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932A - 냉각 유닛 - Google Patents

냉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932A
KR20170138932A KR1020170067584A KR20170067584A KR20170138932A KR 20170138932 A KR20170138932 A KR 20170138932A KR 1020170067584 A KR1020170067584 A KR 1020170067584A KR 20170067584 A KR20170067584 A KR 20170067584A KR 20170138932 A KR20170138932 A KR 2017013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ttached
unit
shutt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리 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부시키가이샤 마키시스 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부시키가이샤 마키시스 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7013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과제]
냉각 운전과 제상 운전의 전환에 의한 송풍기의 동작 불량을 방지함과 함께, 제상 운전시의 밀폐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냉각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몸체의 측면 중의 하나에 부착된 흡입 후드와, 상기 몸체의 측면 중의 다른 하나에 부착된 팬 유닛과, 상기 팬 유닛의 상기 열교환기측에 부착된 댐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 유닛은, 사각형 통형상의 댐퍼 케이스와, 그 양단에 마련된 샤프트가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 셔터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면에 따라 상기 샤프트에 당접 또는 근접하도록 부착된 히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유닛.

Description

냉각 유닛{COOLING UNIT}
본 발명은, 냉각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 운전과 제상(除霜) 운전을 전환하여 실시 가능한 디프로스트 기능 부착의 냉각 유닛에 관한 것이다.
대형의 냉장고나 냉동고 등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유닛(유닛 쿨러)은, 몸체 외부로부터 취입(取入)된 외기를 몸체 내부에 배치된 냉각기(증발기)를 통하여 냉각하고, 이것을 냉장고나 냉동고 내에 공급(이 동작을 「냉각 운전」이라고 칭한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각 유닛에서는, 외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냉기(冷氣)로 된 때에 서리(霜)로서 냉각기에 부착하는 일이 있고, 이에 의해 냉각기의 냉각 능력이 저하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각기에 부착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냉각 운전을 일단 멈춤과 함께 몸체의 흡입구와 배출구를 폐쇄하여 몸체 내부를 밀폐하고, 그 후 냉각기를 핫 가스나 히터 등을 이용하여 따뜻하게 함에 의해 그 냉각기에 부착한 서리를 융해시키는 이른바 ·디프로스트」 동작을 행하고 있다(이 동작을 「제상(除霜) 운전」이라고 칭한다).
이와 같은 냉각 운전과 제상 운전을 전환하여 사용되는 유닛 쿨러로서, 예를 들면, 냉각기 및 송풍기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덕트에 댐퍼를 마련하여, 제상 운전시에 냉각기 챔버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개평5-5916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유닛 쿨러에서는, 제상 운전시에 챔버 내부에 핫 가스에 의한 열량이 공급됨에 의해 냉각기에 부착한 서리가 융해한다. 이 때, 융해한 서리의 일부가 수증기(안개)가 되어 부유하는 일이 있다.
그렇지만, 댐퍼가 닫혀 있음에 의해 챔버 내부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증기가 챔버 내에 충만하면, 내부 공간에 있는 송풍기의 표면이나 댐퍼의 개폐기구에 물방울(水滴)로서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상 운전으로부터 냉각 운전으로 전환하면, 물방울이 부착한 송풍기 또는 댐퍼의 개폐기구에 재차 냉각기로부터의 냉기가 닿기 때문에, 물방울이 빙괴(氷塊)로서 퇴적하는 등 하여 동작 불량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제상 방식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핫 가스를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히터를 이용하는 것, 또한 그들을 조합시킨 것 등이 알려져 있지만, 모두 댐퍼의 개폐기구에 빙괴가 형성되어 버려 동작 불량 등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 운전과 제상 운전과의 전환에 의한 송풍기의 동작 불량을 방지함과 함께, 제상 운전시의 밀폐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냉각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냉각 유닛은, 내부에 폐(閉)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몸체의 측면 중의 하나에 부착된 흡입 후드와, 상기 몸체의 측면 중의 다른 하나에 부착된 팬 유닛과, 상기 팬 유닛의 상기 열교환기측에 부착된 댐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 유닛은, 사각형 통형상의 댐퍼 케이스와, 그 양단에 마련된 샤프트가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 셔터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면에 따라 상기 샤프트에 당접(當接) 또는 근접하도록 부착된 히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터를 복수장으로 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샤프트의 단부(端部)에는, 각각 암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암부재의 타단은, 공통되는 연결 바의 연결 샤프트에 각각 부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 유닛에 의하면, 냉각 운전과 제상 운전과의 전환에 의한 송풍기의 동작 불량을 방지함과 함께, 제상 운전시에 셔터의 샤프트(셔터의 회동축)에 부착한 빙괴도 융해시키기 때문에, 몸체 내부의 밀폐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에 적용되는 댐퍼 유닛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a)는 도 1의 송풍기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우측면도.
도 3은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에 적용되는 댐퍼 유닛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a)는 댐퍼 유닛을 송풍기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3(a)에 도시하는 댐퍼 유닛의 상단 부근을 화살표(D1)의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a)에 도시하는 댐퍼 유닛의 상단 부근을 화살표(D2)의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로서, 도 5(a)는 셔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셔터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실시례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10)은,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2)와, 당해 몸체(12)의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20)와, 상기 몸체(12)의 측면 중의 하나에 부착된 흡입 후드(14)와, 상기 몸체(12)의 측면 중의 다른 하나에 부착된 팬 유닛(30)과, 당해 팬 유닛(30)의 열교환기(20)가 배치된 측에 부착된 댐퍼 유닛(10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례 1에서, 몸체(12)는 예를 들면 직방체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측면 중의 하나(부호 12a 참조)개에는 몸체(12)의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 후드(14)가 부착된다. 이 흡입 후드(14)는, 하면측에 개구부(하면측 개구부(14a))를 구비한 상자형상이다. 한편, 몸체(12)의 측면(12a)과 대향하는 위치의 측면(12b)에는, 몸체(12)의 내면측에 댐퍼 유닛(100)이, 또한 몸체(12)의 외면측에 팬 유닛(30)이, 각각 부착된다.
몸체(12)는, 본 실시례에서는, 예를 들면 다리부(脚部)(16)를 통하여 대형의 냉장고나 냉동고(도시 생략) 등의 저면(B)에 설치되는데,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당해 냉장고나 냉동고의 천장에 의해 수하(垂下)되도록 하여도 좋다.
열교환기(20)는, 예를 들면 냉각기로서, 흡입 후드(14)로부터 흡입된 공기(외기)에 직접 접촉하여 공기로부터 열을 빼는(拔熱)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20)에는, 제상 운전시에 당해 열교환기(20)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가스 공급 기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열교환기(20)는, 몸체(12)의 저면에 대해 스페이서(22)를 통하여 재치되어 있다. 한편, 몸체(12)의 저면에는, 제상 운전에 의해 서리가 융해한 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드레인 기구(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상 운전시에 서리가 융해된 물은 외부에 배출된다.
팬 유닛(30)은, 몸체(12)의 측면(12b)에 부착된 배기 덕트(32)와, 당해 배기 덕트(32)에 스테이(36)를 통하여 부착된 송풍기(34)를 구비하고 있고, 배기 덕트(32)의 열교환기(20)와 대향하는 측에는, 후술하는 댐퍼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송풍기(34)가 회전 구동하면, 날개바퀴(34a)의 회전에 의해 댐퍼 유닛(100)이 열리고, 흡입 후드(14)의 하면측 개구부(14a)로부터 몸체(12) 내에 공기가 흡입되고, 열교환기(20)에서 냉각된 공기가 배기 덕트(32)로부터 화살표(A2)의 방향으로 배출되고, 냉기가 상기 냉장고나 냉동고 등의 실내에 공급된다.
도 2는,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에 적용되는 댐퍼 유닛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의 송풍기(34)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우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에 의한 댐퍼 유닛(100)은, 사각형 통형상의 댐퍼 케이스(110)와, 복수 셔터(122)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면에 따라 부착된 히터(130)를 구비하고 있고, 각 셔터(122)의 좌우에 마련된 샤프트(120)가 댐퍼 케이스(110)의 측면 내측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이 결과,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셔터(122)는, 팬 유닛(30)으로 개폐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셔터(122)는, 송풍기(34)가 구동되어 몸체(1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때는 그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P1)로 회동하고, 송풍기(34)의 구동이 정지되면 자중에 의해 내려가 폐쇄 위치(P2)로 되돌아온다.
히터(130)는, 선형상(線狀) 또는 띠형상(帶狀)의 발열체이고, 예를 들면 통전에 의해 발열한다. 이 히터(130)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 케이스(110)의 측변에서 복수의 샤프트(120)의 단부(端部) 부근 또는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댐퍼 케이스(110)의 외면의 적어도 좌우 양변에 따라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히터(130)는, 그 전체가 발열하는 것이라도, 또는 적어도 각 샤프트(120)의 단부 부근에서의 부분만이 발열하는 것이라도 좋다.
댐퍼 케이스(110)의 측변에 배치된 히터(130)는, 샤프트(120)의 단부 즉 댐퍼 케이스(110)와 샤프트(120)와의 회동 지지부의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령 상기 회동 지지부에 서리가 부착하여 빙괴를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히터(130)의 가열에 의해 당해 빙괴를 융해하여 댐퍼 케이스(110)와 샤프트(120)와의 고착을 방지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1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냉각 유닛(10)이 냉각 운전하는 경우, 열교환기(20)를 구동하면서, 팬 유닛(30)의 송풍기(34)를 회전 구동시킨다.
송풍기(34)가 회전 구동하면, 날개바퀴(34a)가 회전하고, 몸체(12)의 내부로부터 배기 덕트(32)를 통과하여 공기를 배출한다(화살표(A3) 참조). 이 때, 팬 유닛(3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12) 내부에서 댐퍼 유닛(100)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화살표(A3) 참조), 댐퍼 유닛(100)의 셔터(122)가 개방 위치(P1)까지 회동한다.
댐퍼 유닛(100)의 셔터(122)가 개방되면, 몸체(12)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 흡입 후드(14)로부터 외기가 흡입된다(화살표(A1) 참조). 그리고, 흡입 후드(14)로부터 흡입된 외기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할 때에 열을 뺏기고, 댐퍼 유닛(100)을 통과하여 팬 유닛(30)에 이르고, 배기 덕트(32)로부터 냉기(冷氣)로서 배출된다.
한편, 냉각 운전에 의해 몸체(12) 내부의 열교환기(20)나 댐퍼 유닛(100)에 부착한 서리에 의한 빙괴를 제거하는 제상 운전을 행하는 경우, 열교환기(20) 및 팬 유닛(30)의 송풍기(34)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팬 유닛(30)의 배기 덕트(32)로부터의 배기가 멈추어지기 때문에, 댐퍼 유닛(100)의 셔터(122)가 폐쇄 위치(P2)에 위치하도록 회동한다.
이에 의해, 몸체(12)의 내부는, 댐퍼 유닛(100)을 경계로 외부에 대해 밀폐된 상태가 되고, 흡입 후드(14)로부터의 외기의 흡입도 멈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핫 가스에 의한 제상 동작을 행하여, 열교환기(20)나 몸체(12) 내부 등에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를 융해시킨다.
그리고, 융해한 서리 또는 빙괴는 물이 되어, 몸체(12)의 저면에 마련된 드레인 기구에 의해 몸체(12)의 외부에 배출된다.
또한, 냉각 운전으로부터 제상 운전으로 전환할 때에, 댐퍼 유닛(100)의 히터(130)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댐퍼 유닛(100)의 댐퍼 케이스(110)와 샤프트(120)와의 회동 지지부 등에 서리 또는 빙괴가 부착하여 있는다고 하여도, 히터(130)로부터의 열로 댐퍼 케이스(110)와 샤프트(120)와의 회동 지지부의 부근을 가열하기 때문에, 서리 또는 빙괴가 융해하여 확실하게 셔터(122)가 폐쇄 위치(P2)에 위치하도록 회동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10)은, 냉각 운전으로부터 제상 운전으로 전환할 때에, 댐퍼 유닛(100)의 댐퍼 케이스(110)와 셔터(122)를 부착한 샤프트(120)와의 회동 지지부 및 그 부근을 히터(130)에 의해 가열한다.
이 때문에, 냉각 운전 중에 상기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는 댐퍼 유닛(100)이 동결(凍結)하였다고 하여도, 히터(130)로부터의 열에 의해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를 융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셔터(122)를 확실하게 회동시키고 몸체(12)의 내부의 밀폐를 확보하고, 핫 가스를 이용한 제상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상 운전의 시작시에는 댐퍼 유닛(100)의 셔터(122)가 닫혀서, 몸체(12) 내부가 밀폐되기 때문에, 제상 운전에서 발생한 수증기(안개)가 댐퍼 유닛(100)으로 차단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팬 유닛(30)에 부착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례 1에서는, 열교환기(20)가 배치된 몸체(12)와 송풍기(34)와의 사이에 댐퍼 유닛(100)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방 운전으로부터 제상 운전으로 전환될 때, 또는 그 반대의 전환 등일 때에 있어서의 몸체(12) 내의 온도 변화가 송풍기(34)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결과, 송풍기(34)의 모터 내부에 수분이 혼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 1에서는, 복수의 셔터(122)가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셔터(122)는 하나라도 좋다.
<실시례 2>
도 3∼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요를 설명한다.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은, 댐퍼 유닛의 구성에서만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과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에 적용되는 댐퍼 유닛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냉각 유닛에서의 실시례 1과 공통되는 그 밖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에 적용되는 댐퍼 유닛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a)는 댐퍼 유닛을 송풍기(34)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우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2에 의한 댐퍼 유닛(200)은, 사각형 통형상의 댐퍼 케이스(210)와, 복수의 셔터(222)와, 상기 댐퍼 케이스(210)의 외면에 따라 부착된 히터(230)와, 상기 복수의 셔터(222)의 움직임을 암부재(244)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한 연결 바(240)를 구비하고 있고, 각 셔터(222)의 좌우에 마련된 샤프트(220)가, 댐퍼 케이스(210)의 측면 내측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결과,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셔터(222)는 도 1에 도시하는 팬 유닛(30)측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례 2에서도, 각 셔터(222)는, 몸체(12)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하고, 공기의 배출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는 자중에 의해 내려가 폐쇄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히터(230)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통전에 의해 발열한 선형상 또는 띠형상의 발열체이다. 이 히터(230)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 케이스(210)의 측변에서 복수의 샤프트(220)의 단부 부근 또는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로서, 또한 연결 바(240)에 따르도록, 댐퍼 케이스(210)의 외면의 적어도 좌우 양변에 부착되어 있다.
댐퍼 케이스(210)의 측변에 배치된 히터(230)는, 댐퍼 케이스(210)와 샤프트(220)와의 회동 지지부의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령 상기 회동 지지부에 서리가 부착하여 빙괴를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히터(230)의 가열에 의해 당해 빙괴를 융해하여 댐퍼 케이스(210)와 샤프트(220)와의 고착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3(a)에 도시하는 댐퍼 유닛의 상단 부근을 화살표(D1)의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에서, 셔터(222)에 부착된 샤프트(220)의 단부에는, 개략 L자형상의 암부재(244)의 일단(244a)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244)의 타단(244b)은, 연결 샤프트(242)를 통하여 연결 바(240)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암부재(244)의 일단(244a)과 샤프트(220)의 단부는, 샤프트(220)의 회동에 추종하도록 고착되어 있고, 암부재(244)는 샤프트(220)의 회동에 응하여 함께 회전한다.
한편, 암부재(244)의 타단(244b)은, 연결 샤프트(242)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결과로서, 암부재(244)의 타단(244b)은 연결 바(2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230)는, 암부재(244)의 외측의 면에 접함과 함께 샤프트(220)의 단부와 접하는 또는 그 부근의 위치로서, 또한 댐퍼 케이스(210)에서의 열교환기측의 단면(端面) 부근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연결 바(240)는, 도시에 있어서 암부재(244)의 외측, 즉 히터(230)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부착된다.
도 5는, 도 3(a)에 도시하는 댐퍼 유닛의 상단 부근을 화살표(D2)의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로서, 도 5(a)는 셔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셔터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냉각 유닛이 냉각 운전 상태에 있는 경우, 도 1에 도시하는 팬 유닛(30)의 송풍기(34)가 회전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 후드(14)로부터 몸체(12)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기 덕트(32)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 댐퍼 유닛(200)의 셔터(222)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암부재(244)는, 셔터(222)와 함께 회동하는 샤프트(220)의 회동에 추종하고 회동하고, 연결 바(240)가 하한 위치(P3)에 위치한다.
한편, 냉각 유닛이 제상 운전 상태에 있는 경우, 송풍기(34)가 정지함에 의해 상기한 공기의 흐름이 멈추어지기 때문에, 셔터(222)가 자중에 의해 화살표(D3)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암부재(244)도 화살표(D4)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연결 바(240)는, 암부재(24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한(上限) 위치(P4)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핫 가스에 의한 제상 동작을 행하여, 열교환기(20)나 몸체(12) 내부 등에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를 융해시킨다.
그리고, 냉각 운전으로부터 제상 운전으로 전환할 때에, 댐퍼 유닛(200)의 히터(230)를 구동한다.
이 때, 히터(230)가 암부재(244)의 외측의 면 및 샤프트(220)의 단부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댐퍼 케이스(210)와 샤프트(220)와의 회동 지지부 등에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는 확실하게 융해한다.
또한, 히터(230)로부터의 열은, 암부재(244)로부터 연결 샤프트(242)를 통하여 연결 바(240)에도 전달하기 때문에, 연결 샤프트(242)와 연결 바(240)와의 지지부에 서리 또는 빙괴가 부착하였다고 하여도, 이들을 융해함에 의해 확실하게 셔터(222)를 폐쇄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10)은, 실시례 1에서 나타낸 효과에 더하여, 셔터(222)를 부착한 복수의 샤프트(220)를, 암부재(244)를 이용하여 공통의 연결 바(240)에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복수의 셔터(222)의 개폐 동작이 연결 바(240)를 통하여 연동(連動)하는 것으로 되어, 복수의 셔터(222) 중에서 기능하지 않는 셔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230)로부터의 열을 암부재(244)를 통하여 샤프트(220) 또는 연결 샤프트(242)에 전달하기 때문에, 샤프트(220)와 연결 샤프트(242)를 개별적으로 가열하는 기구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전체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개변(改變)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례 1 및 2에서, 도시에 있어서는 히터를 좌우 양측에서 제각기 댐퍼 케이스의 외면에 따라 배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연속하는 히터로서 댐퍼 케이스의 외주 전면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례 2에서, 자중에 의해 회동한` 셔터의 움직임에 응하여 연결 바가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연결 바를 진퇴시키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를 부착하여, 연결 바를 이동시킴에 의해, 암부재 및 샤프트를 통하여 셔터의 개폐 구동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핫 가스를 이용한 제상 방식을 병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히터, 살수(散水)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한 모든 제상 방식을 병용하는 것이라도 좋음은 당연하다.
10 : 냉각 유닛
12 : 몸체
14 : 흡입 후드
20 : 열교환기
22 : 스페이서
30 : 팬 유닛
32 : 배기 덕트
34 : 송풍기
34a : 날개바퀴
36 : 스테이
100, 200 : 댐퍼 유닛
110, 210 : 댐퍼 케이스
120, 220 : 샤프트
122, 222 : 셔터
130, 230 : 히터
240 : 연결 바
242 : 연결 샤프트
244 : 암부재

Claims (2)

  1.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몸체의 측면 중의 하나에 부착된 흡입 후드와,
    상기 몸체의 측면 중의 다른 하나에 부착된 팬 유닛과,
    상기 팬 유닛의 상기 열교환기측에 부착된 댐퍼 유닛을 구비한 냉각 유닛으로서,
    상기 댐퍼 유닛은, 사각형 통형상의 댐퍼 케이스와, 그 양측에 마련된 샤프트가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 셔터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면에 따라 상기 샤프트에 당접 또는 근접하도록 부착된 히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샤프트의 단부에는, 각각 암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암부재의 타단은, 공통되는 연결 바의 연결 샤프트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유닛.
KR1020170067584A 2016-06-08 2017-05-31 냉각 유닛 KR20170138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4076A JP2017219256A (ja) 2016-06-08 2016-06-08 冷却ユニット
JPJP-P-2016-114076 2016-06-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932A true KR20170138932A (ko) 2017-12-18

Family

ID=6059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84A KR20170138932A (ko) 2016-06-08 2017-05-31 냉각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219256A (ko)
KR (1) KR20170138932A (ko)
CN (1) CN1074779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716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용 블레이드
KR20220006718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블레이드를 이용한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423B (zh) * 2019-06-04 2021-08-3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
JP7475074B2 (ja) 2022-04-08 2024-04-26 株式会社マキシス工業 コ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ユニットクーラ
CN114877599A (zh) * 2022-05-25 2022-08-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蒸发器预除霜装置、制冷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1163U (ko) * 1972-09-04 1974-05-29
JPS5893769U (ja) * 1981-12-20 1983-06-25 株式会社東洋製作所 冷蔵倉庫
JPS58142679U (ja) * 1982-03-19 1983-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装置
JPS6030977A (ja) * 1983-07-29 1985-02-1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S60191171A (ja) * 1984-03-13 1985-09-28 サンデン株式会社 シヨ−ケ−ス
JPS62160282U (ko) * 1986-03-15 1987-10-12
JPS62218776A (ja) * 1986-03-20 1987-09-26 日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温度環境試験装置
JPH01212883A (ja) * 1988-02-19 1989-08-2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却ユニット
JP3378470B2 (ja) * 1997-06-10 2003-02-1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3875124B2 (ja) * 2002-03-08 2007-01-3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のダクト構造
JP2005147594A (ja) * 2003-11-19 2005-06-09 Sharp Corp 冷蔵庫
JP2006283994A (ja) * 2005-03-31 2006-10-19 Sumitomo Heavy Ind Ltd 冷却システム
CN201348415Y (zh) * 2008-12-12 2009-11-18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无霜冰箱风门
CN202267294U (zh) * 2011-09-29 2012-06-06 深圳市万至达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冷藏冷冻箱电动风门
GB2496949A (en) * 2011-10-19 2013-05-29 Thermo Fisher Scient Asheville Refrigerator having an interior with dampers separating two evaporator compartments from a refrigerated compartment
US9429351B2 (en) * 2012-11-26 2016-08-30 Whirlpool Corporation Demand air door heater for refrigerator
CN104279812A (zh) * 2013-07-05 2015-01-14 海尔集团公司 制冷器具及其化霜方法
CN203824203U (zh) * 2013-12-11 2014-09-10 松下冷链(大连)有限公司 自动风门冷风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716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용 블레이드
KR20220006718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블레이드를 이용한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77955A (zh) 2017-12-15
JP2017219256A (ja)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8932A (ko) 냉각 유닛
EP3360421B1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semiliquid product
KR102354159B1 (ko) 냉각 유닛
JP6344895B2 (ja) 冷蔵庫
US10674744B2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semi-liquid product
CN106196843A (zh) 风冷冰箱及其除湿方法
WO2013143383A1 (zh) 冰箱
WO2013135149A1 (zh) 冰箱
US20190128556A1 (en) Defrost system and method for heat or energy recovery ventilator
JP2018054201A6 (ja) ダクト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却ユニット
WO2018103651A1 (zh) 冰箱
JP6641752B2 (ja) 冷却装置
JP6473395B2 (ja) 冷却装置
JP2016080332A (ja) 冷却庫の庫内乾燥方法及び装置
JPH1147539A (ja) 除湿機
JP6422513B2 (ja) 冷凍冷蔵庫
JP5687046B2 (ja) 冷却ユニット
JP6631613B2 (ja) 空気冷媒サイクルを用いた冷却装置
JPH0531508Y2 (ko)
JP2013253740A (ja) 冷気循環式ショーケース
JP2002213832A (ja) 冷却装置
JP2008138953A (ja) 空気調和機
JP2020153598A (ja) 浴室空調機に設けられた開閉部材の固着解消方法及びその固着解消方法を実行可能な浴室空調機
JP7321742B2 (ja) 貯蔵庫
JP5852354B2 (ja) 冷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