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193A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193A
KR20170135193A KR1020160066713A KR20160066713A KR20170135193A KR 20170135193 A KR20170135193 A KR 20170135193A KR 1020160066713 A KR1020160066713 A KR 1020160066713A KR 20160066713 A KR20160066713 A KR 20160066713A KR 20170135193 A KR20170135193 A KR 20170135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assembly
orbiting scroll
pressur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886B1 (ko
Inventor
진홍균
주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886B1/ko
Priority to US15/390,246 priority patent/US10316843B2/en
Priority to IL250228A priority patent/IL250228B/en
Priority to EP17154229.3A priority patent/EP3252311B1/en
Priority to MX2017003570A priority patent/MX2017003570A/es
Priority to CN201710191859.9A priority patent/CN107448383B/zh
Publication of KR2017013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886B1/ko
Priority to US16/397,490 priority patent/US1121518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04C28/2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using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CPOSITIVE-DISPLACEMENT ENGINES DRIVEN BY LIQUIDS
    • F03C2/00Rotary-pist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04C29/12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6Pipes for fluids; Fit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 부재; 상기 선회 부재와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및 토출실로 된 압축실을 형성하는 비선회 부재; 상기 압축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비선회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를 동작시키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환밸브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밸브 응답성이 향상되며 밸브에 대한 규격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고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과압축을 방지하며 두 개의 밸브 조립체를 비선회 부재의 외부에 설치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비선회 스크롤이 설치되고, 비선회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하면서 비선회 스크롤의 비선회랩과 선회 스크롤의 선회랩 사이에 흡입실, 중간압실, 토출실로 된 두 개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면서 냉매의 흡입,압축,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압축실로 공급되는 유형에 따라 고압식과 저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거치지 않고 직접 흡입실로 흡입되었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거쳐 토출되는 방식으로, 케이싱의 내부공간 대부분이 토출공간인 고압부를 이루게 된다. 반면,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통해 흡입실로 간접 흡입되는 방식으로,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고저압 분리판에 의해 흡입공간인 저압부와 토출공간인 고압부로 나뉘어져 있다.
도 1은 종래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10)의 내부공간(11)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0)가 설치되며, 구동모터(20)의 상측에는 메인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30)의 상면에는 선회 스크롤(40)이 올담링(미도시)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회 스크롤(40)의 상측에는 비선회 스크롤(50)이 맞물려 압축실(P)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20)의 회전자(22)에 회전축(25)이 결합되고, 회전축(25)에 선회 스크롤(40)이 편심지게 결합되며, 비선회 스크롤(50)은 메인 프레임(30)에 회전이 구속되어 결합되어 있다.
비선회 스크롤(50)의 상측에는 그 비선회 스크롤(50)이 운전중에서 압축실(P)의 압력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배압실 조립체(60)가 결합되어 있다. 배압실 조립체(60)에는 중간압의 냉매가 채워지는 배압실(60a)이 형성되어 있다.
배압실 조립체(60)의 상측에는 그 배압실 조립체(60)의 배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케이싱(10)의 내부공간(11)을 흡입공간인 저압부(11)와 토출공간인 고압부(12)로 분리하는 고저압 분리판(15)이 설치되어 있다.
고저압 분리판(15)은 외주면이 케이싱(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접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비선회 스크롤(50)의 토출구(54)와 연통되는 배출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3은 흡입관, 14는 토출관, 18은 서브 프레임, 21은 고정자, 21a는 권선코일, 41은 선회 스크롤의 경판부, 42는 선회랩, 51은 비선회 스크롤의 경판부, 52는 비선회랩, 53은 흡입구, 61은 용량 가변을 위한 모듈레이션 링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구동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회전축(25)이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을 선회 스크롤(4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선회 스크롤(40)이 올담링에 의해 비선회 스크롤(50)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면서, 그 비선회 스크롤(50)과의 사이에 두 개 한 쌍의 압축실(P)을 형성하여 냉매를 흡입·압축·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압축실(P)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는 배압구멍(미도시)을 통해 중간압실에서 배압실(60a)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 배압실(60a)로 유입되는 중간압의 냉매는 배압력을 발생시켜 배압실 조립체(60)를 이루는 플로팅 플레이트(65)를 부상시킨다. 이 플로팅 플레이트(65)가 고저압 분리판(15)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압부(12)와 저압부(11)가 분리되는 동시에, 배압실 압력은 비선회 스크롤(50)을 선회 스크롤(40)으로 밀어내 비선회 스크롤(50)과 선회 스크롤(40) 사이의 압축실(P)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압축기와 마찬가지로 그 압축기가 적용된 냉동기기의 요구에 따라 압축용량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비선회 스크롤(50)의 경판부(51)에 모듈레이션 링(modulation ring)(61)과 리프트 링(lift ring)(62)을 추가로 설치되고, 모듈레이션 링(61)의 일측에는 배압실(60a)과 제1 연통로(61a)에 의해 연통되는 제어밸브(6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레이션 링(61)과 리프트 링(62)의 사이에 제2 연통로(61b)가 형성되고, 모듈레이션 링(61)과 비선회 스크롤(50)의 사이에는 그 모듈레이션 링(61)이 부상하는 경우 열리는 제3 연통로(61c)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통로(61c)의 일단은 중간 압축실(P)에, 타단은 케이싱(10)의 저압부(11)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파워운전시에는 도 2a와 같이 제어밸브(63)가 제1 연통로(61a)를 닫고 제2 연통로(61b)를 저압부(11)에 연통시킴으로써, 모듈레이션 링(61)이 부상하지 못하도록 하여 제3 연통로(61c)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반면, 세이빙운전시에는 도 2b와 같이 제어밸브(63)가 제1 연통로(61a)와 제2 연통로(61b)를 연통시킴으로써, 모듈레이션 링(61)이 부상하여 제3 연통로(61c)가 열리면서 중간압축실(P)의 냉매 일부가 저압부(11)로 누설되면서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는, 모듈레이션 링(61)과 리프트 링(62) 그리고 제어밸브(63)로 이루어져 부품수가 많고, 모듈레이션 링(61)을 작동시키기 위해 그 모듈레이션 링(61)에 제1 연통로(61a), 제2 연통로(61b), 제3 연통로(61c)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모듈레이션 링(61)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는, 배압실(60a)의 냉매를 이용하여 모듈레이션 링(61)을 신속하게 부상시켜야 하나, 모듈레이션 링(61)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어밸브(63)가 결합됨에 따라 모듈레이션 링(61)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모듈레이션을 신속하게 부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모듈레이션 링(61)을 부상시키기 위한 유로가 길고 그마저 냉매가 모듈레이션 링(61)과 리프트 링(6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모듈레이션 링(61)을 부상시켜야 하지만 모듈레이션 링(61)의 상면에는 여전히 배압실(60a)의 압력이 존재하게 되므로, 모듈레이션 링(61)을 부상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그만큼 밸브의 응답성이 저하되어 압축기의 용량 변화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는, 구조적으로 바이패스 구멍과 이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는 체크밸브(63)를 설치할 수 없어, 해당 운전 모드에서의 과압축 발생시 이를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량 가변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량 가변 장치를 이루는 부품에 대한 제한을 완화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량 가변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량 가변 장치의 제어를 단순화하여 응답성을 높일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패스 구멍과 이를 개폐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설치할 수 있어 과압축으로 인한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고압부와 저압부로 분리하는 고저압 분리판을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비선회 스크롤과 배압실 조립체 사이에 중간압실에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그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상기 유로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압실의 압력차에 따라 개폐되는 체크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압부로 연통되는 유로의 단부에 상기 제어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 부재; 상기 선회 부재와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및 토출실로 된 압축실을 형성하는 비선회 부재; 상기 압축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비선회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를 동작시키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환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는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이고,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와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부재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결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는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이고,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와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선회 부재에는 중간압실에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되도록 바이패스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구멍의 단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이 저압부와 고압부로 분리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선회운동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및 토출실로 된 압축실을 형성하는 비선회 스크롤; 상기 비선회 스크롤에 결합되어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실 조립체; 상기 중간압실에서 관통되는 바이패스 구멍; 상기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도록 그 바이패스 구멍의 단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를 수용하도록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실 조립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밸브수용홈; 상기 밸브수용홈에서 상기 케이싱의 저압부로 연통되는 연통로; 상기 배압실 조립체 또는 비선회 스크롤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에 기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그 제1 밸브 조립체가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실 조립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실 조립체에 형성되는 연결유로홈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는,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밸브공간, 상기 밸브공간과 상기 저압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배기구멍, 상기 밸브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차압공간, 및 상기 차압공간에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를 연통시켜 상기 차압공간에 중간압 또는 흡입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주입구멍을 가지는 밸브 가이드; 및 상기 밸브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차압공간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압공간의 반경방향 단면적이 상기 연통로의 반경방향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공간과 차압공간의 사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체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압공간에는 상기 밸브체를 상기 연통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배압실, 케이싱의 저압부, 및 제1 밸브 조립체에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유로를 가지는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의 각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구멍은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수용홈은 복수 개의 체크밸브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의 사이에는 그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이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공간을 저압부와 고압부로 분리하는 고저압 분리판; 상기 고저압 분리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회운동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및 토출실을 형성하는 비선회 스크롤; 상기 흡입공간에서 상기 비선회 스크롤에 고정되고, 상기 중간압실과 연통되어 상기 고저압 분리판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배압 플레이트; 및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배압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압실을 형성하는 플로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비선회 스크롤에는 중간압실에서 상기 배압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바이패스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에는 상기 각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 또는 그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에 대응하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일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바이패스 구멍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냉매가 합쳐지도록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 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연통홈을 상기 흡입공간에 연통시키는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중간압실과 흡입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에 차압을 발생시켜, 그 제1 밸브 조립체가 상기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제2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에는 두 개의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터미널 중에서 한 개는 상기 구동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한 개의 터미널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결관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연결유로홈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바이패스 구멍에 체크밸브를 설치함에 따라 부품수가 적고, 바이패스 구멍의 단부에 제어밸브를 설치함에 따라 냉매를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량 가변 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제어밸브가 유로의 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파워운전에서 세이빙운전으로 전환될 때 냉매가 이미 유로의 출구단 근처까지 와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만큼 세이빙운전으로 신속하게 전환될 수 있다.
또, 연통관을 이용하여 제어밸브의 위치를 옮길 수 있어, 제어밸브의 규격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용량 가변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를 중간압실에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구멍과 이를 개폐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설치할 수 있어 과압축으로 인한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용량 가변을 위해 구비되는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가 모두 압축부인 비선회 스크롤 또는 배압 플레이트의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제1 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소형화할 수 있어 이 제1 밸브 조립체를 제어하는 제2 밸브 조립체 역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용량 가변 장치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용량 가변 장치를 이용한 파워운전과 세이빙운전 상태를 각각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따른 3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의 일실시예를 조립 및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에서 제1 밸브 조립체에 대한 실시예들을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3에서, 압축기의 운전모드에 따른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로서, 도 8a는 파워모드를, 도 8b는 세이빙모드를 각각 보인 도면,
도 9는 도 3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배압 플레이트를 배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서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에서, 압축기의 운전모드에 따른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로서, 도 12a는 파워모드를, 도 12b는 세이빙모드를 각각 보인 도면,
도 13은 도 3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용량 가변 장치가 비선회 스크롤에 구비된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4는 도 3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 과열방지유닛이 구비된 예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따른 3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용량 가변 장치의 일실시예를 조립 및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10)의 밀폐된 내부공간이 후술할 비선회 스크롤(150)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저압 분리판(115)에 의해 흡입공간인 저압부(111)와 토출공간인 고압부(112)로 분리된다. 여기서, 저압부(111)는 고저압 분리판(115)의 하측 공간에 해당되고, 고압부(112)는 고저압 분리판의 상측 공간에 해당된다.
그리고, 저압부(111)와 연통되는 흡입관(113) 및 고압부(112)와 연통되는 토출관(114)이 각각 케이싱(110)에 고정되어, 냉매를 케이싱(110) 내부공간으로 흡입하거나 케이싱(1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싱(110)의 저압부(111)에는 고정자(121) 및 회전자(122)로 된 구동모터(120)가 구비된다. 고정자(121)는 케이싱(110)의 내벽면에 열박음 방식으로 고정되고, 회전자(122)의 중앙부에는 회전축(125)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고정자(121)에는 코일(121a)이 권선되고, 코일(121a)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싱(110)에 관통 결합되는 제1 터미널(119a)을 통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전축(125)의 하측은 케이싱(110)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베어링(1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 베어링(117)은 케이싱(110) 내면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118)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축(125)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프레임(118)은 케이싱(110)의 내벽면에 용접 고정될 수 있고, 케이싱(110)의 바닥면은 오일 저장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오일 저장공간에 저장된 오일은 회전축(125) 등에 의해서 상측으로 이송되어, 오일이 구동부와 압축실로 들어가 윤활을 원활하게 한다.
회전축(125)의 상단부는 메인 프레임(1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메인 프레임(130)은 하부 프레임(118)과 같이 케이싱(110)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저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메인 베어링부(131)가 형성되고, 메인 베어링부(131)의 내부에 회전축(125)이 삽입된다. 메인 베어링부(131)의 내벽면은 베어링 면으로서 작용하며, 상술한 오일과 함께 회전축(125)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메인 프레임(130)의 상면에 선회 스크롤(140)이 배치된다. 선회 스크롤(140)은 대략 원판 형태를 갖는 경판부(141)와 경판부(141)의 일측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선회랩(142)을 포함한다. 선회랩(142)은 후술할 비선회 스크롤(150)의 비선회랩(152)과 함께 압축실(P)을 형성하게 된다.
선회 스크롤(140)의 경판부(141)는 메인 프레임(13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선회 구동하게 되는데, 경판부(141)와 메인 프레임(130) 사이에는 올담링(136)이 설치되어 선회 스크롤(140)의 자전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선회 스크롤(140)의 경판부(141) 저면에는 회전축(125)이 삽입되는 보스부(143)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회전축(125)의 회전력이 선회 스크롤(140)을 선회 구동하게 된다.
선회 스크롤(140)과 맞물리는 비선회 스크롤(150)은 선회 스크롤(1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비선회 스크롤(150)은 선회 스크롤(14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메인 프레임(130)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미도시)이 비선회 스크롤(150)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홀(미도시)에 삽입된 상태로 메인 프레임(130)의 상부면에 얹혀 지지된다.
한편, 비선회 스크롤(150)은 몸체부의 상면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경판부(151)를 이루고, 경판부(151)의 하부에는 상술한 선회 스크롤(140)의 선회랩(142)과 맞물리는 비선회랩(152)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비선회 스크롤(150)의 측면에는 저압부(111) 내부에 존재하는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구(153)가 형성되고, 경판부(151)의 대략 중앙부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154)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회랩(142)과 비선회랩(152)은 복수 개의 압축실(P)을 이루고, 압축실은 토출구(154)측으로 선회 이동하면서 그 부피가 축소되어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153)와 인접한 압축실의 압력이 최소가 되고, 토출구(154)와 연통되는 압축실의 압력이 최대가 되며, 그 사이에 존재하는 압축실의 압력은 흡입구(153)의 흡입압과 토출구(154)의 토출압 사이의 값을 갖는 중간압을 이루게 된다. 중간압은 후술할 배압실(160a)로 인가되어 비선회 스크롤(150)을 선회 스크롤(140) 측으로 누르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도 5에서와 같이 중간압을 갖는 영역 중 하나와 연통되고, 냉매가 토출되는 스크롤측 배압구멍(151a)이 경판부(151)에 형성된다.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 상부에 배압실 조립체(160)의 일부를 이루는 배압 플레이트(161)가 고정된다. 배압 플레이트(161)는 대략 환형으로 형성되고,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와 접하게 되는 지지 플레이트(162)를 갖는다. 지지 플레이트(162)는 중앙이 비어있는 환형의 판 행태를 가지며, 도 5에서와 같이 상술한 스크롤측 배압구멍(151a)와 연통되는 플레이트측 배압구멍(161d)가 지지 플레이트(16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62)의 상면에는 그 지지 플레이트(162)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제1 및 제2 환형벽(163,164)이 형성된다. 제1 환형벽(163)의 외주면과 제2 환형벽(164)의 내주면,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62)의 상면은 환형으로 된 배압실(160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압실(160a)의 상측에는 그 배압실(160a)의 상면을 이루는 플로팅 플레이트(165)가 설치된다. 플로팅 플레이트(165)의 내측 공간부의 상단부에는 실링 단부(166)가 구비된다. 실링 단부(166)는 플로팅 플레이트(165)의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경은 중간 토출구(167)를 가리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 실링 단부(166)는 상술한 고저압 분리판(115)의 하측면과 접하여, 토출된 냉매가 저압부(111)로 누설되지 않고 고압부(112)으로 토출되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56은 과압축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압축실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이고, 168은 고압부로 토출된 냉매가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지밸브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고정자(121)측에 전력을 인가하면, 그로 인해서 회전축(125)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축(125)의 상단부에 결합된 선회 스크롤(140)은 회전축(125)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비선회 스크롤(150)에 대해서 선회 운동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해 비선회랩(152)과 선회랩(142)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압축실(P)이 토출구(154)측으로 이동하면서 냉매가 압축된다.
토출구(154)에 도달하기 전에 압축실(P)이 스크롤측 배압구멍(151a)와 연통되면, 냉매의 일부가 지지 플레이트(162)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측 배압구멍(161d)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배압 플레이트(161) 및 플로팅 플레이트(165)에 의해 형성되는 배압실(160a)에 중간압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서, 배압 플레이트(161)는 하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고, 플로팅 플레이트(165)는 상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여기서, 배압 플레이트(161)는 볼트에 의해 비선회 스크롤(15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배압실(160a)의 중간압은 비선회 스크롤(150)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만, 비선회 스크롤(150)은 이미 선회 스크롤(140)의 경판부(141)에 접하여 하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플로팅 플레이트(165)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로팅 플레이트(165)는 실링 단부(166)가 고저압 분리판(115)의 하단부와 접하면서 고압부(112)인 토출공간에서 저압부(111)인 흡입공간으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배압실(160a)의 압력이 비선회 스크롤(150)을 선회 스크롤(140)측으로 밀면서 선회 스크롤(140)과 비선회 스크롤(150) 사이에서의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에 용량 가변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에는 중간압실에 연통되는 용량 가변용 바이패스 구멍(이하, 바이패스 구멍으로 약칭함)(151b)이 중간압실에서 배면으로 관통 형성된다. 바이패스 구멍(151b)은 이론 흡입체적의 60~70% 사이의 위치에 180°간격을 두고 양쪽에 형성된다. 하지만, 선회랩(142)의 랩길이가 비선회랩(152)의 랩길이에 비해 180°가 긴 비대칭인 경우에는 내측포켓과 외측포켓이 동일한 크랭크각에서 동일한 압력이 형성되므로 두 개의 바이패스 구멍(151b)이 동일 크랭크각에 형성되거나 양쪽이 연통되도록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구멍(151b)의 단부에는 그 바이패스 구멍(151b)을 개폐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155)가 각각 설치된다. 체크밸브(155)는 중간압실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리드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 배면에 대응하는 배압 플레이트(161)의 저면에는 각각의 체크밸브(155)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161a)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161a)은 연통홈(161b)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161a) 중에서 어느 한 쪽 밸브수용홈, 또는 연통홈(161b)에는 바이패스되는 냉매를 케이싱(110)의 저압부(111)인 흡입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구멍(161c)의 일단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배출구멍(161c)의 타단은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주면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로써, 밸브수용홈(161a)과 연통홈(161b), 그리고 배출구멍(161c)은 체크밸브(155)가 열린 경우 중간압의 냉매가 수용되는 중간압실(P1)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주면에는 배출구멍(161c)의 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그 배출구멍(161c)을 압축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 조립체(170)가 설치된다.
제1 밸브 조립체(170)는 후술할 피스톤 밸브(172)가 양측 압력차에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구멍(161c)을 개폐하는 일종의 체크밸브로서, 배압 플레이트(161)에 밸브공간(175)을 가지는 밸브 가이드(171)가 체결되고, 밸브 가이드(171)에는 그 밸브공간(175)에서 압력차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면서 배출구멍(161c)을 개폐하는 피스톤 밸브(172)가 미끄러지게 삽입된다.
밸브 가이드(171)는 그 내부에 밸브공간(175)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밸브공간(175)의 바깥쪽에는 그 밸브공간(175)으로 삽입되는 피스톤 밸브(172)의 후방면에 작동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차압공간(176)이 연장 형성된다.
밸브공간(175)의 상하 양측에는 배출구멍(161c)과 연통되어, 피스톤 밸브(172)가 후방으로 밀려날 경우 개방되면서 배출구멍(161c)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를 저압부(111)인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기구멍(175a)이 형성된다.
차압공간(176)의 일측에는 주입구멍(176a)이 형성되고, 주입구멍(176a)에는 후술할 제3 연결관(183c)이 차압공간(176)과 연통되도록 그 제3 연결관(183c)의 단부가 결합된다. 이로써, 제3 연결관(183c)으로 안내되는 중간압 또는 흡입압의 냉매가 주입구멍(176a)을 통해 선택적으로 차압공간(176)에 공급된다.
도 7a와 같이, 차압공간(176)의 반경방향 단면적(A1)은 밸브공간의 반경방향 단면적(A2)보다 작게 형성되고, 차압공간(176)과 밸브공간(175)의 사이에는 피스톤 밸브(172)의 후방단을 지지하여 그 피스톤 밸브(172)의 밀림량을 제한하기 위한 단차면(176b)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입구멍(176a)은 밸브공간(175)과 차압공간(176) 사이의 단차면(176b)을 기준으로 할 때 차압공간(176)쪽에 형성된다.
그리고, 차압공간(176)의 단면적(A1)은 배출구멍(161c)의 반경방향 단면적(A3)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피스톤 밸브(172)의 닫힘시, 배출구멍(161c)의 압력과 차압공간(176)의 압력이 동일하더라도 차압공간(176)에서 피스톤 밸브(172)의 후방면(배압면)에 가하는 면적이 배출구멍(161c)에서 피스톤 밸브(172)의 전방면(개폐면)에 가하는 면적보다 커서 피스톤 밸브(172)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차압공간(176)의 단면적(A1)이 배출구멍(161c)의 단면적(A3)보다 같거나 작더라도 차압공간(176)의 압력이 밸브공간(175)의 압력보다 높아 파워운전으로 전환시 피스톤 밸브(172)가 배출구멍(161c)쪽으로 이동하여 닫힐 수 있다.
피스톤 밸브(172)는 밸브공간(175)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그 밸브공간(17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 밸브(172)는 차압공간(176)의 압력과 배출구멍(161c)의 압력 간 차이에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피스톤 밸브(172)의 개폐면(172a)과 배압면(172b)이 각각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측면 또는 밸브 가이드(171)의 단차면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 밸브(172)는 충돌로 인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면서도 충돌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엔지니어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밸브(172)는 도 7a와 같이 개폐면(172a)과 배압면(172b)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서만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6b와 같이 배압면(172b)에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가압 스프링(17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압 스프링(173)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압축기가 기동할 때와 같이 중간압이 충분한 압력에 도달하지 못하여 부압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낮을 때 그 피스톤 밸브(172)를 전방쪽으로 밀어줘서 피스톤 밸브(172)가 양측의 낮은 압력차에 의해 떨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압스프링 대신에 피스톤 밸브(172)의 외경면과 접하는 밸브가이드(171)의 슬라이딩면에 오링홈(비부호)을 설치하고 그 오링홈에 오링(177)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로써, 밸브공간(175)과 배기구멍(175a)의 차압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피스톤 밸브(172)의 압력차에 의한 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8b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크롤 압축기는 제1 밸브 조립체(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밸브 조립체(18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 밸브 조립체(180)는 제1 밸브 조립체(170)에 중간압 또는 흡입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제1 밸브 조립체(170)가 제2 밸브 조립체(180)에 의해 제공되는 배압력의 차이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 조립체(180)는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밸브 조립체(180)는 후술할 제3 입출구(186c)가 구비되어 제1 밸브 조립체(170)의 주입구멍(176a)에 연결된 연결관(183)의 타단이 연결된다. 이로써, 제2 밸브 조립체(180)에 의해 제1 밸브 조립체(170)의 차압공간(176)은 흡입압 또는 중간압의 배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제2 밸브 조립체(180)는 제1 밸브 조립체(170)와 연결되어 냉매를 안내하는 유로부(181) 및 그 유로부(181)에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밸브부(182)로 이루어진다. 유로부(181)와 밸브부(18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유로부(181)의 내부유로가 복잡하게 형성되는 점을 감안하면 유로부(181)와 밸브부(182)는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부(manifold part)(181)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바디(185)가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측면에 가스켓을 사이에 두고 볼트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바디(185)의 양측에는 볼트구멍(185d)이 형성된다.
바디(185)의 내부에는 3개의 유로가 형성된다. 제1 유로(185a)는 후술할 중간압구멍(160b)을 통해 배압실(160a)과 연결되고, 제2 유로(185b)는 케이싱(110)의 저압부(111)와 연결되며, 제3 유로(185c)는 후술할 연결관(183)을 통해 제1 밸브 조립체(170)의 차압공간(176)과 연결된다.
도 5 및 도 8a 내지 도 8b와 같이, 제1 유로(185a)의 입구단은 배압 플레이트(161)에 접하는 면에 형성되고, 제1 유로(185a)의 출구단은 밸브부(182)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유로(185a)는 바디(185)의 측면에서 저면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밸브 조립체(180)의 제1 유로(185a)가 배압실(160a)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그 배압실(160a)에서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주면, 또는 비선회 스크롤(150)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중간압구멍(160b)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6은 중간압구멍(160b)이 배압실(160a)의 바닥면에서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주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예를 보인 것이다.
또, 중간압구멍(160b)에는 그 배압실(160a)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중간압구멍(160b)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160c)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160c)는 중간압구멍(160b)의 입구, 즉 배압실(160a)의 바닥면쪽 단부에 확장홈(미부호)을 형성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로(185b)의 입구단은 케이싱(110)의 저압부(111)를 향해 개구되는 것으로, 배압 플레이트(161)와 접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어디에나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디(185)가 배압 플레이트(161)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또, 제2 유로(185b)의 출구단은 제1 유로(185a)의 출구단과 같이 바디(185)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유로(185b)는 측면에서 저면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3 유로(185c)의 입구단은 제1 유로(185a)의 출구단과 제2 유로(185b)의 출구단이 형성된 면에 형성되고, 제3 유로(185c)의 출구단은 바디(185)가 배압 플레이트(161)와 접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어디에나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단부 측면에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한편, 밸브부(182)는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그 외부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가동자가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다.
밸브하우징(186)에는 유로부(181)의 제1 유로(185a)와 연통되는 제1 입출구(186a)가, 제2 유로(185b)와 연통되는 제2 입출구(186b)가, 제3 유로(185c)와 연통되는 제3 입출구(186c)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하우징(186)의 내부에는 전원을 인가받는 코일(182a)이 설치되고, 코일(182a)의 안쪽에는 그 코일(182a)에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움직이는 가동자(182b)가 구비되며, 가동자(182b)의 일단에는 복귀스프링(182c)이 구비된다.
가동자(182b)에는 제1 입출구(186a)와 제3 입출구(186c)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제2 입출구(186b)와 제3 입출구(186c)를 연결시키는 전환밸브(182d)가 결합된다.
이로써, 코일(182a)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동자(182b) 및 그 가동자(182b)에 결합된 전환밸브(182d)가 제1 방향(배출구멍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에 해당하는 유로(185a)(185c)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반면, 전원이 오프(Off)되면 가동자(182b)가 복귀스프링(182c)에 의해 제2 방향(배출구멍 열림 방향)으로 복귀하면서 다른 유로(185b)(185c)들을 서로 연결시켜 제1 밸브 조립체(170)로 향하는 냉매가 전환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밸브 조립체(180)의 코일(182a)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싱(110)에 관통 결합되는 제2 터미널(119b)을 통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제2 밸브 조립체(180)의 코일(182a)이 구동모터(120)의 권선코일(121a)과 달리 별도의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서로 규격이 다른 전원을 동일한 터미널에 연결하는 것에 비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51f는 과압축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압축실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키는 토출용 바이패스 구멍, 168은 고압부로 토출된 냉매가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지밸브, 187은 가스켓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파워운전시에는, 도 8a와 같이, 제2 밸브 조립체(180)의 밸브부(182)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자(182b)가 코일(182a)쪽으로 당겨진다.
그러면, 가동자(182b)에 결합된 전환밸브(182d)가 코일쪽(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하우징(186)의 제1 입출구(186a)와 제3 입출구(186c)를 연통시킨다.
그러면, 제1 입출구(186a)와 연결된 제1 유로(185a)를 통해 배압실(160a)의 중간압 냉매가 밸브하우징(186)으로 이동하였다가 제3 입출구(186c)와 연결된 제3 유로(185c) 및 연결관(183)을 통해 제1 밸브 조립체(170)의 차압공간(176)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차압공간(176)의 압력이 중간압을 형성하게 되어, 제1 밸브 조립체(170)의 피스톤 밸브(172)를 배출구멍(161c)쪽으로 밀어 그 배출구멍(161c)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 밸브(172)의 전방측, 즉 개폐면(172a)은 역시 중간압을 이루는 배출구멍(161c)에 접하게 되나, 배출구멍(161c)의 단면적(A3)이 차압공간(176)의 단면적(A1) 보다 작아 피스톤 밸브(172)는 배출구멍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배출구멍(161c)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면, 압축실(P)의 중간압실에서 일부 냉매가 체크밸브(155)를 열고 바이패스 구멍(151b)을 통해 밸브수용홈(161a)으로 토출되더라도, 이 냉매는 그 밸브수용홈(161a)과 연통홈(161b), 그리고 배출구멍(161c)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압축실(P)에서 더이상의 냉매가 흘러나오지 않아 압축기는 파워운전을 지속하게 된다.
반면, 세이빙운전시에는 도 8b와 같이, 제2 밸브 조립체(180)의 코일(182a)에 전원이 차단되어 가동자(182b)가 복귀스프링(182c)에 의해 코일 반대쪽으로 밀려난다.
그러면, 가동자(182b)에 결합된 전환밸브(182d)가 코일(182a)의 반대쪽(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하우징(186)의 제2 입출구(186b)와 제3 입출구(186c)를 연통시킨다.
그러면, 제2 입출구(186b)와 연결된 제2 유로(185b)를 통해 케이싱(110)의 저압부(111)와 연통되면서 흡입압 냉매가 밸브하우징(186)으로 이동하였다가 제3 입출구(186c)와 연결된 제3 유로(185c)를 통해 제1 밸브 조립체(170)의 차압공간(176)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차압공간(176)의 압력이 흡입압을 형성하게 되어, 중간압을 이루는 배출구멍(161c)의 압력에 의해 제1 밸브 조립체(170)의 피스톤 밸브(172)가 차압공간(176)쪽으로 밀려나면서 배출구멍(161c)이 개방된다.
그러면, 체크밸브(155)를 통해 밸브수용홈(161a)과 연통홈(161b), 그리고 배출구멍(161c)에 이미 채워져 있던 냉매가 신속하게 제1 밸브 조립체(170)의 밸브공간(175)으로 배출되고, 이 냉매는 밸브공간(175)에 형성된 배기구멍(175a)을 통해 케이싱(110)의 저압부(111)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면 압축실(P)의 중간압실 냉매 중에서 일부 냉매는 상기의 경로를 따라 계속 배출되어 압축기는 세이빙운전을 지속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비선회 스크롤과 배압 플레이트 사이에 과압축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구멍과 바이패스 밸브를 설치할 수 있어, 과압축시 중간압실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어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냉매의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압력차에 의해 작동되는 제1 밸브 조립체로 구성하되 비선회 스크롤과 배압 플레이트의 외부에 배치되며 작은 압력변화로 작동되는 피스톤 밸브로 구성됨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 제1 밸브 조립체가 냉매에 대한 배출유로의 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파워운전에서 세이빙운전으로 전환될 때 냉매가 이미 유로의 출구단 근처까지 와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그만큼 세이빙운전으로 신속하게 전환될 수 있다.
또, 제1 밸브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밸브를 전자식으로 된 제2 밸브 조립체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냉매를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유로도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밸브 조립체의 전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2 밸브 조립체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2 터미널이 구동모터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터미널과 독립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구동모터와 제2 밸브 조립체로 공급되는 전원의 규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에서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를 비선회 스크롤과 배압 플레이트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결관을 이용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비선회 스크롤 또는 배압 플레이트에 연결유로홈을 형성하여 두 밸브 조립체를 연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압 플레이트(161)의 저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연결유로홈(161e)이 형성된다. 연결유로홈(161e)은 평면투영시 밸브수용홈(161a)을 연결하는 연통홈(161b)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유로홈(161e) 전체가 배압 플레이트(161)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양단이 제1 밸브 조립체(170)와 제2 밸브 조립체(180)에 각각 연통되어야 하므로, 연결유로홈(161e)의 양단은 배압 플레이트(161)의 외측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유로홈(161e)의 일단은 제2 밸브 조립체(180)가 결합되는 배압 플레이트(161)의 일측 외측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연결유로홈(161e)의 타단은 제1 밸브 조립체(170)가 결합되는 배압 플레이트(161) 타측 외주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3 유로(185c)의 출구가 연결유로홈(161e)의 일단에 연통되어야 하므로 그 제3 유로(185c)의 출구는 제2 밸브 조립체(180)의 바디(185) 중에서 배압 플레이트(161)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고, 주입구멍(176a)이 연결유로홈(161e)의 타단에 연통되어야 하므로 주입구멍(176a)의 입구단은 제1 밸브 조립체(170)의 밸브구멍(175)이 형성되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유로홈(261c)은 비선회 스크롤(250)의 상면에 구비되는 가스켓(258)과 중첩되도록 하여, 연결유로홈(261c)이 실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연결유로홈(161e)이 비선회 스크롤(150)의 배면 또는 이에 접하는 배압 플레이트(161)의 저면에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연결관을 제1 밸브 조립체(170)와 제2 밸브 조립체(180)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부품수 절감과 이로 인한 조립공수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연결관이 설치되는 것에 비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밸브수용홈과 연통홈, 그리고 배출구멍은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 배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진 밸브수용홈(151c)이 복수 개 형성되고, 그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151c) 사이를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진 연통홈(151d)으로 연결하며, 밸브수용홈(151c) 또는 연통홈(151d)에서 비선회 스크롤(150)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배출구멍(151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밸브수용홈(151c)과 연통홈(151d), 그리고 배출구멍(151e)이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밸브수용홈(151c)과 연통홈(151d), 그리고 배출구멍(151e)이 비선회 스크롤(150)의 경판부(151) 배면에 형성되면 바이패스 구멍(151b)의 길이가 짧아져 그만큼 사체적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크롤 압축기는 저압부와 고압부 사이가 차단된 상태에서 압축기는 운전을 지속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축기의 사용 환경조건이 변하게 되면 고압부인 토출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의 일부 부품이 고온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와 같은 고저압 분리판(115)에 과열방지유닛(190)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과열방지유닛(190)은, 고압부(112)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고압부(112)와 저압부(111) 사이를 연통시켜 고압부(112)의 냉매가 저압부(111)로 누설되도록 하고, 이 누설되는 고온의 냉매가 고정자(121)의 권선코일(121a) 상단에 구비된 과부하 차단기(190)를 작동시켜 압축기가 정지시킨다. 따라서, 과열방지유닛(190)은 토출공간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유닛(190)은 고저압 분리판(115)이 얇은 판재로 형성되어 고압부(112)와 저압부(111) 사이를 분리하는 점을 고려하여, 가급적 고저압 분리판(115)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과열방지유닛(190)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저압부(111)로부터 온도영향을 덜 받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유닛(190)은, 밸브판(195)이 수용되는 바디(191)를 별도로 제작하여 그 바디(191)를 고저압 분리판(115)에 체결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저압 분리판과 밸브판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고저압 분리판으로부터 밸브판이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바디(191)는 고저압 분리판(115)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열전달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단열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91)는 밸브공간을 가지는 밸브수용부(192)가 형성되고, 밸브수용부(192)의 외측면 중앙에는 그 바디(191)를 고저압 분리판(115)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93)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밸브수용부(192)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밸브판(195)이 안착되는 안착부(192a)와, 안착부(192a)의 테두리에서 환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안착부(192a)의 상면과 함께 밸브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92b)로 이루어진다. 안착부(192a)의 두께가 측벽부(192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안착부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열을 보유하는 효과가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보장되는 범위내에서 안착부의 두께가 측벽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부(192a)의 저면에는 고저압 분리판(115)에 지지되는 단차면(192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192a)의 저면 중에서 단차면(192c) 밖에 위치하는 외측 안착부(194d)의 저면은 고저압 분리판(115)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h)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바디와 고저압 분리판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바디와 고저압 분리판 사이로 토출공간의 냉매가 유입되어 그만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단차면(192c)과 고저압 분리판(115) 사이에 가스켓(194)과 같은 실링역할을 하는 단열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디(191)와 고저압 분리판(115)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안착부(192a)의 상면 중앙에서 체결부(193)의 하단까지는 고압부(112)와 저압부(111) 사이를 연통시키는 배출구멍(191a)이 형성된다. 배출구멍(191a)의 입구단, 즉 안착부(192a)의 상면쪽 단부에는 후술할 밸브판(195)의 실링돌부(195c)가 삽입되도록 댐퍼(미도시)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92b)의 상단에는 밸브스토퍼(196)를 삽입한 후 절곡시켜 밸브스토퍼(196)를 지지하는 지지돌부(192e)가 형성된다. 밸브스토퍼(196)는 그 중앙에는 고압부(112)의 냉매가 밸브판(195)의 제1 접촉면(195a)에 항상 접하도록 제1 가스구멍(196a)을 갖는 링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부(192a)에는 고압부(112)의 냉매가 밸브판(195)의 제2 접촉면(195b)에 접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가스구멍(192f)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토출공간의 냉매가 제1 가스구멍(196a)을 통해 밸브판(195)의 제1 접촉면(195a)에 직접 접촉하는 동시에 제2 가스구멍(192f)을 통해 밸브판(195)의 제2 접촉면(195b)에 직접 접촉되어, 밸브판(195)의 제1 접촉면(195a)과 제2 접촉면(195b) 사이의 온도차이를 줄이는 동시에 밸브판(195)의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다.
밸브판(195)은 고압부(112)의 온도에 따라 열변형되면서 연통구멍(191a)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바이메탈로 이루어진다. 밸브판(195)의 중앙부에는 실링돌부(195c)가 연통구멍(191a)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실링돌부(195c)의 주변으로는 열림동작시 냉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냉매구멍(195d)이 형성된다.
한편, 체결부(19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저압 분리판(115)에 구비된 체결구멍(115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압입하거나, 또는 용접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과열 방지 장치는, 저압부(111)의 낮은 냉매온도가 고저압 분리판(115)을 통해 열전도에 의해 밸브판(195)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길게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밸브판(195)이 저압부(111)의 온도영향을 훨씬 적게 받게 된다.
반면, 밸브판(195)이 고저압 분리판(115)의 고압부측 상면(115c)으로부터 일정 높이(h)만큼 이격되어 고압부(112)인 토출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밸브판(195)이 고압부(112)로부터 대부분의 온도영향을 받아 고압부(112)의 온도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압부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밸브판이 신속하게 열리면서 고압부의 냉매가 바이패스 구멍을 통해 저압부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고, 이 냉매는 구동모터에 구비된 과부하 차단기를 작동시켜 압축기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과열방지유닛이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해 왜곡되지 않고 정확하게 반응하게 되어 고온에 의한 압축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흡입공간인 저압부와 토출공간인 고압부로 분리되는 밀폐형 압축기에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 부재;
    상기 선회 부재와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및 토출실로 된 압축실을 형성하는 비선회 부재;
    상기 압축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비선회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를 동작시키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환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는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이고,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와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부재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결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는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이고,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밸브 조립체와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롤 압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회 부재에는 중간압실에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되도록 바이패스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구멍의 단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5. 밀폐된 내부공간이 저압부와 고압부로 분리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선회운동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및 토출실로 된 압축실을 형성하는 비선회 스크롤;
    상기 비선회 스크롤에 결합되어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실 조립체;
    상기 중간압실에서 관통되는 바이패스 구멍;
    상기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도록 그 바이패스 구멍의 단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를 수용하도록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실 조립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밸브수용홈;
    상기 밸브수용홈에서 상기 케이싱의 저압부로 연통되는 연통로;
    상기 배압실 조립체 또는 비선회 스크롤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그 제1 밸브 조립체가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실 조립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실 조립체에 형성되는 연결유로홈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조립체는,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밸브공간, 상기 밸브공간과 상기 저압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배기구멍, 상기 밸브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차압공간, 및 상기 차압공간에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를 연통시켜 상기 차압공간에 중간압 또는 흡입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주입구멍을 가지는 밸브 가이드; 및
    상기 밸브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차압공간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배압실, 케이싱의 저압부, 및 제1 밸브 조립체에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유로를 가지는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의 각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구멍은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수용홈은 복수 개의 체크밸브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의 사이에는 그 복수 개의 밸브수용홈이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공간을 저압부와 고압부로 분리하는 고저압 분리판;
    상기 고저압 분리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회운동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및 토출실을 형성하는 비선회 스크롤;
    상기 흡입공간에서 상기 비선회 스크롤에 고정되고, 상기 중간압실과 연통되어 상기 고저압 분리판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배압 플레이트; 및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배압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압실을 형성하는 플로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비선회 스크롤에는 중간압실에서 상기 배압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바이패스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에는 상기 각 바이패스 구멍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 또는 그 비선회 스크롤의 배면에 대응하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일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바이패스 구멍을 통해 압축실에서 바이패스되는 냉매가 합쳐지도록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 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연통홈을 상기 흡입공간에 연통시키는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중간압실과 흡입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에 차압을 발생시켜, 그 제1 밸브 조립체가 상기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제2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두 개의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터미널 중에서 한 개는 상기 구동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한 개의 터미널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결관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 사이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또는 상기 배압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연결유로홈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20160066713A 2016-05-30 2016-05-30 스크롤 압축기 KR10183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13A KR101839886B1 (ko) 2016-05-30 2016-05-30 스크롤 압축기
US15/390,246 US10316843B2 (en) 2016-05-30 2016-12-23 Scroll compressor that includes a non-orbiting scroll having a bypass hole
IL250228A IL250228B (en) 2016-05-30 2017-01-22 Scroll compressor
EP17154229.3A EP3252311B1 (en) 2016-05-30 2017-02-01 Scroll compressor
MX2017003570A MX2017003570A (es) 2016-05-30 2017-03-17 Compresor de espiral.
CN201710191859.9A CN107448383B (zh) 2016-05-30 2017-03-28 涡旋式压缩机
US16/397,490 US11215181B2 (en) 2016-05-30 2019-04-29 Scroll compressor that includes a non-orbiting scroll member having a connection passage portion connected first valve assembly and second valv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13A KR101839886B1 (ko) 2016-05-30 2016-05-30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193A true KR20170135193A (ko) 2017-12-08
KR101839886B1 KR101839886B1 (ko) 2018-03-19

Family

ID=5795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13A KR101839886B1 (ko) 2016-05-30 2016-05-30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16843B2 (ko)
EP (1) EP3252311B1 (ko)
KR (1) KR101839886B1 (ko)
CN (1) CN107448383B (ko)
IL (1) IL250228B (ko)
MX (1) MX20170035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54B1 (ko) * 2018-09-19 2020-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2155603B1 (ko) * 2019-09-30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8433B2 (en) 2009-04-07 2011-08-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9249802B2 (en) 2012-11-15 2016-02-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US9651043B2 (en) 2012-11-15 2017-05-1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valve system and assembly
US9790940B2 (en) 2015-03-19 2017-10-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US10598180B2 (en) 2015-07-01 2020-03-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thermally-responsive injector
KR101800261B1 (ko) 2016-05-25 201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839886B1 (ko) * 2016-05-30 201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0890186B2 (en) 2016-09-08 2021-01-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US10801495B2 (en) 2016-09-08 2020-10-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Oil flow through the bearings of a scroll compressor
US10753352B2 (en) 2017-02-07 2020-08-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discharge valve assembly
US11022119B2 (en) 2017-10-03 2021-06-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US10962008B2 (en) 2017-12-15 2021-03-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KR101934295B1 (ko) * 2018-01-16 2019-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0995753B2 (en) 2018-05-17 2021-05-0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11656003B2 (en) 2019-03-11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limate-control system having valve assembly
CN110005607B (zh) * 2019-04-30 2020-12-04 浙江颐顿机电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背压装置
US11655813B2 (en) 2021-07-29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modulation system with multi-way valve
IT202100025589A1 (it) 2021-10-07 2023-04-07 Tm I C S R L Termomeccanica Ind Compressors Compressore a vite.
US11846287B1 (en) 2022-08-11 2023-12-19 Copeland Lp Scroll compressor with center hub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3893A (ja) 1983-05-04 1984-11-19 Hitachi Ltd スクロ−ル流体機械
JPS60101295A (ja) 1983-11-08 1985-06-05 Sanden Corp 圧縮容量可変型のスクロ−ル型圧縮機
JP2550612B2 (ja) 1987-10-19 1996-11-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JPH05340363A (ja) 1992-06-09 1993-12-21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8303361A (ja) 1995-05-10 1996-11-19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5613841A (en) 1995-06-07 1997-03-25 Copeland Corporation Capacity modulated scroll machine
JP2974009B1 (ja) 1998-06-12 1999-1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多段階容量制御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08289B1 (ko) 1998-12-29 2002-01-15 구자홍 스크롤압축기의보호장치
KR100360861B1 (ko) 1999-12-10 2002-11-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압축 방지장치
US6412293B1 (en) 2000-10-11 2002-07-02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continuous capacity modulation
JP2003083269A (ja) * 2001-09-05 2003-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469461B1 (ko) 2002-08-28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0486603B1 (ko) 2003-04-21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US8156751B2 (en) * 2005-05-24 2012-04-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 for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US7815423B2 (en) 2005-07-29 2010-10-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fluid injection system
US7674098B2 (en) 2006-11-07 2010-03-09 Scroll Technologies Scroll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and unloader port
KR101368394B1 (ko) 2007-10-30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0920980B1 (ko) 2008-02-19 2009-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장치
ES2647783T3 (es) 2008-05-30 2017-12-2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or que tiene un sistema de modulación de la capacidad
US20100028182A1 (en) 2008-07-31 2010-02-04 Hahn Gregory W Line f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type motor for scroll compressor with bypass ports
KR101056882B1 (ko) * 2009-01-07 201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7988433B2 (en) 2009-04-07 2011-08-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8616014B2 (en) * 2009-05-29 2013-12-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or fluid injection systems
US8568118B2 (en) 2009-05-29 2013-10-2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piston assembly
US8840384B2 (en) * 2009-09-08 2014-09-23 Danfoss Scroll Technologies, Llc Scroll compressor capacity modulation with solenoid mounted outside a compressor shell
CN202707487U (zh) 2012-07-23 2013-01-30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压缩机
US9127677B2 (en) 2012-11-30 2015-09-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and variable volume ratio
JP5870056B2 (ja) 2013-03-19 2016-02-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162738B1 (ko) 2014-01-06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2177990B1 (ko) 2014-05-02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스크롤 압축기
US9989057B2 (en) * 2014-06-03 2018-06-0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ume ratio scroll compressor
KR101747175B1 (ko) * 2016-02-24 2017-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800261B1 (ko) * 2016-05-25 201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839886B1 (ko) * 2016-05-30 201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934295B1 (ko) * 2018-01-16 2019-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54B1 (ko) * 2018-09-19 2020-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0982674B2 (en) 2018-09-19 2021-04-20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with back pressure chamber and back pressure passages
KR102155603B1 (ko) * 2019-09-30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0228A0 (en) 2017-03-30
US20170342984A1 (en) 2017-11-30
EP3252311B1 (en) 2019-07-17
US11215181B2 (en) 2022-01-04
EP3252311A1 (en) 2017-12-06
CN107448383A (zh) 2017-12-08
US10316843B2 (en) 2019-06-11
MX2017003570A (es) 2018-08-15
IL250228B (en) 2021-10-31
KR101839886B1 (ko) 2018-03-19
CN107448383B (zh) 2019-03-22
US20190249667A1 (en)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886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800261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747175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407415B1 (ko) 스크롤 압축기
US11754072B2 (en)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11293442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discharge cover providing a space to guide a discharge flow from a discharge port to a discharge passgae formed by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KR101739389B1 (ko) 밀폐형 압축기
US10982674B2 (en) Scroll compressor with back pressure chamber and back pressure passages
CN211449024U (zh) 涡旋压缩机
KR102415751B1 (ko) 스크롤 압축기
EP3343039B1 (en) Scroll compressor
US10865790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capacity variable device
KR20140012858A (ko) 스크롤 압축기
KR101044872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461069B1 (ko) 스크롤압축기
EP3726058A1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US20240151227A1 (en) Scroll compressor
KR102400431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180068644A (ko) 스크롤 압축기
KR20090040152A (ko)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