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703B1 - 다목적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703B1
KR102029703B1 KR1020180057653A KR20180057653A KR102029703B1 KR 102029703 B1 KR102029703 B1 KR 102029703B1 KR 1020180057653 A KR1020180057653 A KR 1020180057653A KR 20180057653 A KR20180057653 A KR 20180057653A KR 102029703 B1 KR102029703 B1 KR 10202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barbell
fixing means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목
Original Assignee
주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목 filed Critical 주상목
Priority to KR102018005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와 같은 특정 부위를 위한 고가의 운동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운동기구{MULTIPURPOSE FITNESS EQUIPMEN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와 하체를 운동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치 프레스나 레그 프레스와 같이 상체근력운동 및 하체근력운동 등을 하기 위해서 각각 별도의 운동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러한 운동기구가 형성된 헬스장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사용자는 이러한 운동기구를 따로 구입하거나 헬스장 비용을 매월 내야하는 경제적인 부담감이 따랐다.
한편, 종래의 운동기기는 주로 추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는 사용자의 근력 능력에 따라 많은 양을 구입해야 되며, 그 비용 또한 고가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운동기기의 추는 이송 및 보관하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이러한 추를 대신하는 에어실린더를 장착하여 에어실린더의 흡배기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추의 중량을 맞출 수 있게 한 고안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에어실린더의 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운동기기 자체가 고가로 생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9833호(이하 '선행문헌 1')의 "벤치 프레스 기구"는 'ㄷ'자 형태의 손잡이부와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 바벨을 가이드 홈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벤치 프레스 기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바벨의 형상과 가이드 홈에 의해 사용자가 실수 또는 체력저하로 바벨을 놓치는 경우, 웨이트가 지면에 먼저 닿게 되어 바벨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눌리는 일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의 상체 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한 벤치 프레스로서, 레그 프레스로서 사용될 경우, 바벨이 바벨 지지부를 이탈하게 되어 2차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2526970호(이하 '선행문헌 2')의 "바벨을 들어올리기 위해 다리를 컬링하는 사용자를 위한 스탠드"에서, 사용자가 패드에 눕고, 발을 바벨 중간에 위치시킨 후 다리의 힘을 이용하여 바벨을 들어 올림으로써 하체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스탠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받침대에 레일이 형성됨에 따라 바벨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한 장점이 있지만, 패드에 역방방향으로 기댄 채 바벨을 상체 힘을 이용하여 손으로 들어 올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근육이 용이하게 발달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자세에 의해 근육 손상 등의 부상이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중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6979920호(이하 '선행문헌 3')의 "효과적인 바벨 벤치 프레스 프레임"에서, 상단에 고정적으로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U자 형으로 형성된 바벨 받침대 내부에 바벨 거치대가 형성되고, 바벨 거치대 상측에 바벨이 위치하며, 프레임 폴 내측에 기판이 고정 형성되어 벤치 프레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벤치 프레스 프레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바벨 거치대 하측에 바벨 거치대의 고정을 위한 스프링이 버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바벨에 의한 프레임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바벨이 바벨 거치대를 이탈할 경우, 바벨 거치대에 형성된 스프링 등에 의해 바벨이 외부로 이탈하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9,757,607호(이하 '선행문헌 4')의 "자유 중량 운동 및 안전 메커니즘을 갖춘 역도장치"에서, 바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말단 대 말단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역도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바가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프리웨이트(free weight) 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수직구조로 형성된 로드 및 벨트의 높이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상체를 제외한 하체 등의 운동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4722028호(이하 '선행문헌 5')의 "일종 다기능 체육 훈련 장치"에서, 바벨을 이용하여 팔 근육 단련 운동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발목을 로드에 고정시킴으로써 복근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5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팔 근육뿐만 아니라, 로드를 이용하여 싯업(sit??up)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 전반의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레그 프레스(leg press)와 같은 하체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기구가 더 필요한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759호(이하 '선행문헌 6')의 "다목적 헬스기구"에서, 상하 프레임에 가스실린더를 장착하여 이를 가압함으로써 근력운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헬스기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6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하나의 헬스기구로 다양한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레그 프레스를 수행할 경우, 핸들에 수평봉을 핀을 이용하여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9833호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2526970호
중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6979920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9,757,607호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472202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75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와 같은 특정 부위를 위한 고가의 운동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받침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하체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고정수단이 더 포함됨으로써 바벨의 하중에 의한 지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 및 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지지부(110)를 포함하여 지면과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받침대(100); 받침대(100)의 양측에 나란히 형성된 제1바벨지지부(120); 제1바벨지지부(120) 상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지지부연결부(131)를 포함하는 제2바벨지지부(130); 지지부연결부(131)의 상측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200); 및 제1바벨지지부(120) 또는 지지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거치되어 양 단부에 웨이트(310)가 고정되는 바(320)를 포함하는 바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200)는 지지부연결부(131)의 상측 일측에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210); 및 제1지지부(210) 내측에 하측이 인입되어 지지부(200)가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받침대(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받침대(400); 제1받침대(4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받침대(410); 제1받침대(400)와 제2받침대(410) 사이에 형성되어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대연결부(420);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울기조절부(430); 및 기울기조절부(43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받침대지지부(110)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제어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제1지지부(2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고정수단(500); 제1고정수단(500)의 상측과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제2지지부(22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고정수단(510); 및 제1고정수단(50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고정수단(510)의 일측 단부가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연결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제2지지부(220) 상측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캡(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지지부(2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된 제1지지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와 같은 특정 부위를 위한 고가의 운동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받침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하체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고정수단이 더 포함됨으로써 바벨의 하중에 의한 지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일측에 고정캡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의한 바벨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제1지지수단에 의해 바벨의 하중에 의한 높이 고정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받침대, 110: 받침대지지부, 111: 받침대단부고정부, 112: 미끄럼방지부, 120: 제1바벨지지부, 121: 지지부고정부, 130: 제2바벨지지부, 131: 지지부연결부, 140: 바벨고정부
200: 지지부, 210: 제1지지부, 211:제1지지부통공, 220: 제2지지부, 221: 제2지지부통공, 230: 높이고정부, 231: 높이고정부캡
300: 바벨, 310: 웨이트, 320: 바
400: 제1받침대, 401: 제1받침판, 411: 제1받침판, 410: 제2받침대, 420: 받침대연결부, 430: 기울기조절부, 440: 제1제어부
500: 제1고정수단, 501: 제1고정수단지지부, 510: 제2고정수단, 511: 제2고정수단지지부, 520: 고정수단연결부, 521: 고정수단연결부통공, 522: 고정수단부고정부, 523: 고정수단연결부지지부
600: 고정캡, 610: 고정캡고정나사
700: 제1지지수단, 710: 제2지지수단, 720: 개폐부, 730: 제1수용공간, 731: 제1지지수단고정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0), 지지부(200), 바벨(30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받침대(100)는 사용자의 등 및 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지지부(110)를 포함하여 지면과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지지부(110)는 받침대(10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받침대(100)가 지면과 견고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받침대지지부(110)의 단부는 받침대(100)가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후술될 바벨(30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한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받침대단부고정부(1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지지부(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단부고정부(111)는 받침대지지부(110)의 형상에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지지부(110)가 받침대단부고정부(111)에 의해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받침대지지부(110) 또는 받침대단부고정부(111)가 사용자의 동작, 바벨의 하중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부(112)는 받침대지지부(110) 또는 받침대단부고정부(111)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지면과 미끄럼방지부(112)가 마찰력에 의해 외부자극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니트릴 고무, 천연고무, 아크릴고무, 우레탄 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에폭시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폐놀계 수지 또는 멜라민계 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미끄럼방지부(112)와 지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끄럼방지부(112)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받침대(100)의 양측에 나란히 형성된 제1바벨지지부(120)가 제2바벨지지부(13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바벨지지부(120)는 하측면에 지지부고정부(1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바벨지지부(120)는 받침대(100)의 양측에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지지부고정부(121)가 제1바벨지지부(120)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고정부(121)는 제1바벨지지부(12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바벨지지부(120)에 가해지는 바벨(300)의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벨(300)의 무게에 의해 제1바벨지지부(120), 제2바벨지지부(130) 및 지지부(200)가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바벨지지부(120)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웨이트고정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웨이트고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바(320)와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는 웨이트(3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바벨지지부(130)는 제1바벨지지부(120) 상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지지부연결부(13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벨지지부(130)에 의해 바벨(300)이 받침대(100)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가 받침대(100)와 바벨(300) 사이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바벨지지부(130)의 상측에 지지부연결부(1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131)의 상측 일측이 하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바벨(300)이 지지부연결부(131)에 안착되었을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좌측 또는 우측단면이 'V'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연결지지부(131)의 형상에 의해 바벨(300)이 용이하게 고정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벨(300)의 바(320)를 고정 축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팔굽혀펴기, 스쿼트, 런지 등의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선택적으로 제2바벨지지부(130)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바벨고정부(1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체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체를 받침대(100)의 일측에 위치시킨 후 바벨고정부(140)에 형성된 바벨(300)의 바(320)를 들어 올림으로써 벤치 프레스 또는 바(3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팔굽혀펴기와 같은 상체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부(200)는 연결지지부(131)의 상측 일측에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를 포함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0)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인 다목적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체 또는 하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부위를 운동할 경우, 지지부(200)가 바벨(300)의 운동 가이드가 됨으로써 바벨(300)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일정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하체를 받침대(100) 일측에 위치시킨 후 지지부(200) 내측에 바벨(300)의 바(320)를 발로 들어 올림으로써 레그 프레스와 같은 하체운동을 수행할 있는 것이다.
반대로, 지지부(200) 내측에 바벨(300)을 위치시키고, 사용자의 하체를 받침대(100)의 일측에 위치시킨 다음, 상체를 이용하여 바벨(300)의 바(320)를 들어 올리는 벤치 프레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지지부(210)는 하나 이상이 지지부연결부(131)의 상측 일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210)가 형성됨으로써 바벨(300)의 운동 가이드가 되어 사용자가 받침대(100)의 일측에 상체를 위치시켰을 때, 벤치 프레스와 같은 상체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받침대(100)의 일측에 하체를 위치시켰을 때, 레그 프레스와 같은 하체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지지부(220)는 제1지지부(210)의 내측에 하측이 인입되어 지지부(200)가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지지부(200)가 제1지지부(210) 내측에 인입되어 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의 결합은 슬라이딩결합, 나사결합 등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이 수행됨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에 의해 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제1지지부통공(211) 및 제2지지부통공(221)을 형성하여 고정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지지부통공(211)은 제1지지부(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지지부통공(221)은 제2지지부(220)를 관통하여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지지부(210) 내측에 제2지지부(220) 하측을 인입시킨 다음,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은 높이의 제1지지부통공(211)과 제2지지부통공(221)을 같은 위치에 위치시킨 후 높이고정부(230)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높이고정부(230)는 제1지지부통공(211) 및 제2지지부통공(221)을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상관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통공(211) 및 제2지지부통공(221)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단면이 제1지지부(211) 및 제2지지부(221)와 같은 형상을 하고,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제1지지부통공(211)보다 크게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높이고정부(23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제1지지부통공(211)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높이고정부(23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레그 프레스 등 하체운동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 운동 폭에 알맞도록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220)를 높이고정부(230)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바벨(300)을 높이고정부(230)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1지지부통공(211) 및 제2지지부통공(22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높이고정부(23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높이고정부캡(231)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높이고정부(230)와 높이고정부캡(231)은 끼움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바벨(300)은 제1바벨지지부(120) 또는 지지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거치되어 양 단부에 웨이트(310)가 고정되는 바(3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바벨(300)을 상체 또는 하체를 이용하여 들어 올리거나 본 발명인 다목적 운동기구에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웨이트(310)는 바(320)의 양 단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바(320)의 무게보다 더 높은 하중으로 운동을 수행하고 싶은 사용자는 바(320)의 양 단부에 웨이트(310)를 고정시킴으로써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웨이트(310)가 바(32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웨이트통공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도넛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바(320)는 바벨고정부(140) 또는 지지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좌측 및 우측을 충분히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320)가 바벨고정부(140) 또는 지지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좌측 및 우측을 충분히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양 단부에 웨이트(310)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바(320)를 고정시키거나 들어 올림으로써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웨이트(310)가 바(320)의 양 단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바(320)의 단부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웨이트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바(320)를 바벨고정부(140) 또는 지지부(200) 내측에 고정시키고, 웨이트(310)를 바(320) 단부에 끼움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웨이트고정부에 의해 웨이트(310)가 바(320) 단부로부터 같은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웨이트(310)가 바(320)의 내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웨이트(310)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웨이트통공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웨이트(310)의 해체 시 웨이트(310)의 무게 균형에 의해 바(320)가 한쪽 방향으로 쏠림으로써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바(320) 내측에 바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고정부는 바벨고정부(140) 또는 지지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바고정부는 클램프, 링, 집게 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클램프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U클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다목적 운동기구가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와 같은 특정부위를 위한 고가의 운동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대(400), 제2받침대(410), 받침대연결부(420), 기울기조절부(430) 및 제1제어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받침대(400)는 받침대(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그 프레스 등의 하체운동을 수행할 경우, 제1받침대(400)는 사용자의 둔부 또는 하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50c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받침대(410)는 제1받침대(40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받침대(400) 및 제2받침대(41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인 다목적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하체운동을 수행할 경우, 기울기조절부(430) 및 제1제어부(440)에 의해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의 기울기가 조절되어 올바른 자세로 레그 프레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되기 위하여 각각의 하측면에 제1받침판(401) 및 제2받침판(41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받침판(401,411)이 더 포함됨으로써, 기울기조절부(430)에 의한 압력이 고르게 가해질 뿐만 아니라, 기울기조절부(430)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몸을 고정하였을 때,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받침대연결부(420)는 제1받침대(400)와 제2받침대(410) 사이에 형성되어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받침대연결부(420)를 중심으로 제1받침대(400) 중 제2받침대(410)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받침판(401) 및 제2받침판(411)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제1받침판(401) 및 제2받침판(411)의 움직임에 따라 제1받침대(400) 및 제2받침대(410)가 연동되어 기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울기조절부(430)는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기울기조절부(430)의 길이에 의해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짐으로써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기울기조절부(4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제어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제어부(440)는 기울기조절부(43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받침대 지지부(110)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기울기조절부(430) 및 제1제어부(440)는 실린더 형식으로 형성되어 제1제어부(440)의 신호에 의해 기울기조절부(43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짐으로써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기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압식 실린더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받침대(1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하체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는 제1고정수단(500), 제2고정수단(500) 및 고정수단연결부(5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고정수단(500)은 제1지지부(2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제1지지부(2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수단(500)이 제1지지부(210) 일측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수단지지부(501)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고정수단지지부(501)는 제1고정수단(500)의 타측 단부에 제1고정수단(500)의 타측 단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지지부(21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수단(5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수단(500)이 형성됨으로써 바벨(300)의 운동에 의해 제1지지부(2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2고정수단(510)은 제1고정수단(500)의 상측과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제2지지부(22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제2고정수단지지부(511)를 포함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수단지지부(511)는 제2고정수단(510)의 타측 단부에 제2고정수단(510)의 타측 단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지지부(22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수단지지부(511)가 형성됨으로써 제2고정수단(5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용이하게 분산되어 바벨(300)의 운동에 의해 제2지지부(2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고정수단지지부(511)는 제2지지부(220) 상측 일측에 고정 형성됨으로써 제2지지부(220)의 길이에 따라 제2고정수단(510)이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고정정수단(510)의 일측 단부에 제2고정수단통공(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제2고정수단(510)과 고정수단연결부(5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수단연결부(520)는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고정수단(510)의 일측 단부가 상측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수단(500)은 고정수단연결부(520)의 타측 일측에 타측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어 제2고정수단(510)과 하측방향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제1지지부(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 단부에 고정수단연결부지지부(523)가 고정수단연결부(520)보다 넓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연결부(5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고정수단여결부(52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와 같이, 제2고정수단(510)의 일측 단부가 고정수단연결부(520)의 상측 내측에 인입되어 제2고정수단(510)이 제2지지부(220)의 길이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연결부(520)는 고정수단연결부통공(521)을 더 포함하여 제2고정수단(51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제2지지부(220)를 높이고정부(230) 및 높이고정부캡(231)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제2지지부(220)의 길이에 의해 제2고정수단(510)의 위치가 고정되면, 고정수단연결부통공(521) 및 제2고정수단통공이 평행하게 위치되며, 고정수단부고정부(522)에 의해 제2고정수단(51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부고정부(522)는 높이고정부(230) 및 높이고정부캡(231)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연결부통공(521) 및 제2고정수단통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1고정수단(50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관절이 포함되어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수단연결부(520)가 제1고정수단(500)으로부터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수단(500) 및 고정수단연결부(520)가 지지부(200)의 일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제1고정수단(500) 및 제2고정수단(510)이 더 포함됨으로써 바벨의 하중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의한 지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220) 상측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캡(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캡(600)이 더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 또는 바벨(300) 제어에 의해 바벨(300)이 지지부(20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캡(600)이 제2지지부(220)의 상측에 끼움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정캡(6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캡고정나사(610)가 높이고정부(230)와 같이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이 수행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캡(600)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 또는 제어에 의한 바벨(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자세에 의한 지지부(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된 제1지지수단(7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지지수단(700)은 제1지지부통공(211)과 상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높이고정부(23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수단(700)은 제2지지수단(710), 개폐부(720), 제1수용공간(7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수단(700)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높이고정부(230)의 상측에 바벨(300)을 위치시키고 운동을 수행할 경우, 바벨(300)의 하중에 의해 높이고정부(2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지지수단(710)은 제1지지수단(700)의 상측에 형성되며, 고무, 폴리우레탄, 플라스틱,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바벨(300)에 의한 일부 충격을 흡수 하여 높이고정부(2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720)는 제1지지수단(7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어 지지부(200)에 제1지지수단(7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720)를 축으로 제1지지수단(7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수단(700) 및 제2지지수단(710)이 지지부(200)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730)에 인입될 수 있다.
만약, 높이고정부(230)가 최하측의 제1 및 제2지지부통공(211,2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경우, 최하측의 제1지지부통공(211)과 인접한 제1 및 제2지지수단(700,710)은 지지부(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최하측의 제1지지부통공(211)과 인접한 제1 및 제2지지수단(700,710)을 제외한 나머지는 개폐부(720)를 축으로 상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수용공간(730)에 고정시킴으로써 바벨(30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지지수단(700,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1수용공간(730)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지지수단고정부(7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720)를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회전된 제1지지수단(700)의 양 단부가 제1지지수단고정부(7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정방법은 사용자가 제1지지수단(700)을 회전시켜 제1수용공간(730)의 내측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고정 또는 해제가 수행되는 원터치 형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지지수단(700)에 의해 바벨의 하중에 의한 높이고정부(2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부위를 위한 고가의 운동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6)

  1. 사용자의 등 및 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지지부(110)를 포함하여 지면과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받침대(100);
    받침대(100)의 양측에 나란히 형성된 제1바벨지지부(120);
    제1바벨지지부(120) 상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지지부연결부(131)를 포함하는 제2바벨지지부(130);
    지지부연결부(131)의 상측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200); 및
    제1바벨지지부(120) 또는 지지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거치되어 양 단부에 웨이트(310)가 고정되는 바(320)를 포함하는 바벨(300);을 포함하고,
    지지부(200)는,
    지지부연결부(131)의 상측 일측에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210); 및
    제1지지부(210) 내측에 하측이 인입되어 지지부(200)가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대(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받침대(400);
    제1받침대(4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받침대(410);
    제1받침대(400)와 제2받침대(410) 사이에 형성되어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대연결부(420);
    제1받침대(400) 또는 제2받침대(4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울기조절부(430); 및
    기울기조절부(43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받침대지지부(110)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제어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지지부(2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고정수단(500);
    제1고정수단(500)의 상측과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제2지지부(22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고정수단(510); 및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고정수단(500)이 고정 형성되며, 상측에 제2고정수단(510)의 일측 단부가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연결부(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지지부(220) 상측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캡(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2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된 제1지지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KR1020180057653A 2018-05-21 2018-05-21 다목적 운동기구 KR10202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53A KR102029703B1 (ko) 2018-05-21 2018-05-21 다목적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53A KR102029703B1 (ko) 2018-05-21 2018-05-21 다목적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703B1 true KR102029703B1 (ko) 2019-10-08

Family

ID=6820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653A KR102029703B1 (ko) 2018-05-21 2018-05-21 다목적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159B1 (ko) 2023-06-28 2024-01-03 김동섭 중량 조절이 용이한 운동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8387A1 (en) * 1999-08-03 2001-08-30 Webber Randall T. Foldable exercise bench
KR20170139464A (ko) * 2016-06-09 2017-12-19 김태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US20170361149A1 (en) * 2016-06-16 2017-12-21 Elite Strength Equipment, Llc Bench Press Assembly
CN206979920U (zh) * 2017-05-01 2018-02-09 朱滢 一种有效保护杠铃卧推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8387A1 (en) * 1999-08-03 2001-08-30 Webber Randall T. Foldable exercise bench
KR20170139464A (ko) * 2016-06-09 2017-12-19 김태화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US20170361149A1 (en) * 2016-06-16 2017-12-21 Elite Strength Equipment, Llc Bench Press Assembly
CN206979920U (zh) * 2017-05-01 2018-02-09 朱滢 一种有效保护杠铃卧推架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1/0018387호(2001.8.30.) 1부.*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6979920호(2018.2.9. 공고)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159B1 (ko) 2023-06-28 2024-01-03 김동섭 중량 조절이 용이한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11524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Machines
US7156788B1 (en) Exercise apparatus
US9011296B2 (en) Therapeutic exercise apparatus with multiple selectively interlockable sliding platforms
US10350127B2 (en) Unilateral leg press machine
US20060019806A1 (en) Portable excercise assembly
US20110287911A1 (en) Power stride apparatus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US9138612B2 (en) Exercise device
US9278252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CA2796270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10319237A1 (en) Abdominal squat machine
US20070010381A1 (en) Total body conditioning system
US20210016130A1 (en) Foldable Bench
US20200108287A1 (en) Seated exercise device
KR102029703B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11224780B2 (en) Machine for assisted physical activity exercise
US9937372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US20050239618A1 (en) Waist training exerciser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CN213192323U (zh) 一种体育专业腹部健身装置
CN220656312U (zh) 多功能核心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