS). If the potential E 0.1 is included between 350 mV / ECS and 450 mV / ECS, it is considered satisfactory. When the dislocation E 0.1 is greater than 450 mV / ECS, it is considered very satisfactory.

비커스 경도는 표준 EN ISO 6507에 따라 스퀘어 베이스 (square base)를 갖는 다이아몬드 피라미드형 팁으로 1kg의 하중 하에서, 경면 연마된 컷 (mirror polished cut)에 대한 두께로 측정된다. 얻어진 경도의 평균은 10회의 임프린트(imprints)를 수행하여 계산된다. 평균 경도가 500 HV 미만인 경우, 경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된다. 평균 경도가 500 HV와 550 HV 사이로 포함되는 경우, 이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평균 경도가 551HV와 600 HV 사이로 포함되는 경우, 이는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평균 경도가 600 HV 보다 큰 경우, 이는 우수한 것으로 간주된다. The Vickers hardness is measured in terms of the thickness for a mirror polished cut under a load of 1 kg with a diamond pyramidal tip having a square base according to standard EN ISO 6507. The average of the hardness obtained is calculated by performing 10 imprints. If the average hardness is less than 500 HV, the hardness is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If the average hardness is included between 500 HV and 550 HV, this is considered to be satisfactory. If the average hardness is between 551 HV and 600 HV, this is considered very satisfactory. If the average hardness is greater than 600 HV, it is considered good.

연마성은 30N의 힘으로 SiC 180, 320, 500, 800 및 1200 종이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샘플의 중간 두께에서 평판 폴리싱 (flat polishing)을 수행한 다음, 입자 크기가 3㎛, 이후 20 N의 힘 하에서 1㎛의 입자 크기를 갖는 다이아몬드 페이스트로 흡수된 (imbibed) 시트 상에서 폴리싱하여 평가되었다. 표면은 그 다음에 x100의 배율로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전통적으로 "코멧-테일 (comet-tail)"이라고 불리는 결함 밀도(flaw density)가 100/cm²이상인 경우, 연마성은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밀도가 10/cm²와 99/cm²사이로 포함되는 경우, 연마성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밀도가 1/cm²내지 9/cm²로 포함되는 경우, 연마성은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밀도가 1/cm²보다 작은 경우, 연마성이 우수한 것으로 간주된다. The abrasivity was evaluated by flat polishing at a medium thickness of the sample using SiC 180, 320, 500, 800 and 1200 paper continuously with a force of 30 N, On an imbibed sheet with a diamond paste having a particle size of 1 mu m. The surface was then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t a magnification of x100. If the flaw density traditionally referred to as "comet-tail " is greater than 100 / cm2, then the abrasiveness is considered insufficient. When such a density is included between 10 / cm < 2 > and 99 / cm < 2 >, the abrasiveness is regarded as satisfactory. When such a density is included in the range of 1 / cm2 to 9 / cm2, the abrasiveness is considered to be very satisfactory. When the density is smaller than 1 / cm 2, the abrasive property is considered to be excellent.

내부 건강 상태는 x25의 배율로 광학 금속 조직학 (metallography)에 의해 미가공 응고 강 (raw solidification steel)의 절단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한다. 내부 건강 상태가 만족스럽지 않고 응고시 질소 버블의 형성을 반영하는 구형 기공 (globular cavities) (블로홀)이 관찰되는 경우, 표 2에서 값 "0"으로 표시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내부 건강 상태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되며, 표 2에서 값 "1"로 표시된다.Internal health status is assessed by observing the cleavage of raw solidification steel by optical metallography at a magnification of x25. When globular cavities (blowholes) are observed that reflect the formation of nitrogen bubbles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when the internal health condition is not satisfactory, the value "0" Otherwise, the internal health condition is deemed satisfactory and is indicated by the value "1 " in Table 2.

마르텐사이트 레벨은 오스테나이트의 특성 방사선 (characteristic ray)의 강도와 비교하여 마르텐사이트의 특성 방사선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X선 회절에 의해 결정되며, 검사된 모든 샘플들에서 이것이 유일하게 2 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샘플에서 다른 상들이 아주 조금 (marginally)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다른 무엇보다도 더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마르텐사이트 레벨이다.The martensite level is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by measuring the intensity of the characteristic radiation of the martensite as compared to the intensity of the characteristic ray of the austenite, and it is the only two phases present in all the samples tested It is known. In general, it can not be excluded that other phases in a s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observed marginally.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martensite level that should be considered more than anything else.

20℃에서 ??칭하고 200℃에서 어닐링한 후 7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레벨, 또는 20℃에서 어닐링하고, -80℃에서 극저온 처리하고, 200℃에서 어닐링한 후의 7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레벨이 만족스럽다. 이들 처리 중 하나에 의해 7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레벨을 얻을 수 없는 경우, 상기 샘플은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A martensite level of 75% or more after annealing at 200 占 폚, annealing at 20 占 폚 or at a cryogenic temperature of -80 占 폚 and annealing at 200 占 폚 is satisfactory. If at least 75% martensite levels can not be obtained by either of these treatments, the sample is considered unsatisfactory.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표 2: 표 1의 샘플들에 대하여 수행된 테스트의 결과Table 2: Results of tests performed on the samples in Table 1

본 발명에 따른 강 I1 내지 I6 뿐만 아니라 강 I8 내지 I9는 우수한 내식성, 경도 및 연마성을 갖추고, 우수한 내부 건강 상태 뿐만 아니라 20℃에서 ??칭한 후 7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레벨을 갖는다.The steels I8 to I9 as well as the steels I1 to I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and have an excellent internal health condition as well as a martensite level of 75% or more after being called at 20 deg.

본 발명에 따른 강 I7은 우수한 내식성, 경도 및 연마성의 특성을 갖추고, 우수한 내부 건강 상태 뿐만 아니라 7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레벨을 가지지만, -80℃에서 극저온 처리가 수행되는 조건에 대한 것이다. 실제로, 20℃에서 물 중에서 단순 ??칭 이후에, 상기 마르텐사이트 레벨은 여전히 충분하지 못하고,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샘플들 보다 높은 레벨에서의 Cr의 존재와 관련된다.The steel I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hardness and abrasion characteristics and has excellent internal health conditions as well as martensite levels of 75% or more, but under conditions where cryogenic treatment is carried out at -80 캜. Indeed, after simple quenching in water at 20 占 폚, the martensite level is still insufficient,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Cr at higher levels than other samp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N의 비슷한 레벨에서, 샘플 I1, I2 (여기서 C는 0.10%와 0.20% 사이), 한편으로는 샘플 I3 (여기서 C는 0.20%와 0.30% 사이), 특히 다른 한편으로는 샘플 I8, I9, I10 (여기서 C는 0.30%와 0.35% 사이) 사이에서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At a similar level of N, samples I1 and I2 (where C is between 0.10 and 0.20%), on the one hand, and sample I3 (where C is between 0.20 and 0.30%) and in particular samples I8, I9 and I10 (Where C is between 0.30% and 0.35%).

C가 여전히 높고 N이 이전 경우들과 동일한 수준인 I14는 그것들 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데, 왜냐하면 17Cr + 500C + 500N의 합의 높은 값 (표 1 참조)과 관련된 온도 Mf에서의 감소로 인해 ??칭 후의 마르텐사이트 부분 (fraction)이 감소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또한 N 및 다른 필수 원소의 비슷한 레벨에서, Cr의 증가가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샘플 I8 및 I9 참조). 반대로, Cr 함량 레벨의 증가는 경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샘플 I8, I10 및 I11 참조, 그 조성은 Cr에 대하여만 상당히 다르다. 18% 이상의 Cr은 내식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만족스러운 Ms를 유지하기 위하여 감소된 C 및 N의 함량 레벨을 초래할 것이며, 적절한 (correct) 경도는 더이상 보장되지 않을 것이다.C is still high and I14, which is the same level as the previous cases, has a lower hardness because of the decrease in temperature Mf associated with the high value of the sum of 17Cr + 500C + 500N (see Table 1) This is because the fraction of martensite begins to decrease. It can also be seen that, at similar levels of N and other essential elements, an increase in Cr can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see Samples I8 and I9). Conversely, an increase in the Cr content level tends to decrease the hardness; See samples I8, I10 and I11, the composition of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r only. More than 18% Cr may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but will result in reduced levels of C and N content to maintain a satisfactory Ms, and correct hardness will no longer be assured.

참조 강 (Reference steels) R1 내지 R3은 만족스럽지 못한 Cr 및 N의 함량 레벨, 뿐만 아니라 C + N 및/또는 Cr + 16 N - 5 C의 합을 갖는데, 이는 충분한 내식성을 허용하지 않는다.Reference steels R1 to R3 have unsatisfactory levels of Cr and N content, as well as the sum of C + N and / or Cr + 16 N - 5 C, which does not allow sufficient corrosion resistance.

참조 강 R4 및 R5는 불충분한 Cr 함량 레벨을 갖는다. N의 첨가에 의한 보상이 없는 경우, 강 R4는 또한 만족스럽지 못한 내식성을 초래하는 불충분한 Cr + 16 N - 5 C 조합을 갖는다. 강 R5에 대하여, N을 첨가함으로써 Cr의 부족에 대한 보상은 만족스러운 내식성을 회복하지만, Cr의 함량 레벨이 액체 금속 중의 N의 완전한 용해를 허용하기에 더이상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내부 건강 상태를 더이상 보장할 수 없다.Reference steels R4 and R5 have insufficient Cr content levels. In the absence of compensation by the addition of N, the steel R4 also has an insufficient Cr + 16N-5C combination which results in unsatisfactory corrosion resistance. Compensation for the shortage of Cr by adding N to the steel R5 restores satisfactory corrosion resistance, but since the content level of Cr is no longer sufficient to allow complete dissolution of N in the liquid metal, Can not be guaranteed.

참조 강 R6은 너무 높은 C 함량 레벨 및 불충분한 N 함량 레벨을 갖는다. 과도하게 높은 C 함량 레벨은 과도한 탄화물 형성으로 인해 충분한 연마성을 갖지 않는다.The reference steel R6 has too high a C content level and an insufficient N content level. Excessively high C content levels do not have sufficient abrasive properties due to excessive carbide formation.

참조 강 R7은 너무 높은 N 함량 레벨을 가지므로, 내부 건강 상태를 손상시킨다. 참조 강 R1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참조 강 R8은 과도한 C 함량 레벨을 가지는데, 이것은 불량한 연마성 및 심지어 -80℃에서 극저온 ??칭 이후에 너무 낮은 마르텐사이트 레벨을 초래한다. 참조 강 R9는 지나치게 많은 Cr을 함유하는데, 이것은 심지어 -80℃에서 극저온 ??칭 이후에 불충분한 마르텐사이트 레벨을 초래한다.Reference steel R7 has too high an N content level, thus impairing internal health. The same applies to the reference river R14. The reference steel R8 has an excessive C content level, which results in poor abrasive properties and even too low a martensite level after cryogenic heating at -80 ° C. The reference steel R9 contains too much Cr, which results in insufficient martensite levels even after cryogenic heating at -80 占 폚.

참조 강 R10 및 R11은 지나치게 낮은 C 함량 레벨 뿐만 아니라 불충분한 C + N 합을 가지므로 너무 낮은 경도를 초래한다. 참조 강 R12 및 R13은 각각의 원소의 개별 함량 레벨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가질 수 있으나, 16.0% 미만인 이들의 Cr + 16N -5C 함량 레벨은, 이러한 합인 Cr + 16N - 5C에 대하여 16.0%의 값을 단지 약간 초과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든 점들에 대하여 본 발명에 부합하는 강의 내식성 만큼 높은 내식성을 보장하기에는 불충분하다. The reference rivers R10 and R11 have too low C content levels as well as insufficient C + N sums, resulting in too low a hardness. The reference rivers R12 and R13 may have a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the individual content levels of each element, but their Cr + 16N-5C content levels below 16.0% are 16.0% for Cr + 16N-5C It is insufficient to ensure corrosion resistance as high as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ll the points, including only slightly exceeding the value.

본 발명에 따른 강은 절삭 공구, 예를 들면, 메스, 시저, 나이프 블레이드 또는 푸드 프로세서용 원형 블레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타당한 이유로 사용된다.The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reasonable reasons to manufacture cutting tools, for example, scalpels, scissors, knife blades or circular blades for food processors.

Claims (9)

중량 백분율로:
- 0.10% ≤ C ≤ 0.45%; 바람직하게는 0.20% ≤ C ≤ 0.38%; 더 양호하게는 (better) 0.20% ≤ C ≤ 0.35%; 최적으로는 (optimally) 0.30% ≤ C ≤ 0.35%;
- 미량 ≤ Mn ≤ 1.0%; 바람직하게는 미량 ≤ Mn ≤ 0.6%;
- 미량 ≤ Si ≤ 1.0%;
- 미량 ≤ S ≤ 0.01%; 바람직하게는 미량 ≤ S ≤ 0.005%;
- 미량 ≤ P ≤ 0.04%;
- 15.0% ≤ Cr ≤ 18.0%; 바람직하게는 15.0% ≤ Cr ≤ 17.0%; 더 양호하게는 15.2% ≤ Cr ≤ 17.0%; 최적으로는 15.5% ≤ Cr ≤ 16.0%;
- 미량 ≤ Ni ≤ 0.50%;
- 미량 ≤ Mo ≤ 0.50%; 바람직하게는 미량 ≤ Mo ≤ 0.01%; 더 양호하게는 미량 ≤ Mo ≤ 0.05%;
- 미량 ≤ Cu ≤ 0.50%; 바람직하게는 미량 ≤ Cu ≤ 0.3%;
- 미량 ≤ V ≤ 0.50%; 바람직하게는 미량 ≤ V ≤ 0.2%;
- 미량 ≤ Nb ≤ 0.03%;
- 미량 ≤ Ti ≤ 0.03%;
- 미량 ≤ Zr ≤ 0.03%;
- 미량 ≤ Al ≤ 0.010%;
- 미량 ≤ O ≤ 0.0080%;
- 미량 ≤ Pb ≤ 0.02%;
- 미량 ≤ Bi ≤ 0.02%;
- 미량 ≤ Sn ≤ 0.02%;
- 0.10% ≤ N ≤ 0.20%; 바람직하게는 0.15% ≤ N ≤ 0.20%;
- C + N ≥ 0.25%; 바람직하게는 C + N ≥ 0.30%; 더 양호하게는 C + N ≥ 0.45%;
- Cr + 16 N - 5 C ≥ 16.0%;
- 바람직하게는 17Cr + 500C + 500N ≤ 570%;
및 디벨로프먼트 (development)의 결과인 불순물과 철인 잔부 (rest)
의 조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By weight percentage:
- 0.10%? C? 0.45%; Preferably 0.20%? C? 0.38%; More preferably 0.20%? C? 0.35%; Optimally 0.30%? C? 0.35%;
- trace amount? Mn? 1.0%; Preferably a trace amount? Mn? 0.6%;
- trace amount? Si? 1.0%;
- trace amount? S? 0.01%; Preferably, the trace amount? S? 0.005%;
- trace amount? P? 0.04%;
- 15.0%? Cr? 18.0%; Preferably 15.0%? Cr? 17.0%; More preferably 15.2%? Cr? 17.0%; Optimally 15.5% < = Cr < = 16.0%;
- trace amount Ni < = 0.50%;
- trace amount? Mo? 0.50%; Preferably a trace amount? Mo? 0.01%; More preferably a trace amount? Mo? 0.05%;
- trace amount? Cu? 0.50%; Preferably a trace amount? Cu? 0.3%;
- trace amount? V? 0.50%; Preferably a trace amount? V? 0.2%;
- trace amount? Nb? 0.03%;
- trace amount? Ti? 0.03%;
- trace amount? Zr? 0.03%;
- trace amount? Al? 0.010%;
- trace amount? O? 0.0080%;
- trace amount? Pb? 0.02%;
- trace amount? Bi? 0.02%;
- trace amount? Sn? 0.02%;
- 0.10%? N? 0.20%; Preferably 0.15%? N? 0.20%;
- C + N? 0.25%; C + N > = 0.30%; More preferably C + N > = 0.45%;
- Cr + 16 N - 5 C ≥ 16.0%;
- preferably 17Cr + 500C + 500N < = 570%;
And the impurities and the rest of the iron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By weight of a martensitic stainless steel.
청구항 1에 있어서, 그 자신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e)가 적어도 75%의 마르텐사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The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s microstructure contains at least 75% of martensite. - 청구항 1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으로부터 반제품이 디벨로프되고 (developed) 주입되며 (poured);
- 상기 반제품은 10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고;
- 상기 반제품은 시트 (sheet), 바 (bar) 또는 선재 (wire rod)를 얻기 위해 열간 압연되며;
- 상기 시트, 바 또는 선재는 700℃와 900℃ 사이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어닐링되고 (annealed);
- 상기 시트, 바 또는 선재에 대한 성형 작업 (shaping operation)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의 제조 방법.
- semi-finished products are developed and poured from a steel hav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semi-finished product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1000 캜 or higher;
The semi-finished product is hot-rolled to obtain a sheet, a bar or a wire rod;
The sheet, bar or wire is annealed at a temperature comprised between 700 [deg.] C and 900 [deg.] C;
Characterized in that a shaping operation is carried out on the sheet, bar or wire, the semi-finished product being made of martensitic stainless stee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은 시트이고, 상기 성형 작업은 냉간 압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의 제조 방법.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finished produc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mi-finished product is a sheet and the forming operation is cold-roll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은 바 또는 선재이고, 상기 성형 작업은 단조 (forg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의 제조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mi-finished product is a bar or a wire rod, and the forming operation is forging.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청구항 2에 따른 조성을 가지며, 성형된 상기 반제품은 다음에 950℃와 1150℃ 사이에서 오스테나이트화되고 (austenitized), 이후에 적어도 15℃/s의 속도에서 2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100℃와 300℃ 사이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어닐링을 겪는 (undergoes)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의 제조 방법.The ste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steel has a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shaped semi-finished product is then austenitized between 950 ° C and 1150 ° C, gt; 20 C < / RTI > at a temperature of between about < RTI ID = 0.0 > 100 C < / RTI > and < RTI ID = 0.0 > 300 C. < / RTI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조성을 가지며, 성형된 상기 반제품은 다음에 950℃와 1150℃ 사이에서 오스테나이트화되고, 이후에 적어도 15℃/s의 속도에서 2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220℃ 내지 -50℃의 온도에서 극저온 처리 (cryogenic treatment)를 겪은 후, 100℃와 300℃ 사이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어닐링을 겪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의 제조 방법.The ste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steel has a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shaped semi-finished product is then austenitized between 950 ° C and 1150 ° C, s and then undergoes a cryogenic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220 ° C to -50 ° C and then undergoes annealing at a temperature comprised between 100 ° C and 300 ° C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artensitic stainless steel.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제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cutting tool).A cutting tool comprising a semi-finished product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 to 7. 청구항 8에 있어서, 나이프 블레이드 (knife blade), 푸드 프로세서 블레이드 (food processor blade), 메스 (scalpel), 또는 시저 블레이드 (scissor blade)와 같은 커트러리 물품(cutlery i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The cutting tool according to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utlery item such as a knife blade, a food processor blade, a scalpel, or a scissor blade.
KR1020177034728A 2015-04-30 2016-04-29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above steel, and a cutting tool manufactured from the semi-finished product KR2017014125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5/053144 WO2016174500A1 (en) 2015-04-30 2015-04-30 Martensitic stainless steel,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made from said steel and cutting tool produced from said semi-finished product
IBPCT/IB2015/053144 2015-04-30
PCT/EP2016/059684 WO2016146857A1 (en) 2015-04-30 2016-04-29 Martensitic stainless stee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emi-finished product from said steel, and cutting tool produced from the semi-finished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250A true KR20170141250A (en) 2017-12-22

Family

ID=5317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728A KR20170141250A (en) 2015-04-30 2016-04-29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above steel, and a cutting tool manufactured from the semi-finished product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80127858A1 (en)
EP (1) EP3289109B1 (en)
JP (1) JP6767389B2 (en)
KR (1) KR20170141250A (en)
CN (1) CN107567507A (en)
BR (1) BR112017023361B1 (en)
CA (1) CA2984514A1 (en)
ES (1) ES2796354T3 (en)
MX (1) MX2017013834A (en)
RU (1) RU2017137708A (en)
UA (1) UA120119C2 (en)
WO (2) WO201617450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5776B (en) * 2016-04-22 2020-09-08 安普朗公司 Process for manufacturing martensitic stainless steel parts from sheet material
CN106636893A (en) * 2016-11-25 2017-05-10 邢台钢铁有限责任公司 Stainless steel wire rod easy to cu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17003965B4 (en) * 2017-04-25 2019-12-12 Zapp Precision Metals Gmbh Martensitic chrome steel, steel foil, perforated and / or perforated steel foil component, process for producing a steel foil
KR102471016B1 (en) * 2018-06-13 2022-11-28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Martensitic S free-cutting stainless steel
CN109022728B (en) * 2018-07-20 2020-05-26 西安建筑科技大学 High-temperature quenching-deep supercooling-low-temperature partitioning heat treatment method for metast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stainless steel
CN109666779B (en) * 2018-12-06 2021-01-01 南京理工大学 Cutting edge martensite reinforced medical surgical sciss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438404A (en) * 2019-09-09 2019-11-12 山东泰山钢铁集团有限公司 A kind of the ingredient design and control technology of measurer slide calliper rule stee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01656B (en) * 1967-06-30 1968-06-17 Sandvikens Jernverks Ab
US3575737A (en) * 1968-06-25 1971-04-20 Sandvikens Jernverks Ab Razor blades and other thin cutting edge tool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uch tools
US4180420A (en) * 1977-12-01 1979-12-25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s
JPS6134161A (en) * 1984-07-25 1986-02-18 Kawasaki Steel Corp Stainless steel for cutlery
JPH07113126B2 (en) * 1987-12-26 1995-12-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JPH07110970B2 (en) * 1987-12-26 1995-11-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cicular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FR2708939B1 (en) * 1993-08-11 1995-11-03 Sima Sa Low carbon nitrogen martensitic stee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3219128B2 (en) * 1996-03-19 2001-10-15 日新製鋼株式会社 High-strength martens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GB2324305B (en) * 1997-04-16 2000-05-24 Nsk Ltd Rolling member
JP3965779B2 (en) * 1998-05-22 2007-08-2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Steel for plastic molds
JP2000144332A (en) * 1998-11-02 2000-05-26 Sanyo Special Steel Co Ltd Steel for die for plastic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mirror finishing property
US6273973B1 (en) * 1999-12-02 2001-08-14 Ati Properties, Inc. Steelmaking process
JP3452354B2 (en) * 2000-01-20 2003-09-29 日本高周波鋼業株式会社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piston rings and deformed wires for piston rings
FR2896514B1 (en) * 2006-01-26 2008-05-30 Aubert & Duval Soc Par Actions STAINLESS STEEL MARTENSITIC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RKPIECE IN THIS STEEL, SUCH AS A VALVE.
JP4857811B2 (en) * 2006-02-27 2012-01-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Steel for knives
JP5368887B2 (en) * 2008-09-01 2013-12-18 ミネベア株式会社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rolling bearings
CN101768700A (en) * 2009-02-01 2010-07-07 裘德鑫 Antibacterial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pplied in hardware industry
KR101318274B1 (en) * 2009-12-28 2013-10-15 주식회사 포스코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by twin roll strip cast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337461B (en) * 2010-07-23 2013-10-1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High-hardness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1239589B1 (en) * 2010-12-27 2013-03-05 주식회사 포스코 High corrosion resistance martensite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168226B (en) * 2011-04-02 2013-04-10 裘德鑫 Martensite antibacterial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23826B1 (en) * 2012-07-16 2014-07-25 주식회사 포스코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27858A1 (en) 2018-05-10
RU2017137708A3 (en) 2019-10-21
EP3289109A1 (en) 2018-03-07
UA120119C2 (en) 2019-10-10
JP6767389B2 (en) 2020-10-14
EP3289109B1 (en) 2020-03-04
WO2016146857A1 (en) 2016-09-22
RU2017137708A (en) 2019-04-30
MX2017013834A (en) 2018-03-21
JP2018521215A (en) 2018-08-02
CA2984514A1 (en) 2016-09-22
BR112017023361B1 (en) 2021-07-13
WO2016174500A1 (en) 2016-11-03
CN107567507A (en) 2018-01-09
BR112017023361A2 (en) 2018-07-17
ES2796354T3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1250A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above steel, and a cutting tool manufactured from the semi-finished product
CN105378132B (en)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e method
JP4857811B2 (en) Steel for knives
JP5333695B1 (en) Stainless steel for blad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0215995A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CN104169453B (en) The steel wire for high-strength spring material of peeling excellence and high-strength spring
JP3354163B2 (en) Stainless steel for raz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66041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for blades
TWI612155B (en) Cold working too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d working tool
CN105063462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polish stick
CN110997952B (en) Method for producing Ni-containing steel sheet
JP7163639B2 (en) Steel bars or steel produc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JP604487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strip for blades
US20230212705A1 (en)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dged tool, and cutlery
JP7404792B2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par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JPH06145907A (en) Steel for stainless razor excellent in hardenability
JP722982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carbon steel sheet
KR10235177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Ni-containing steel sheet
KR10203015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good surface quality
JP2004292876A (en) High-strength forged parts superior in drawing characterist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5003838B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artensitic stainless steel member
JP5466897B2 (en) Low carbo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316058B2 (en) Steel for heat treatment
JPH01301839A (en) Steel material for cutting tools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JP2006257500A (en) Dicing saw tap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9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915

Effective date: 202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