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533A -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533A
KR20170137533A KR1020160069830A KR20160069830A KR20170137533A KR 20170137533 A KR20170137533 A KR 20170137533A KR 1020160069830 A KR1020160069830 A KR 1020160069830A KR 20160069830 A KR20160069830 A KR 20160069830A KR 20170137533 A KR20170137533 A KR 2017013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toluene
cocatalyst
reaction
main catalyst
tolu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164B1 (ko
Inventor
김기돈
장남진
송규호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1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17/42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18Arsenic, antimony or bism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6Halogens; Compounds thereof
    • B01J27/08Halides
    • B01J27/10Chlo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6Halogens; Compounds thereof
    • B01J27/128Halogens; Compounds thereof with iron group metals or platinum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2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 addition, inorganic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J31/02 - B01J31/24
    • B01J31/28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 addition, inorganic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J31/02 - B01J31/24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1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alogens
    • C07C17/0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alogens combined with replacement of hydrogen atoms by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00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alogen atom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02Monocyclic aromatic haloge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톨루엔과 염소를 일정 비율의 주촉매와 조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의 선택도를 향상시켜 부산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o-CHLOROTOLUENE AND p-CHLOROTOLUENE}
본 발명은 선택도가 향상되고 부산물의 양이 감소된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과 같은 모노클로로톨루엔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모노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중 산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톨루엔과 염소를 FeCl3와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톨루엔과 염소를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키면 염소 원자가 치환되어,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과 같은 모노클로로톨루엔이 생성된다. 그러나 원하는 생성물인 모노클로로톨루엔 이외에도 부산물로서 디클로로톨루엔과 같은 과염소화된 톨루엔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산물의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업적인 생산 방법에서는 톨루엔을 염소 대비 과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반응 이후 생성물과 혼합되어 있는 다량의 미반응 톨루엔을 회수하여 다시 반응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톨루엔을 염소 대비 과량으로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디클로로톨루엔과 같은 부산물이 상당량 존재하여 상기 반응의 수율이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지 않아, 여전히 반응의 선택도를 향상시키면서 부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모노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촉매와 조촉매가 특정 비율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에서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에 대한 선택도가 향상되어 디클로로톨루엔과 같은 부산물의 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에 있어,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에 대한 선택도가 높고 부산물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톨루엔을 주촉매 및 조촉매의 존재 하에 염소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생성물로부터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
이때, 상기 주촉매는 FeCl3, 페로센(ferrocene), PtO2, SbCl3 및 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조촉매는 S2Cl2, 티안트렌(thianthrene), 디페닐셀레니드(diphenylselenide), 테트라클로로페녹사틴(tetrachlorophenoxathin), 디클로로티안트렌(dichlorothiantrene), 테트라클로로티안트렌(tetrachlorothiantrene) 및 폴리클로로티안트렌(polychlorothiantr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주촉매 및 상기 조촉매는 1:0.59 내지 1:0.76의 몰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톨루엔과 염소를 특정 비율의 주촉매와 조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종래의 모노클로로톨루엔의 제조 공정에 비하여 모노클로로톨루엔에 대한 반응의 선택도가 향상되어 부산물의 생성량이 감소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각 단계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톨루엔의 반응 단계 (단계 1)
상기 단계 1은, 톨루엔을 주촉매 및 조촉매의 존재 하에 염소와 반응시켜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하기 반응식 1에 의해 진행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물에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 이외에도 디클로로톨루엔과 같은 부산물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 1에서는 부산물을 최소화하고 반응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톨루엔을 염소 대비 과량으로 사용할 뿐 아니라 주촉매 및 조촉매를 상술한 몰비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톨루엔 및 상기 염소는 1:1 내지 1:3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톨루엔 및 상기 염소는 1.5:1 내지 2.5:1, 또는 1.9:1 내지 2.1:1의 몰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촉매는 톨루엔 150 내지 3000 ppm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촉매는 톨루엔 150 내지 1000 ppm의 함량,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150 내지 450 ppm의 함량,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150 내지 300 ppm의 함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촉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촉매 1몰 대비 0.59 내지 0.76 몰로 사용된다. 상기 조촉매가 주촉매 1몰 대비 0.59 몰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및 0.8몰 이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반응의 선택도가 낮아지고 부반응에 따른 부산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반응의 선택도 및 부산물의 생성량 측면에서 상기 조촉매가 주촉매 1몰 대비 0.59 내지 0.73 몰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주촉매 및 조촉매로 상술한 원소 또는 화합물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반응 효율 측면에서 주촉매로 FeCl3를 사용하고, 조촉매로 S2Cl2를 사용한 경우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50 내지 200℃의 온도, 구체적으로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1 내지 10 bar의 압력, 구체적으로 1 내지 5 bar의 압력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o- 클로로톨루엔 및 p- 클로로톨루엔의 분리 및 회수 단계 (단계 2)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만을 분리한 후 이를 회수하기 위한 단계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는 모노클로로톨루엔뿐 아니라 디클로로톨루엔이 부산물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부산물의 양은 단계 1의 반응에서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에 대한 선택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단계 1의 반응의 선택도는 99.5%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의 반응에서 염소화된 톨루엔 중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이 생성되는 비율은 99.5% 이상, 99.6% 이상, 99.7% 이상, 또는 99.8%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계 1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생성물은 부산물로 o-클로로톨루엔, p-클로로톨루엔 및 디클로로톨루엔 총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미만의 디클로로톨루엔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물은 o-클로로톨루엔, p-클로로톨루엔 및 디클로로톨루엔 총중량을 기준으로 0.4 중량% 미만, 0.3 중량% 미만, 또는 0.2 중량% 미만의 디클로로톨루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의 반응이 진행된 반응기 내에는 상기 생성물 이외에도, 염소에 비해 과량으로 포함되어 미반응된 톨루엔, 주촉매 및 조촉매가 남아있어, 이들의 재사용을 위한 분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분리 및 회수 단계 이전에, 반응기에서 미반응된 톨루엔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반응된 톨루엔은 상기 o-클로로톨루엔, p-클로로톨루엔 및 디클로로톨루엔에 비하여 끊는점이 가장 낮기 때문에 증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증류를 통하여 분리된 미반응된 톨루엔은 냉각기를 이용하여 냉각되어 회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분리 및 회수 단계 이전에, 반응기에서 주촉매 및 조촉매를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촉매 및 조촉매는 생성물과 함께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촉매, 조촉매 및 생성물의 혼합물이 염기성 용액과 접촉되는 경우 주촉매 및 조촉매는 이온화되어 염기성 용액에 용해되므로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염기성 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HCl은 단계 1의 반응 중 가스 형태로 생성되어 반응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된 HCl은 액화시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미반응된 톨루엔, 주촉매 및 조촉매의 분리 이후,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분리 및 회수는 증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에 비하여 디클로로톨루엔의 끊는점이 높기 때문에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이 디클로로톨루엔보다 먼저 증류되므로, 이의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하다.
상기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은 1.07:1 내지 1.09:1의 비율로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성질체의 생성비율은 주촉매 및 조촉매의 사용비율에 따른 것으로, 후술하는 비교예 실험 결과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주촉매 및 조촉매의 사용비율이 본 발명의 사용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이 1.0:1 내지 1.2:1의 비율로 회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톨루엔과 염소를 일정 비율의 주촉매와 조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의 선택도를 향상시켜 디클로로톨루엔과 같은 부산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 FeCl 3 :S 2 Cl 2 = 1:1.00)
반응기를 질소 상태로 유지한 후, 톨루엔 230 g에 FeCl3 0.069g을 용해시켰다. 이후, S2Cl2 34.0 ㎕를 첨가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50℃로 올리고, 염소 기체를 80 cc/min 속도로 주입하면서 2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 반응이 종료된 후 생성물로부터 증류를 통하여 미반응된 톨루엔을 증류를 통해 회수한 후,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접촉시켜 FeCl3 및 S2Cl2를 회수하였다.
이후, 증류를 통하여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얻었다.
GC 분석을 통하여 생성된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 및 부산물인 디클로로톨루엔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 FeCl 3 :S 2 Cl 2 = 1:0.90)
S2Cl2를 30.6 ㎕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얻었다.
비교예 3 ( FeCl 3 :S 2 Cl 2 = 1:0.80)
S2Cl2를 27.2 ㎕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얻었다.
실시예 1 ( FeCl 3 :S 2 Cl 2 = 1:0.76)
S2Cl2를 25.8 ㎕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얻었다.
실시예 2 ( FeCl 3 :S 2 Cl 2 = 1:0.73)
S2Cl2를 24.8 ㎕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얻었다.
실시예 3 ( FeCl 3 :S 2 Cl 2 = 1:0.59)
S2Cl2를 20.1 ㎕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얻었다.
비교예 4 ( FeCl 3 :S 2 Cl 2 = 1:0.50)
S2Cl2를 17.0 ㎕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주촉매 및 조촉매의 사용량 및 몰비, 반응의 선택도, 생성물 내 o-클로로톨루엔, p-클로로톨루엔 및 디클로로톨루엔 총중량을 기준으로한 디클로로톨루엔의 생성량 및 회수된 o-클로로톨루엔과 p-클로로톨루엔의 비율 측정 결과를 이하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eCl3
(ppm)
S2Cl2
(ppm)
FeCl3:S2Cl2
(몰비)
선택도
(%)
디클로로톨루엔
생성량
(중량%)
이성질체 비율
(o:p)
비교예 1 300 250 1:1.00 99.07 0.93 1.1:1
비교예 2 300 220 1:0.90 99.09 0.91 1.1:1
비교예 3 300 198 1:0.80 99.08 0.92 1.1:1
실시예 1 300 190 1:0.76 99.75 0.25 1.08:1
실시예 2 300 183 1.0.73 99.86 0.14 1.08:1
실시예 3 300 146 1:0.59 99.89 0.11 1.08:1
비교예 4 300 124 1:0.50 99.49 0.51 1.1: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1:0.59 내지 1:0.76의 몰비로 주촉매와 조촉매를 사용하여, 상기 범위로 주촉매 및 조촉매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반응의 선택도가 현저히 향상됨에 따라 부산물인 디클로로톨루엔 생성량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o-클로로톨루엔과 p-클로로톨루엔은 비교예보다 p-클로로톨루엔의 생성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톨루엔을 주촉매 및 조촉매의 존재 하에 염소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생성물로부터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촉매는 FeCl3, 페로센(ferrocene), PtO2, SbCl3 및 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조촉매는 S2Cl2, 티안트렌(thianthrene), 디페닐셀레니드(diphenylselenide), 테트라클로로페녹사틴(tetrachlorophenoxathin), 디클로로티안트렌(dichlorothiantrene), 테트라클로로티안트렌(tetrachlorothiantrene) 및 폴리클로로티안트렌(polychlorothiantr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주촉매 및 상기 조촉매는 1:0.59 내지 1:0.76의 몰비로 사용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촉매는 FeCl3이고, 상기 조촉매는 S2Cl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톨루엔 및 상기 염소는 1:1 내지 1:3의 몰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촉매는 150 내지 3000 ppm의 함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50 내지 200℃의 온도 및 1 내지 10 bar의 압력 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의 선택도는 9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은 o-클로로톨루엔, p-클로로톨루엔 및 디클로로톨루엔 총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미만의 디클로로톨루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클로로톨루엔 및 상기 p-클로로톨루엔의 분리 및 회수는 증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클로로톨루엔 및 상기 p-클로로톨루엔은 1.07:1 내지 1.09:1의 비율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분리 및 회수 단계 이전에,
미반응된 톨루엔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분리 및 회수 단계 이전에,
상기 주촉매 및 상기 조촉매를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KR1020160069830A 2016-06-03 2016-06-03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KR101905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830A KR101905164B1 (ko) 2016-06-03 2016-06-03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830A KR101905164B1 (ko) 2016-06-03 2016-06-03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533A true KR20170137533A (ko) 2017-12-13
KR101905164B1 KR101905164B1 (ko) 2018-10-05

Family

ID=6094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830A KR101905164B1 (ko) 2016-06-03 2016-06-03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5302A (zh) * 2021-03-04 2021-07-13 老河口华辰化学有限公司 一种邻氯甲苯氯化联产邻氯氯苄、邻氯二氯苄和邻氯三氯苄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198A (en) 1975-08-01 1977-05-17 Hooker Chemicals & Plastics Corporation Process for the chlorination of toluene
US4031144A (en) * 1976-03-22 1977-06-21 Tenneco Chemicals, Inc. Chlorination of toluene
US4250122A (en) * 1979-09-07 1981-02-10 Hooker Chemicals & Plastics Corp. Process and catalyst mixture for the para-directed chlorination of alkylbenzen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5302A (zh) * 2021-03-04 2021-07-13 老河口华辰化学有限公司 一种邻氯甲苯氯化联产邻氯氯苄、邻氯二氯苄和邻氯三氯苄的方法
CN113105302B (zh) * 2021-03-04 2024-01-12 老河口华辰化学有限公司 一种邻氯甲苯氯化联产邻氯氯苄、邻氯二氯苄和邻氯三氯苄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164B1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8719B1 (en) Method for producing c3 chlorinated hydrocarbon
US7799959B2 (en) Process for producing 1,2,3,4-tetrachlorohexafluorobutane
JP2012036190A (ja) 塩素化炭化水素の製造方法
US7102041B2 (en) Continuous process for preparing halogenated compounds
WO2015151116A2 (en) Process for producing 2-fluoro-6-(trifluoromethyl)pyridine compounds
JPH07100672B2 (ja) 1,1,1―クロロジ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
EP0462514B1 (en) Process for preparing 1-chloro-2,2,2-trifluoroethane
ZA200504203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6-dihalo-para-trifluoromethylaniline
KR101905164B1 (ko)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JP2019526557A (ja) 塩素化アルカンを脱塩化水素させるためのプロセス
KR101773588B1 (ko)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의 제조 방법
EP1942102A1 (en) Process for producing trifluoromethanesulfonic anhydride
JP2012140397A (ja) ポリクロロプロパンの製造方法
JP5060098B2 (ja) ビフェニ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WO2005058806A1 (ja) クロロスルホニルイソシアナートの製造方法
US20190300460A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production of a chlorinated alkene by caustic deydrochlorination of a chlorinated alkane by recycling
GB2054585A (en) Process for producing methylhydrazines
CN111099958A (zh) 一种环丙基溴合成的新方法
CN111655676A (zh) 1,3-二氧戊环化合物及全氟(2,2-二甲基-1,3-二氧杂环戊烯)的制造方法
US20020183557A1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inated alkylamine compound
EP1072580B1 (en) Process for producing chloromethylphenylacetic acid
JP4400433B2 (ja) モノクロルベンゼンの製造方法
EP0916641A1 (en) Preparation of acid chlorides
JPH0723332B2 (ja) 1,3−ジクロル−2−プロパノ−ルの製造法
JP2017008006A (ja) 3,3−ジフルオロ−1−クロロ−2−プロパノンの実用的な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