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300A -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300A
KR20190010300A KR1020170092900A KR20170092900A KR20190010300A KR 20190010300 A KR20190010300 A KR 20190010300A KR 1020170092900 A KR1020170092900 A KR 1020170092900A KR 20170092900 A KR20170092900 A KR 20170092900A KR 20190010300 A KR20190010300 A KR 20190010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bracket
attachment
pai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화
Original Assignee
김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화 filed Critical 김태화
Priority to KR102017009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300A/ko
Publication of KR2019001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종류에 따라 적합한 액세서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액세서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의 착탈도 용이하고 안전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Multi fitness equipment having attachable accessory}
본 발명은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 종류에 따라 적합한 액세서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액세서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의 착탈도 용이하고 안전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하고 멋진 삶을 위해 헬스클럽 등을 방문하여 운동을 하거나 또는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가정에서 운동하는 이들이 많다. 운동 중에서도 특히, 보기 좋은 몸매를 만들기 위한 근력강화운동은 스쿼트, 런지 등과 같은 체중을 이용한 운동, 역기나 아령 등을 이용하는 웨이트 운동 및 철봉운동, 평행봉운동 등이 기본을 이룬다.
한편, 운동 종류에 따라 철봉, 평행봉, 바벨걸이대, 바벨캐쳐바 등 다양한 구성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구성들이 한꺼번에 모두 구비되면, 특정 운동을 할 때 불필요한 구성들 때문에 운동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마다 신체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각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여야만 높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운동기구가 다양한 사양으로 제공되지 못하므로 구입한 운동기구가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맞지 않아 불편이 초래되고 운동효과도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4976호(2012. 05. 0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식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운동 종류에 따라 적합한 액세서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액세서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의 착탈도 용이하여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액세서리가 지주에 결합된 상태도 견고하여 안정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좌우로 관통되는 액세서리끼움공(110)이 상하로 다수개 이격형성되어,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주(100);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0)를 지지하는 받침대(200); 및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액세서리(300, 400,500,600,700,800,830);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는 전면부(312), 상기 전면부(312)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측면부(314), 상기 전면부(312)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되 제1측면부(314)에 비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제2측면부(316), 상기 제2측면부(316)의 제1측면부(314)에 비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부위에서 내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워지는 끼움봉(318)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0)과, 상기 브라켓(310)에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어 운동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몸을 지탱하는 수단 또는 운동기구를 거치시키는 수단을 이루는 어태치먼트(320,420,530,620,720,820,8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320)는 상기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부(322)와, 결합부(322)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평행봉운동을 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된 파지부(3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태치먼트(320)의 결합부(322)와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보강판(319)이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324)는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측면부(314) 측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310)은 제2측면부(316)가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지주(100)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420)는 선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도록 상기 제2측면부(316)의 전단에서 일체로 돌출된 바벨거치고리로 이루어져서, 상기 어태치먼트(420)에 바벨(1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520)는 사각파이프를 절곡시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310)의 전면부(312)에 결합되는 결합부(522)와, 상기 결합부(522)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바벨(10)이 거치되는 바벨거치부(524), 상기 결합부(522)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브라켓(310)의 제1측면부(314)에 결합되는 후방돌출부(526), 상기 바벨거치부(524)의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걸림턱(528)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620)는 상기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또는 제1, 2측면부(314,31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바벨원판(12)을 걸어서 보관하기 위한 바벨원판걸이봉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720)는 철봉운동을 할 수 있도록 좌우로 긴 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10)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측면부(314) 전단에는 상기 어태치먼트(7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317)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어태치먼트(720)에 상기 브라켓(310)이 좌우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820)는 복근운동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지지부(822)와, 상기 등지지부(824)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용자의 좌우 팔이 지지되는 한 쌍의 팔지지부(826)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팔지지부(826)의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파지봉(828)과, 상기 등지지부(824)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하향으로 개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브라켓연결부(829)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10)은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되,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 전단에는 상기 전면부(312)와 나란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태치먼트끼움부(317)가 더 구비되어, 상기 어태치먼트(820)가 상기 브라켓(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840)는 복근운동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지지부(842)와, 상기 등지지부(822)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용자의 좌우 팔이 지지되는 한 쌍의 팔지지부(844)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팔지지부(844)의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파지봉(84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등지지부(842)의 배면측에 좌우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액세서리(1000,1100)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어태치먼트(1020,1120)는 상기 제2측면부(316)의 전단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바벨연결벨트(20)가 연결되는 바벨끼움공(1022) 또는 상향으로 개방된 벨트끼움홈(1122)이 형성된 벨트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우로 관통되는 액세서리끼움공(110)이 상하로 다수개 이격형성되어,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주(100);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받침대(200); 및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액세서리(900);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900)는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워지는 끼움봉(331)이 내측에서 돌출형성된 고정측면부(332)와, 고정측면부(332)의 전후 단에서 상기 끼움봉(331)과 나란하게 돌출되며 선단부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상향개방홈(334,336)이 형성된 전면부(333) 및 배면부(335)와, 전후 단부에는 상기 전면부(333) 및 배면부(335)가 끼워지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한 쌍의 하향개방홈(338)이 형성된 착탈측면부(337)로 이루어진 브라켓(330)과;
상기 브라켓(330)의 고정측면부(332)의 전단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만곡되도록 돌출된 바벨거치고리(922)와, 상기 바벨거치고리(922)와 브라켓(330) 사이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볼트체결공(925)이 형성된 고정판(924)과, 상기 볼트체결공(926)에 체결되어 하단이 상기 바벨거치고리(922)에 올려진 바벨의 가로봉을 가압하는 고정볼트(926)로 이루어진 어태치먼트(9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벨거치고리(922)와 브라켓(330)의 고정측면부(332) 전단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고정판(924)이 끼워지는 고정판끼움홈(923.339)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지주(1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액세서리끼움공(110)이 형성되고, 이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900)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900)를 선택하여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900)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높이의 액세서서리끼움공(110)에 끼워서 운동기구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최적의 상태로 셋팅하여 운동을 할 수 있어서 운동효과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900)를 지주(100)에 끼우고 분리하기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액세서리 (300,400,500,600,700,800,830,900) 자체의 구성도 견고하고,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900)가 지주(100)에 결합된 상태도 견고하므로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90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900)가 손상되거나 또는 액세서리가(300,400,500,600,700,800,830,900) 지주(100)에서 빠질 우려가 없으므로 안정성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a, b는 상기 실시예의 액세서리를 끼우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2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15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6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9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22a, b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23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24는 상기 실시예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26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27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8은 상기 실시예의 제8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29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30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2 및 3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다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5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7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다른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9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복합운동기구로서, 좌우로 관통되는 액세서리끼움공(110)이 상하로 다수개 이격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지주(100)와, 지주(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0)를 지지하는 받침대(200)와, 상기 액세서리 끼움공(11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액세서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100)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져서, 좌우로 관통되는 액세서리 끼움공(110)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지주(100)는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200)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도록 세워진다.
한편, 상기 액세서리(300)는 지주(100)에 끼우기 위한 브라켓(310)과,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운동을 하기 위해 손으로 잡거나 또는 운동기구를 거치시키기 위한 어태치먼트(3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다양한 종류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예서는 액세서리(300)가 평행봉운동을 하기 위한 평행봉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브라켓(310)은 전면부(312)와, 전면부(312)의 일측 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측면부(314), 상기 전면부(312)의 타측 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되 상단부가 상기 제1측면부(314)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측면부(316), 상기 제2측면부(316)의 상기 제1측면부(314) 보다 상향으로 돌출된 부위의 내측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지주(100)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봉(31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어태치먼트(320)는 브라켓(310)에 결합되는 결합부(322)와 결합부(322)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평행봉운동을 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된 파지부(324)로 이루어지는데, 파지부(324)는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어태치먼트(320)는 파지부(324)가 선단으로 갈수록 제1측면부(312)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결합부(322)가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 외측면에 결합되는데, 어태치먼트(320)의 결합부(322)와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보강판(319)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어태치먼트(320)가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 외측면에 결합되고 어태치먼트(320)와 브라켓(310) 사이에 보강판(319)이 결합됨에 따라 어태치먼트(320)와 브라켓(31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세서리(300)는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이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좌우측 지주(100)에 결합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지주(100)에 결합된다. 액세서리(300)를 지주(100)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어태치먼트(320)의 파지부(324)가 상부로 향하도록 액세서리(300)를 기울여서 브라켓(310)의 전면부(312)와 제1측면부(314)를 지주(100)의 전방으로 위치시킨 후 끼움봉(318)을 지주(100)의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운다. 그리고 액세서리(300)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브라켓(310)의 전면부(312)가 지주(100)의 전면에 밀착되고, 지주(100)가 제1, 2측면부(312,316) 사이로 삽입되어 액세서리(300)가 지주(1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300)를 기울여서 끼움봉(318)을 지주(100)의 일측에서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밀어서 끼운 다음, 하향으로 회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액세서리(300)를 지주(100)에 끼우기가 용이하다. 그뿐만 아니라 액세서리(30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하단이 지주(100) 전면에 걸려서 액세서리(300)가 회동되지 않고, 지주(100)가 액세서리(3000의 전면부(312) 및 제1, 2측면부(314,316) 사이에 삽입되어 액세서리(300)가 좌우로 유동되지도 않으므로 액세서리(300)가 지주(100)에 결합된 상태가 상당히 안정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태치먼트(320)의 결합부(322)가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 외측에 결합되고, 파지부(324)가 선단부로 갈수록 브라켓(310)의 제1측면부(314)에 근접되도록 경사지기 때문에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액세서리(300)의 파지부(324) 사이의 간격이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
따라서 좌우 파지부(324)의 기단부 사이의 간격(A) 보다 좌우 파지부(324)의 선단부 사이의 간격(B) 더 넓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좌우 파지부(324)가 적절한 간격을 갖는 위치를 손으로 잡고 운동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각자의 신체에 따라 액세서리(30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하나의 액세서리(300)로 각자의 신체조건에 맞춰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 설명 부호 250은 지주(100)의 상단에 구비된 철봉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400)가 바벨(10)을 걸어서 보관하기 위한 바벨걸이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400)의 어태치먼트(420)가 바벨(10)을 걸 수 있도록 선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된 바벨거치고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벨거치고리, 즉, 어태치먼트(420)는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측면부(316)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데, 브라켓(310)과 어태치먼트(42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액세서리(400)가 견고하며, 액세서리(400)의 제조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세서리(4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절단하고 절단된 금속판을 절곡시켜 제조되는데, 금속판 절단시 바벨거치고리, 즉, 어태치먼트(420)를 제2측면부(316)를 형성할 부위에 연결되도록 금속판을 절단하고, 금속판의 양측 단부를 후방으로 절곡시켜서 제1, 2측면부(314,316)를 형성시키면, 제2측면부(316)가 후방으로 절곡됨에 따라 바벨거치고리는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므로 액세서리(4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액세서리(400)가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쌍이 구비되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주(100)가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400)를 지주(100)에 끼울 때 제2측면부(316)가 지주(1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끼운다. 이와 같이 하면 제2측면부(316)가 지주(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에 비해 좌우 액서서리(400)의 바벨거치고리, 즉, 어태치먼트(42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되므로 바벨(10)이 액세서리(4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500)가 바벨(10)을 거치하여 보관하는 것은 물론이며, 벤치프레스 및 스쿼트 등과 같은 운동을 할 때 바벨(10)을 놓치게 되는 경우에 바벨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캐쳐바로서의 기능을 하는 바벨거치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서서리(500)의 어태치먼트(520)가 사각바아로 이루어지되, 브라켓(310)의 전면부(312)에 접하는 결합부(522)와, 결합부(522)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바벨거치부(524)와, 결합부(522)의 단부에서 브라켓(310)의 제1측면(314)에 접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돌출부(526) 및 상기 바벨거치부(524)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걸림턱(5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벨거치부(524)는 결합부(522)에서 임의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는데, 바벨거치부(524)와 결합부(522) 사이의 각이 예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바벨거치부(524)의 선단부가 좌우 지주(100) 보다 내향으로 위치되어 운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바벨거치부(524)와 결합부(522) 사이의 각이 90°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바벨거치부(524)가 절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벨거치부(524)가 90°절곡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어태치먼트(520)는 결합부(522)와 후방돌출부(526)가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및 제1측면부(314)에 접하도록 용접되어 결합되며, 따라서 어태치먼트(520)와 브라켓(310)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어태치먼트(520)와 브라켓(31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세서리(500)도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이 구비되어,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4)가 지주(1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지주(100)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는 어태치먼트(520의 바벨거치부(524)가 결합부(522)에서 전방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좌우 액세서리(500)의 바벨거치부(524) 사이의 간격이 운동기구의 지주(100)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확보되므로, 바벨(10)이 액세서리(500)에 좀 더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5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528)에 의해 바벨(10)이 굴러 떨어지는 것도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벤치프레스 및 스쿼트 등의 운동을 할 때 바벨(10)을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으며, 또한, 바벨(10)을 거치시켜 놓고 바벨원판(12)을 편하고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600)가 바벨원판(12)을 걸기 위한 바벨원판걸이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600)의 어태치먼트(620)가 봉형상으로 되어 브라켓(310)의 전면부(312)와 제2측면부(316)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어태치먼트(620)가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또는 제1, 2측면부(314,31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액세서리(600)가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지주(100)에 끼워지는데, 도 15, 16에서는 브라켓(310)의 전면부(312)에 결합된 어태치먼트(62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전면부(312)에 결합된 어태치먼트(620)가 지주(1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액세서리(600)가 끼워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620)가 수평을 이룰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어태치먼트(620)가 선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 바벨원판(12)이 떨어질 우려가 없으므로 좀 더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도 17 내지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액세서리(700)가 철봉손잡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700)의 어태치먼트(720)가 좌우로 긴 철봉용 봉으로 이루어지고, 브라켓(310)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어태치치먼트(820)에 좌우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216)에는 어태치먼트(720) 즉, 철봉용 봉이 관통되게 끼워져서 결합되는 연결부(319)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세서리(7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700)를 어태치먼트(720)와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제1측면부(314)가 지주(100) 전방에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옆으로 밀어서 브라켓(310)의 끼움봉(318)을 지주(100)의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운 다음, 어태치먼트(720)를 하향으로 회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상단부에 철봉(250)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이용이 곤란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액세서리(700)를 철봉손잡이로 형성시키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높이에 철봉손잡이를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를 보인 것으로서, 액세서리(800)가 복근운동을 위한 복근운동기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310)이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의 브라켓(310)에는 제2측면부(316)의 전단에서 브라켓(310)의 전면부(312)와 나란하도록 측방향으로 돌출된 어태치먼트끼움부(317)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820)는 브라켓(3210)과 별체로 형성되어 브라켓(310)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 어태치먼트(820)는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지지부(822)와 이 등지지부(824)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팔이 지지되는 좌우 팔지지부(826)과, 팔지지부(826)의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된 파지봉(828)과, 상기 등지지부(824)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310)의 어태치먼트끼움부(317)에 끼워지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끼움홈(827)이 형성된 브라켓연결부(829)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10)을 지주(100)에 먼저, 결합시키고, 어태치먼트(820)를 브라켓(310)에 걸어서 액세서리(800)를 지주에 결합시킨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830)가 복근운동을 위한 복근운동기구로 이루어지데, 브라켓(310)과 어태치먼트(8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840)의 후방 양측에 한 쌍의 브라켓(310)이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842는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지지부이고, 844는 사용자의 팔이 지지되는 좌우 팔지지부이며, 846은 손으로 잡도록 된 파지봉이다.
도 28 내지 3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900)가 고정식 바벨걸이대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의 브라켓(330)은 지주(100)의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워지는 끼움봉(331)이 내측에서 돌출된 고정측면부(332)와, 고정측면부(332)의 전후 단부에서 상기 끼움봉(331)과 나란하게 일측으로 돌출되며 선단부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상향개방홈(334,336)이 형성된 전면부(333) 및 배면부(335)와, 상기 전면부(333) 및 배면부(335)가 끼워지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한 쌍의 하향개방홈(338)이 형성된 착탈측면부(33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920)는 바벨(10)을 걸기 위해 브라켓(330)의 고정측면부(332)의 전단에서 선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도록 돌출된 바벨거치고리(922)와, 바벨거치고리(922)와 브라켓(330) 사이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볼트체결공(925)이 형성된 고정판(9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벨거치고리(922)와 브라켓(330)의 고정측면부(332) 전단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고정판(924)이 끼워지는 고정판끼움홈(923. 339)이 각각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900)가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30)을 착탈측면부(337)를 분리한 상태에서 일측에서 밀어서 지주(100)에 결합시키고 착탈측면부(337)를 전면부(333) 및 배면부(335)에 결합시킨 다음, 바벨거치고리(922)에 바벨(10)을 거치시키고, 상기 고정판(924)을 브라켓(330)과 바벨걸이용 고리(922)에 끼우고, 고정판(924)에 고정볼트(926)을 체결시켜서, 고정볼트(926)의 하단이 바벨(10)의 가로대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지주(100)가 브라켓(330) 내부에 완전히 갇힌 상태가 되고, 바벨(10)도 고정판(924)과 고정볼트(926)에 의해 액세서리(900)에 고정되므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벨(10)의 좌우 무게중심이 맞지 않더라도 바벨(10)이 액세서리(900)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바벨(10)의 바벨원판(10)을 교체할 때 사용이 유용하다.
도 31 내지 3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액세서리(1000)가 캐쳐바기능을 하는 바벨연결벨트(20)를 지주(100)에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1000)의 어태치먼트(1020)가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선단부에는 상기 바벨연결벨트(20)가 끼워지는 벨트끼움공(1022)이 형성된 벨트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1000)가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벨걸이대 기능을 하는 액세서리(400)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지주(100)에 끼워서 사용하는데, 별도의 샤클(shackle)(22)을 바벨연결벨트(20)에 걸고 샤클(22)을 상기 벨트끼움공(102)에 끼운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1000)를 이용하여 바벨(10)을 바벨연결벨트(20)로 지주(100)와 연결시키면 운동을 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실수로 바벨(10)을 놓치더라도 바벨(10)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없고 바닥이 손상될 우려도 없다. 또한, 바벨(10)이 바닥에 떨어져서 층간소음이 발생되지도 않는 장점이 있다. 도 33은 바벨(10)을 바벨연결벨트(2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벨걸이대 기능을 하는 액세서리(400)에 바벨(10)을 올려놓은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4와 도 3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벨트끼움공(102)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별도의 샤클없이 바벨연결벨트(20)를 상기 벨트끼움공(102)에 직접 연결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도 35는 그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6 내지 37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1000)가 캐쳐바기능을 하는 바벨연결벨트(20)를 지주(100)에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액세서리(1100)의 어태치먼트(1120)가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선단부에는 상기 바벨연결벨트(20)가 끼워지도록 상향을 개방된 벨트끼움홈(1122)이 형성된 벨트연결부(1120)로 이루어진다.
도 37은 이러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벨트끼움홈(1122)이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샤클을 이용해 바벨연결벨트를 연결시킨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8 내지 3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벨트끼움홈(1122)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별도의 샤클없이 바벨연결벨트(20)를 상기 벨트끼움홈(1122)에 직접 연결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도 39는 그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Claims (10)

  1. 좌우로 관통되는 액세서리끼움공(110)이 상하로 다수개 이격형성되어,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주(100);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0)를 지지하는 받침대(200); 및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액세서리(300, 400,500,600,700,800,830);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300,400,500,600.700.800,830,1000,1100)는,
    전면부(312), 상기 전면부(312)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측면부(314), 상기 전면부(312)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되 제1측면부(314)에 비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제2측면부(316), 상기 제2측면부(316)의 제1측면부(314)에 비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부위에서 내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워지는 끼움봉(318)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0)과,
    상기 브라켓(310)에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어 운동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몸을 지탱하는 수단 또는 운동기구를 거치시키는 수단을 이루는 어태치먼트(320,420,530,620,720,820,830,1020,1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300)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어태치먼트(320)는,
    상기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부(322)와, 결합부(322)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평행봉운동을 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된 파지부(3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태치먼트(320)의 결합부(322)와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보강판(319)이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324)는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측면부(314) 측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액세서리(300)는 상기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가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지주(10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400)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어태치먼트(420)는
    선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도록 상기 제2측면부(316)의 전단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바벨(10)을 거치시키기 위한 바벨거치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세서리(400)는 상기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가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지주(10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500)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어태치먼트(520)는,
    사각파이프를 절곡시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310)의 전면부(312)에 결합되는 결합부(522)와, 상기 결합부(522)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바벨(10)이 거치되는 바벨거치부(524), 상기 결합부(522)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브라켓(310)의 제1측면부(314)에 결합되는 후방돌출부(526), 상기 바벨거치부(524)의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걸림턱(528)으로 이루어져셔,
    상기 액세서리(500)는 상기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가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지주(10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500)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어태치먼트(620)는,
    상기 브라켓(310)의 전면부(312) 또는 제1, 2측면부(314,31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바벨원판(12)을 걸어서 보관하기 위한 바벨원판걸이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720)는,
    철봉운동을 할 수 있도록 좌우로 긴 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10)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측면부(314) 전단에는 상기 어태치먼트(7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317)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어태치먼트(720)에 상기 브라켓(310)이 좌우로 이격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820)는,
    복근운동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지지부(822)와, 상기 등지지부(824)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용자의 좌우 팔이 지지되는 한 쌍의 팔지지부(826)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팔지지부(826)의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파지봉(828)과, 상기 등지지부(824)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하향으로 개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브라켓연결부(829)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10)은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되, 브라켓(310)의 제2측면부(316) 전단에는 상기 전면부(312)와 나란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태치먼트끼움부(317)가 더 구비되어,
    상기 어태치먼트(820)가 상기 브라켓(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840)는,
    복근운동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지지부(842)와, 상기 등지지부(822)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용자의 좌우 팔이 지지되는 한 쌍의 팔지지부(844)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팔지지부(844)의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파지봉(84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등지지부(842)의 배면측에 좌우로 이격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1000,1100)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어태치먼트(1020,1120)는
    상기 제2측면부(316)의 전단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바벨연결벨트(20)가 연결되는 바벨끼움공(1022) 또는 상향으로 개방된 벨트끼움홈(1122)이 형성된 벨트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10. 좌우로 관통되는 액세서리끼움공(110)이 상하로 다수개 이격형성되어,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주(100);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받침대(200); 및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액세서리(900);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900)는,
    상기 액세서리끼움공(110)에 끼워지는 끼움봉(331)이 내측에서 돌출형성된 고정측면부(332)와, 고정측면부(332)의 전후 단에서 상기 끼움봉(331)과 나란하게 돌출되며 선단부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상향개방홈(334,336)이 형성된 전면부(333) 및 배면부(335)와, 전후 단부에는 상기 전면부(333) 및 배면부(335)가 끼워지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한 쌍의 하향개방홈(338)이 형성된 착탈측면부(337)로 이루어진 브라켓(330)과;
    상기 브라켓(330)의 고정측면부(332)의 전단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만곡되도록 돌출된 바벨거치고리(922)와, 상기 바벨거치고리(922)와 브라켓(330) 사이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볼트체결공(925)이 형성된 고정판(924)과, 상기 볼트체결공(926)에 체결되어 하단이 상기 바벨거치고리(922)에 올려진 바벨의 가로봉을 가압하는 고정볼트(926)로 이루어진 어태치먼트(9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벨거치고리(922)와 브라켓(330)의 고정측면부(332) 전단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고정판(924)이 끼워지는 고정판끼움홈(923.339)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KR1020170092900A 2017-07-21 2017-07-21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KR20190010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00A KR20190010300A (ko) 2017-07-21 2017-07-21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00A KR20190010300A (ko) 2017-07-21 2017-07-21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00A true KR20190010300A (ko) 2019-01-30

Family

ID=6527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00A KR20190010300A (ko) 2017-07-21 2017-07-21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0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821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공간활용 가능한 운동기구
KR20220102674A (ko) * 2021-01-13 2022-07-21 (주)디자인파크개발 캐비넷형 빌트인 홈 트레이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76B1 (ko) 2009-05-28 2012-05-15 박천문 복합 헬스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76B1 (ko) 2009-05-28 2012-05-15 박천문 복합 헬스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821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공간활용 가능한 운동기구
KR20220102674A (ko) * 2021-01-13 2022-07-21 (주)디자인파크개발 캐비넷형 빌트인 홈 트레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233B2 (en) Mobile hip squat apparatus
US9808663B2 (en) Multifunctional kinetic mechanism
EP2821112B1 (en) Exercise device
US10016648B2 (en) Leg press attachment
US7608020B2 (en)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US9259604B2 (en) Exercise machine for performing squats
US9345923B2 (en) Weight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US7070547B1 (en) Weight bench with dumbbell supports
WO1998011951A1 (en) Collapsible frame for weight lifters
AU2011336633A1 (en) Exercise bar attachment and method
US8690742B1 (en) Resistance band physical trai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IE20100442A1 (en) An exercise device
US20170144008A1 (en) Triceps dip exercise stand
US8157677B1 (en) Table tennis caddy
KR20190010300A (ko) 액세서리 착탈식 복합운동기구
US20200338384A1 (en) Motor-driven variable weight exercise device with modular chassis body
US20040204292A1 (en) Horizontal bar
US11198030B2 (en) Ped-A-Pull exercise apparatus
US20150182772A1 (en) Exercise device
KR20170139464A (ko) 옵션기구가 착탈되는 어댑터가 구비된 철봉
GB2446947A (en) Gymnastic exercise apparatus
KR101770065B1 (ko) 높이조절식 철봉
CN203507412U (zh) 多功能哑铃凳
CN214633752U (zh) 一种体育体能综合训练装置
KR20180138056A (ko)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