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464A -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 Google Patents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464A
KR20170139464A KR1020170072792A KR20170072792A KR20170139464A KR 20170139464 A KR20170139464 A KR 20170139464A KR 1020170072792 A KR1020170072792 A KR 1020170072792A KR 20170072792 A KR20170072792 A KR 20170072792A KR 20170139464 A KR20170139464 A KR 20170139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bar
connecting rod
bent
barb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화
Original Assignee
김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화 filed Critical 김태화
Publication of KR2017013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27Dips, i.e. push-ups in a vertic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e.g. between parallel bars
    • A63B2021/078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철봉과 평행봉 운동뿐만 아니라, 바벨을 거치할 수 있게 하여 바벨 운동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고, 각 구성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며, 각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한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철봉에 있어서, 상기 철봉에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어댑터는 철봉에 연결되고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a pull-up bar with adapter}
본 발명은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철봉과 평행봉 운동뿐만 아니라, 바벨을 거치할 수 있게 하여 바벨 운동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고, 각 구성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며, 각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한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직립보행을 하기 때문에 취침시간을 제외한 일과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상체를 세운 상태로 생활하게 된다. 개인에 따라서 척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운동이나 노동을 했을 경우, 또는 척추관절이 기울어진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오랜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등에는 척추 근골격계에 무리를 주게 되어 피로감을 느끼게 하거나 질병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에도 사람은 대부분의 시간을 직립자세를 유지한 채 생활하게 되므로 척추관절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한 방향으로만 압력을 받게 되어 피로감이 쉽게 풀어지지 않고 또한 추간판 탈출 등 질병이 발생되었을 때에도 치료가 되지 않고 악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혼자서 용이하게 척추 근골격계를 이완시켜 줄 수 있는 운동을 위한 기구로서, 평행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구비된 헬스크럽을 방문하여 자신이 원하는 각종 운동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은 크게 상체 운동 및 하체운동으로 크게 구분되는 것이며, 그 대표적이며 기본적인 운동으로서, 치닝(턱걸이), 디핑(평행봉), 푸시업 및 싯업이 대표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를 단련할 목적으로 다양한 운동을 실시하게 되고,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기구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정에서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없으므로 헬스 클럽을 방문하게 된다.
그러나, 헬스 클럽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간을 투자하여야 함은 물론, 헬스 클럽은 다수인이 사용하는 곳이므로 자신이 원하는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타인과 시간 조정을 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서, 가정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도 많아 졌다.
이러한 가정용 운동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17236호에서 볼 수 있는데, 상술한 선등록 고안은 2이상의 다수 운동기구를 결합하되, 기체를 벽면 및 바닥면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서, 설치 후 이동이 불가능하다. 특히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 및 바닥면에 고정수단(볼트 등)을 삽입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벽면 및 바닥면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3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지면에 접촉 되며 중앙에 연결바(101)가 구비된 하부 베이스(100); 상기 연결바(10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앙기둥(110); 상기 중앙기둥(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부 베이스(100)와 중앙기둥(110)을 연결하는 후방기둥(120); 상기 후방기둥(120)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 지지봉(170); 상기 보조 지지봉(170)의 양 측에 설치된 보조쿠션(171); 상기 중앙기둥(1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디핑바(130); 상기 중앙기둥(110)의 상단에 설치된 치닝바(1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37호에 기재된 기술은 바닥에 고정하지 않아 이동이 용이하며,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협소한 실내공간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부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연결부재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연결되는 부분의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흔들리게 되어 안정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운동기구가 넘어질 수도 있어 사용자가 부상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적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철봉부와 상기 받침대와 철봉부를 연결하는 제1,2연결대와 상기 제1,2연결대의 사이에 구비되는 평행봉부로 이루어져 실내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을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며, 조립도 간편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대에 다양한 옵션기구를 착탈할 수 있는 어댑터를 구비함으로써, 단순한 철봉운동 뿐만 아니라 바벨운동, 복근운동, 벤치 프레스운동 등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철봉에 있어서, 상기 철봉에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는 철봉에 연결되고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높이조절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L'자, 'T'자, 'ㅁ'자, 'ㄷ'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형성되어 철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철봉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체결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길이 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옵션기구는 상기 몸체 또는 몸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부재에 결합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벨 거치대는 높이조절부 또는 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옵션기구는 어댑터에 착탈되는 보조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발은 어댑터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에는 캐처바가 착탈되되, 상기 캐처바는 바벨의 추락을 방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후단에 구비되어 관통공에 삽입되는 체결바와, 상기 지지바의 전단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바의 후단에는 수직지지부의 전부에 접하도록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옵션기구는 복근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근운동부는 'ㄷ'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어댑터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구비되는 등받이 쿠션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면에 구비되는 팔 쿠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보조 바벨 거치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바벨 거치대는 철봉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전부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벨 거치대는 어댑터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는 연결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철봉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받침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는 연결대의 후부를 지지하는 후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하단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와 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상단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와 절곡부의 사이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대가 일체로 형성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벨 거치대는 높이조절부 또는 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 상하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철봉부와 상기 받침대와 철봉부를 연결하는 제1,2연결대와 상기 제1,2연결대의 사이에 구비되는 평행봉부로 이루어져 실내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을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며, 조립도 간편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대에 다양한 옵션기구를 착탈할 수 있는 어댑터를 구비함으로써, 단순한 철봉운동 뿐만 아니라 바벨운동, 복근운동, 벤치 프레스운동 등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철봉운동 하는 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디핑운동 하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분리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철봉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평행봉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에 보조발이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에 복근운동부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에 길이조절판이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어댑터의 후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바벨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보조발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어댑터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어댑터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어댑터의 후부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어댑터의 후부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어댑터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분리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받침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철봉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평행봉부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에 보조발이 구비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에 복근운동부가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에 길이조절판이 구비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어댑터의 후부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바벨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보조발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2의 어댑터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6의 어댑터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9는 도 26의 어댑터의 후부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30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어댑터의 후부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4의 어댑터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300)와 상기 철봉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를 연결하는 연결대(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500)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를 나사 결합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를 용이하게 조립, 분리할 수 있어 필요시에는 조립하여 운동기구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200)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210)와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에서 일정거리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220)와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30)와 상기 제1연결부재(22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수직지지대(2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상기 수평지지대(210)와 제1연결부재(220)가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수평지지대(210)와 제1연결부재(220)에 동시에 접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수평지지대(210) 및 제1연결부재(220)와 용접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수평지지대(210) 및 제1연결부재(220)와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결합강도를 높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30) 역시 수평지지대(210)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강도를 높여주게 되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에서 일정거리 내측과 후단에 제1,2연결부재(220,230)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연결하게 됨으로써, 받침대(200)의 결합강도를 높여주어 큰 하중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상기 받침대(200)를 형성하는 각 구성을 용접이 아닌 나사결합 등의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결속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에는 보강대(2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대(250)는 제1수직지지대(240)와 수평지지대(21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1수직지지대(240)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철봉부(300)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수직지지대(310)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31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320)와 상기 제3연결부재(320)의 양측에 전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철봉대(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철봉대(330)는 제2수직지지대(310)와 제3연결부재(320)가 교차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제2수직지지대(310)와 제3연결부재(320) 모두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결합방식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강도를 높여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철봉대(330)에 매달려 운동을 할 때, 움직임이 큰 운동을 하여 강한 하중이 제1철봉대(330)에 걸리더라도 이중으로 용접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철봉대(330)에는 제1철봉대(330)와 수직되도록 제2철봉대(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철봉대(340)는 한 쌍의 제1철봉대(330)의 중심부를 연결하면서 제1철봉대(33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철봉대(330)의 상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제2철봉대(340)에 매달려 운동을 하더라도 제1철봉대(33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철봉대(340)의 양측에는 하부로 절곡되도록 절곡부(345)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1철봉대(330)의 측부로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여 팔에 큰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절곡부(345)를 파지하여 일반적인 철봉 운동으로 자극하지 못하는 근육도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운동효과를 높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부(200) 사이에는 평행봉부(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평행봉부(400)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결부재(410)와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중심부에 상하 연결부재(410)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평행봉대(4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평행봉대(420)는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중심부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삽입된 부분을 용접 방식으로 결합하여 결합력을 높여주게 됨으로써, 평행봉대(420)에 강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상부에는 연결대(500)를 형성하는 제1연결대(510)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철봉부(300)를 형성하는 제2수직지지대(310)의 하부는 제1연결대(510)의 상부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하부에는 연결대(500)를 형성하는 제2연결대(520)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200)를 형성하는 제1수직지지대(210)는 상기 제2연결대(520)의 하부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대(500)를 형성하는 제1연결대(510)와 제2연결대(520)를 상하 연결부재(410)를 사용하여 결합하여 줌으로써, 큰 하중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평행봉대(420)가 구비되어 평행봉 운동까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파이프로 연결대(500)를 형성하여 받침대(200)와 철봉부(300)만을 연결하도록 하여 평행봉부(400) 없이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와 연결대(500)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철봉에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6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어댑터는 철봉에 연결되고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몸체(6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어댑터(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봉을 구성하는 연결대(5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 상기 철봉부(3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받침대(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6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L'자, 'T'자, 'ㅁ'자, 'ㄷ'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610)의 일측 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높이조절부(620)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620)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공(부호 미도시)이 구비되어 후술할 옵션기구 중, 바벨 거치대(810)가 볼트결합으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벨 거치대(810)는 상기 높이조절부(620)에 결합되는 결합부(812)와 상기 결합부(812)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814)와 상기 안착부(814)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816)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안착부(814)에 의해 바벨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814)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816)에 의해 안착부(814)에 안착된 바벨이 임의로 안착부(8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바벨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812)에 형성된 나사공(부호 미도시)과 높이조절부(620)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바벨 거치대(8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 맞게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바벨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600)의 몸체(6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616)이 형성되어, 일측은 철봉을 형성하는 연결대(500)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바벨 거치대(810)가 적절한 위치에 결합되어 바벨을 거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812)는 몸체(610)의 체결공(616)과 결합하기 위하여 측방으로 절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600)를 형성하는 몸체(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500)와 결합되는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연결대(500)의 후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13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절곡부(612)를 형성하여 연결대(500)의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500)의 특정 위치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공(614)을 형성하여,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공(614)과 높이조절부(620)에 의해 높이 조절 범위의 한계를 넓힐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적절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600)를 형성하는 몸체(6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길이 조절부재(630)가 구비되는데, 상기 길이 조절부재(6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몸체(610)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대(50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 조절부재(630)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공(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에는 체결공(618)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공과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어댑터(600)가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어깨 넓이에 따라 적절하게 어댑터(6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바벨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옵션기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600)에 착탈되는 보조발(820)을 포함하는데, 상기 보조발(820)은 어댑터(600)의 몸체(610)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부(822)와 상기 수직지지부(822)의 하단에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지지부(82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보조발(820)에 의해 본 발명의 철봉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활동적인 운동을 하더라도 본 발명의 철봉이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부(8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82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826)에는 캐처바(830)가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캐처바(830)는 바벨의 추락을 방지하는 지지바(831)와 상기 지지바(831)의 후단에 구비되어 관통공(826)에 삽입되는 체결바(832)와 상기 지지바(831)의 전단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83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831)는 바벨 거치대(810)의 안착부(8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벨을 사용하여 스쿼드나 벤치 프레스 등의 운동을 할 때, 실수로 바벨을 떨어트리거나 바벨을 잠시 거치하여 쉴 때 안정적으로 바벨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바(832)의 후단에는 수직지지부(822)의 전부에 접하도록 커버부(83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834)의 내측에 상기 수직지지부(822)의 전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캐치바(830)에 상당한 무게의 바벨이 놓여 지더라도 안정적으로 바벨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834)와 지지바(831)의 하면 사이에는 보강부(835)가 더 구비되어 보다 견고하게 바벨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옵션기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근운동부(84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복근운동부(840)는 'ㄷ'형상의 프레임(842)과 상기 프레임(842)의 양측 후단에 구비되어 어댑터(600)에 결합되는 결합부(844)와 상기 프레임(842)의 후부에 구비되는 등받이 쿠션(847)과 상기 프레임(842)의 양측 상면에 구비되는 팔 쿠션부(84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844)는 판형상을 세로 방향으로 세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844)의 하부에는 절개홈(845)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홈(845)은 어댑터(600)의 상부가 삽입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복근운동부(840)를 어댑터(600)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자가 팔을 팔 쿠션부(848)에 지지하고, 등은 등받이 쿠션(847)에 지지하도록 하여 다리를 몸과 90°가 되도록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여 복근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842)의 양측 전단에는 파지봉(846)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팔을 팔 쿠션부(848)에 지지할 때, 손으로 상기 파지봉(846)을 파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몸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6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보조 바벨 거치대(7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 바벨 거치대(700)는 철봉을 형성하는 연결대(500)에 결합되는 결합부(710)와 상기 결합부(710)의 하부에서 전부로 돌출 형성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안착부(720)와 상기 안착부(720)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730)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바벨을 바벨을 철봉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 바벨 거치대(700)에 거치할 때, 상기 걸림턱(730)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바벨이 하부에 위치하므로 벤치 프레스 등의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바벨 거치대(700)를 어댑터(6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600)는 몸체(6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612)가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61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한 쌍의 연결대(5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6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5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5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530)에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 고정되게 되며, 상기 삽입공(530)이 제1연결대(510)에 형성되도록 도시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2연결대(5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공(530)에 삽입될 경우, 상기 몸체(610)의 후면이 연결대(500)의 전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어댑터(6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610)의 타측 단부에는 전술한 바벨 거치대(810')가 몸체(6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바벨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근운동부(840)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9 내지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6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612)가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600)는 몸체(6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61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61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고정봉(640)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봉(640)은 한 쌍의 연결대(5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5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5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530)에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 고정되게 되며, 상기 삽입공(530)이 제1연결대(510)에 형성되도록 도시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2연결대(5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612)의 상단에는 연결대(500)의 후부를 지지하는 후부 지지부(654)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612)의 하단에는 연결대(500)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652)가 형성되는데, 상지 전부 지지부(652)와 후부 지지부(654)는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연결대(500)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500)의 삽입공(530)에 고정봉(640)을 삽입하게 되면,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하부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하부의 무게가 무거워 하부가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회동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전부 지지부(652)와 후부 지지부(654)에 의해 임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즉, 상기 어댑터(600)는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공(530)에 삽입된 상태로 전부 지지부(652)에 의해 연결대(500)의 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고, 후부 지지부(654)에 의해 연결대(500)의 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3방향에서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고정봉(640)이 삽입공(5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610)에는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6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616)에는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발(820)의 상부가 고정 결합되게된다.
여기서, 보조발(820)은 어댑터(600)의 몸체(610)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부(822)와 상기 수직지지부(822)의 하단에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지지부(82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보조발(820)에 의해 본 발명의 철봉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활동적인 운동을 하더라도 본 발명의 철봉이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부(8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82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826)에는 캐처바(830)가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캐처바(830)는 바벨의 추락을 방지하는 지지바(831)와 상기 지지바(831)의 후단에 구비되어 관통공(826)에 삽입되는 체결바(832)와 상기 지지바(831)의 전단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83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831)는 바벨 거치대(810')의 안착부(8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벨을 사용하여 스쿼드나 벤치 프레스 등의 운동을 할 때, 실수로 바벨을 떨어트리거나 바벨을 잠시 거치하여 쉴 때 안정적으로 바벨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600)는 몸체(6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612)가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612)의 길이방향 상단에 고정봉(640)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봉(640)은 한 쌍의 연결대(5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5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5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530)에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 고정되게 되며, 상기 삽입공(530)이 제1연결대(510)에 형성되도록 도시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2연결대(5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612)의 하부에는 전부 지지부(65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전부 지지대(652)는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대(500)의 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되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640)을 삽입공(530)에 삽입하면, 자중에 의하여 어댑터(600)가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부 지지부(652)가 연결대(500)의 전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어댑터(6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600)는 상기 어댑터(600)는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공(53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체결됨으로써, 전부 지지부(652)에 의해 연결대(500)의 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되어 3방향에서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고정봉(640)이 삽입공(5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대(510)와 제2연결대(520)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대(500)에 형성되는 삽입공(530)은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 적절한 위치에 어댑터(6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600)는 몸체(6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612)가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612)의 길이방향 상단에 고정봉(640)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봉(640)은 한 쌍의 연결대(5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5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5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530)에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 고정되게 되며, 상기 삽입공(530)이 제1연결대(510)에 형성되도록 도시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2연결대(5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612)와 몸체(610)의 사이에는 연결대(500)의 전부가 삽입되는 지지홈(660)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홈(660)은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640)을 삽입공(530)에 삽입하면, 자중에 의하여 어댑터(600)가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부 지지부(652)가 연결대(500)의 전부를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어댑터(6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고정봉(640)이 삽입공(5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4 내지 3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500)에는 어댑터(60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어댑터(600)는 몸체(610)의 일측 단부 상하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64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500)에는 전후로 관통하도록 삽입공(5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530')에는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되어 어댑터(600)가 연결대(5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대(500)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대(510)와 제2연결대(52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610)의 일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장부(615)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장부(615)에는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500)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65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615)에는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658)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지지부(656)와 하부 지지부(658)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어댑터(600)를 연결대(500)에 고정할 때,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640')을 삽입공(530')에 삽입하게 되면, 자중에 의하여 상기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하부가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부 지지부(656)와 하부 지지부(658)가 상기 고정봉(640')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연결대(500)의 측부를 각각 지지하게 되어, 어댑터(600)가 임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봉(640')이 삽입공(5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60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바벨 거치대(810')에 바벨을 거치하여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댑터(600)에 구비되는 바벨 거치대(810,810')는 연결대(500)의 양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벨 거치대(810,810')에 바벨을 거치한 상태에서 일측의 무게추를 교환하기 위하여 무게추를 분리하더라도 무게추가 연결된 부분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바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철봉과 평행봉 운동뿐만 아니라, 바벨을 거치할 수 있게 하여 바벨 운동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고, 각 구성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며, 각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한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이다.
200 : 받침대 210 : 수평지지대
220 : 제1연결부재 230 : 제2연결부재
240 : 수직지지대 250 : 보강대
300 : 철봉부 310 : 제2수직지지대
320 : 제3연결부재 330 : 제1철봉대
340 : 제2철봉대 400 : 평행봉부
410 : 상하연결부재 420 : 평행봉대
500 : 연결대 510 : 제1연결대
520 : 제2연결대 530,530' : 삽입공
600 : 어댑터
610 : 몸체 620 : 높이조절부
630 : 길이조절부 640,640' : 고정봉
660 : 지지홈 700 : 보조 바벨 거치대
710,812 : 결합부 720,814 : 안착부
730,816 : 걸림턱 810 : 바벨 거치대
820 : 보조발 830 : 캐처바
840 : 복근운동부

Claims (33)

  1.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철봉에 있어서,
    상기 철봉에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철봉에 연결되고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높이조절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L'자, 'T'자, 'ㅁ'자, 'ㄷ'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형성되어 철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철봉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체결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 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기구는 상기 몸체 또는 몸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부재에 결합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거치대는 높이조절부 또는 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기구는 어댑터에 착탈되는 보조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은 어댑터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캐처바가 착탈되되,
    상기 캐처바는 바벨의 추락을 방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후단에 구비되어 관통공에 삽입되는 체결바와,
    상기 지지바의 전단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의 후단에는 수직지지부의 전부에 접하도록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기구는 복근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근운동부는 'ㄷ'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어댑터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구비되는 등받이 쿠션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면에 구비되는 팔 쿠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보조 바벨 거치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벨 거치대는 철봉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전부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벨 거치대는 어댑터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연결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철봉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받침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 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는 연결대의 후부를 지지하는 후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하단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와 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상단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절곡부의 사이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몸체의 일측 단부 상하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32. 제24항 내지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대가 일체로 형성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거치대는 높이조절부 또는 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KR1020170072792A 2016-06-09 2017-06-09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KR20170139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965 2016-06-09
KR20160071965 2016-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464A true KR20170139464A (ko) 2017-12-19

Family

ID=6092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92A KR20170139464A (ko) 2016-06-09 2017-06-09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4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160A (ko)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디핑 운동기구
KR102029703B1 (ko) * 2018-05-21 2019-10-08 주상목 다목적 운동기구
KR20210147821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공간활용 가능한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160A (ko)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디핑 운동기구
KR102029703B1 (ko) * 2018-05-21 2019-10-08 주상목 다목적 운동기구
KR20210147821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공간활용 가능한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144B2 (en) Adjustable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6186926B1 (en) Seated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8118720B2 (en) Abdominal exercise and training apparatus
EP1945320B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multiple body parts
US20070270293A1 (en) Multi-functional personal fitness apparatus
JPS585067B2 (ja) 体力訓練具
KR101656507B1 (ko) 실내용 운동기구
US20030100415A1 (en) Exercise device
US9474922B2 (en) Combination exercise machine for performing pilates and barre workouts
EP2709735A2 (en) Exercise machine
US7311645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101793904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170139464A (ko)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US8105216B2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KR20210110090A (ko) 복합 철봉운동기구
EP2892623B1 (en)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KR20180138056A (ko)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KR200486183Y1 (ko) 골반 강화용 운동기
KR101870101B1 (ko) 로만 체어로 변형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KR101439537B1 (ko) 실내용 복합 운동기구
KR20190010300A (ko)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JP3217878U (ja) トレーニングチェア
KR20170052292A (ko) 승마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