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513A -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513A
KR20170138513A KR1020177033300A KR20177033300A KR20170138513A KR 20170138513 A KR20170138513 A KR 20170138513A KR 1020177033300 A KR1020177033300 A KR 1020177033300A KR 20177033300 A KR20177033300 A KR 20177033300A KR 20170138513 A KR20170138513 A KR 2017013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service frame
rec
system clock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588B1 (ko
Inventor
콩 첸
촨 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44External master-c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2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by delay compensation, e.g. by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 or variations thereof, by ra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는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데이터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스탬프(T1)를 포함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 시스템 클록을 나르고, 제1 타임스탬프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의 타임스탬프임 - ;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데이터 패킷에 의하여 REC 시스템 클록을 취득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EC 시스템 클록을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시스템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을 사용하여,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할 때의 제2 타임스탬프(T2)를 기록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해결책은 REC와 RE 사이의 시간 지연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유리하다.

Description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5년 4월 27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발명의 명칭이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AND NETWORK DEVICE"인 특허 출원 제201510204323.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분산형 기지국은 라이브 네트워크(live network)에서 널리 적용된다. 분산형 기지국의 특성은 RE(Radio Equipment)가 REC(Radio Equipment Control)와 분리되고, 그 다음에 그 둘은 광 섬유를 사용하여 접속된다는 것이다.
네트워크 배치 동안, REC들은 기저대역 풀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집중형 방식으로 장비 룸에 배치될 수 있고, 그 다음에 REC들은 광 섬유들을 사용하여, 계획된 사이트에 배치된 RE들과 접속되어,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는 REC를 RE에 접속하고, RE를 RE에 접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PRI는 엄격한 클록 동기화 요건 및 시간 동기화 요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클록 동기화 요건은 REC가 CPRI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하는 주파수와 RE가 CPRI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하는 주파수 사이의 오프셋은 특정한 범위 내에서 제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 에어 인터페이스 주파수의 정확성이 보장된다. 시간 동기화 요건은 REC와 RE 사이의 통신 지연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시간 동기화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REC와 RE 사이의 통신 지연이 계산될 수 있고; 통신 지연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방향에서, REC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 모멘트가 제어되고, 업링크 방향에서, RE의 업링크 신호 전송 지연이 보상되어, REC와 RE 사이의 통신 지연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지연은 Tcommunication=Ta+Tb+Tc+Td이고, 여기서, Ta는 REC가 송신 타임 스탬프를 스탬프할 때의 시간과 REC가 샘플링 신호(Radio Sample Signal)를 송신할 때의 시간 사이의 지연이고, Tb는 광 섬유 링크 상에서 샘플링 신호의 전송 지연이고, Tc는 RE가 샘플링 신호를 수신할 때의 시간과 RE가 수신 타임 스탬프를 스탬프할 때의 시간 사이의 지연이고, Td는 RE가 수신 타임 스탬프를 스탬프할 때의 시간과 샘플링 신호가 지연 테스트 기준점으로 전송될 때의 시간 사이의 지연이다. 예를 들어, RE의 신호 전송점, 즉, 안테나 포트는 지연 테스트 기준점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REC와 RE 사이의 지연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시간 동기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화된 그것의 시스템 시간을 유지하며, 그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는 단계 -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함 - ; 및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패킷은 REC의 시스템 클록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하고,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한 이후에,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프레임으로부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그에 상응하여,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제1 타임 스탬프, 및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시간 동기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화된 그것의 시스템 시간을 유지하며, 그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를 포함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며, 제1 타임 스탬프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 스탬프 - ;
제1 패킷에 따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단계;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서비스 프레임이 송신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한다면, 제1 패킷은 주파수 오프셋을 추가로 포함하고, 주파수 오프셋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출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단계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메모리로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단계 - 메모리에서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임 - 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 지연을 계산한 이후에,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패킷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함 - ;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고정 지연에서 전송 지연을 뺀 값(fixed delay minus the transmission delay)으로 설정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다고 결정된다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함 - ;
수신 유닛이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할 때,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유닛;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패킷은 REC의 시스템 클록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이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서비스 프레임으로부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유닛; 및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그에 상응하여, 송신 유닛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제1 타임 스탬프, 및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를 포함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고, 제1 타임 스탬프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 스탬프 - ;
제1 패킷을 사용하여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유닛;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송신 유닛이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유닛; 및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연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면,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한다면, 제1 패킷은 주파수 오프셋을 추가로 포함하고, 주파수 오프셋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획득 유닛은,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제1 패킷으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유닛;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4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 유닛은,
메모리로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버퍼링하도록 구성되는 버퍼링 유닛; 및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메모리에서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임 - 을 포함한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4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 유닛은: 지연 결정 유닛이 전송 지연을 계산한 이후에,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패킷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2 패킷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함 - ;
설정 유닛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고정 지연 마이너스 전송 지연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지속기간 결정 유닛은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판독 유닛은 지속기간 결정 유닛이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다고 결정할 때,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시간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시스템은,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REC(radio equipment control), 및 RE(radio equipment)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화된 그것의 시스템 시간을 유지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음의 동작들:
프로세서에 의해,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는 동작 -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함 - ; 및
프로세서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패킷을 송신하는 동작 -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패킷은 REC의 시스템 클록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6 양태를 참조하면, 제6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프로세서는 다음의 동작들:
프로세서에 의해, 서비스 프레임으로부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추출하는 동작; 및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고,
그에 상응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제1 타임 스탬프, 및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판독하고, 다음의 동작들: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을 포함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고, 제1 타임 스탬프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스탬프 - ;
제1 패킷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동작;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동작;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제1 서비스 프레임이 송신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는 동작; 및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7 양태를 참조하면, 제7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한다면, 제1 패킷은 주파수 오프셋을 추가로 포함하고, 주파수 오프셋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제1 패킷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동작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출하는 동작; 및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계산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제7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7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동작은:
프로세서에 의해, 메모리로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동작; 및
프로세서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동작 - 메모리에서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임 - 을 포함한다.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7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 지연을 계산한 이후에, 프로세서는 다음의 동작들: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 제2 패킷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함 - ;
프로세서에 의해,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고정 지연 마이너스 전송 지연으로 설정하는 동작;
프로세서에 의해,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다고 결정된다면, 프로세서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시간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시스템은,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REC(radio equipment control), 및 RE(radio equipment)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화된 그것의 시스템 시간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고;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제1 타임 스탬프 및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패킷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을 계산하도록 기술적 지원이 제공되게 한다. 그에 상응하여, 패킷을 수신한 이후에,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고;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RE로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포워딩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이 RE로 포워딩된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고; 전송 지연(T=T2-T1)을 획득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REC와 RE 사이의 고정 지연을 사용하여 전송 지연에 대한 지연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고, REC와 RE사이의 지연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에서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략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여전히 이러한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서 REC와 RE 사이의 통신 지연을 계산하는 것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의 실시예 1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의 실시예 2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해결책들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과 구현 방식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을 설명하기 이전에, 다음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을 간략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REC는 광섬유를 사용하여 RE에 직접 접속된다. 네트워크화에서 광섬유들의 사용을 최소화하여서, 네트워크화 비용들 및 네트워크 유지 비용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자는 실제 네트워크화 경험과 조합한 신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신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프런트홀 네트워크(Fronthaul Network)가 REC와 RE 사이에 설정되어, REC와 RE 사이의 직접 접속된 광섬유를 대체하고, 프런트홀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와 RE 사이의 패킷 수렴 전송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프런트홀 네트워크는 적어도 REC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1 및 RE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 3에 도시된 개략도로부터 알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REC는 프런트홀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RE와 통신할 수 있고, 백홀 라인(Backhaul)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Core)와도 통신할 수 있다는 것에 추가로 주목해야 한다.
REC와 RE 사이의 패킷 전송이 광섬유 직접 접속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해결책의 경우에, CPRI의 시간 동기화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통신 지연을 사용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보상을 실시하려는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Tb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동일한 길이를 갖는 수신 광섬유 및 전송 광섬유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유사하게, REC와 RE 사이의 패킷 전송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해결책의 경우에, Tb 또한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될 필요가 있으므로, CPRI의 시간 동기화 요건이 충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이 제안되고, 다음에서는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구현 프로세스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독립형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공동으로 구현하는 다수의 디바이스일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로 분산되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패킷 전송 네트워크(Packet Transport Network, PTN) 디바이스, 라우터, 스위치, 마이크로파 디바이스, 광학 전송 네트워크(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디바이스, 및 동기식 디지털 계층(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디바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통합하고 패킷 포워딩을 구현할 수 있는 베어링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존재 형태를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101: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는데, 여기서,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에 접속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접속될 수 있고, 또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광섬유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개략도를 참조하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로 반영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로 반영될 수 있고, 이 둘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들은 동기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해 1588V2 시간 동기화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동기화가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REC는 REC의 로컬 시스템 클록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그에 상응하여,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로컬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 네트워크 측의 인터페이스(User Networks Interface, UNI)를 사용하여, REC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102: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패킷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데, 여기서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패킷은 REC의 시스템 클록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노드 인터페이스(Network to Network Interface, NNI)를 사용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패킷을 송신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NNI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REC로부터의 CPRI 서비스가 고속 데이터 서비스로 다중화될 때,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서비스 프레임들에 대해 패키징 및 매핑 처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서비스 프레임들을 그룹들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에 대해 레이트 적응(rate adaptation)을 수행하고, 프레임 헤더 또는 패킷 헤더를 추가할 수 있어, 패킷은 전송을 위한 제1 NNI 인터페이스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통합하는 마이크로파 디바이스, OTN 디바이스, 또는 SDH 디바이스와 같은 전송 디바이스라면, 패킷은 프레임 헤더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통합하는 PTN 디바이스, 라우터, 또는 스위치와 같은, 패킷 스위칭 디바이스라면, 패킷은 패킷 헤더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다음의 두 가지 방식에 따라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방식 1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제1 타임 스탬프 및 서비스 프레임에 대해 패키징 및 매핑을 수행한다. 그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스템 클록 적응 조정 방식을 사용하여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타임 스탬프는 패킷의 패킷 헤더에서 운반될 수 있고, 서비스 프레임은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운반될 수 있고; 또는 제1 타임 스탬프 및 서비스 프레임 둘 모두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방식 2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여전히 유지한다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다음의 방식으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비스 프레임으로부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추출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주파수 오프셋, 제1 타임 스탬프, 및 서비스 프레임에 대해 패키징 및 매핑을 수행한다. 그에 상응하여,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과 동기화된 그것의 시스템 클록을 유지하기 때문에,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패킷에서의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REC의 서비스 클록을 복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오프셋은 △f=f1-f2인데, 여기서 f1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획득된 제1 주파수이고, f2는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획득된 제2 주파수이다.
선택적으로, 제1 타임 스탬프 및 주파수 오프셋은 패킷의 패킷 헤더에서 운반될 수 있고, 서비스 프레임은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운반될 수 있고; 또는 제1 타임 스탬프, 주파수 오프셋, 및 서비스 프레임 모두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시스템 클록 동기화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들에 대해 주파수 동기화 및 위상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사이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해, 동기식 이더넷(Synchronous Ethernet)과 같은 물리 계층 동기화 기술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 패킷 주파수 동기화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요약하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을 계산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고정 지연 Tb와의 조합으로 둘 사이의 실제 전송 지연에 대한 지연 보상을 실시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REC와 RE 사이의 지연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의 실시예 1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201: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데,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를 포함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고, 제1 타임 스탬프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 스탬프이다.
도 4에 도시된 해결책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패킷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 이후에,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접속된다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패킷을 직접 수신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해결책을 사용하여, 전송 지연을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간접적으로 접속된다면, 제1 패킷은 제1 패킷이 RE와 통신하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될 때까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포워딩될 수 있고, 그 다음에 전송 지연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해결책에 따라 획득된다.
202: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한다.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EC로부터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정확하게 포워딩할 수 있기 위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의 시스템 클록을 알아야 한다. 도 4의 앞선 설명에서 패킷을 생성하는 두 가지 방식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할 수 있다.
방식 1
위에 설명된 패킷을 생성하는 방식 1에 상응하여, 제1 패킷은 제1 타임 스탬프 및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버퍼로 버퍼링하는 것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시스템 클록 적응 조정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패킷을 수신한 이후에,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패킷을 송신할 때 사용되는 높은 주파수 클록을 획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높은 주파수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할 수 있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버퍼로 버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퍼는 비동기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와 같은 비동기 버퍼일 수 있다.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버퍼로 기입한 이후에,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로컬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시스템 클록 적응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할 수 있는지에 따라 클록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판독될 수 없다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이 REC의 시스템 클록과 상이하고, 클록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1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의 인벤토리(inventory)에 따라, 클록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의 인벤토리가 변경된다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은 REC의 시스템 클록과 상이하고, 클록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제1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의 인벤토리는, REC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버퍼에 기입되는 제1 서비스 프레임들의 수량 마이너스(minus) 제1 버퍼로부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되고 RE로 포워딩되는 제1 서비스 프레임들의 수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인벤토리 변경은 구체적으로 인벤토리가 증가하는 것이다. 즉, 단위 시간 내에, REC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제1 서비스 프레임들의 수량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로 포워딩되는 제1 서비스 프레임들의 수량보다 더 많다. 따라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은 REC의 시스템 클록보다 더 느리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은 적절히 더 빠르게 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일련의 적응 조정들 이후에, 조정된 시스템 클록이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한다면, 조정된 시스템 클록은 REC의 시스템 클록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버퍼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할 수 있고, 제1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의 인벤토리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거나 또는 인벤토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가능 범위 내에서 변경된다.
방식 2
위에서 설명된 패킷을 생성하는 방식 2에 상응하여, 제1 패킷은 제1 타임 스탬프, 주파수 오프셋, 및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출하는 것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f=f1-f2에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3 주파수(f3)가 획득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한다면, f1=f3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f2=f3-△f이다.
203: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한 이후에,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네 개의 방식으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할 수 있다.
방식 1
위에서 설명된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방식 1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1 버퍼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식 2
위에서 설명된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방식 2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버퍼로 버퍼링하는 것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1 버퍼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1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이다.
선택적으로, 지연 보상 값에 대한 쿼리(query) 및 유지보수(maintenance)를 구현하기 위해, 제2 버퍼는 또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버퍼는 지연 보상 이후에 획득된 서비스 프레임에 대해 버퍼 처리를 수행한다는 것을, 도 6에서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퍼는 동기화 FIFO 버퍼와 같은, 동기화 버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 지연의 계산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버퍼를 사용하여 지연 보상을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다음의 방식 3 및 방식 4를 추가로 제공한다.
방식 3
위에서 설명된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방식 1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1 버퍼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제2 버퍼로 버퍼링하는 것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2 버퍼로부터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2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이다.
방식 4
위에서 설명된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방식 2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버퍼로 버퍼링하는 것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1 버퍼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제2 버퍼로 버퍼링하는 것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2 버퍼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2 버퍼에서의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이다.
204: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제1 서비스 프레임이 송신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한다.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포워딩할 때,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로컬 시스템 시간에 따라 제1 서비스 프레임이 RE로 송신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UNI를 사용하여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할 수 있다.
205: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한다.
요약하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로컬 시스템 시간과 조합하여, 제1 서비스 프레임이 RE로 송신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획득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패킷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EC에 의해 송신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계산을 통해 REC와 RE 사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서의 실제 전송 지연(T=T2-T1)을 알 수 있다. 추가로, REC와 RE 사이의 고정 지연과의 조합으로, 전송 지연(T)에 대한 지연 보상 값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REC와 RE 사이의 지연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의 광섬유를 대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Tcommunication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면, 고정 지연은 Tb로서 반영될 수 있고; 또는 고정 지연은 또한 다른 미리 설정된 지연 값으로서 반영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의 실시예 2의 흐름도이다.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지연(T)을 계산한 이후에,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301: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데, 여기서 제2 패킷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302: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고정 지연 마이너스 전송 지연(a fixed delay minus the transmission delay)으로 설정한다.
303: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한다.
304: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다고 결정된다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한다.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을 획득한 이후에,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패킷의 지연이 고정 지연의 요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고정 지연과의 조합으로 후속 상호작용 프로세스에서 전송 지연에 대한 지연 보상을 실시할 수 있고, 이로써 REC와 RE 사이의 통신 지연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후속 상호작용 프로세스에서, REC는 로컬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패킷을 획득하기 위해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에 대해 패키징 및 매핑 처리를 수행하고; 제2 패킷을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그에 상응하여, 제2 패킷을 수신한 이후에,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할 수 있으므로,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고정 지연 및 전송 지연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퍼링 지속기간은 고정 지연이 전송 지연을 사용하여 보상될 때 메모리에서의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대기 지속기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한 이후에, 메모리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해결책을 사용하여 획득된 REC의 시스템 클록이 판독 클록으로서 다시 사용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은 RE로 포워딩된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두 가지 방식으로 버퍼링 지속기간을 사용하여 지연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 타이밍 방식으로 지연 보상을 실시한다: 제2 서비스 프레임이 메모리에 의해 기입된 이후에, 타이밍은 인에이블될 수 있고; 타이밍이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할 때, 제2 서비스 프레임은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대안적으로, 메모리가 FIFO 메모리라면, 지연 보상은 FIFO 수선(waterline)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2 서비스 프레임이 메모리에 기입된 이후에, 수선 값은 버퍼링 지속기간에 따라 조정되므로, 지연 보상이 구현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설명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네 가지 방식을 참조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할 수 있다.
방식 1
위에서 설명된 RE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식 1 및 방식 2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버퍼를 갖고,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구체적으로 제1 버퍼를 지칭한다. 그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패킷으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추출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버퍼로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의 제2 서비스 버퍼링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제1 버퍼에서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연 보상 값은 항상 변경되지 않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지연의 변경 및/또는 전송 지연의 변경은 지연 보상 값의 변경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지연 보상 값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지연 보상 값을 쿼리 및 유지할 수 있다. FIFO 수선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지연 보상이 실시되는 예를 사용하여, 제1 버퍼는 비동기 FIFO로서 사용되고, FIFO 수선은 패킷 포워딩 프로세스에서 지연 변동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버퍼가 지연 보상을 실시하기 위해 한 번 사용된 이후에, 이전 보상 값은 정확하게 획득될 수 없는데, 즉, 지연 보상 값에 대한 쿼리 및 유지보수는 정확하게 구현될 수 없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는 방식 2를 제공한다.
방식 2
위에서 설명된 RE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식 3 및 방식 4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버퍼 및 제2 버퍼를 갖고,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구체적으로 제2 버퍼를 지칭한다. 그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패킷으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추출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제1 버퍼로 버퍼링하는 것 - 제1 버퍼에서의 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임 - 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제1 버퍼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2 버퍼로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제2 버퍼에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연 보상이 FIFO 수선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실시되고, 제2 버퍼는 동기화 FIFO로서 사용되고, FIFO 수선은 안정적인 예를 계속 사용하면, 지연 보상 값의 정확한 쿼리를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버퍼 및 제2 버퍼를 갖는 해결책에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요건에 따라 방식 1 및 방식 2를 사용하여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두 개의 독립적 디바이스로서 반영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7에서 도시된 개략도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401) -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함 - ;
수신 유닛이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할 때,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된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유닛(402);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403) -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패킷은 REC의 시스템 클록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과 동기화된 그것의 시스템 클록을 유지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이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서비스 프레임으로부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유닛; 및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그에 상응하여, 송신 유닛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제1 타임 스탬프, 및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앞선 선택적인 해결책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들의 경우, 방법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기능들에 대한 설명들을 참고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게다가, 앞선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때, 앞선 기능 모듈들의 분할이 예시를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앞선 기능들은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할당될 수 있고 요건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는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도록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된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개략도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501) -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을 포함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고, 제1 타임 스탬프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 스탬프임 - ;
제1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유닛(502);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REC의 시스템 클록을 사용하여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503);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송신 유닛이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유닛(504); 및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연 결정 유닛(505)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한다면, 제1 패킷은 주파수 오프셋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주파수 오프셋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REC의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획득 유닛은,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제1 패킷으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유닛; 및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은: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도록 구성되는 버퍼링 유닛; 및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유닛 - 메모리에서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임 - 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은, 지연 결정 유닛이 전송 지연을 계산한 이후에,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패킷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2 패킷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함 - ;
설정 유닛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고정 지연 마이너스 전송 지연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지속기간 결정 유닛은,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판독 유닛은, 지속기간 결정 유닛이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다고 결정할 때, REC의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제2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앞선 선택적인 해결책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들의 경우, 방법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기능들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게다가, 앞선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때, 앞선 기능 모듈들의 분할은 예시를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앞선 기능들은 상이한 기능 모듈들에 할당될 수 있고 요건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는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도록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간 동기화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개략도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도 8에 도시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REC 및 R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에 접속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화된 그것의 시스템 시간을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개략도를 참조하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 및 버스 시스템(504)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504)은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는 디바이스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는 광학 송수신기, 전기 송수신기, 무선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송수신기는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송수신기(transceiver), SFP+(enhanced small form-factor pluggable), 또는 XFP(10 Gigabit small form-factor pluggable) 송수신기일 수 있다. 전기 송수신기는 이더넷(Ethernet)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일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는 WNIC(wireless network interface controller)일 수 있다.
메모리(502)는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502)는 RAM(random-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는데, 메모리는 또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isk)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메모리는 또한 앞선 유형들의 메모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CPU일 수 있고, 또는 CPU 및 하드웨어 칩의 조합일 수 있다. 앞선 하드웨어 칩은 다음의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일 수 있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및 NP(network processor). 프로세서(501)는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5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는 동작 -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함 - ;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패킷을 송신하는 동작 - 패킷은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패킷은 REC의 시스템 클록 및 제1 타임 스탬프를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됨 - .
도 9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현 세부사항들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개략도를 참조하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3), 및 버스 시스템(604)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버스 시스템(604)은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3)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3)는 디바이스 및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602)는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601)는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메모리(6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를 포함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제1 서비스 프레임은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고, 제1 타임 스탬프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 스탬프임 - ;
프로세서에 의해, 제1 패킷에 따라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동작;
프로세서에 의해, REC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제1 서비스 프레임을 RE로 송신하는 동작;
프로세서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제1 서비스 프레임이 전송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는 동작; 및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는 동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3), 메모리(602), 및 프로세서(601)의 구체적인 표현 형태들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현 세부사항들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 방식들의 앞선 설명들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의 일부 또는 모든 단계들은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에 추가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종래의 기술에 본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ROM(read-only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 부분 또는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몇몇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은 모두 점진적인 방식으로 설명되고, 실시예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의 경우, 이러한 실시예들을 참조할 수 있고,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과의 차이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시스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간략히 설명되고; 관련 부분들의 경우, 방법 실시예에서 부분적인 설명들을 참조할 수 있다.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개별적인 부분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표시되는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 있다. 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
앞선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선택적 실시예들이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 의도되지 않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확실한 개선들 및 연마를 실시할 수 있고 개선들 및 연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13)

  1. 시간 동기화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 radio equipment control 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 radio equipment 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프레임은 상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패킷을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패킷은 상기 서비스 프레임 및 상기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 및 상기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서비스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그에 상응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상기 패킷은 상기 서비스 프레임,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및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방법.
  3. 시간 동기화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은 상기 REC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은 상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고, 상기 제1 타임 스탬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 스탬프임 - ;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패킷에 따라 상기 REC의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에 따라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은 상기 RE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이 송신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한다면, 상기 제1 패킷은 주파수 오프셋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패킷에 따라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상기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에 따라,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RE로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R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인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 지연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패킷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함 - ;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고,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고정 지연 마이너스 상기 전송 지연(a fixed delay minus the transmission delay)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살기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다고 결정된다면,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R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REC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유닛 - 상기 서비스 프레임은 상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함 - ;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프레임이 수신되는 제1 타임 스탬프(T1)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유닛;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상기 패킷은 상기 서비스 프레임 및 상기 제1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 및 상기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데 사용됨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서비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추출하는 추출 유닛;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그에 상응하여,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상기 패킷은 상기 서비스 프레임,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및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radio equipment)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EC(radio equipment control)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상기 제1 패킷은 제1 서비스 프레임 및 제1 타임 스탬프(T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은 상기 REC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은 상기 REC의 시스템 클록을 운반하고, 상기 제1 타임 스탬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임 스탬프임 - ;
    상기 제1 패킷에 따라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유닛;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에 따라,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에 따라, 상기 송신 유닛이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2 타임 스탬프(T2)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유닛;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지연(T=T2-T1)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연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클록 동기화를 유지한다면, 상기 제1 패킷은 주파수 오프셋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유닛;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클록 및 상기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메모리로 버퍼링하도록 구성되는 버퍼링 유닛; 및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제1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은 제로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지연 결정 유닛이 상기 전송 지연을 계산한 이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패킷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패킷은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버퍼링하고,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의 버퍼링 지속기간을 고정 지연 마이너스 상기 전송 지연(a fixed delay minus the transmission delay)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유닛;
    상기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속기간 결정 유닛; 및
    상기 지속기간 결정 유닛이 상기 버퍼링 지속기간에 도달했다고 결정할 때, 상기 REC의 상기 시스템 클록을 판독 클록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판독하고, 상기 제2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R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판독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3. 시간 동기화 시스템으로서,
    제7항 또는 제8항에 따른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REC radio equipment control , 및 RE radio equipment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REC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RE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시스템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는 시스템.
KR1020177033300A 2015-04-27 2015-12-15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09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04323.7 2015-04-27
CN201510204323.7A CN106162860B (zh) 2015-04-27 2015-04-27 一种时间同步的方法及系统、网络设备
PCT/CN2015/097462 WO2016173265A1 (zh) 2015-04-27 2015-12-15 一种时间同步的方法及系统、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513A true KR20170138513A (ko) 2017-12-15
KR102009588B1 KR102009588B1 (ko) 2019-08-09

Family

ID=5719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300A KR102009588B1 (ko) 2015-04-27 2015-12-15 시간 동기화 방법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2697B2 (ko)
EP (1) EP3277034B1 (ko)
JP (1) JP6505255B2 (ko)
KR (1) KR102009588B1 (ko)
CN (1) CN106162860B (ko)
WO (1) WO20161732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4365A1 (en) * 2020-01-30 2021-08-05 Roku, Inc. Receiver for high precision synchronization in a shared medium
KR20230076387A (ko) * 2021-11-24 2023-05-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0730A (ja) * 2015-09-02 2017-03-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基地局システム
WO2017083353A1 (en) * 2015-11-09 2017-05-18 Wiser Systems, Inc. Methods for synchronizing multiple devices and determining location based on the synchronized devices
CN106712885B (zh) * 2016-12-14 2018-12-14 北京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时钟同步方法、网络设备和网络系统
CN106941448B (zh) * 2017-02-27 2019-11-12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分组设备上传送cpri接口的系统及方法
CN108834166B (zh) * 2018-05-28 2020-08-11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辅助收发设备的拉远基站时延测量系统及方法
DE102018124480B4 (de) * 2018-10-04 2020-12-10 Infineon Technologies Ag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ennenschwingkreises
JP7217153B2 (ja) * 2019-01-10 2023-02-0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時刻同期方法、及び時刻同期プログラム
CN109818700B (zh) * 2019-02-01 2021-02-1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 广域系统保护装置的同步方法、装置、厂站及拓扑架构
US11395242B2 (en) 2019-02-01 2022-07-19 Cisco Technology, Inc. Link establishment between a radio equipment controller (REC) and radio equipment (RE) in a fronthaul network
CN109787703B (zh) * 2019-02-28 2020-08-25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时间戳的修正方法、时钟同步方法及系统
JP7362341B2 (ja) 2019-08-05 2023-10-17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親局装置
CN114070442A (zh) * 2020-07-30 2022-02-1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不同通信方向上的呈现时间偏移量的自动对齐
US11431425B2 (en) * 2020-09-24 2022-08-30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easuring an end-to-end delay(s)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
CN116547940A (zh) * 2021-01-11 2023-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时钟同步方法和通信装置
CN113055115B (zh) * 2021-03-11 2023-01-31 宸芯科技有限公司 一种定时调整方法、装置、车联网设备及存储介质
CN115297364B (zh) * 2022-07-27 2024-01-2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云游戏视频传输时延的确定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5208505A (zh) * 2022-09-14 2022-10-18 联芸科技(杭州)股份有限公司 时间同步方法及时间同步装置
CN115695116B (zh) * 2022-11-07 2023-08-01 四川工商学院 一种基于时间同步的跟踪发信控制方法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0948A1 (en) * 2011-10-21 2013-04-25 Garrick Thomas Irvine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intaining Synchronization Between a Radio Equipment Controller and an Item of Radio Equipment
CN104507154A (zh) * 2014-11-20 2015-04-0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通信设备及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159B2 (ja) * 2007-07-12 2010-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転送装置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
CN101547041B (zh) * 2008-03-26 2013-04-1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无线电基站中通信通道的校准控制方法、设备及系统
US8125907B2 (en) * 2008-06-12 2012-02-28 Talari Networks Incorporated Flow-based adaptive private network with multiple WAN-paths
JP2010166509A (ja) * 2009-01-19 2010-07-29 Fujitsu Ltd フレーム変換方法及びエントランス無線装置
JP5282618B2 (ja) * 2009-03-24 2013-09-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同期方法
US20110035511A1 (en) * 2009-08-07 2011-02-10 Cisco Technology, Inc. Remote Hardware Timestamp-Based Clock Synchronization
JP5254172B2 (ja) * 2009-10-16 2013-08-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装置
WO2012092903A2 (zh) * 2012-02-14 201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延迟的测量方法及光传送网络设备
CN103533630B (zh) * 2012-07-02 2016-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空口时间同步方法及系统、无线设备、无线设备控制器
WO2014194517A1 (zh) * 2013-06-07 2014-1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0948A1 (en) * 2011-10-21 2013-04-25 Garrick Thomas Irvine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intaining Synchronization Between a Radio Equipment Controller and an Item of Radio Equipment
CN104507154A (zh) * 2014-11-20 2015-04-0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通信设备及通信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4365A1 (en) * 2020-01-30 2021-08-05 Roku, Inc. Receiver for high precision synchronization in a shared medium
US11405173B2 (en) 2020-01-30 2022-08-02 Roku, Inc. Receiver for high precision synchronization in a shared medium
US11936765B2 (en) 2020-01-30 2024-03-19 Roku, Inc. High precision synchronization in a shared medium
KR20230076387A (ko) * 2021-11-24 2023-05-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3265A1 (zh) 2016-11-03
CN106162860A (zh) 2016-11-23
EP3277034A4 (en) 2018-04-25
EP3277034B1 (en) 2019-10-09
JP6505255B2 (ja) 2019-04-24
US10412697B2 (en) 2019-09-10
US20180049147A1 (en) 2018-02-15
KR102009588B1 (ko) 2019-08-09
CN106162860B (zh) 2020-01-03
EP3277034A1 (en) 2018-01-31
JP2018520534A (ja)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2697B2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and network device
US10575271B2 (en) Synchronisation of wireless base stations
US8571068B2 (en) Network timing distribution and synchronization using virtual network delays
US20170064661A1 (en) Base station system, radio device and method
US11171769B2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2288070A1 (en) Time synchronizing method, device and system of master clock side and slave clock side in synchronous network
US7953004B2 (en) Minimizing effects of packet delay variation in time-division multiplexing pseudowire services
US8861668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683150B2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ynchronization over an optical network
EP3280198B1 (en) Delay jitter smooth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network
JP7482884B2 (ja) 通信方法および光モジュール
EP329576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porting internal radio base station (rbs) interface information over a packet switched network
US20140362868A1 (en) Packet relay device and packet transmission device
US11212068B1 (en) Carrying a timestamp in radio over ethernet
US10432691B2 (en) Methods and nodes for transmission of a synchronous data over packet data network
JP2014106188A (ja) 時刻同期システム、伝送路遅延時間補正方法、時刻同期装置
US11223437B1 (en) Differential clock recovery using a global reference time
WO201504409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service clock through a synchronous packet-switched backhauling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6187781A1 (zh) 报文处理方法及装置
WO2017071759A1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and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