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986A -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986A
KR20190118986A KR1020190091275A KR20190091275A KR20190118986A KR 20190118986 A KR20190118986 A KR 20190118986A KR 1020190091275 A KR1020190091275 A KR 1020190091275A KR 20190091275 A KR20190091275 A KR 20190091275A KR 20190118986 A KR20190118986 A KR 20190118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mosquito
beacon
body housing
mosqui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식
조신형
이욱교
노종열
박원일
장창원
백호종
박대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Priority to KR102019009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986A/ko
Publication of KR2019011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비콘을 이용하여 모기포집기인 유문등 주변으로부터 50-70m 반경내에서 모바일을 소지한 사용자에게 전염병 발생 매개체인 모기의 현황을 실시간 제공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콘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유문등(400), 상기 유문등(400)은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수집된 모기 관련 정보 및 그 모기를 매개로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 정보를 모바일(100)로 제공하는 컨트롤러(41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410)와 통신하여 유문등(400)에 수집된 정보를 수집하고 통계자료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방역지리정보서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AN ANTIMICROBIAL MANAGEMENT DEVICE USING BEACON IN THE OUR NEIGHBORHOOD}
본 발명은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비콘을 이용하여 모기포집기인 유문등 주변으로부터 50-70m 반경내에서 모바일을 소지한 사용자에게 전염병 발생 매개체인 모기의 현황을 실시간 제공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을 옮기거나 사람과 가축에게 그 밖의 피해를 주는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의 발생밀도 확인 및 해충의 병원균 감염 여부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포충장치를 이용하여 해충을 수집하고 있다.
이러한 포충장치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003178호(2010.12.15.)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충장치로는 조사 요원이 직접 장치의 설치 현장을 방문하여 장치에 포집된 해충에 대한 계수정보, 영상 정보 및 기타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장치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장치를 관리하는데 많은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장치를 직접 조사한다고 하더라도 포집된 해충의 개체수나 분포 형태 등을 육안으로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해충의 발생밀도 분석과 사람과 가축에게 피해 또는 감염병의 발생 예측 등도 어렵다는 문제점이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42711호(2016.07.20.)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비콘을 이용하여 모기포집기인 유문등 주변으로부터 50-70m 반경내에서 모바일을 소지한 사용자에게 전염병 발생 매개체인 모기의 현황을 실시간 제공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콘을 이용하여 50-70m 이내에서 비접촉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수집된 모기 관련 정보 및 그 모기를 매개로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 정보를 모바일(100)로 제공하는 컨트롤러(410)를 갖춘 유문등(400) 및 상기 컨트롤러(410)와 통신하여 유문등(400)에 수집된 정보를 수집하고 통계처리하여 관련 전염병 정보, 모기 종류, 모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역지리정보서버(200)를 포함하는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외부면 일측에 안테나(ANT)가 고정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유도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 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이 내경 일측에는 걸림부(43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32)에는 촬상컵(470)이 걸려 고정되며; 상기 촬상컵(470)의 바닥면은 원판 형상의 바닥판(474)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474)의 직경방향으로 판축(476)이 관통되어 촬상컵(470)의 내경에 축고정되며; 상기 판축(476)의 일단에는 종동기어(G1)가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G1)에는 구동기어(G2)가 평기어 형태로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G2)는 상기 촬상컵(470)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동모터(478)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촬상컵(470)의 상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에는 촬상카메라(416)가 설치되어 상기 촬상컵(470)에 낙하된 모기 사체를 촬영할수 있도록 구성되며; 촬상카메라(416)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 상에는 컨트롤러(410)가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410)는 메인제어기인 MCU(Main Control Unit)(412)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모바일(100)과 비콘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음과 동시에 GPS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및 GPS 모듈(414)이 연결되고, 상기 촬상카메라(416)가 MCU(412)에 연결제어되며, 상기 개폐모터(M)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418)를 포함하고,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를 저장, 갱신하는 메모리부(420)를 포함하며, 모기가 유문등(400) 내부로 유인되었을 때 유인된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유인된 모기가 검출되었을 때 살충제분사기(424)의 분사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GPS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지역의 모기현황을 실시간 수집하고 판독하여 지역별, 모기종류별, 시간별 통계정보를 실시간 서비스함으로써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를 구성하는 유문등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의 촬상컵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는 비콘을 이용하여 50-70m 이내에서 비접촉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수집된 모기 관련 정보 및 그 모기를 매개로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 정보를 모바일(100)로 제공하는 컨트롤러(410)를 갖춘 유문등(400) 및 상기 컨트롤러(410)와 통신하여 유문등(400)에 수집된 정보를 수집하고 통계처리하여 관련 전염병 정보, 모기 종류, 모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역지리정보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100)은 비콘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휴대단말기이다. 여기에서, 비콘은 근래들어 블루투스 비콘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일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이다. 특히, 블루투스 4.0 버전인 BLE(Bluetooth Low Energy)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전력 소모가 적어 소형 배터리 하나로도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동시 연결 수에도 제한이 없어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 기기와 동시 연결이 가능한 정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비콘은 가용거리가 긴 것도 특징인데, 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인 NFC가 10cm 이내에서 스마트폰을 직접 태그하는 방식이라면, 비콘은 약 50~70m(최대 100m) 범위에 사용자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감지해 교신하며, 5~10cm 단위로 기기별 구분도 가능해 한정된 공간에 여러 사용자가 있어도 개인별로 맞춤형 정보 송신을 할 수 있다. 때문에, 모든 물체에 인터넷을 적용하는 사물인터넷(IoT)이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서비스 등에 활용하기 적합하며, 무엇보다도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많이 소모하지 않으면서도, GPS 기술로 파악이 어려운 실내 위치 정보 파악시 유용하다.
또한, 모바일(100)은 유문등(400)의 컨트롤러(410)와 비콘 방식으로 통신하여 컨트롤러(410)가 방역지리정보서버(200)로부터 받은 모기발생과 관련된 전국적, 지역별 통계정보는 물론 모기의 종류, 습성 등에 대한 도움말 정보도 받을 수 있어 이 모바일(100)을 소지한 사람은 모기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고 대처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방역지리정보서버(200)는 지역별로 분포되게 설치되어 해당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모기포집기인 유문등(400)을 통해 취득한 모기 영상을 분석하고, 통계처리하여 이를 매개로 발생될 수 있는 전염병 정보도 컨트롤러(410)로 전송하며, 컨트롤러(410)와 통신하는 모바일(100)은 유문등(400) 근처로 접근만 해도 이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방역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모기포집기인 상기 유문등(400)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컨트롤러(41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410)에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메인제어기인 MCU(Main Control Unit)(412)와,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테나(ANT)를 통해 모바일(100)과 비콘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음은 물론 GPS 모듈을 함께 탑재하고 있어 방역지리정보서버(200)로 정보 전송시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 및 GPS 모듈(414)과,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상하는 촬상카메라(416)와,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성하는 모터제어부(418)와,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를 저장, 갱신, 출력하는 메모리부(420)와, 모기가 유문등(400) 내부로 유인되었을 때 유인된 모기를 검출하도록 MCU(412)에 연결제어되는 센서(422)와, 유인된 모기가 검출되었을 때 살충제를 스프레이하도록 MCU(412)에 연결제어되는 살충제분사기(4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문등(400)은 도 2 내지 도 4의 예시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며, 지역별로 모기 발생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지정된 장소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통은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외부면 일측에는 안테나(ANT)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ANT)는 무선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도망체(442)는 망공이 커 모기 등 벌레들이 출입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망체(442)는 망공이 외부에서 내부로 향할수록 작아지는 통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유도등(444)이 설치되어 특히, 모기가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도등(444)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유도망체(442)의 바닥면 중앙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리드선의 배선 등은 도시상 생략하였으며, MCU(410)에 점등제어기(미도시)를 더 탑재하여 유도등(444)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센서(4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422)는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물체의 이동을 검출하기 쉬운 적외선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450)의 상면 중앙에는 고리(452)가 일체로 더 포함되어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가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이 포함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충제분사기(424)는 시중에 시판중인 자동방향제분사기를 응용하여 회로 구성에서 분사시점을 MCU(412)가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설계만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로 야간에 유도등(444)이 점등되면 모기가 유도등(444) 쪽으로 유인되어 들어 오게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기는 자신이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의 향 때문에 모기통과 공(446)을 거쳐 유도케이스(460)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모기통과공(446)을 통과하는 모기를 센서(424)가 인식하여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러(410)의 상기 MCU(412)는 상기 살충제분사기(424)를 제어하여 살충제를 분사시킬 수 있다. 결국, 모기는 살충제를 맞고 차단판(462) 위로 낙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을 수 있고,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개폐모터(M)가 구동되어 상기 드럼(D)이 상기 와이어(W)를 감게 되면 상기 차단판(462)이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열리게 된다. 이렇게 차단판(462)이 개방되면 그 위에 있던 모기 사체는 하방향으로 낙하되며, 촬상컵(470) 내부로 포집된다. 이때, 상기 촬상컵(470)은 원통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상단 일부에서 연장된 걸이구(472)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하우징(430)이 내경에 형성된 걸림부(432)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촬상컵(470)의 바닥면은 원판 형상의 바닥판(474)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474)의 직경방향으로 판축(476)이 관통되어 촬상컵(470)의 내경에 축고정되며, 상기 판축(476)의 일단에는 종동기어(G1)가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G1)에는 구동기어(G2)가 평기어 형태로 치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G2)는 상기 촬상컵(470)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동모터(478)의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모터(478)는 상기 MCU(412)에 연결된 판제어기(426)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컵(470)의 상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에는 촬상카메라(416)가 설치되어 상기 촬상컵(470)에 낙하된 모기 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촬상카메라(416)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 상에는 컨트롤러(41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하단면에는 마개(480)가 조립되어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카메라(416)는 촬영된 정보를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부(420)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정보는 모바일(100)을 통해 중계서버(200)를 거쳐 서비스서버(300)로 전송됨으로써 해당 지역의 모기종류, 그 모기에 의해 발병될 수 있는 전염병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게시할 수 있으며, 지역주민들에게 주의 사항을 문자 서비스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판(474)은 촬영이 완료되면 곧바로 개방하여 모기 사체를 배출시킴으로써 후속 모기 사체의 촬영을 통한 포집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약품성과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갖추도록 그 내면과 외면에 팽창흑연 8중량%, 뮬라이트 6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규산소다 2중량%, 테르븀 2중량%, 티오시안 구리 2중량%,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액을 스프레이 코팅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은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 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가 되면서 입자가 수 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난연성, 방염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뮬라이트는 1500℃ 부근까지 고융점화시켜 방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켜 부착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 있고,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리시놀레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제로서 특히 외면과 내면 각각의 표면 평활도를 높여 방오성을 높이고 내침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고, 그리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내마모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티오시안구리는 구리계 방오제이고, 상기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는 무수 글루코오즈 단량체 사슬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즈 유도체로서 보수기능 강화, 표면활성, 화학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폭시수지는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200: 방역지리정보서버
400: 유문등

Claims (1)

  1. 비콘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100),
    유문등(400);
    상기 유문등(400)은,
    상기 모바일(100)과 통신하여 수집된 모기 관련 정보 및 그 모기를 매개로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 정보를 모바일(100)로 제공하는 컨트롤러(41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410)와 통신하여 유문등(400)에 수집된 정보를 수집하고 통계자료를 도출하여 컨트롤러(410)로 전송하는 방역지리정보서버(200);를 포함하는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서비스장치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외부면 일측에 안테나(ANT)가 고정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유도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 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이 내경 일측에는 걸림부(43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32)에는 촬상컵(470)이 걸려 고정되며; 상기 촬상컵(470)의 바닥면은 원판 형상의 바닥판(474)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474)의 직경방향으로 판축(476)이 관통되어 촬상컵(470)의 내경에 축고정되며; 상기 판축(476)의 일단에는 종동기어(G1)가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G1)에는 구동기어(G2)가 평기어 형태로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G2)는 상기 촬상컵(470)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동모터(478)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촬상컵(470)의 상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에는 촬상카메라(416)가 설치되어 상기 촬상컵(470)에 낙하된 모기 사체를 촬영할수 있도록 구성되며; 촬상카메라(416)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주면 상에는 컨트롤러(410)가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410)는 메인제어기인 MCU(Main Control Unit)(412)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모바일(100)과 비콘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음과 동시에 GPS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및 GPS 모듈(414)이 연결되고, 상기 촬상카메라(416)가 MCU(412)에 연결제어되며, 상기 개폐모터(M)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418)를 포함하고, 상기 MCU(4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를 저장, 갱신하는 메모리부(420)를 포함하며, 모기가 유문등(400) 내부로 유인되었을 때 유인된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유인된 모기가 검출되었을 때 살충제분사기(424)의 분사를 MCU(412)가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디하우징(430)은 내약품성과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갖추도록 그 내면과 외면에 팽창흑연 8중량%, 뮬라이트 6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규산소다 2중량%, 테르븀 2중량%, 티오시안 구리 2중량%,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액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촬상컵(470)의 바닥판(474)에 종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꺽인 형상을 갖는 걸이구(472)가 상기 걸이구의 꺽인 형상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꺽인 형상을 갖는 걸림부(432)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KR1020190091275A 2019-07-26 2019-07-26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KR20190118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75A KR20190118986A (ko) 2019-07-26 2019-07-26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75A KR20190118986A (ko) 2019-07-26 2019-07-26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126 Division 2018-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986A true KR20190118986A (ko) 2019-10-21

Family

ID=6846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275A KR20190118986A (ko) 2019-07-26 2019-07-26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9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11B1 (ko) 2015-07-22 2016-07-28 대한민국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11B1 (ko) 2015-07-22 2016-07-28 대한민국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320B2 (en) Pest trap with disposal container and wireless monitoring
JP4862117B2 (ja) フィールドサーバを利用した電撃パルス計測システム
US10991230B2 (en) Pest control system having event monitoring
CN111726986B (zh) 系统与方法
US20050097808A1 (en) Humane tubular trap, remote trap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s for monitoring multiple traps
CN110062873A (zh) 用于经由无人交通工具防卫农作物免受农作物破坏性有害生物的系统和方法
US20050151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imal incidence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230042831A1 (en) Intelligent rodent management system
CN206238153U (zh) 农林atcsp物联网虫情信息自动采集系统
JP2001045945A (ja) 害虫発生調査装置
KR100877552B1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90118986A (ko) 비콘(Beacon)을 이용한 우리동네 방역관리 정보 서비스장치
KR102014498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기 분포현황 수집 시스템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WO2021254865A1 (en) A trap with a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98275A (ko) 보행해충 트랩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863107B1 (ko) 자동 분사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109362681B (zh) 一种远程监控智能灭蝇系统和方法
JP2001061396A (ja) 害虫検知装置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US20220232817A1 (en) Electromechanical trap for small animals
US11557142B1 (en) Home wildlife deterrence
CN215454853U (zh) 一种便携式昆虫诱捕分类计数装置
KR20160028296A (ko) 해충 포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