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372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372A
KR20170137372A KR1020160069409A KR20160069409A KR20170137372A KR 20170137372 A KR20170137372 A KR 20170137372A KR 1020160069409 A KR1020160069409 A KR 1020160069409A KR 20160069409 A KR20160069409 A KR 20160069409A KR 20170137372 A KR20170137372 A KR 20170137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ehicle
side mirror
folde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912B1 (ko
Inventor
이동준
김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91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3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a single actuator for driving a lock and additional vehicle components, e.g. window wipers or window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는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가 포함된 차량의 경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이면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수평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가 포함된 차량의 경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사이드 미러의 발광부가 점등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 키(key)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키 감지부; 폴딩(folding) 시 수평방향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 상기 사이드 미러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점등되는 발광부; 및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키 감지부가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키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실시예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차량 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차량 키를 소위 스마트 키라고 부른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차량 키는 스마트 키라고 불리는 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키를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차량 키와 차량과의 통신을 통해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다. 또한 차량 키를 소지한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을 위해 키를 삽입하지 않고도 시동을 걸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퍼들(puddle)램프라고 불리는 발광부가 마련되어, 차량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발광부가 점등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확대 적용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가 포함된 차량의 경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이면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수평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가 포함된 차량의 경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사이드 미러의 발광부가 점등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 키(key)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키 감지부; 폴딩(folding) 시 수평방향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 상기 사이드 미러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점등되는 발광부; 및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키 감지부가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키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 및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unfolding)되는 제2모드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키 감지부가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키 감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감지부는 저주파 신호(low frequency signal)을 출력하는 저주파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되면,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키가 감지되면 사이드 미러 하단에 마련된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으면 상기 사이드 미러의 폴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unfolding)되는 제2모드가 턴 오프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으면 상기 사이드 미러의 폴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고, 상기 제2모드가 턴 오프되어 있으면, 상기 사이드 미러의 폴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 키(key)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키 감지부; 폴딩(folding) 시 수평방향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 상기 사이드 미러의 하단에 마련되는 발광부; 및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 및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unfolding)되는 제2모드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이면,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감지신호의 출력에 필요한 전력의 소비가 저감되어 배터리 방전이나 배터리 효율 저하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수평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차량 키가 감지되면 사이드 미러의 발광부가 점등되어, 향상된 상품성의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 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각 구성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가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 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80),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8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배터리나 연료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도어(71)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의 손잡이에는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 예를 들면 저주파(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저주파 안테나(111a, 111c)가 마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위 스마트 키로 불리는 차량 키(200)가 차량(100)에 의해 감지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기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차량 키는 차량(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포브키(FOB key)일 수 있다.
차량 키(200)는 포브키가 아니더라도 전술한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0)을 제어하는 입력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차량 키의 역할을 하는 경우,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 키(200)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에는 차량 키(2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차량 키(200)와 차량(100)은 저주파 통신망(Low Frequency)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차 키를 탐색하고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저주파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저주파 통신망은 차량(100)이 차량 키(200)를 탐색하여 감지하기 위한 저주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이다. 예를 들어, 저주파 통신망은 20kHz 이상 150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저주파 통신망을 통해 저주파 신호가 차량과 차량 키 간에 송수신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의 특성으로 인해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고주파(Radio Frequency)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예를 들어, 저주파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5m이고, 고주파 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00m일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해 저주파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차량 키가 차량(100)에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근접해야 차량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키 감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고, 키 감지부(112)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 이상의 저주파 안테나(112a-112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저주파 안테나(112a-112d)는 차량(100)의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다양한 각도 및 세기로 저주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저주파 안테나는 우측 도어의 손잡이에 마련된 저주파 안테나(112a), 좌측 도어의 손잡이에 마련된 저주파 안테나(112c), 본체 상단에 마련된 저주파 안테나(112b), 및 트렁크에 마련된 저주파 안테나(112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저주파 안테나의 설치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100)이 저주파 안테나(112a-112d)를 통해 저주파 신호를 송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키(200)가 차량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존재할 경우, 차량 키(200)는 저주파 안테나(112a-112d)로부터 출력된 저주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나머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 불리는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된다.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는 전면 유리(30)를 통해 차량(100)의 전방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한다.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통해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이드 미러(81, 82)의 하단에는 발광부(83)가 설치되어, 차량의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가 감지되면 발광부(83)가 점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차량(100) 주변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차량(100) 주변의 상황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의 속도 등과 같은 차량의 주행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차선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기어박스(120), 센터페시아(130), 스티어링 휠(140) 및 계기판(15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2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기어 레버(1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박스에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10)이나 오디오 장치(133)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기능이나 차량(100)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이얼 조작부(111)와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2), 오디오 장치(133) 및 네비게이션(1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100)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어박스(120)에 설치된 입력부(110)의 버튼들이나 다이얼 조작부(111)를 통해 공조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페시아(130)에는 네비게이션(10)이 설치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10)은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페시아(130)에는 네비게이션(1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네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13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네비게이션(10)의 디스플레이(300)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네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기어 박스(12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에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계기판(150)은 차량 상태, 차량 주행과 관련된 정보,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하는 계기판 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 쪽의 대시보드에는 차량 키(200)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운전석 쪽의 대시보드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키 홈에 차량 키(200)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 키(200)와 차량(100)이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시동 버튼이 조작되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운전자는 대시보드에 마련된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을 조작하여 차량(100)을 운행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전술한 것처럼, 사이드 미러(81)가 언폴딩(unfolding) 상태일 때, 지면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사이드 미러(81)의 하단에 마련된 발광부(83)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광부(83)는 차량 키가 차량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존재하면 점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 키를 소지한 채 차량에 접근하여, 차량의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면, 사이드 미러(81)의 발광부(83)가 점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소위 <웰컴 라이트> 기능이라고도 불린다(이하 이러한 기능을 구현한 모드를 제1모드라고 한다). 사이드 미러(81)는 일반적으로 폴딩 시 폴딩되는 각도에 따라 수평으로 폴딩되는 타입과 상방으로 폴딩되는 타입이 있다. 상방으로 폴딩되는 타입의 경우, 폴딩된 상태에서 발광부(83)가 점등되면, 발광부(83)에서 조사되는 빛이 바닥이 아니라 후방 쪽을 향하게 되므로, 다른 사람들에게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에서도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발광부(83)가 점등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으면, 키 감지부(112)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전술한 것처럼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차량 키가 감지되어도 발광부(83)가 점등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키 감지부(11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될 수도 있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각 구성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키 감지부(112), 사이드 미러(81), 사이드 미러(81)의 하단에 마련된 발광부(83) 및 차량 키가 감지되면 동작 중인 모드에 따라 사이드 미러(81)와 발광부(83)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전술한 것처럼 소위 웰컴 라이트라 불리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1모드와, 차량 키가 감지되면 언폴딩 상태의 사이드 미러(81)가 폴딩상태로 전환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2모드를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은 제1모드는 턴 온되어 있으나, 제2모드는 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모드가 동작하는 예를 도시한다. 즉, 차량 키가 감지되어도, 사이드 미러(81)가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제1모드가 동작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모드는 턴 온되어 있고, 제2모드는 턴 오프되어 있어서,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해도 사이드 미러(81)는 폴딩상태를 유지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사이드 미러(81)가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인 경우, 사이드 미러(81)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81)가 폴딩 상태이면,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탐색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발광부(83)는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가 감지되면 점등되는데,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차량 키가 감지될 수 없고, 따라서 발광부(83)는 점등되지 않는다.
전술한 것처럼,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사이드 미러(81)의 발광부(83)가 점등되지 않음에도 키 감지부(112)에서 감지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되면, 배터리 방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가 폴딩 상태인 경우, 제어부(500)는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이드 미러(81)가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발광부(83)는 점등되지 않는다.
사이드 미러(81)가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500)는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되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시점의 감지신호에 의해 차량 키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발광부(83)를 점등시켜 제1모드가 동작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키가 감지되면, 발광부(83)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점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수평방향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모드는 턴 온되어 있고, 제2모드는 턴 오프되어 있어서,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해도 사이드 미러(81)는 폴딩상태를 유지한다.
사이드 미러(81)가 수평방향으로 폴딩되는 타입인 경우,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와 달리,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되어도, 발광부(83)는 바닥면을 향한다. 따라서, 발광부(83)가 점등되어 광이 조사되어도 다른 사람들에게 눈부심을 야기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81)의 발광부(83)는 사이드 미러(81)가 폴딩상태인 경우에도 차량 키가 감지되면 점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500)는 사이드 미러(81)의 상태와 무관하게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되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시점의 감지신호에 의해 차량 키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발광부(83)를 점등시켜 제1모드가 동작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키가 감지되면, 사이드 미러(81)가 폴딩상태이든 언폴딩상태이든 상관없이 발광부(83)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점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이드 미러(81)가 상방으로 폴딩되는 타입인 경우에는, 사이드 미러(81)가 폴딩상태이면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이드 미러(81)가 수평으로 폴딩되는 타입인 경우에는, 차량 키가 감지되면 사이드 미러(81)가 폴딩상태인 경우에도 발광부(83)가 점등되도록 하여 향상된 상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제1모드가 턴온되고(800), 제2모드 턴 오프되면(810),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되어 있는지 결정한다(820). 제어부(500)는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되어 있지 않거나, 제2모드가 턴온되어 있으면,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860), 차량 키가 감지되면 발광부(83)를 점등한다(870).
제2모드가 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 키가 감지되면, 사이드 미러(81)가 자동적으로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므로, 제1모드에 따라 차량 키가 감지되어 발광부(83)가 점등되어도 다른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제2모드가 턴 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00)는 키 감지부(112)가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또한, 제2모드가 턴 오프되어 있는 경우라도, 사이드 미러(81)가 언폴딩 상태이면, 제1모드에 따라 차량 키가 감지되어 발광부(83)가 점등되어도 다른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사이드 미러(81)가 언폴딩 상태인 경우, 제어부(500)는 키 감지부(112)가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사이드 미러(81)가 폴딩상태이고, 폴딩된 사이드 미러(81)가 상방으로 폴딩되는 타입인 경우(830), 제어부(500)는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840). 폴딩상태의 미러가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면(850), 제어부(500)는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860), 차량 키가 감지되면 발광부(83)를 점등한다(870).
제어부(500)는, 사이드 미러(81)가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인 경우, 사이드 미러(81)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81)가 폴딩 상태이면,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탐색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발광부(83)는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가 감지되면 점등되는데,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차량 키가 감지될 수 없고, 따라서 발광부(83)는 점등되지 않는다.
전술한 것처럼,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사이드 미러(81)의 발광부(83)가 점등되지 않음에도 키 감지부(112)에서 감지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되면, 배터리 방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81)가 폴딩 상태인 경우, 제어부(500)는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이드 미러(81)가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발광부(83)는 점등되지 않는다.
사이드 미러(81)가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500)는 키 감지부(112)에서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가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되도록 키 감지부(112)를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시점의 감지신호에 의해 차량 키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발광부(83)를 점등시켜 제1모드가 동작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키가 감지되면, 발광부(83)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점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12: 키 감지부
200: 차량 키
500: 제어부
81, 82: 사이드 미러
83: 발광부

Claims (13)

  1. 통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 키(key)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키 감지부;
    폴딩(folding) 시 수평방향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
    상기 사이드 미러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점등되는 발광부; 및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키 감지부가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키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 및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unfolding)되는 제2모드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키 감지부가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키 감지부를 제어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감지부는 저주파 신호(low frequency signal)을 출력하는 저주파 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되면,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하는 차량.
  7. 상방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키가 감지되면 사이드 미러 하단에 마련된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으면 상기 사이드 미러의 폴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unfolding)되는 제2모드가 턴 오프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으면 상기 사이드 미러의 폴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모드가 턴온되어 있고, 상기 제2모드가 턴 오프되어 있으면, 상기 사이드 미러의 폴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통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 키(key)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키 감지부;
    폴딩(folding) 시 수평방향으로 폴딩되는 사이드 미러;
    상기 사이드 미러의 하단에 마련되는 발광부; 및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 및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면 상기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unfolding)되는 제2모드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키 감지부에서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차량.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감지부는, 상기 차량 키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는 제1모드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차량 키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출력하는 차량.
KR1020160069409A 2016-06-03 2016-06-03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916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09A KR101916912B1 (ko) 2016-06-03 2016-06-03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09A KR101916912B1 (ko) 2016-06-03 2016-06-03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72A true KR20170137372A (ko) 2017-12-13
KR101916912B1 KR101916912B1 (ko) 2018-11-08

Family

ID=6094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409A KR101916912B1 (ko) 2016-06-03 2016-06-03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9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978A (ja) * 2007-01-29 2008-08-14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照明灯の制御装置
KR101601302B1 (ko) 2010-08-31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언폴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52198B1 (ko) * 2010-11-29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사 폴딩 아웃사이드미러용 퍼들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912B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9320B2 (en) Lamp and autonomous vehicle
KR101959300B1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시스템
KR101949352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102201757B1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4727B1 (ko) 스마트 키,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키를 포함하는 차량
US1162354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disposed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KR101792034B1 (ko)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07234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KR101918230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EP3597502A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9179998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5618887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9365157B2 (en) System for adjusting brightness of vehicle lighting,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27505B2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KR101664294B1 (ko) 적응적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8149784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80106227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13512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0064510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CN116635268A (zh) 用于运行车辆的环境照明设备的方法
KR10191691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20255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KR10189067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30062519A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미러 자동 작동장치 및 방법
KR102494001B1 (ko)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