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184A -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 - Google Patents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184A
KR20170141184A KR1020177011103A KR20177011103A KR20170141184A KR 20170141184 A KR20170141184 A KR 20170141184A KR 1020177011103 A KR1020177011103 A KR 1020177011103A KR 20177011103 A KR20177011103 A KR 20177011103A KR 20170141184 A KR20170141184 A KR 20170141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ogging
quot
condi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718B1 (ko
Inventor
오사무 나스
나오유키 아오야마
다카시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4Control of logging system, e.g. decision on which data to store; time-stamping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시계열로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로깅 데이터를 기억하는 로깅 데이터 기억부와, 데이터를 시계열로 나누는 시기를 정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로깅부와,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트리거 조건 판정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로깅부는 데이터를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여, 트리거 조건 판정부에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되면, 데이터를 새로운 로깅 데이터에 기입한다.

Description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 LOGGING APPARATUS AND LOGGING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를 시계열로 기억하는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를 다양한 상황에서 수집하여, 데이터를 상황마다 수집해 두고 싶다고 하는 요망(要望)이 있다. 특히, 트러블 발생시에는, 트러블을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수집은 중요하다.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CPU(15)는 광 센서(14)에 트리거인 광 신호가 입력된 것을 검출하면, 앰프(11, 12) 중 어느 것에 입력된 신호의 수록을 개시하고, 광 센서(14)에 다음 광 신호가 입력된 것을 검출하면, 입력된 신호의 수록을 정지하는 신호 기록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단락[0039]).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274223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신호 기록 장치에서는, 신호 수록의 개시 및 정지를 위해서, 트리거인 광 신호가 입력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신호 기록 장치는, 생산 현장에서 사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생산 현장에서의 사용이 용이한 로깅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시계열(時系列)로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로깅 데이터를 기억하는 로깅 데이터 기억부와, 데이터를 시계열로 나누는 시기를 정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로깅부와,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트리거 조건 판정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로깅부는 데이터를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고, 트리거 조건 판정부에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되면, 데이터를 새로운 로깅 데이터에 기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깅 장치는, 생산 현장에서의 사용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메인 기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표시부의 표시면에 표시되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표시부의 표시면에 표시되는 로깅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산업 시스템(1)은 제품의 제조로 예시되는 산업 공정을 실행하는 기계(3)와, 기계(3)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JIS(일본공업규격,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B 3502:2011, programmable controllers(PLC))(2)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와 통신하는 엔지니어링 툴(4)을 포함한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는 메인 기판(21)과, 메인 기판(21)과 버스(B1)를 통해서 접속된 입출력 유닛(22), 네트워크 유닛(23) 및 로깅 장치(24)를 포함한다. 입출력 유닛(22), 네트워크 유닛(23) 및 로깅 장치(24)의 각각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의 서브 기판이다.
입출력 유닛(22)은 기계(3)에 접속되어 있고, 메인 기판(2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계(3)에 출력하고, 기계(3)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메인 기판(21)에 송신하는 송수신기이다.
메인 기판(21)은 버스(B1) 및 입출력 유닛(22)을 통해서 기계(3)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기계(3)를 제어한다.
네트워크 유닛(23)은 네트워크(N1)에 접속되어 있고, 메인 기판(21)은 네트워크 유닛(23)을 통해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송수신기이다.
로깅 장치(24)는 네트워크(N2)를 경유하여 엔지니어링 툴(4)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N1 및 N2)는 Ethernet(등록 상표, IEEE 802.3)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802.11a/b/g/n/ac)가 예시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메인 기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인 기판(2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21a)와, RAM(Random Access Memory)인 메모리(21b)와, 버스 인터페이스(21c)와, 기억부(21d)를 포함한다. CPU(21a), 메모리(21b), 버스 인터페이스(21c) 및 기억부(21d)는, 버스(B2)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21c)는 버스(B1)와 버스(B2)를 연락(連絡)하는 버스 브릿지 회로이다.
기억부(21d)는 프로젝트 데이터(21e)를 기억한다. 기억부(21d)는 SSD(Solid State Drive), HDD(Hard Disk Drive) 또는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가 예시된다.
프로젝트 데이터(21e)는 래더 언어로 예시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된, 기계(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21e1)과, 제어 프로그램(21e1)의 실행시에 참조되는 제어 파라미터(21e2)를 포함한다.
프로젝트 데이터(21e)는 제어 프로그램(21e1)의 실행시의 작업 영역인 디바이스를 메모리(21b) 내에 확보하는 메모리 확보 기술(記述)이 이루어진 데이터인, 디바이스 메모리(21e3)를 포함한다.
프로젝트 데이터(21e)는 입출력 유닛(22)과 기계(3)의 접속 관계의 기술이 이루어진 데이터인, 접속 정보(21e4)를 포함한다.
CPU(21a)는 제어 파라미터(21e2)를 참조 및 메모리(21b) 내에 확보된 작업 영역인 디바이스를 사용하면서, 제어 프로그램(21e1)을 실행함으로써, 기계(3)를 제어한다.
메모리(21b) 내에는, 디바이스 메모리(21e3) 내의 기술에 기초하여, 복수의 작업 영역인 디바이스가 확보된다. 기계(3)로의 출력용으로 확보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에 기입된 데이터는, 버스(B2), 버스 인터페이스(21c), 버스(B1) 및 입출력 유닛(22)을 경유하여, 기계(3)로 출력된다. 또, 기계(3)로부터 입출력 유닛(22)에 입력된 데이터는, 버스(B1), 버스 인터페이스(21c) 및 버스(B2)를 경유하여, 기계(3)로부터의 입력용으로 확보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에 기입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메모리(21b)는 기계(3)로부터의 입력용으로 확보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디바이스 「D2」(21b2), 디바이스 「D3」(21b3) 및 디바이스 「D4」(21b4)를 포함한다.
「D1」, 「D2」, 「D3」 및 「D4」는 디바이스의 명칭이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의 메이커 또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의 유저에 의해서, 각 디바이스에 부여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디바이스 「D2」(21b2), 디바이스 「D3」(21b3) 및 디바이스 「D4」(21b4)에는, 초기치 「0」이 격납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에는, 기계(3)로부터 입출력 유닛(22)에 입력되는 「센서 이상(異常) 검출」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에는, 기계(3)에서 센서 이상이 검출되어 있지 않으면 「0」이 기입되고, 기계(3)에서 센서 이상이 검출되어 있으면 「1」이 기입된다.
또,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에는, 기계(3)로부터 입출력 유닛(22)에 입력되는 「전압 저하」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에는, 기계(3)에서 전압 저하가 검출되어 있지 않으면 「0」이 기입되고, 기계(3)에서 전압 저하가 검출되어 있으면 「1」이 기입된다.
또,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에는, 기계(3)로부터 입출력 유닛(22)에 입력되는 「긴급 정지」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에는, 기계(3)가 긴급 정지하고 있지 않으면 「0」이 기입되고, 기계(3)가 긴급 정지하고 있으면 「1」이 기입된다.
또,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에는, 기계(3)로부터 입출력 유닛(22)에 입력되는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에는, 기계(3)가 커터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면 「0」이 기입되고, 기계(3)가 커터를 사용하고 있으면 「1」이 기입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엔지니어링 툴(4)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 가능하다. 컴퓨터는 CPU(41)와, RAM(42)과, ROM(Read Only Memory)(43)과, 기억부(44)와, 입력부(45)와, 표시부(46)와, 통신 인터페이스(47)를 포함한다. CPU(41), RAM(42), ROM(43), 기억부(44), 입력부(45), 표시부(46) 및 통신 인터페이스(47)는, 버스(B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CPU(41)는 RAM(42)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면서, ROM(43) 및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OM(4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또는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가 예시된다.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이 예시된다. 기억부(44)는 SSD 또는 HDD가 예시된다.
입력부(45)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수신기이다. 입력부(45)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예시된다. 표시부(46)는 문자 및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46)는 디스플레이이며, 액정 표시 장치가 예시된다. 통신 인터페이스(47)는 로깅 장치(24)와 통신을 행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억부(44)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44a)을 기억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44a)은,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시계열로 나누는 시기를 정하는 조건인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를 작성하여 로깅 장치(24)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CPU(41)가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44a)을 실행함으로써,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시계열로 나누는 시기를 정하는 조건인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를 작성하여 로깅 장치(24)에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부(41a)가 실현된다.
기억부(44)는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44b)을 기억한다.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44b)은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 또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는 조건인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작성하여 로깅 장치(24)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CPU(41)가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44b)을 실행함으로써,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 또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는 조건인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작성하여 로깅 장치(24)에 송신하는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부(41b)가 실현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부(41a)는 스텝 S100에 있어서, 트리거 조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을 표시부(46)에 표시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부(41a)는 스텝 S102에 있어서, 입력부(45)를 통해서, 트리거 조건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표시부의 표시면에 표시되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부(41a)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9)을, 표시부(46)의 표시면(46a)에 표시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9)은 단일의 조건을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49a)과, 복수의 조건의 조합을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49b)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선택 영역(49a)이 유저에 의해서 선택되고, 단일의 조건을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9)은 트리거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49g)을 포함한다. 입력란(49g)은 트리거 조건의 타입을 입력하기 위한 제1 항목(49g1)과, 트리거 조건의 설정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제2 항목(49g2)을 포함한다. 트리거 조건의 타입은 시간 또는 디바이스의 데이터의 값이 예시된다.
단일의 조건을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입력부(45)를 조작하여, 단일의 트리거 조건을 입력란(49g)의 제1 행(49g3) 내에 입력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행(49g3)의 제1 항목(49g1)에는, 트리거 조건의 타입 「시간」이 입력되어 있다. 제1 행(49g3)의 제2 항목(49g2)에는, 트리거 조건의 설정 내용 「1시간마다」가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서는, 1시간마다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9)은 복수의 조건의 OR(논리합)를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선택 영역(49c)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건의 조합을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는, 유저는 복수의 조건을 입력란(49g)의 복수의 행에 입력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의 값이 「5」가 되는지 또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F1」의 값이 「ON」이 되는지를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선택 영역(49b 및 49c)을 선택한다. 또한, 유저는 트리거 조건의 타입 「데이터 조건(비교)」을 제1 행(49g3)의 제1 항목(49g1)에 입력하고, 트리거 조건의 내용 「D1=5」를 제1 행(49g3)의 제2 항목(49g2)에 입력하고, 트리거 조건의 타입 「데이터 조건(비교)」을 제2 행(49g4)의 제1 항목(49g1)에 입력하고, 트리거 조건의 내용 「F1=ON」을 제2 행(49g4)의 제2 항목(49g2)에 입력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9)은 복수의 조건의 AND(논리곱)를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선택 영역(49d)을 포함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9)은 조건 성립의 횟수를 설정하여, 조건이 설정 횟수 성립하는 것을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선택 영역(49e)을 포함한다.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9)은, 복수의 조건이 성립하는 순서를 설정하여, 조건이 설정 순서로 성립하는 것을 트리거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선택 영역(49f)을 포함한다.
유저는 트리거 조건의 입력이 끝나면, 「완료」영역(49h)을 선택한다.
엔지니어링 툴(4)의 동작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부(41a)는 스텝 S104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를 기억부(44) 내에 작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는 트리거 조건의 타입을 격납하는 제1 항목(44c1)과, 트리거 조건의 설정 내용을 격납하는 제2 항목(44c2)을 포함한다. 제1 항목(44c1)에는, 트리거 조건의 타입 「시간」이 격납되어 있고, 제2 항목(44c2)에는 트리거 조건의 내용 「1시간마다」가 격납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리거 조건 데이터 작성부(41a)는 스텝 S106에 있어서,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를 로깅 장치(24)에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로깅 장치(24)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를 엔지니어링 툴(4)로부터 수신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부(41b)는 스텝 S110에 있어서, 로깅 조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로깅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을 표시부(46)에 표시한다.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부(41b)는 스텝 S112에 있어서, 입력부(45)를 통해서, 로깅 조건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를 포함하는 산업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툴의 표시부의 표시면에 표시되는 로깅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부(41b)는 로깅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8)을, 표시부(46)의 표시면(46a)에 표시한다.
로깅 조건 데이터 입력 화면(48)은 로깅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48a)을 포함한다.
입력란(48a)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를 카운트하는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7 항목(48a7)을 포함한다.
입력란(48a)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선두(先頭) 및 말미(末尾)를 입력하기 위한 제1 항목(48a1)을 포함한다.
입력란(48a)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데이터 타입을 입력하기 위한 제2 항목(48a2)을 포함한다.
입력란(48a)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사이즈를 입력하기 위한 제3 항목(48a3)을 포함한다.
입력란(48a)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값의 출력치의 의미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제4 항목(48a4)을 포함한다.
입력란(48a)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스케일링을 입력하기 위한 제5 항목(48a5)을 포함한다.
입력란(48a)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출력 형식을 입력하기 위한 제6 항목(48a6)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에서부터 제4 행(48a11)까지의 4개의 행에, 4개의 로깅 조건이 각각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의 제1 항목(48a1)에는,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선두 및 말미 「D1」이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의 제2 항목(48a2)에는,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의 데이터 타입 「워드(부호 붙음)」가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의 제3 항목(48a3)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의 데이터 타입이 「워드(부호 붙음)」이므로, 입력이 생략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의 제4 항목(48a4)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의 의미 내용 「횟수」가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의 제5 항목(48a5)은,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의 스케일링을 행하지 않으므로, 입력이 생략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의 제6 항목(48a6)에는,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의 출력 형식 「소수 형식(자릿수:0)」이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1 행(48a8)의 제7 항목(48a7)에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을 카운트하는 조건 「=1」이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은 격납되는 값이 「1」이 되면, 카운트된다.
입력란(48a)의 제2 행(48a9)의 제1 항목(48a1)에는,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선두 및 말미 「D2」가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2 행(48a8)의 제2 항목(48a2)에서부터 제7 항목(48a7)까지에는, 제1 행(48a8)의 제2 항목(48a2)에서부터 제7 항목(48a7)까지와 같은 값이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3 행(48a10)의 제1 항목(48a1)에는,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선두 및 말미 「D3」이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3 행(48a10)의 제2 항목(48a2)에서부터 제7 항목(48a7)까지에는, 제1 행(48a8)의 제2 항목(48a2)에서부터 제7 항목(48a7)까지와 같은 값이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4 행(48a11)의 제1 항목(48a1)에는,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변화한 횟수 및 제7 항목(48a7)에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유지한 누적 시간의 카운트의 대상으로 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의 선두 및 말미 「D4」가 입력되어 있다.
입력란(48a)의 제4 행(48a11)의 제2 항목(48a2)에서부터 제7 항목(48a7)까지에는, 제1 행(48a8)의 제2 항목(48a2)에서부터 제7 항목(48a7)까지와 같은 값이 입력되어 있다.
유저는 로깅 조건의 입력이 끝나면, 「완료」영역(48b)을 선택한다.
엔지니어링 툴(4)의 동작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도 7을 참조하면,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부(41b)는 스텝 S114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기억부(44) 내에 작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로깅 조건 데이터(44d)는 카운트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를 격납하는 제1 항목(44d1)과, 카운트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를 카운트하는 조건을 격납하는 제2 항목(44d2)을 포함한다.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1 행(44d3)의 제1 항목(44d1)에는, 디바이스명 「D1」이 격납되고, 제2 항목(44d2)에는, 조건 「=1」이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은 격납되는 값이 「1」로 변화한 횟수 및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이 카운트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1 행(44d3)에 기술된 로깅 조건을, 제1 로깅 조건이라고 칭한다.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2 행(44d4)의 제1 항목(44d1)에는, 디바이스명 「D2」가 격납되고, 제2 항목(44d2)에는, 조건 「=1」이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는 격납되는 값이 「1」로 변화한 횟수 및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이 카운트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2 행(44d4)에 기술된 로깅 조건을, 제2 로깅 조건이라고 칭한다.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3 행(44d5)의 제1 항목(44d1)에는, 디바이스명 「D3」이 격납되고, 제2 항목(44d2)에는 조건 「=1」이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은 격납되는 값이 「1」로 변화한 횟수 및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이 카운트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3 행(44d5)에 기술된 로깅 조건을, 제3 로깅 조건이라고 칭한다.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4 행(44d6)의 제1 항목(44d1)에는, 디바이스명 「D4」가 격납되고, 제2 항목(44d2)에는, 조건 「=1」이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는 격납되는 값이 「1」로 변화한 횟수 및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이 카운트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로깅 조건 데이터(44d)의 제4 행(44d6)에 기술된 로깅 조건을, 제4 로깅 조건이라고 칭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로깅 조건 데이터 작성부(41b)는 스텝 S116에 있어서,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로깅 장치(24)에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로깅 장치(24)는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엔지니어링 툴(4)로부터 수신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깅 장치(24)는 버스 인터페이스(24a)와, CPU(24b)와, 불휘발성 기억부(24c)와, 슬롯(24d)에 수납된 리무버블한 불휘발성 기억 매체인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f)를 포함한다. 버스 인터페이스(24a), CPU(24b), 불휘발성 기억부(24c),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f)는, 버스(B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24a)는 버스(B1)와 버스(B3)를 연락하는 버스 브릿지 회로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f)는 네트워크(N2)를 통해서, 엔지니어링 툴(4)에 접속되어 있다.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SSD, HDD 또는 eMMC가 예시된다.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는 SD 카드(등록 상표), CompactFlash(등록 상표), USB 메모리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가 예시된다.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가 리무버블한 불휘발성 기억부이면, 데이터의 가반성(可搬性)이 향상된다.
또한,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는 비(非)리무버블한 불휘발성 기억부여도 된다. 비리무버블한 불휘발성 기억부는 SSD 또는 eMMC가 예시된다.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가 비리무버블한 불휘발성 기억부이면, 슬롯(24d)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 점수(點數)의 삭감, 실장 면적의 축소 또는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시계열로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24c1)을 기억한다.
CPU(24b)가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24c1)을 실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시계열로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24b1)가 실현된다.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데이터 로깅 프로그램(24c2)을 기억한다. 데이터 로깅 프로그램(24c2)은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 및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엔지니어링 툴(4)로부터 수신하여 불휘발성 기억부(24c)에 기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 데이터 로깅 프로그램(24c2)은 외부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에 기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CPU(24b)가 데이터 로깅 프로그램(24c2)을 실행함으로써,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 및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엔지니어링 툴(4)로부터 수신하여 불휘발성 기억부(24c)에 기입하여, 외부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에 기입하는 데이터 로깅부(24b2)가 실현된다.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트리거 조건 판정 프로그램(24c3)을 기억한다.
CPU(24b)가 트리거 조건 판정 프로그램(24c3)을 실행함으로써,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트리거 조건 판정부(24b3)가 실현된다.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로깅 조건 판정 프로그램(24c4)을 기억한다.
CPU(24b)가 로깅 조건 판정 프로그램(24c4)을 실행함으로써,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로깅 조건 판정부(24b4)가 실현된다.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엔지니어링 툴(4)로부터 수신한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 및 로깅 조건 데이터(44d)를 기억한다.
로깅 장치(2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로깅 장치(24)가 도 11에 나타내는 순서도의 실행을 개시하는 시각을 14시 00분 00초로 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0에 있어서, 정전으로부터의 복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정전으로부터의 복귀는 아니라고 판정하면(No), 처리를 스텝 S202로 진행하고, 정전으로부터의 복귀라고 판정하면(Yes), 처리를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2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의 각각마다, 횟수 카운터 및 누적 시간 카운터를 작성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내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가 제1 로깅 조건 「=1」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에 격납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내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가 제1 로깅 조건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에 격납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 내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가 제2 로깅 조건 「=1」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에 격납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 내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가 제2 로깅 조건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에 격납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 내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가 제3 로깅 조건 「=1」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에 격납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 내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가 제3 로깅 조건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에 격납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 내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제4 로깅 조건 「=1」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에 격납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 내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제4 로깅 조건 「=1」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메모리 영역을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확보하고, 초기치 「0」을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에 격납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4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내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 내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 내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내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제 1 로깅 데이터(24e1)의 파일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의 제1 로깅 데이터(24e1)는,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제1 행(24e1a)과,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제2 행(24e1b)과,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제3 행(24e1c)과,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제4 행(24e1d)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에는, 트리거 조건의 타입 「시간」 및 트리거 조건의 내용 「1시간마다」가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서는, 1시간마다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로깅 장치(24)의 데이터 취득 주기는, 1초로 한다.
따라서 제1 로깅 데이터(24e1)는 현재 시각 「14시 00분 00초」부터, 1초 단위로, 59분 59초 후의 「14시 59분 59초」까지의 3600개의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0에서 정전으로부터의 복귀로 판정하면(Yes), 스텝 S202 및 스텝 S204를 스킵한다.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불휘발성이므로, 정전 직전의 횟수 카운터 및 누적 시간 카운터가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남아 있기 때문에, 횟수 카운터 및 누적 시간 카운터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도 불휘발성이므로, 정전 직전의 로깅 데이터가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남아 있기 때문에, 횟수 카운터 및 누적 시간 카운터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정전으로부터 복귀될 때, 정전 직전까지의 횟수 카운터, 누적 시간 카운터 및 로깅 데이터를 계승하여, 로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로깅 장치(24)는 스텝 S206에서부터 스텝 S228까지를,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반복 실행한다.
데이터 취득부(24b1)는 스텝 S20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디바이스 「D2」(21b2), 디바이스 「D3」(21b3) 및 디바이스 「D4」(21b4)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부(24b1)는 입출력 유닛(22)과 메인 기판(21) 사이의 버스 통신을 스눕(snoop)함으로써,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디바이스 「D2」(21b2), 디바이스 「D3」(21b3) 및 디바이스 「D4」(21b4)의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 또, 데이터 취득부(24b1)는 메인 기판(21)과 버스 통신을 행함으로써,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디바이스 「D2」(21b2), 디바이스 「D3」(21b3) 및 디바이스 「D4」(21b4)의 데이터를 메인 기판(21)으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데이터 취득부(24b1)는 스텝 S208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 디바이스 「D2」(21b2), 디바이스 「D3」(21b3) 및 디바이스 「D4」(21b4)의 데이터를, 현재의 로깅 데이터에 기입한다.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스텝 S210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면(Yes), 처리를 스텝 S212로 진행하고,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의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No), 처리를 스텝 S218로 진행한다.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스텝 S212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의 로깅 조건이 만족된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의 로깅 조건이 만족된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하면(Yes), 처리를 스텝 S214로 진행하고,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의 로깅 조건이 만족된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No), 처리를 스텝 S216으로 진행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14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의 로깅 조건이 만족된 디바이스의 횟수 카운터를 카운트업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16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의 로깅 조건이 만족된 디바이스의 누적 시간 카운터를 카운트업한다.
트리거 조건 판정부(24b3)는 스텝 S218에 있어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트리거 조건 판정부(24b3)는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면(Yes), 처리를 스텝 S220으로 진행하고,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No), 처리를 스텝 S228로 진행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20에 있어서, 전(全) 횟수 카운터 내의 횟수 및 전(全) 누적 시간 카운터 내의 누적 시간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에 기입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22에 있어서, 전 횟수 카운터 및 전 누적 시간 카운터를, 「0」으로 클리어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24에 있어서, 현재의 로깅 데이터의 파일을 클로우즈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26에 있어서, 새로운 로깅 데이터의 파일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28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시간, 즉 1초만큼 대기하고, 처리를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로깅 장치(24)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인 파형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시각 14시 00분 00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는 「0」이다. 데이터 취득부(24b1)는 스텝 S20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데이터 「0」을 취득한다.
시각 14시 00분 00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는 「0」이다. 데이터 취득부(24b1)는 스텝 S20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데이터 「0」을 취득한다.
시각 14시 00분 00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는 「0」이다. 데이터 취득부(24b1)는 스텝 S20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데이터 「0」을 취득한다.
시각 14시 00분 00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데이터 취득부(24b1)는 스텝 S20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데이터 「0」을 취득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8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부(24b1)가 취득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0」,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0」,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0」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 「0」을, 제1 로깅 데이터(24e1)에 기입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8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0」을, 제1 행(24e1a)의 시각 「14시 00분 00초」의 항목에 기입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8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0」을, 제2 행(24e1b)의 시각 「14시 00분 00초」의 항목에 기입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8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0」을, 제3 행(24e1c)의 시각 「14시 00분 00초」의 항목에 기입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스텝 S208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 「0」을, 제4 행(24e1d)의 시각 「14시 00분 00초」의 항목에 기입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시각 14시 00분 00초에서부터 시각 14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0」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0」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0」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0」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1 로깅 데이터(24e1)에 기입한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시각 14시 00분 00초에서부터 타이밍 t1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시각 14시 00분 00초에서부터 타이밍 t1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타이밍 t1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가 「0」에서 「1」로 변화함과 아울러,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에 있어서, 제2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에 있어서,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1에 있어서,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1」이 된다.
타이밍 t1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2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에서부터 타이밍 t2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2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에서부터 타이밍 t2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2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에 있어서, 제2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2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10분 」이 된다.
한편,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에 있어서,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2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3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에서부터 타이밍 t3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3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3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3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3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의 값은 「1」이 되고,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2」가 된다.
또,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3에 있어서,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3에 있어서,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의 값은 「20분 」이 된다.
타이밍 t3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4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3에서부터 타이밍 t4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3에서부터 타이밍 t4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4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4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4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4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의 값은 「10분 」이 되고,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20분 」이 된다.
타이밍 t4에서부터 타이밍 t5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4에서부터 타이밍 t5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타이밍 t5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5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제3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5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5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의 값은 「2」가 되고,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의 값은 「1」이 되며,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3」이 된다.
타이밍 t5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6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5에서부터 타이밍 t6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제3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5에서부터 타이밍 t6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6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6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6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의 값은 「20분 」이 되고,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의 값은 「10분 」이 되고,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30분 」이 된다.
타이밍 t6에서부터 시각 14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6에서부터 시각 14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시각 14시 59분 59초가 되면, 트리거 조건 판정부(24b3)는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8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시각 14시 59분 59초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 내의 횟수와,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 내의 누적 시간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에 기입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로깅 데이터(24e1)에는 시각 14시 00분 00초에서부터 시각 14시 59분 59초까지의,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시계열로 격납되어 있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1 로깅 데이터(24e1)에, 제1 부대(附帶) 데이터(24e2)를 부대시킨다. 제1 부대 데이터(24e2)는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2a)와,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2b)와,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2c)와,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2d)와,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2e)와,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2f)와,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2g)와,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2h)를 포함한다.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2a)의 값은 「2」이고,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2b)의 값은 「20분 」이다.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2c)의 값은 「1」이고,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2d)의 값은 「20분 」이다.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2e)의 값은 「1」이고,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2f)의 값은 「10분 」이다.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2g)의 값은 「3」이고,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2h)의 값은 「30분 」이다.
다음에, 데이터 로깅부(24b2)는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클리어한다(스텝 S222).
추가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1 로깅 데이터(24e1)의 파일을 클로우즈하고(스텝 S224), 새로운 제2 로깅 데이터(24e3)의 파일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한다(스텝 S226).
데이터 로깅부(24b2)는 시각 15시 00분 00초에서부터 시각 15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0」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0」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0」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0」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제2 로깅 데이터(24e3)에 기입한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시각 15시 00분 00초에서부터 타이밍 t11의 직전까지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시각 15시 00분 00초에서부터 타이밍 t11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타이밍 t11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함과 아울러,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1에 있어서, 제3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1에 있어서,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11에 있어서,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1」이 된다.
타이밍 t11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12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1에서부터 타이밍 t12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3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1에서부터 타이밍 t12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12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2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2에 있어서,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12에 있어서,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10분 」이 된다.
타이밍 t12에서부터 타이밍 t13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2에서부터 타이밍 t13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타이밍 t13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3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3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13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의 값은, 「1」이 된다.
타이밍 t13에서부터 타이밍 t14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3에서부터 타이밍 t14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14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4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4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14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2」가 된다.
타이밍 t14에서부터, 타이밍 t13의 10분 후인 타이밍 t15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4에서부터 타이밍 t15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4에서부터 타이밍 t15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15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5에 있어서,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5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15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의 값은, 「10분 」이 된다.
한편,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5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14의 10분 후인 타이밍 t1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6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의 모두가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6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16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20분 」이 된다.
타이밍 t16에서부터 타이밍 t17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6에서부터 타이밍 t17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타이밍 t17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7에 있어서,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7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17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3」이 된다.
타이밍 t17에서부터, 10분 후인 타이밍 t18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7에서부터 타이밍 t18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7에서부터 타이밍 t18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17의 10분 후인 타이밍 t18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해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8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18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18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30분 」이 된다.
타이밍 t18에서부터 시각 15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18에서부터 시각 15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시각 15시 59분 59초가 되면, 트리거 조건 판정부(24b3)는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8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시각 15시 59분 59초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 내의 횟수와,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 내의 누적 시간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에 기입한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로깅 데이터(24e3)에는 시각 15시 00분 00초에서부터 시각 15시 59분 59초까지의,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시계열로 격납되어 있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2 로깅 데이터(24e3)에, 제2 부대 데이터(24e4)를 부대시킨다. 제2 부대 데이터(24e4)는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4a)와,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4b)와,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4c)와,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4d)와,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4e)와,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4f)와,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4g)와,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4h)를 포함한다.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4a)의 값은 「1」이고,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4b)의 값은 「10분 」이다.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4c)의 값은 「0」이고,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4d)의 값은 「0분 」이다.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4e)의 값은 「1」이고,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4f)의 값은 「10분 」이다.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4g)의 값은 「3」이고,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4h)의 값은 「30분 」이다.
다음에, 데이터 로깅부(24b2)는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클리어한다(스텝 S222).
추가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2 로깅 데이터(24e3)의 파일을 클로우즈하고(스텝 S224), 새로운 제3 로깅 데이터(24e5)의 파일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한다(스텝 S226).
데이터 로깅부(24b2)는 시각 16시 00분 00초에서부터 시각 16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0」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0」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0」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0」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제3 로깅 데이터(24e5)에 기입한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시각 16시 00분 00초에서부터 타이밍 t21의 직전까지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시각 16시 00분 00초에서부터 타이밍 t21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타이밍 t21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1에 있어서,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1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21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1」이 된다.
타이밍 t21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22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1에서부터 타이밍 t22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1에서부터 타이밍 t22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22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함과 아울러,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2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2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22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의 값은, 「1」이 된다.
또,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2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22에 있어서,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10분 」이 된다.
타이밍 t22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23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2에서부터 타이밍 t23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23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3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3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23에 있어서,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2」가 된다.
타이밍 t23에서부터, 10분 후인 타이밍 t24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3에서부터 타이밍 t24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3에서부터 타이밍 t24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24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4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4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24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의 값은 「20분 」이 되고,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20분 」이 된다.
타이밍 t24에서부터 타이밍 t25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4에서부터 타이밍 t25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타이밍 t25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5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5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를 카운트업한다. 따라서 타이밍 t25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의 값은 「2」가 되고,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의 값은 「3」이 된다.
타이밍 t25에서부터, 10분 후의 타이밍 t26의 직전까지의 동안은,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5에서부터 타이밍 t26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 및 제4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지만(스텝 S210에서 Yes),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전회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2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5에서부터 타이밍 t26의 직전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주기 즉 1초마다,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카운트업한다.
타이밍 t26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6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타이밍 t26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카운트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t26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의 값은 「30분 」이 되고,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의 값은 「30분 」이 된다.
타이밍 t26에서부터 시각 16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는, 「0」이다.
따라서 로깅 조건 판정부(24b4)는, 타이밍 t26에서부터 시각 16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제1 로깅 조건에서부터 제4 로깅 조건까지 중 어느 것도 만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스텝 S210에서 No).
시각 16시 59분 59초가 되면, 트리거 조건 판정부(24b3)는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한다(스텝 S218에서 Yes).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시각 16시 59분 59초에 있어서,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및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 내의 횟수와,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 내의 누적 시간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에 기입한다.
도 1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로깅 장치의 로깅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로깅 데이터(24e5)에는, 시각 16시 00분 00초에서부터 시각 16시 59분 59초까지의,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의 「센서 이상 검출」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2」(21b2)의 「전압 저하」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3」(21b3)의 「긴급 정지」의 데이터 및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의 「커터 사용」의 데이터가 시계열로 격납되어 있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3 로깅 데이터(24e5)에, 제3 부대 데이터(24e6)를 부대시킨다. 제3 부대 데이터(24e6)는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6a)와,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6b)와,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6c)와,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6d)와,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6e)와,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6f)와,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6g)와,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6h)를 포함한다.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6a)의 값은 「2」이고,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6b)의 값은 「30분 」이다.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6c)의 값은 「0」이고,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6d)의 값은 「0분 」이다.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6e)의 값은 「0」이고,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6f)의 값은 「0분 」이다.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6g)의 값은 「3」이고,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6h)의 값은 「30분 」이다.
다음에, 데이터 로깅부(24b2)는 「센서 이상 검출」횟수 카운터(24c5),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카운터(24c6), 「전압 저하」횟수 카운터(24c7), 「전압 저하」누적 시간 카운터(24c8), 「긴급 정지」횟수 카운터(24c9), 「긴급 정지」누적 시간 카운터(24c10), 「커터 사용」횟수 카운터(24c11)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카운터(24c12)를 클리어한다(스텝 S222).
추가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3 로깅 데이터(24e5)의 파일을 클로우즈하고(스텝 S224), 새로운 제4 로깅 데이터의 파일을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한다(스텝 S226).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데이터 로깅부(24b2)는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2a),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2b),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2c),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2d),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2e),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2f),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2g)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2h)를 포함하는 제1 부대 데이터(24e2)를, 제1 로깅 데이터(24e1)에 부대시켰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1 폴더를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하고, 제1 로깅 데이터(24e1),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2a),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2b),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2c),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2d),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2e),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2f),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2g)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2h)를, 제1 폴더 내에 배치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2 폴더를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하고, 제2 로깅 데이터(24e3),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4a),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4b),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4c),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4d),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4e),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4f),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4g)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4h)를, 제2 폴더 내에 배치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3 폴더를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작성하고, 제3 로깅 데이터(24e5), 「센서 이상 검출」횟수 데이터(24e6a), 「센서 이상 검출」누적 시간 데이터(24e6b),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6c), 「전압 저하」누적 시간 데이터(24e6d), 「긴급 정지」횟수 데이터(24e6e), 「긴급 정지」누적 시간 데이터(24e6f), 「커터 사용」횟수 데이터(24e6g) 및 「커터 사용」누적 시간 데이터(24e6h)를, 제3 폴더 내에 배치해도 된다.
로깅 장치(24)는 다음의 효과를 달성한다.
데이터 로깅부(24b2)는 트리거 조건 데이터(44c)에 기술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된 타이밍에서,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1」(21b1)로부터 메모리 영역인 디바이스 「D4」(21b4)까지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1 로깅 데이터(24e1), 제2 로깅 데이터(24e3) 및 제3 로깅 데이터(24e5)에 기입한다.
따라서 로깅 장치(24)는, 외부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 현장에서의 사용이 용이하다.
또, 예를 들면, 14시 00분 00초에서부터 14시 59분 59초까지 중 어느 타이밍에서 산업 시스템(1)에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에, 유저는 제1 로깅 데이터(24e1)만을 조사하면 되고, 제2 로깅 데이터(24e3) 및 제3 로깅 데이터(24e5)를 조사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에 의해, 로깅 장치(24)는 유저가 데이터를 조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유저의 작업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어, 트러블의 조기 해결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제1 부대 데이터(24e2)를 제1 로깅 데이터(24e1)에 부대시키고, 제2 부대 데이터(24e4)를 제2 로깅 데이터(24e3)에 부대시키고, 제 3 부대 데이터(24e6)를 제3 로깅 데이터(24e5)에 부대시킨다.
따라서 산업 시스템(1)에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에, 유저는, 제1 부대 데이터(24e2), 제2 부대 데이터(24e4) 또는 제3 부대 데이터(24e6)를 우선 조사하여, 트러블의 추출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업 시스템(1)에 「전압 저하」의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에, 유저는 제1 부대 데이터(24e2), 제2 부대 데이터(24e4) 또는 제3 부대 데이터(24e6)를 우선 조사한다. 제1 부대 데이터(24e2) 내의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2c)의 값은 「1」이고, 제2 부대 데이터(24e4) 내의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4c)의 값은 「0」이고, 제3 부대 데이터(24e6) 내의 「전압 저하」횟수 데이터(24e6c)의 값은 「0」이다. 따라서 유저는 산업 시스템(1)에 「전압 저하」의 트러블이 발생한 타이밍이 14시 00분 00초에서부터 14시 59분 59초까지의 동안인 것까지,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제1 로깅 데이터(24e1)만을 조사하면 되고, 제2 로깅 데이터(24e3) 및 제3 로깅 데이터(24e5)를 조사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에 의해, 로깅 장치(24)는 유저가 데이터를 조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유저의 작업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어, 트러블의 조기 해결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정전이 발생했을 경우에, 불휘발성 기억부(24c)는 불휘발성이므로, 정전 직전의 횟수 카운터 및 누적 시간 카운터가 불휘발성 기억부(24c) 내에 남아 있다. 또,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도 불휘발성이므로, 정전 직전의 로깅 데이터가 로깅 데이터 기억부(24e) 내에 남아 있다.
따라서 데이터 로깅부(24b2)는, 정전으로부터 복귀될 때, 정전 직전까지의 횟수 카운터, 누적 시간 카운터 및 로깅 데이터를 계승하여, 로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산업 시스템, 2: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3: 기계, 4: 엔지니어링 툴,
24: 로깅 장치, 24a: 버스 인터페이스,
24b: CPU, 24b1: 데이터 취득부,
24b2: 데이터 로깅부, 24b3: 트리거 조건 판정부,
24b4: 로깅 조건 판정부, 24c: 불휘발성 기억부,
24d: 슬롯, 24e: 로깅 데이터 기억부,
24f: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12)

  1.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시계열로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로깅 데이터를 기억하는 로깅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데이터를 시계열로 나누는 시기를 정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로깅부와,
    상기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트리거 조건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 판정부에서 상기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되면, 상기 데이터를 새로운 상기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상기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로깅 조건을 상기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로깅 조건 판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상기 시기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로깅 조건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 정해진 복수의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로깅 조건을 상기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로깅 조건 판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상기 시기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로깅 조건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 정해진 복수의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는
    불휘발성 기억부이고,
    상기 데이터 로깅부는
    정전이 발생한 후 정전으로부터 복귀될 때,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계승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장치.
  7.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시계열로 취득하는 제1 스텝과,
    상기 데이터를,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시계열로 격납하기 위한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는 제2 스텝과,
    상기 데이터를 시계열로 나누는 시기를 정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는 제3 스텝과,
    상기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4 스텝과,
    상기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되면, 상기 데이터를 새로운 상기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는 제5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로깅 조건을 상기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는 제6 스텝과,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시기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제8 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텝은
    외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7 스텝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 정해진 복수의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8 스텝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화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는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로깅 조건을 상기 엔지니어링 툴로부터 수신하는 제6 스텝과,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시기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제8 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텝은
    외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7 스텝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 정해진 복수의 상기 로깅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8 스텝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유지한 누적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는
    불휘발성 기억부이고,
    상기 제1 스텝은
    정전이 발생한 후 정전으로부터 복귀될 때, 상기 로깅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계승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로깅 데이터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방법.
KR1020177011103A 2015-12-22 2015-12-22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 KR101893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5792 WO2017109850A1 (ja) 2015-12-22 2015-12-22 ロギング装置及びロギン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184A true KR20170141184A (ko) 2017-12-22
KR101893718B1 KR101893718B1 (ko) 2018-08-30

Family

ID=5909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103A KR101893718B1 (ko) 2015-12-22 2015-12-22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69293B1 (ko)
KR (1) KR101893718B1 (ko)
CN (1) CN107111310A (ko)
WO (1) WO2017109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5012B (zh) * 2023-07-17 2023-09-22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非易失内存的时序数据库日志存储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47A (ja) * 1992-06-30 1994-01-28 Fujitsu Ltd 運用停止ログデータ補完方式
JP2000276222A (ja) * 1999-03-29 2000-10-06 Omron Corp ロギング装置
JP2005274223A (ja) 2004-03-23 2005-10-0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信号記録装置
JP2011013793A (ja) * 2009-06-30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60275A (ja) * 2013-09-17 2015-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グデータ収集装置、ログデータ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6370A (ja) * 2014-03-14 2015-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4199766A (zh) * 2014-08-25 2014-12-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异常运行的监控方法和装置
CN104394009B (zh) * 2014-10-29 2019-05-07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故障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04990213B (zh) * 2015-06-29 2017-09-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多人环境下协同控制空调的方法及系统
CN105116842B (zh) * 2015-07-13 2018-05-11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数控系统日志的故障数据可视化解析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47A (ja) * 1992-06-30 1994-01-28 Fujitsu Ltd 運用停止ログデータ補完方式
JP2000276222A (ja) * 1999-03-29 2000-10-06 Omron Corp ロギング装置
JP2005274223A (ja) 2004-03-23 2005-10-0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信号記録装置
JP2011013793A (ja) * 2009-06-30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60275A (ja) * 2013-09-17 2015-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グデータ収集装置、ログデータ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09850A1 (ja) 2017-06-29
KR101893718B1 (ko) 2018-08-30
CN107111310A (zh) 2017-08-29
JP6169293B1 (ja) 2017-07-26
JPWO2017109850A1 (ja)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8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anufacturing
US10915419B2 (en) Industrial control system, and assistance apparatus, control assist method, and program thereof
CN105787248A (zh) 基于时间序列数据的分析的异常感测和预测系统及方法
US20140277673A1 (en) Production failure analysis system
CN104977922A (zh) 设备监视装置和方法
US20160246274A1 (en) Control apparatus for giving notification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times of signal-controlled peripheral devices
US20160210338A1 (en) System for Collaborative Data Analytics for Time Series Data
EP2634733A1 (en) Operations ta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8122890A1 (ja) ログ分析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93718B1 (ko) 로깅 장치 및 로깅 방법
US10657199B2 (en) Calibration technique for rules used with asset monitoring in industrial process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s
JP6741217B2 (ja) ログ分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40208B2 (ja) 切削条件検証装置
JP6290777B2 (ja) データ関連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631711A (zh) 用于编程语言的错误检测设备
CN112445189A (zh) 数据收集系统、数据收集方法和程序
JP6302817B2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US10848400B2 (en) Network entity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processes of a communication system
WO2022162957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レポート出力方法
JP698692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4852958B (zh) 一种软件操作行为的监控方法和装置
JP2021125218A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及び分析装置
JP2018124668A (ja) データ使用量監視システム、データ使用量監視方法、及びデータ使用量監視プログラム
JP2017004178A (ja) 積算業務テスト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