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578A - 세탁 건조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 - Google Patents

세탁 건조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578A
KR20170137578A KR1020160091545A KR20160091545A KR20170137578A KR 20170137578 A KR20170137578 A KR 20170137578A KR 1020160091545 A KR1020160091545 A KR 1020160091545A KR 20160091545 A KR20160091545 A KR 20160091545A KR 20170137578 A KR20170137578 A KR 2017013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drying
drying rack
wal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028B1 (ko
Inventor
라빈드란 바이드히아나탄
빅터 코피린
옥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건조 장치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벽 중 제1 벽은, 상기 제1 벽의 외부와 상기 채널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은 그 일단에 공기 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출구 커버는 세탁 건조기의 공기 출구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 건조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COLLAPSIBLE DRYING RACK FOR LAUNDRY DRYER}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탁 건조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에 관한 것이다.
세탁 건조기는 세탁물을 세척하는 데 연관된 노력을 자동화하고 줄이도록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세탁 건조기들은,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 주위로 순환함에 따라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회전 및 텀블링시키는 드럼을 포함한다. 그러나, 섬세한 의류나 무겁고 부피가 큰 물품들을 포함한 일부 세탁물은 텀블링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품들에 대해서는, 건조 랙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건조 장치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섹션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갖고, 캐비티는 기류를 위한 채널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벽 중 제1 벽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면, 및 그 외면으로부터 채널의 일부분으로 제1 벽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섹션과 제2 섹션은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섹션은 제1 단부에서 공기 출구 커버를 포함하고, 공기 출구 커버는 세탁 건조기의 공기 출구를 실질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한다. 세탁 건조기는, 드럼, 공기 출구, 및 드럼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탈착 가능 건조 랙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랙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섹션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갖고, 캐비티는 기류를 위한 채널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벽 중 제1 벽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면, 및 그 외면으로부터 채널의 일부분으로 제1 벽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섹션과 제2 섹션은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섹션은 제1 단부에서 출구 커버를 포함하고, 출구 커버는 공기 출구를 실질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기술적 특징부들은, 다음에 따르는 설명, 도면, 청구범위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명백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일부 용어들과 구들의 정의를 기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결합하다"라는 용어 및 그 파생어는, 두 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그 두 개 이상의 요소 간의 임의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연통을 가리킨다. "송신하다", "수신하다", "통신하다"라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직접적 및 간접적 통신 모두를 포함한다. "구비하다" 및 "포함하다"라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제한 없는 포함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서, '및/또는'을 의미한다. "~에 연관된"이라는 구 및 그 파생어는, 포함하는, ~내에 포함되는, ~와 상호 접속되는, 함유하는, ~내에 함유되는, ~에 접속되거나 ~와 접속되는, ~에 결합되거나 ~와 결합되는, ~와 통신가능한, ~와 협동하는, 인터리빙하는, 병치하는, ~에 근접하는, ~에 고정되거나 ~와 고정된, 갖는, 성질을 갖는, ~에 대하여 관계를 갖거나 ~와의 관계를 갖는 등을 의미한다. "제어기"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제어기에 연관된 기능은 집중화되거나 국부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분산될 수 있다. "중 적어도 하나"라는 구는, 항목들의 리스트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열거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리스트의 하나의 항목만이 필요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A와 B와 C 라는 조합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다양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부터 각각 형성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각각 실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 또는 지지 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명령어들의 세트, 프로시저, 함수, 오브젝트,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되도록 구성된 이들의 일부를 가리킨다.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구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한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구는, ROM,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 DVD, 또는 다른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 등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전기 신호나 일시적 기타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링크, 무선 링크, 광학 링크, 또는 기타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가능 광 디스크 또는 소거가능 메모리 디바이스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후 겹쳐쓰기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결합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또는 지지 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정의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이다.
일부 다른 용어들과 구들에 대한 정의는 본원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더라도 많은 경우에, 이러한 정의가 이렇게 정의되는 용어들과 구들의 기 사용과 향후 사용에 적용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건조 장치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 각각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 제1 벽은, 상기 제1 벽의 외부와 상기 채널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섹션은 그 일단에 공기 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출구 커버는 상기 세탁 건조기의 공기 출구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가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섹션 및 상기 제2 섹션의 상기 제1 벽들은 상기 세탁 건조기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세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가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 건조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개구와 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공기 출구 커버를 거쳐 상기 공기 출구로 토출되는 기류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의 제1 벽은, 상기 건조 장치가 접힌 경우, 상기 제2 섹션의 제1 벽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의 제2 벽은 제1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섹션의 제2 벽은 제2 파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스너와 상기 제2 파스너는, 상기 건조 장치가 펼쳐진 경우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1 섹션을 상기 제2 섹션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제2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섹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는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갖는 제3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섹션들은, 상기 제2 및 제3 섹션들이 상기 제1 섹션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섹션들이 함께 선형 결합되어 상기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및 제3 섹션들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섹션들이 상기 제1 섹션의 캐비티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벽 외부에서의 상기 개구의 단면이 상기 제1 벽 내부에서의 상기 개구의 단면보다 크도록 테이퍼링된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세탁 건조기의 드럼의 후벽 상의 오목부와 체결하여 상기 건조 장치를 고정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제1 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슈 스탠드(shoe stan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 건조기는 드럼과, 공기 출구 및 상기 드럼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건조 랙(rack)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랙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 제1 벽은, 상기 제1 벽의 외부와 상기 채널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섹션은 그 일단에서 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커버는 상기 공기 출구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랙은, 상기 건조 랙이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의 상기 제1 벽들은, 상기 세탁 건조기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세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랙은, 상기 건조 랙이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 건조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건조 랙은, 상기 복수의 개구와 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출구 커버를 통해 상기 공기 출구로 토출되는 기류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건조 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의 제1 벽은, 상기 건조 랙이 접힌 경우, 상기 제2 섹션의 제1 벽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의 제2 벽은 제1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섹션의 제2 벽은 제2 파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스너와 상기 제2 파스너는, 상기 건조 랙이 펼쳐진 경우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1 섹션을 상기 제2 섹션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탁 건조기는 상기 제2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섹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접을 수 있는 건조 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인-아웃이 가능한 건조 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건조 랙 주위로 추가 기류를 촉진하여 건조 효율이 향상된 건조 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추가 기류를 촉진하여 건조 효율이 향상된 슈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과 그 장점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하도록,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에 따르는 설명을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는 건조 랙의 일례의 서로 다른 도.
도 6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건조 랙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건조 랙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도 12는 본 개시 내용에 따라 건조 랙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슈 스탠드(shoe stand)의 일례의 단면도.
도 13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 내의 건조 랙 상에 배열된 다수의 슈 스탠드들을 도시하는 도.
본원의 개시 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후술하는 도 1 내지 도 13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이며, 어떠한 식으로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 내용의 원리가 적절하게 배치된 임의의 디바이스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많은 세탁 건조기들은, 스웨터 등의 섬세한 물품들 또는 신발 등의 기타 물품들이 텀블링하게 되면 수축, 잡음, 또는 심지어 건조기 드럼에 대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물품들을 정적 위치에서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 랙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현재의 건조 랙들은 랙 주위로 공기 움직임을 촉진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건조 랙들의 건조 효율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건조 랙들은, 부피가 크며, 미사용시 건조기의 외부에 보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사항들 및 기타 사항들에 대처하도록,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은, 건조 랙 주위로 추가 기류를 촉진하고 이에 따라 건조 효율을 개선하며 건조 시간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는 접을 수 있는 다수의 건조 랙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테스트에서는, 개시한 건조 랙들 중 하나와 함께 사용시 스웨터 등의 납작한 물품들의 건조 시간이 6배 넘게 빠름을 나타낸다. 또한, 개시한 건조 랙들은 접을 수 있으므로, 미사용시 건조기의 외부에서 더욱 작은 구성으로 보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힘 가능한 건조 랙(100)의 서로 다른 도들을 도시한다. 도 1은 펼쳐진 구성에 있는 건조 랙(100)의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부분적으로 접힌 구성(도 2a) 및 접힌 구성(도 2b)의 건조 랙(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방향으로 본 건조 랙(100)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세탁 건조기에 설치된 건조 랙(100)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건조 랙(100)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건조 랙(100)의 다른 실시예들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간략성과 명료성을 위해, 다른 도들에 관하여 도시된 일부 특징부들과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일부 특징부들과 구성요소들이 모든 도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도들에 도시된 특징부들과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이러한 특징부들은 건조 랙(100)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들에 도시한 모든 특징부들은 설명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채택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도에서 특징부나 구성요소를 생략하는 것은, 간략성과 명료성을 위한 것이며, 그 특징부나 구성요소가 해당 도에 관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 채택될 수 없음을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랙(100)은 제1 섹션(102)과 제2 섹션(103)을 포함하는 다수의 천공 섹션들로 이루어진다. 도 1의 건조 랙(100)은 두 개의 섹션(102, 103)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건조 랙(100)은 세 개 이상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섹션들(102, 103)은 힌지(106)와 힌지 핀(107) 등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힌지(106)와 힌지 핀(107)은 건조 랙(10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지도록,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접히도록, 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히도록 배향될 수 있게 한다. 즉, 힌지(106)는 서로에 대한 섹션들(102, 103)의 회전 자유를 0도 내지 약 180도로 허용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션들(102, 103)을 함께 결합하는 세 개의 힌지(106)가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더 많거나 적은 힌지(106)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b에서는 힌지(106)와 힌지 핀(107)을 도시하고 있지만, 유연한 플라스틱 또는 클로스 스트립(cloth strip), 볼-앤-소켓 또는 볼-앤-슬롯 커넥터 등의 다른 커넥터들,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커넥터(들)를 채택하여 섹션들(102, 103)을 결합할 수 있다.
각 섹션(102, 103)은 상부벽(109)과 하부벽(111)을 포함하는 다수의 벽을 포함한다. 벽들(109, 111)은, 도 2b에서 더욱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섹션(102, 103) 내의 캐비티(113)를 함께 정의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랙(100)이 펼쳐진 경우, 캐비티들(113)은,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위한 채널의 일부들을 정렬 및 형성한다. 각 섹션(102, 103)의 상부벽(109)은, 대략 편평한 외면을 갖고, 상부벽(109)의 외면으로부터 캐비티(113)로 연장되는 개구들(115)로 천공된다. 개구들(115)은 공기가 건조 랙(100)의 주변으로부터 캐비티(113) 내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들(115)은 대략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그리드 패턴으로 배열된다. 개구들(115)은 상부벽(109)의 총 면적에 비해 비교적 넓다. 즉, 개구들(115)의 결합된 면적은 상부벽(109)의 총 면적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물론, 이는 일례일 뿐이다. 개구들(115)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예를 들어, 원, 정사각형, 세장형 슬릿 등)과 임의의 적절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구들(115)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개구들(115)이 각 상부벽(109)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들(115)의 각각은, 각 개구(115)의 크기가 내면과 외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부벽(109)의 외면과 내면에 대략 수직인 벽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각 개구(115)는 상부벽(109)을 횡단함에 따라 더 작아지거나 커지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개구들(115)의 전부 또는 일부의 벽들은, 개구들(115)이 외면에서 크고 내면에서 작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들(115)은 깔때기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건조 랙(100)의 길이 전체에 걸쳐 기류 및 균일한 공기 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b와 도 3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섹션(102, 103)의 하부벽(111)은, 공기가 하부벽(111)을 통해 흐를 수 없도록 천공 없이 일반적으로 폐쇄된다. 하부벽(111)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경사지게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또는 하부벽(111)이 곡선형 벽일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섹션들(102, 103)은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비티(113)를 정의하도록 편평한 또는 곡선형 벽들 또는 벽 부분들의 임의의 구성을 상부벽(109)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벽들의 구성은, 캐비티(113)의 길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기류 분포를 촉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건조 랙(100)의 제1 섹션(102)은 힌지들(106)의 대향 단부에서 공기 출구 커버(101)를 포함한다. 제2 섹션(103)은 힌지들(106)의 대향 단부에서 후방 지지부들(104, 105)을 포함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랙(100)이 세탁 건조기(120)에 설치되면, 건조 랙(100)은 세탁 건조기(120)의 전방으로부터 세탁 건조기(120)의 후방으로 세탁 건조기(120)의 드럼에 걸쳐 연장된다. 공기 출구 커버(101)는 세탁 건조기(120)의 공기 출구(122)(때로는 "환기구"라 칭함)를 실질적으로 커버한다. 후방 지지부들(104, 105)은, 건조기 드럼의 후벽 상의 위치설정 오목부, 구멍, 딤플에 끼워지며 건조 랙(100)의 후방 단부를 지지하도록 기능하는 페그형 구조들이다.
도 3에서는, 건조 랙(100)의 하부면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건조 랙(100)은 하부벽들(111)에 부착된 파스너(114)를 포함한다. 파스너(114)는, 제1 섹션(102) 상의 제1 파스너(114a)와 제2 섹션(103) 상의 제2 파스너(114b)를 포함한다. 두 개의 파스너들(114a, 114b)은 건조 랙(100)을 펼쳐진 구성으로 고정하도록 결합된다. 파스너들(114a, 114b)은, 건조 랙(100)이 컴팩트한 보관을 위해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114)는 래치이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다. 버클, 클래스프, 또는 스냅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파스너를 사용할 수 있다.
동작의 일 양태에서, 건조 랙(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지고 파스너(114)를 사용하여 펼쳐진 구성에서 고정된다. 이어서, 건조 랙(100)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며, 이때 공기 출구 커버(101)는 건조기(120)의 공기 출구(122)를 실질적으로 커버한다. 건조시킬 하나 이상의 물품(124)(예를 들어, 스웨터)은 건조 랙(10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고(예를 들어, 개구들(115) 중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게 되고), 이어서 건조기(120)가 기동한다. 건조기(120)가 작동하면, 공기가 건조기 드럼으로 유입되어 드럼 내에 고압 영역을 생성한다. 드럼과 공기 출구(122) 간의 압력차는, 공기를 상기 물품(들)(124)을 거쳐 개구들(115)을 통과한 후, 캐비티(113) 내로 끌어 당긴다. 이어서, 공기는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건조기(120)의 공기 출구(122)로 이동한다. 건조 랙(100)의 채널을 통한 집중된 공기 움직임에 의해, 물품(들)(124) 근처에서의 공기 움직임이 더욱 빨라지고 커지며, 이에 따라 건조 시간이 더욱 빨라진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일례인 건조 랙(600)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건조 랙(600)은, 도 1 내지 도 5의 건조 랙(100)의 대응 구성요소들과 같거나 유사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간략성과 명료성을 위해, 그러한 요소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랙(600)은, 제1 섹션(602), 제2 섹션(603), 및 제3 섹션(604)을 포함하는 다수의 천공 섹션들로 이루어진다. 도 6의 건조 랙(600)은 세 개의 섹션(602 내지 604)을 포함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건조 랙(600)은 더 많거나 적은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랙(600)의 제1 섹션(602)은, 도 1의 공기 출구 커버(101)와 같거나 유사한 공기 출구 커버(601)를 포함한다. 섹션들(602 내지 604)의 각각은, 도 1의 개구들(115)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는 다수의 개구들(615)이 천공된 상부벽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들(615)은 도 1의 개구들(115)보다 작다. 물론, 이는 일례일 뿐이다. 개구들(615)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예를 들어, 원, 정사각형, 세장형 슬릿 등) 및 임의의 적절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구들(615)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각 섹션(602 내지 604)에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개구(615)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의 섹션들(102, 103)처럼 함께 힌지 결합되기보다는, 도 6에 도시한 섹션들(602 내지 604)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자재식(telescopic)의 섹션들처럼 함께 슬라이딩한다. 즉, 제3 섹션(604)은 제2 섹션(603)의 캐비티 내로 슬라이딩하고, 제2 섹션(603)은 제1 섹션(602)의 캐비티 내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섹션들(602 내지 604)은 컴팩트하고 편리한 보관을 위해 서로 내부에 안착된다. 건조 랙(600)이 세탁 건조기 내에 설치될 준비가 되면, 섹션들(602 내지 604)은, 섹션들(602 내지 604)이 도 6에 도시한 구성으로 될 때까지 망원경식으로 슬라이딩 아웃한다. 하나 이상의 정지 구조(도시하지 않음)는, 섹션들(602 내지 604)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구성에서, 건조 랙(600)은, 건조기에 설치될 수 있고, 건조 랙(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일례인 건조 랙(700)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건조 랙(700)은, 건조 랙들(100, 600)의 대응 구성요소들과 같거나 동일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간략성과 명료성을 위해, 그러한 요소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랙(700)은, 제1 섹션(702), 제2 섹션(703), 및 제3 섹션(704)을 포함하는 다수의 천공 섹션들로 이루어진다. 건조 랙(700)은 세 개의 섹션(702 내지 704)을 포함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건조 랙(700)은 더 많거나 적은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랙(700)의 제1 섹션(702)은, 도 1의 공기 출구 커버(101)와 같거나 유사한 공기 출구 커버(701)를 포함한다. 섹션들(702 내지 704)의 각각은, 도 1의 개구들(115)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는 다수의 개구들(715)이 천공된 상부벽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건조 랙(100)의 섹션들(102, 103)처럼 함께 힌지 결합되거나 도 6에 도시된 건조 랙(600)의 섹션들(602 내지 604)처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 대신에, 건조 랙(700)의 섹션들(702 내지 70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건조 랙(700)의 조립을 위해, 제1 섹션(702)과 제2 섹션(703)의 캐비티들은 매끄러운 내면들(710)을 포함하는 한편, 제2 섹션(703)과 제3 섹션(704)은 매끄러운 외면들(712)을 포함한다. 외면들(712)은, 외면들(712)이 내면들(710) 내에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내면들(710)보다 약간 작다. 제2 섹션(703)과 제3 섹션(704) 상의 숄더들(714)은, 섹션들(703, 704)이 인접하는 섹션(702, 703) 내로 너무 멀리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꼭 맞는 면들(710 내지 712) 간의 마찰은, 섹션들(702 내지 704)을 잡아당기지 않는 한, 섹션들(702 내지 704)이 일단 조립된 경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에 도시한 구성에서, 건조 랙(700)은, 건조기 내에 설치될 수 있고, 건조 랙(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건조기 내에 설치된 건조 랙(700)을 도시한다. 건조 랙(700)의 보관을 위해, 섹션들(702 내지 70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섹션(703)과 제3 섹션(704)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0도 돌려질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섹션(703)은 제1 섹션(702)의 캐비티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섹션(704)은 제2 섹션(703)의 캐비티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섹션들(702 내지 704)은, 도 6의 건조 랙(600)과 유사하게 컴팩트하고 편리한 보관을 위해 서로 내부에 안착된다.
도 12는 본 개시 내용에 따라 건조 랙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슈 스탠드(1200)의 일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슈 스탠드(1200)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슈 스탠드(1200)의 다른 실시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슈 스탠드(1200)는 세탁 건조기에서의 신발 건조를 개선하도록 건조 랙들(100, 600, 700) 중 어느 하나의 건조 랙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 스탠드(1200)는 하부면(1202), 상위면(1204), 및 노즈(1206)를 포함한다. 슈 스탠드(1200)를 둘러싸는 벽들은 노즈(1206)로부터 하부면(1202)으로 연장되는 캐비티(1208)를 정의한다. 노즈(1206)에서의 작은 개구 및 하부면(1202)에서의 큰 개구에 의해, 캐비티(1208)를 통한 기류 채널을 얻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노즈(1206)는 다수의 작은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작은 개구들은 더욱 양호한 기류 커버리지를 촉진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슈 스탠드(1200)는, 신발(1210)이 슈 스탠드(1200)의 상부 부분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신발(1210)의 내부가 상위면(1204)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슈 스탠드(1200)는 어린이 신발 및 어른 신발을 위한 크기 등의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단 신발(1210)이 슈 스탠드(1200) 위에 배치되면, 슈 스탠드(1200)와 신발(1210)은 더욱 빠른 신발 건조를 위해 건조기의 건조 랙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슈 스탠드(1200)는 하나 이상의 배치 페그를 포함할 수 있고, 건조 랙은 하나 이상의 페그 홀을 포함할 수있으며, 이를 반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페그 홀들은, 슈 스탠드(1200)의 안정성을 촉진하고 건조 랙 상에 슈 스탠드(1200)를 적절히 정렬하도록 배치 페그들을 수용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페그와 페그 홀 대신에 슬롯, 홈, 또는 기타 적절한 정렬 구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세탁 건조기(1320) 내의 건조 랙(1300) 상에 배열된 다수의 슈 스탠드(1200)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건조 랙을 이용하는 슈 스탠드(1200)의 다른 실시예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개의 슈 스탠드(1200)는 세탁 건조기(1320)에서 건조 랙(1300) 상에 나란히 위치한다. 건조 랙(1300)은 전술한 건조 랙들(100, 600, 700)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건조 랙(1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개구들(1315)을 갖는 상부벽(1309)을 포함한다. 또한, 건조 랙(1300)은, 캐비티(1313), 및 건조기의 공기 출구(1322)를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공기 출구 커버(1301)를 포함한다.
각 슈 스탠드(1200)는 건조 랙(1300)의 상부벽(1309)에 있는 개구들(1315) 중 일부 위에 위치한다. 세 개의 슈 스탠드(1200)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더 많거나 적은 슈 스탠드(1200)가 건조 랙(13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세탁 건조기(1320)가 작동하는 경우, 공기가 건조기 드럼에 유입되어 드럼 내에 고압 영역을 생성한다. 드럼과 공기 출구(1322) 간의 압력차는, 도 1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신발(1210) 내부를 거쳐 슈 스탠드(1200)의 노즈(1206)의 작은 개구 내로 끌어당긴다. 이어서, 공기는, 슈 스탠드(1200)의 캐비티(1208)를 통과한 후, 복수의 개구들(1315)을 통해, 건조 랙(1300)의 캐비티(1313)로 흐르고, 이어서 건조기(1320)의 공기 출구(1322)로 토출된다. 신발(1210)의 내부를 통한 집중된 공기 움직임에 따라, 건조 시간이 더욱 빨라진다.
도면에서는 건조 랙과 슈 스탠드의 서로 다른 예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해당 도면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건조 랙과 슈 스탠드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각 구성요소의 임의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임의의 구체적인 구성(들)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들에서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다양한 건조 특징부들이 사용될 수 있는 동작가능 환경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특징부들은 다른 임의의 적절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의 어느 것도 임의의 특정한 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요소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청구 대상의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또한, 어느 청구항도,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정확한 단어 앞에 분사가 오지 않는 한, 미국 특허법 35 U.S.C.ξ112(f)를 적용하려는 것이 아니다. 청구항 내에서 "기구", "모듈", "디바이스", "유닛", "구성요소", "요소", "부재", "장치", "기계", "시스템",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를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임의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구조를 가리키는 것임을 출원인이 이해할 수 있으며, 미국 특허법 35 U.S.C.ξ112(f)를 적용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본 개시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개시 내용은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청구범위 내에 포함하려는 것이다.
100, 600, 700 : 건조 랙 101, 601, 701 : 공기 출구 커버
102, 602, 702 : 제1 섹션 103, 603, 703 : 제2 섹션
604, 704 : 제3 섹션 104, 105 : 후방 지지부
106 : 힌지 107 : 힌지 핀
109 : 상부벽 111 : 하부벽
113 : 캐비티 115 : 개구
1200 : 슈 스탠드

Claims (20)

  1. 세탁 건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건조 장치로서,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 각각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 제1 벽은, 상기 제1 벽의 외부와 상기 채널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섹션은 그 일단에 공기 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출구 커버는 상기 세탁 건조기의 공기 출구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가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섹션 및 상기 제2 섹션의 상기 제1 벽들은 상기 세탁 건조기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세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가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 건조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개구와 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공기 출구 커버를 거쳐 상기 공기 출구로 토출되는 기류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제1 벽은, 상기 건조 장치가 접힌 경우, 상기 제2 섹션의 제1 벽과 마주보는 건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제2 벽은 제1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섹션의 제2 벽은 제2 파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스너와 상기 제2 파스너는, 상기 건조 장치가 펼쳐진 경우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1 섹션을 상기 제2 섹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섹션을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갖는 제3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섹션들은,
    상기 제2 및 제3 섹션들이 상기 제1 섹션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섹션들이 함께 선형 결합되어 상기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및 제3 섹션들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섹션들이 상기 제1 섹션의 캐비티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벽 외부에서의 상기 개구의 단면이 상기 제1 벽 내부에서의 상기 개구의 단면보다 크도록 테이퍼링된 측면을 갖는, 건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세탁 건조기의 드럼의 후벽 상의 오목부와 체결하여 상기 건조 장치를 고정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슈 스탠드(shoe stand)를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13. 드럼;
    공기 출구; 및
    상기 드럼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건조 랙(rack)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랙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 제1 벽은, 상기 제1 벽의 외부와 상기 채널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섹션은 그 일단에서 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커버는 상기 공기 출구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세탁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랙은, 상기 건조 랙이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의 상기 제1 벽들은, 상기 세탁 건조기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세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세탁 건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랙은, 상기 건조 랙이 상기 세탁 건조기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 건조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건조 랙은, 상기 복수의 개구와 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출구 커버를 통해 상기 공기 출구로 토출되는 기류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세탁 건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건조 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세탁 건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제1 벽은, 상기 건조 랙이 접힌 경우, 상기 제2 섹션의 제1 벽과 마주보는 세탁 건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제2 벽은 제1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섹션의 제2 벽은 제2 파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스너와 상기 제2 파스너는, 상기 건조 랙이 펼쳐진 경우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1 섹션을 상기 제2 섹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세탁 건조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탁 건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의 캐비티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섹션을 더 포함하는 세탁 건조기.
KR1020160091545A 2016-06-03 2016-07-19 세탁 건조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 KR102615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73,490 2016-06-03
US15/173,490 US10266985B2 (en) 2016-06-03 2016-06-03 Collapsible drying rack for laundry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578A true KR20170137578A (ko) 2017-12-13
KR102615028B1 KR102615028B1 (ko) 2023-12-19

Family

ID=6048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545A KR102615028B1 (ko) 2016-06-03 2016-07-19 세탁 건조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66985B2 (ko)
KR (1) KR102615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6985B2 (en) * 2016-06-03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lapsible drying rack for laundry dryer
US10774462B2 (en) * 2017-12-08 2020-09-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eparate container
US10398285B2 (en) * 2018-01-26 2019-09-03 Jason E. Blackman Stationary rack attachable to a clothes dryer
CN108691174B (zh) * 2018-06-13 2021-06-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干衣机和烘干支架组件
USD906610S1 (en) * 2018-07-04 2020-12-29 Doreen Beverley Watson Device for machine washing and drying delicate articles
US11486085B2 (en) * 2020-11-03 2022-11-01 Barry G. Erickson Apparatus for securing items to a drum of a washer and dryer
USD1024468S1 (en) * 2022-01-17 2024-04-23 Shenghui Wang Laundry detergent hol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833A (ja) *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80010703A (ko) * 2006-07-27 2008-01-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신발 수납형 랙을 구비하는 건조기
KR20100041032A (ko) * 2008-10-13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915A (en) * 1976-06-04 1978-04-04 Materniak Gize Exhaust system for laundry dryer
US4091548A (en) * 1976-11-10 1978-05-30 Fedders Corporation Door mounted stationary drying rack
US4908959A (en) * 1988-10-05 1990-03-20 Whirlpool Corporation Airflow directing dry rack
USD314262S (en) * 1988-12-30 1991-01-29 Whirlpool Corporation Heated dry rack or the like
FR2739760B1 (fr) * 1995-10-11 1997-12-12 Salomon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hauffage d'une garniture interieure de chaussure
JP3108857B2 (ja) * 1996-02-15 2000-11-13 株式会社エヌケージー 物干し具
US5743025A (en) * 1997-04-03 1998-04-28 Jordan, Jr.; Richard W. Dryer basket for sneakers insertable into a clothes dryer
US6026592A (en) * 1998-05-13 2000-02-22 Maytag Corporation Drying rack with electronic control
US5987773A (en) * 1998-07-27 1999-11-23 Lipscy; Gordon E. Foot and hand apparel dryer cabinet assembly
US5974693A (en) * 1998-08-12 1999-11-02 Richards; Russell F Footwear drying rack and method for its use
US6115936A (en) * 1999-08-16 2000-09-12 Arlie; Daniel Free tumbling padded shoe container for use in clothes dryer
DE10103987A1 (de) * 2001-01-30 2002-08-0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Trockengestell für einen Wäschetrockner
DE20122486U1 (de) * 2001-01-30 2005-12-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engestell für einen Wäschetrockner
US6732447B2 (en) * 2001-11-06 2004-05-11 Whirlpool Corporation Drying apparatus
US8015727B2 (en) * 2003-11-11 2011-09-13 Lg Electronics Inc. Dryer rack
EP1541743B1 (en) * 2003-12-10 2010-10-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with dry board
KR101225502B1 (ko) * 2005-10-20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US7552545B2 (en) * 2005-10-25 2009-06-30 Maytag Corporation Ducted drying rack for clothes dryer
US7421804B1 (en) * 2006-02-02 2008-09-09 Hession Edward B Device for attaching an exhaust hose to a clothes dryer
JP2007244658A (ja) 2006-03-16 2007-09-27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8087184B2 (en) * 2006-07-28 2012-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with extendable rack
KR102178454B1 (ko) * 2013-12-02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2178451B1 (ko) * 2013-12-02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US10266985B2 (en) * 2016-06-03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lapsible drying rack for laundry dr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833A (ja) *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80010703A (ko) * 2006-07-27 2008-01-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신발 수납형 랙을 구비하는 건조기
KR20100041032A (ko) * 2008-10-13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66985B2 (en) 2019-04-23
KR102615028B1 (ko) 2023-12-19
US20170350062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578A (ko) 세탁 건조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건조 랙
KR20080040658A (ko) 의류 건조장치
CN102041660B (zh) 支撑装置及具有该支撑装置的洗衣机
KR200464176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200381878Y1 (ko) 절첩식 빨래건조대
KR101654597B1 (ko) 간편한 접철식 빨래 건조대
WO2016070896A1 (en) Foldable drying rack and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TE387531T1 (de) Verbesserter wäschetrockner
KR200483979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US20170188702A1 (en) Front loading washer/dryer shelf
US964430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30180123A1 (en) Appliance having a drying rack
CN107675450B (zh) 一体式烘干机
KR200449636Y1 (ko) 빨래 건조대
CN106637861A (zh) 晾衣挂架装置
KR20140005490U (ko) 서랍 수납식 빨래건조대
EP3476993A1 (en) Clotheshorse with rods attached to both ends with opening for the insertion and the support of the laundry to be dried
KR200461957Y1 (ko) 빨래 건조대
KR100814286B1 (ko) 이동식 분리형 빨래 건조대
KR200311034Y1 (ko) 접이식 세탁물 건조대
CN205258892U (zh) 洗衣机
KR20070000075U (ko) 이동식 빨래 건조대
TWM572932U (zh) 可攜式的吹風裝置
KR101487428B1 (ko) 노출식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