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98B1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98B1
KR102014498B1 KR1020180042122A KR20180042122A KR102014498B1 KR 102014498 B1 KR102014498 B1 KR 102014498B1 KR 1020180042122 A KR1020180042122 A KR 1020180042122A KR 20180042122 A KR20180042122 A KR 20180042122A KR 102014498 B1 KR102014498 B1 KR 10201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induction
mobile
body housing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식
조신형
이욱교
노종열
박원일
장창원
백호종
박대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4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지역의 모기현황을 실시간 수집하고 판독하여 지역별, 모기종류별, 시간별 통계정보를 실시간 서비스함으로써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 건강증진에기여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통신과 위치 추적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며 모기를 유도 포집하는 유문등(4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상기 유문등(400)에 포집된 모기 영상자료를 수집ㆍ저장하는 중계서버(200) 및 상기 중계서버(200)와 통신하여 수집된 모기 영상자료로부터 통계자료를 도출하고 상기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 모기종류별 습성 및 전염병 정보를 상기 중계서버(200)를 통해 상기 모바일(100)에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MOSQUITO DISTRIBUTION COLLEC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지역의 모기현황을 실시간 수집하고 판독하여 지역별, 모기종류별, 시간별 통계정보를 실시간 서비스함으로써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염병을 옮기거나 사람과 가축에게 그 밖의 피해를 주는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의 발생밀도 확인 및 해충의 병원균 감염 여부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포충장치를 이용하여 해충을 수집하고 있다.
이러한 포충장치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003178호(2010.12.15.)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충장치로는 조사 요원이 직접 장치의 설치 현장을 방문하여 장치에 포집된 해충에 대한 계수정보, 영상 정보 및 기타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장치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장치를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장치를 직접 조사한다고 하더라도 포집된 해충의 개체수나 분포 형태 등을 육안으로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해충의 발생밀도 분석과 사람과 가축에게 피해 또는 감염병의 발생 예측 등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42711호(2016.07.20.)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GPS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지역의 모기현황을 실시간 수집하고 판독하여 지역별, 모기종류별, 시간별 통계정보를 실시간 서비스함으로써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WiFi 무선통신과 GPS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유문등(400)에 포집된 모기 영상자료를 수집ㆍ저장하는 중계서버(200), 상기 중계서버(200)와 통신하여 수집된 모기 영상자료로부터 지역별ㆍ시간별ㆍ모기종류별 현황을 수집 저장하고 통계처리하여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 모기종류별 습성 및 전염병 정보를 중계서버(200)를 통해 모바일(100)로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 및 상기 모바일(100)과 WiFi 통신하며 모기를 유도 포집하는 유문등(40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외부면 일측에 안테나(ANT)가 고정되고; 상기 바디 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유도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 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이 내경 일측에는 걸림부(43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32)에는 촬상컵(470)이 걸려 고정되며; 상기 촬상컵(470)의 바닥면은 원판 형상의 바닥판(474)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474)의 직경방향으로 판축(476)이 관통되어 촬상컵(470)의 내경에 축고정되며; 상기 판축(476)의 일단에는 종동기어(G1)가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G1)에는 구동기어(G2)가 평기어 형태로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G2)는 상기 촬상컵(470)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동모터(478)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촬상컵(470)의 상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에는 촬상카메라(416)가 설치되어 상기 촬상컵(470)에 낙하된 모기 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촬상카메라(416)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 상에는 컨트롤러(410)가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410)는 메인제어기인 MCU(Main Control Unit)(412)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모바일(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WiFi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모듈(414)이 연결되고, 상기 촬상카메라(416)가 MCU(412)에 연결제어되며, 상기 개폐모터(M)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418)를 포함하고,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를 저장, 갱신하는 메모리부(420)를 포함하며, 모기가 유문등(400) 내부로 유인되었을 때 유인된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유인된 모기가 검출되었을 때 살충제분사기(424)의 분사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GPS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지역의 모기현황을 실시간 수집하고 판독하여 지역별, 모기종류별, 시간별 통계정보를 실시간 서비스함으로써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문등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문등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문등의 촬상컵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은 무선통신과 GPS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모기 관련 자료를 수집, 저장, 가공하는 중계서버(200), 상기 중계서버(200)와 통신하여 모기 분포 현황을 수집 저장하고 통계처리하여 통계자료를 제공하며 모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 및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며 모기를 포집하는 유문등(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1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은 물론 기지국을 통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형태로서, GPS 수신모듈을 탑재하여 GPS 통신을 통해 모바일(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한 무선통신 및 GPS 통신은 전용앱이 구동된 상태에서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용앱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모바일(100)의 무선통신 방식 중 근거리 무선통신은 WiFi 방식이 바람직하며, 인터넷 접속은 LTE 방식으로 기지국을 통해 접속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바일(100)은 GPS 통신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지역별, 모기종류별, 시간별 통계정보를 구축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모바일(100)은 관리자 모바일이어도 되고, 모기포집기인 유문등(400)과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는 모든 모바일 중에서 전용앱이 깔려 있는 경우라면 어느 모바일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중계서버(200)와 서비스서버(300)에서 수신하는 정보가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일 수 있기 때문에 중복 가능성이 높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정보를 취득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정보의 중복을 막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100)은 중계서버(200)를 통해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통계정보는 물론 모기의 종류, 습성 등에 대한 도움말 정보도 받을 수 있어 이 모바일(100)을 소지한 사람은 모기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계서버(200)는 지역별로 분포되게 설치되어 해당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모기포집기인 유문등(400)을 통해 취득한 모기 분포 및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100)을 통해 전송받고, 이 정보를 수집 저장하며, 서비스서버(300)로 전송할 때 모바일(100)로부터 함께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위치별, 모기포집 정보를 분류, 정리하여 서비스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서버(300)는 전국에 분포된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자료를 취합하여 통계화하고, 통계정보를 중계서버(200)로 전송하여 중계서버(200)와 통신하는 모바일(100)을 통해 모바일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계정보는 실시간 갱신되고, 관리 저장되는데, 이러한 서비스서버(300)는 질병관리본부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모기포집기인 상기 유문등(400)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컨트롤러(41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410)에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메인제어기인 MCU(Main Control Unit)(412)와,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테나(ANT)를 통해 모바일(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WiFi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414)과,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진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카메라(416)와,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제어부(418)와,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를 저장, 갱신, 출력할 수 있는 메모리부(420)와, 모기가 유문등(400) 내부로 유인되었을 때 유인된 모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MCU(412)에 연결 제어되는 센서(422)와, 상기 유인된 모기가 검출되었을 때 살충제를 스프레이하도록 MCU(412)에 연결제어되는 살충제분사기(424)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문등(400)은 도 2 내지 도 4의 예시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역별로 모기 발생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지정된 장소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통은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외부면 일측에는 안테나(ANT)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ANT)는 무선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도망체(442)는 망공이 커 모기 등 벌레들이 출입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망체(442)는 망공이 외부에서 내부로 향할수록 작아지는 통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유도등(444)이 설치되어 특히, 모기가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도등(444)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유도망체(442)의 바닥면 중앙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리드선의 배선 등은 도시상 생략하였으며, MCU(410)에 점등제어기(미도시)를 더 탑재하여 유도등(444)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센서(4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422)는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물체의 이동을 검출하기 쉬운 적외선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450)의 상면 중앙에는 고리(452)가 일체로 더 포함되어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가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이 포함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충제분사기(424)는 시중에 시판중인 자동방향제분사기를 응용하여 회로 구성에서 분사시점을 MCU(412)가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설계만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로 야간에 유도등(444)이 점등되면 모기가 유도등(444) 쪽으로 유인되어 들어 오게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기는 자신이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의 향 때문에 모기통과 공(446)을 거쳐 유도케이스(460)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모기통과공(446)을 통과하는 모기를 센서(424)가 인식하여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러(410)의 상기 MCU(412)는 상기 살충제분사기(424)를 제어하여 살충제를 분사시킬 수 있다. 결국, 모기는 살충제를 맞고 차단판(462) 위로 낙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을 수 있고,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개폐모터(M)가 구동되어 상기 드럼(D)이 상기 와이어(W)를 감게 되면 상기 차단판(462)이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열리게 된다. 이렇게 차단판(462)이 개방되면 그 위에 있던 모기 사체는 하방향으로 낙하되며, 촬상컵(470) 내부로 포집된다. 이때, 상기 촬상컵(470)은 원통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상단 일부에서 연장된 걸이구(472)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하우징(430)이 내경에 형성된 걸림부(432)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촬상컵(470)의 바닥면은 원판 형상의 바닥판(474)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474)의 직경방향으로 판축(476)이 관통되어 촬상컵(470)의 내경에 축고정되며, 상기 판축(476)의 일단에는 종동기어(G1)가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G1)에는 구동기어(G2)가 평기어 형태로 치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G2)는 상기 촬상컵(470)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동모터(478)의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모터(478)는 상기 MCU(412)에 연결된 판제어기(426)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컵(470)의 상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에는 촬상카메라(416)가 설치되어 상기 촬상컵(470)에 낙하된 모기 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촬상카메라(416)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 상에는 컨트롤러(41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하단면에는 마개(480)가 조립되어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카메라(416)는 촬영된 정보를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부(420)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정보는 모바일(100)을 통해 중계서버(200)를 거쳐 서비스서버(300)로 전송됨으로써 해당 지역의 모기종류, 그 모기에 의해 발병될 수 있는 전염병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게시할 수 있으며, 지역주민들에게 주의 사항을 문자 서비스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판(474)은 촬영이 완료되면 곧바로 개방하여 모기 사체를 배출시킴으로써 후속 모기 사체의 촬영을 통한 포집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약품성과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갖추도록 그 내면과 외면에 팽창흑연 8중량%, 뮬라이트 6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규산소다 2중량%, 테르븀 2중량%, 티오시안 구리 2중량%,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액을 스프레이 코팅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은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 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가 되면서 입자가 수 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난연성, 방염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뮬라이트는 1500℃ 부근까지 고융점화시켜 방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켜 부착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 있고,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리시놀레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제로서 특히 외면과 내면 각각의 표면 평활도를 높여 방오성을 높이고 내침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고, 그리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내마모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티오시안구리는 구리계 방오제이고, 상기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는 무수 글루코오즈 단량체 사슬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즈 유도체로서 보수기능 강화, 표면활성, 화학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폭시수지는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200: 중계서버
300: 서비스서버 400: 유문등

Claims (11)

  1. 무선통신과 위치 추적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며 모기를 유도 포집하는 유문등(4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상기 유문등(400)에 포집된 모기 영상자료를 수집ㆍ저장하는 중계서버(200); 및
    상기 중계서버(200)와 통신하여 수집된 모기 영상자료로부터 통계자료를 도출하고 상기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 모기종류별 습성 및 전염병 정보를 상기 중계서버(200)를 통해 상기 모바일(100)에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시스템으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외부면 일측에 안테나(ANT)가 고정되고; 상기 바디 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유도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이 내경 일측에는 걸림부(43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32)에는 촬상컵(470)이 걸려 고정되며; 상기 촬상컵(470)의 바닥면은 원판 형상의 바닥판(474)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474)의 직경방향으로 판축(476)이 관통되어 촬상컵(470)의 내경에 축고정되며; 상기 판축(476)의 일단에는 종동기어(G1)가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G1)에는 구동기어(G2)가 평기어 형태로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G2)는 상기 촬상컵(470)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동모터(478)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촬상컵(470)의 상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에는 촬상카메라(416)가 설치되어 상기 촬상컵(470)에 낙하된 모기 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촬상카메라(416)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 상에는 컨트롤러(410)가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410)는 메인제어기인 MCU(Main Control Unit)(412)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모바일(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WiFi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모듈(414)이 연결되고, 상기 촬상카메라(416)가 MCU(412)에 연결제어되며, 상기 개폐모터(M)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418)를 포함하고,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를 저장, 갱신하는 메모리부(420)를 포함하며, 모기가 유문등(400) 내부로 유인되었을 때 유인된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유인된 모기가 검출되었을 때 살충제분사기(424)의 분사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42122A 2018-04-11 2018-04-1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KR10201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22A KR102014498B1 (ko) 2018-04-11 2018-04-1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22A KR102014498B1 (ko) 2018-04-11 2018-04-1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98B1 true KR102014498B1 (ko) 2019-08-29

Family

ID=6777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122A KR102014498B1 (ko) 2018-04-11 2018-04-1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276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세스코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642711B1 (ko) 2015-07-22 2016-07-28 대한민국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KR101820707B1 (ko) * 2016-06-02 2018-01-23 (주)향토유전자원연구소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276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세스코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642711B1 (ko) 2015-07-22 2016-07-28 대한민국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KR101820707B1 (ko) * 2016-06-02 2018-01-23 (주)향토유전자원연구소 곤충 포집장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시스템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320B2 (en) Pest trap with disposal container and wireless monitoring
US12112612B2 (en) Pest control system having event monitoring
JP7053629B2 (ja) 無線式動物捕獲器検出システム用センサ
KR100863112B1 (ko) 쥐 포획 상자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4862117B2 (ja) フィールドサーバを利用した電撃パルス計測システム
US20050097808A1 (en) Humane tubular trap, remote trap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s for monitoring multiple traps
BR112020014142A2 (pt) Sistema e métodos
US20230042831A1 (en) Intelligent rodent management system
US20050151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imal incidence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WO2017188828A1 (en) Improvements to traps and / or bait dispensing apparatus
KR102014498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JP2001045945A (ja) 害虫発生調査装置
KR100877552B1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90118986A (ko)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US20240251774A1 (en)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or insects
KR100863107B1 (ko) 자동 분사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190059355A1 (en) Digital rodent collection trap
JP2000135043A (ja) 飛翔性害虫の発生状況監視装置
KR20230019336A (ko) 모션 감지 기반의 야생동물 포획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스마트 포획장치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CN211020650U (zh) 一种环境虫情测报灯
CN209436075U (zh) 一种智能伊蚊监测器
US1143698A (en) Animal-trap.
CN205624047U (zh) 一种绿色集成杀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