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834A -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834A
KR20170136834A KR1020160068865A KR20160068865A KR20170136834A KR 20170136834 A KR20170136834 A KR 20170136834A KR 1020160068865 A KR1020160068865 A KR 1020160068865A KR 20160068865 A KR20160068865 A KR 20160068865A KR 20170136834 A KR20170136834 A KR 20170136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sect t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707B1 (ko
Inventor
피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6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7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9/00Telephonic communications
    • Y10S379/91Bar code or optical character reader with telephone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포집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곤충 포집장치의 설치 및 관리를 제어하기 위한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곤충 포집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곤충 포집장치 각각에 식별 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식별 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촬영된 식별 코드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산림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곤충 포집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들을 무인 비행 장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A device for capturing insec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reof}
본 발명은 페로몬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주변의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에는 수많은 종류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 곤충 중에서 인간이 산림에서 기대하는 혜택을 직, 간접으로 방해하는 곤충을 산림해충이라 한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산림해충은 2,500 여 종이며 이중 치명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은 100종 미만이다.
현재 이러한 산림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곤충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곤충트랩(insect trap)은 곤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기구를 가리킨다. 보통 곤충을 유인하는 방식에 따라 유인등이나 페로몬 등 화학물질이 사용되며, 곤충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방식에 따라 곤충이 달라붙는 끈끈이를 사용하거나 전격(電擊)으로 감전시켜서 살상하기도 한다. 곤충출몰장소에 설치한 후 팬을 통해 날아다니는 곤충을 강제로 흡입하여 포집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포집장치는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비치되어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해서 손상되어 재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즉,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비가 오는 등 주변 환경이 나쁜 경우 그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페로몬 등으로 인해 포집된 곤충이 내부에서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내부에서 곤충들의 활동 반경을 줄여야 하는데 기존 포집장치는 곤충들이 날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곤충들을 효과적으로 가둘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곤충 포집장치는 산림 곳곳에 설치되는데, 설치 후에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수적이다. 곤충 포집장치는 페로몬 유인제의 주기적인 교체가 요구되며,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통에 곤충이 많이 쌓이면 이를 비워 줘야 한다.
따라서 광범위하게 설치되는 곤충 포집장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포집 관련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곤충 포집장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곤충 포집장치의 설치 및 관리를 제어하기 위한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곤충 포집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곤충 포집장치 각각에 식별 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식별 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촬영된 식별 코드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곤충 포집장치의 설치 시 자동으로 관리 서버에 포집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 등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에 해당하는 수집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포집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인부가 포집통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포집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연결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원추형 펀넬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유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10)의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곤충 포집장치(10) 및 이동 단말기(3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10)에 구비되는 식별 코드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관리 정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곤충 포집장치(10)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곤충 포집장치(10)를 관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가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기(300)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 장치(60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400)에 전달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곤충 포집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포집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유인부가 포집통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포집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연결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원추형 펀넬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유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곤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나무 또는 기구에 매달리는 방법으로 고정되어 주변의 곤충을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포집통(1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되도록 복수개의 연결봉(12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통(110)의 타단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공형 원추형 펀넬(130)과 상기 중공형 원추형 펀넬(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포집상부판(14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중공형 원추형 펀넬(130)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상기 포집통(110)에 포집되는 포집부(100) 및,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상기 포집통(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인몸체(210)와 일단이 상기 유인몸체(21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공형 유인보조몸체(220)와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유인상부판(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유인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페르몬의 향기가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관통공을 통해 퍼져 나가 주위의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유인부(200)가 상기 포집통(11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포집통(110)의 내부에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변경을 제한시켜 곤충이 포집부(100)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포집부(100) 및 유인부(2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주변환경에 영향없이 주변의 곤충을 손쉽게 포집하여 포집장치(10)가 설치된 주변의 곤충을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곤충이 손쉽게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포집된 곤충을 박멸할 수 있는 곤충 포집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에는 수많은 종류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 곤충 중에서 인간이 산림에서 기대하는 혜택을 직, 간접으로 방해하는 곤충을 산림해충이라 한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산림해충은 2,500 여 종이며 이중 치명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은 100종 미만이다.
현재 이러한 산림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곤충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곤충트랩(insect trap)은 곤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기구를 가리킨다. 보통 곤충을 유인하는 방식에 따라 유인등이나 페로몬 등 화학물질이 사용되며, 곤충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방식에 따라 곤충이 달라붙는 끈끈이를 사용하거나 전격(電擊)으로 감전시켜서 살상하기도 한다. 곤충출몰장소에 설치한 후 팬을 통해 날아다니는 곤충을 강제로 흡입하여 포집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포집장치는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비치되어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해서 손상되어 재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즉,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비가 오는 등 주변 환경이 나쁜 경우 그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페로몬 등으로 인해 포집된 곤충이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내부에서 곤충들의 활동 반경을 줄여야 하는데 기존 포집장치는 곤충들이 날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곤충들을 효과적으로 가둘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이 든 유인부를 포집부 내부에 두어 외부 환경의 영향 없이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고, 유인부가 포집부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줄여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곤충 포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곤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이 든 유인부를 포집부 내부에 두어 외부 환경의 영향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하게 포집된 곤충을 이용하여 산림에 해를 끼치는 해충의 발생시기 및 발생량을 조사하여 방제작업의 실시 및 적기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인부가 포집부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줄여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주변의 곤충을 모두 포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곤충을 빠짐없이 조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포집부(100)는 포집장치(10)의 외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주변의 곤충이 유인되어 들어오는 구성으로 포집통(110), 연결봉(120), 원추형 펀넬(130) 및 포집상부판(140)으로 구성된다. 때에 따라서 포집부는 고정을 위하여 포집통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포집부(100)는 상기 중공형 원추형 펀넬(130)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상기 포집통(110)에 포집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포집통(110)은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원형의 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포집통(110)은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돌기(112)는 유인몸체(210)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포집통(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결합돌기(112)는 유인몸체(2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일례로 2개의 판 형상이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다수개가 돌출되어 내부에 원형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112)는 뒤에서 설명하는 유인부 (200)가 꽉 물리도록 되어 있어 포집장치(10)가 공중에 매달려 흔들려도 유인부(200)가 포집통(11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구성이다. 또한, 포집통(110)은 일단의 결합고리(150)가 결합된 곳에 몸체홈(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몸체홈(111)은 상기 결합고리(150)가 상기 포집통(110)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원추형 펀넬(130)은 중공형 형상으로 다수개가 포집통(110)의 타단에 설치되는데 유인된 곤충이 포집부(100) 내부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원추형 펀넬(1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유인된 곤충이 손쉽게 들어가되 반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은 깔때기 형상인 원추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원추형 펀넬(130)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데 원추형으로 제작되어 일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원추형 펀넬(130) 중 어느 하나로 들어 온 곤충이 원추형 펀넬(130)을 따라 포집통(110)에 포집될 수 있다. 원추형 펀넬(130) 외주면 일측에 끼움핀(132)이 결합되어 있어 다수개의 원추형 펀넬(130) 중 하부의 원추형 펀넬(130)의 끼움핀(132)에 포집통(110)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원추형 펀넬(130)과 포집통(11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연결봉(120)은 원추형 펀넬(1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되어 설치되도록 원추형 펀넬(130) 끼리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봉(120)은 2개의 원추형 펀넬(130)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사용되는데 일례로 3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봉(120)은 타단에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추형 펀넬(130)은 일측에 지름이 다르게 형성된 결합장공(131a)과 타측에 하나의 지름으로 된 결합공(131b)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결합판(131)이 상부 일측에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120)은 일단이 상기 원추형 펀넬(130)의 상기 결합판(131) 타측에 형성된 결합공(131b)에 결합되고, 타단의 결합홈(121)이 상기 원추형 펀넬(130)에 결합되는 또 다른 상기 원추형 펀넬(130)의 상기 결합판(131) 일측에 있는 결합장공(131a)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포집상부판(140)은 중공형 원추형 펀넬(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포집상부판(140)은 다수개로 설치된 원추형 펀넬(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나뭇잎 등 곤충 외의 물질이 원추형 펀넬 내부로 들어 오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포집상부판(140)에는 포집장치(10)에 필요한 에너지 (전기 등)를 공급하기 위한 집광용 태양광 전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포집상부판(140)은 원추형 펀넬(130)의 상부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용접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포집상부판(140)과 원추형 펀넬(130)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집상부판(140)은 포집장치(10)를 공중에 매달기 편리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와이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통(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결합고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고리(150)는 바닥 또는 일정한 고정부에 고정된 와이어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공중에 설치된 포집장치(10)가 흔들리지 않도록 도와주는 구성이다.
포집부(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유인부(200)는 내부에 설치된 페르몬의 향기가 주변으로 퍼져 나가 주위의 곤충을 유인하도록 하는 것으로 유인몸체(210), 유인보조몸체(220) 및 유인상부판(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인몸체(210)는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상기 포집통(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유인몸체(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원형의 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유인몸체(210)는 내부에 페르몬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유인보조몸체(220)는 일단이 상기 유인몸체(21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공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유인보조몸체(220)의 관통공을 통해 유인몸체(210)의 내부에 있는 페르몬의 향기가 주변으로 퍼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유인보조몸체(220)와 유인몸체(210)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유인상부판(230)은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유인상부판(230)은 포집상부판(140)으로도 막지 못한 외부에서 들어오는 빗물이나 나뭇잎 등의 물질이 유인몸체(210)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유인상부판(230)은 다양한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삼각원뿔 형상으로 제작되어 미적으로 유려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빗물 등을 효과적으로 막고 원추형 펀넬(130)에 부딪쳐 아래로 떨어지는 곤충이 잘 미끌어져 포집통(110)으로 포집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삼각원뿔 형상의 유인상부판(230)은 포집통(110) 내부에 포집된 곤충이 유인몸체를 타고 위로 올라가거나 수직으로 비행하여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유인상부판(230)은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용접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유인상부판(230)과 유인보조몸체(220)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유인상부판(230)과 유인보조몸체(220)가 나사 결합하는 경우 유인상부판(230)의 하면에 나사선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선에 맞물리도록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인부(200)는 상기 포집통(11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포집통(110)의 내부에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변경을 제한시켜 곤충이 포집부(100)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곤충을 포집할 수 있다. 즉, 유인부(200)는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도 하지만 곤충이 날아서 포집부 밖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공간을 없애 곤충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유인부(2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곤충 포집장치(10)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10)의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300), 적어도 하나의 곤충 포집장치(1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곤충 포집장치(1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어 관리 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300)와 곤충 포집장치(10)와 직접 유무선 통신 세션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10)는, 설치된 위치에서의 다양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거나, 카메라를 통하여 내부 포집통(110)에 포집되어 있는 곤충들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을 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들을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곤충 포집장치(10) 및 이동 단말기(3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곤충 포집장치(10) 또는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입력부(320), 센싱부(340), 출력부(350), 인터페이스부(360), 메모리(370), 제어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곤충 포집장치(10) 또는 이동 단말기(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곤충 포집장치(10)나 이동 단말기(3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300)에 포함되는 구성들 위주로 설명되지만, 상기 구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곤충 포집장치(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300)와 관리 서버(400) 사이, 이동 단말기(300)와 곤충 포집장치(10) 사이,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300) 간에 또는 이동 단말기(3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곤충 포집장치(10) 또는 이동 단말기(3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위치정보 모듈(3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3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3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3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340)는 근접센서(3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3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3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예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10)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페로몬의 잔량을 체크하기 위한 센서(페로몬 게이지), 포집통(110)에 잡힌 곤충 수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51), 음향 출력부(352), 햅팁 모듈(353), 광 출력부(3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3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3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3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이동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3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70)는 이동 단말기(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370)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3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3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3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3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3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3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메모리(3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8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3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3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3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3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3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310)의 방송 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3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3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300)와 다른 이동 단말기(3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300)와 다른 이동 단말기(3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이동 단말기(3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3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3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3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3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3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3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3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3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3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3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3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3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3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3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3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3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3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3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3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3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3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3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3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3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3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3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3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3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3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를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3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3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3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3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3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51)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52)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3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3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3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3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3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햅틱 모듈(353)은 이동 단말기(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354)는 이동 단말기(3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3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3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이동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3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3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하여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360)는 이동 단말기(3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3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3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3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370)는 제어부(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3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3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3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3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3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3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성은 곤충 포집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곤충 포집장치(10)는 산림 곳곳에 설치된 후,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곤충 포집장치(10)의 구동을 위해서는 배터리와 페로몬의 교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포집통(110)에 포집된 곤충을 제거해야 계속적으로 포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림 곳곳의 설치된 위치에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방문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포집장치(10)들은 일반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위치에 설치되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산길에 밝은 관리자라고 하더라도 설치 위치를 손쉽게 찾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입장에서 설치된 위치를 보다 쉽게 찾아내고,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빠르게 수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곤충 포집장치(10)를 설치할 때, 자동으로 해당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송신하도록 제안한다. 또한, 각각의 곤충 포집장치(10)에개별적인 식별 코드를 부여하고, 부여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개별 포집장치(10)의 등록 과정에서 손쉽게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제어 순서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901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카메라를 통하여 식별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본인 소유의 이동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 설치하는 곤충 포집장치(10)의 식별 코드를 촬영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10)에 구비되는 식별 코드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곤충 포집장치(10)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인 식별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식별 코드는, 바코드나 QR코드(Quick response)가 이용될 수 있다.
독립적인 식별 코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관리자가 해당 곤충 포집장치(10)를 설치한 후, 해당 식별 코드를 카메라로 촬영하면 바로 해당 곤충 포집장치(10)를 식별하고, 해당 포집장치(10)의 위치 정보를 현장에서 즉시 등록하기 위함이다.
즉, S901 단계에서 획득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 또는 관리 서버(400)는 해당 곤충 포집장치(10)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 코드가 촬영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S902 단계에서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위치 정보모듈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획득한 위치 정보와 촬영한 식별 코드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903 단계). 이때, 식별 코드를 촬영한 이미지 파일로 전송할 수도 있겠지만, 용량을 줄이고자 식별 코드를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를 코드로 변환하여 변환된 코드만을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혹은, 해당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곤충 포집장치(10)를 식별하고, 해당 곤충 포집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정에 따르면, 곤충 포집장치(10)를 설치한 관리자는 단 한번의 식별 코드 촬영으로, 해당 곤충 포집장치(10)의 설치 위치, 설치 시간을 관리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회의 등록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관리 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관리 정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포집장치 번호는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식별된 해당 곤충 포집장치(10)의 관리번호를 의미한다. 즉, 설치 관리자는 곤충 포집장치(10)를 설치하고 식별 코드를 촬영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관리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1에서 저장된 관리 정보는, 관리 단말기 등을 통하여 손쉽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관리 정보에 기초한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곤충 포집장치(10)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300)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데스크탑 등의 고정 단말기를 통하여 동일하게 열람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300)는, 지도(1201)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지도(1201) 상에서 설치된 곤충 포집장치(10)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위치의 출력은,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도(1201) 상에서 설치된 곤충 포집장치(10)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설치 인디케이터(1202-1 내지 1202-3)가 각 설치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설치 인디케이터(1202-1 내지 1202-3)는, 해당 위치에 설치된 곤충 포집장치(10)의 상태에 따라서 식별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 1 포집장치(10)와 관리 서버(400)와의 통신이 불량한 경우, 제 1 포집장치(10)에 해당하는 제 1 설치 인디케이터(1202-1)를 다른 색으로 표시(예를 들면 빨간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곤충 포집장치(10)는 페로몬 잔량이 부족하다던지,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나 곤충 포집통(110)에 곤충이 꽉 차있는 경우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를 감지하고, 감지된 경우 이를 관리 서버(400)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를 다르게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하, 곤충 포집장치(10)의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곤충 포집장치(10)를 관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도(1201)와 함께 설치 인디케이터(1202-1 내지 1202-3)가 출력된다. 제 1 설치 인디케이터(1202-1)가 선택(10a)되면, 이동 단말기(300)는 대응하는 곤충 포집장치(10)의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상태팝업창(1301)을 출력할 수 있다.
상태팝업창(1301)은 도시된 바에서와 같이, 일련번호(포집장치 식별 정보), 온습도 정보, 포집된 곤충 수, 페로몬 잔량, 배터리 잔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자가 유지보수를 보다 쉽게 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가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기(300)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지도(1201) 및 설치 인디케이터(1202-1 내지 1202-3)를 출력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곤충 포집장치(10)를 설치할 때 각 곤충 포집장치(10)의 위치 뿐만 아니라 설치 경로에 대한 경로정보를 더 저장하고, 지도(1201) 상에서 상기 경로정보에 대한 경로 인디케이터(1401)를 출력해 준다.
즉, 유지시 관리자가 설치시 관리자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설치 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유지하는데 있어서 비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각 곤충 포집장치(10)를 관리 서버(400)에 등록 시, 설치 경로에 대한 경로정보를 더 저장하고, 지도(1201) 상에서 이를 표시해준다.
또한, 관리자가 유지를 위하여 해당 설치 장소에 방문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관리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1201) 상에서 표시하여 설치된 곤충 포집장치(10)와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치된 곤충 포집장치(10)에 근접하는 경우, 해당 곤충 포집장치(10)에 대한 상태팝업창(1301)을 자동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300)가 설치된 곤충 포집장지(10)에 근접하는 경우(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음), 해당 이동 단말기(300)와 곤충 포집장치(10)와 근거리 통신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수립된 세션을 통하여, 곤충 포집장치(10)가 수집한 데이터 및/또는 현재 곤충 포집장치(10)의 상태정보(온습도, 배터리 게이지, 페로몬 게이지나 포집된 곤충 수 등)를 곤충 포집장치(10)에서 이동 단말기(300)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집 데이터나 상태정보를 곤충 포집장치(10)에서 관리 서버(400)를 거쳐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 세션을 통하여 바로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집 데이터 중에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정보들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바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곤충 포집장치(10)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포집통(110)을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촬영하며,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300)가 근처에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면, 해당 이동 단말기(300)와 근거리 통신 세션을 수립한 후, 저장해 놓은 이미지 데이터를 일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근처에 접근하는 것 만으로 근거리 통신 세션을 수립하는 것은 기술적인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각 설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근거리에 위치하였을 때 자동으로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300)가 설치 위치에 근접하는 것이 인식되면, 관리 서버(400)에게 자신의 물리주소(예를 들면 MAC 주소 등)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수신 받은 물리주소를 해당 위치에 설치된 곤충 포집장치(10)에 전달하고, 곤충 포집장치(10)는 주변으로 근거리 통신을 위한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비콘 신호에 응답한 이동 단말기(300) 중에서 대응하는 물리주소를 갖는 이동 단말기(300)가 있는 경우, 해당 이동 단말기(300)와 세션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더 나아가, 일반적인 관리 외에 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관리를 위해 무인 비행 장치(600, 일명, 드론)를 이용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 장치(60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400)에 전달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곤충 포집장치(10)는 약 50m에서 100m 간격으로 산림 곳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곤충 포집장치(10)들의 관리를 사람이 직접 수행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람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하는 관리 외에, 일 예로 포집장치(10)의 각 종 정보 수집 등 다른 관리는 무인 비행 장치(600)에 의해 수행하도록 제안한다.
배터리나 페로몬의 교체 또는 곤충통을 비우는 관리 등은, 약 3개월에 한 번정도 수행하면 되며, 이러한 관리는 사람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데이터의 수집은 무인 비행 장치(600)를 활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무인 비행 장치(600)는 관리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곤충 포집장치(10)의 설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무인 비행 장치(600)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설치 위지 정보를 제공 받아 자체 구비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곤충 포집장치(10)의 설치 위치에 이동하고, 곤충 포집장치(10)와 데이터 세션을 수립(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수립)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상술한 카메라를 통하여 포집통(110)을 촬영한 이미지나, 각종 센서들을 통하여 감지한 데이터 등을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즈(용량)가 큰 데이터들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기 다소 어려운 면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의 수집을 무선 비행 장치(600)에 의해서 수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러한 데이터들의 수집을 무선 비행 장치(600)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비행 장치(600)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받을 수 있으며, 이렇게 업데이트된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필요한 위치에 이동하여 효과적으로 데이터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8)

  1. 곤충 포집장치의 설치 및 관리를 제어하기 위한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곤충 포집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곤충 포집장치 각각에 식별 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식별 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촬영된 식별 코드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중 하나인,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촬영 당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코드와 함께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식별 코드 및 위치 정보를 함께 대응시켜 저장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지도 상에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각각에 설치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출력되는 설치 인디케이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대응되는 곤충 포집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를 더 출력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 정보는, 배터리 잔량 정보, 온습도 정보, 풍향/풍속 정보, 곤충 포집통 잔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무인 비행 장치(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 비행 장치(600)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곤충 포집장치로 이동하여 상기 곤충 포집장치와 데이터 세션을 수립하고, 상기 수립된 세션을 통하여 상기 곤충 포집장치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수신 받는,
    곤충 포집장치 관리 시스템.
KR1020160068865A 2016-06-02 2016-06-02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820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65A KR101820707B1 (ko) 2016-06-02 2016-06-02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65A KR101820707B1 (ko) 2016-06-02 2016-06-02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34A true KR20170136834A (ko) 2017-12-12
KR101820707B1 KR101820707B1 (ko) 2018-01-23

Family

ID=6094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865A KR101820707B1 (ko) 2016-06-02 2016-06-02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7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22A1 (ko) 2017-06-27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1946A1 (en) * 2018-02-01 2019-08-08 Timothy Amyas Hartnoll Autonomous mosquito control
CN111954466A (zh) * 2018-03-23 2020-11-17 蒂莫西·埃米亚斯·哈特诺 诱卵器安装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498B1 (ko) * 2018-04-11 2019-08-29 대한민국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54B1 (ko) * 2014-12-12 2015-04-01 주식회사 이티엔디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22A1 (ko) 2017-06-27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1946A1 (en) * 2018-02-01 2019-08-08 Timothy Amyas Hartnoll Autonomous mosquito control
CN112074186A (zh) * 2018-02-01 2020-12-11 蒂莫西·埃米亚斯·哈特诺 自主控蚊
CN111954466A (zh) * 2018-03-23 2020-11-17 蒂莫西·埃米亚斯·哈特诺 诱卵器安装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707B1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743B1 (ko)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KR101820707B1 (ko)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AU20222011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roperty using drone beacons
KR102613624B1 (ko) 공항용 청소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30503B1 (ko) 이동 단말기
WO2017201916A1 (zh) 无人机的控制方法及装置
JP6294487B2 (ja) 飛行ミッション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09195752A (zh) 模块型家庭机器人
CN106406343B (zh) 无人飞行器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20170094018A1 (en) Facilitating dynamic filtering and local and/or remote processing of data based on privacy policies and/or user preferences
KR102289430B1 (ko) 자율주행 기반의 양식장 관리 로봇 및 그 운영 시스템
CN106231259A (zh) 监控画面的显示方法、视频播放器及服务器
KR20220073843A (ko) 객체 추적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00269B1 (ko) 공항용 청소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762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2468655A (zh) 智能电子装置
CN107071052A (zh) 一种给物联网设备提供云后端服务的装置、系统和方法
KR20170066054A (ko) 오디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0049185A (zh) 图像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202003881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se alarms due to display images
US2021034316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flight route, flight methods and apparatuses, and base stations
KR20170025095A (ko)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74064B1 (ko) 스마트양식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02396B1 (ko) 이동 단말기
CN110086705A (zh) 一种发送图像的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