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116A -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116A
KR20170135116A KR1020160066524A KR20160066524A KR20170135116A KR 20170135116 A KR20170135116 A KR 20170135116A KR 1020160066524 A KR1020160066524 A KR 1020160066524A KR 20160066524 A KR20160066524 A KR 20160066524A KR 20170135116 A KR20170135116 A KR 2017013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requency
wireless power
resonator
piez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807B1 (ko
Inventor
정인화
김희욱
성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807B1/ko
Priority to US15/387,084 priority patent/US20170346341A1/en
Priority to CN201710038023.5A priority patent/CN107453492A/zh
Publication of KR2017013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1L41/044
    • H01L41/10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4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02Circuitry or processes for opera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rive circuits
    • H10N30/804Circuitry or processes for opera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rive circuits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16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 H02M1/0022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the disturbance parameters being input voltage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1Resonant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1Half-bridge at prim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스위칭하여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1 압전 소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유발된 제2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대응하는 제2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압전 변압기 및 상기 제2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RESONANCE APPARATU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기술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력까지 전송하는 등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 접촉 상태에서도 전자 기기에 전력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충전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전력 충전을 위한 송신기는,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로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직류 전원를 변압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였다. 예컨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5V의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어댑터와, 어댑터로부터 5V의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이를 고전압으로 변압 후 교류화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무선 전력 충전 장치는 별도의 어댑터를 가지고 다녀야 하며, 또한 변압 회로 등 복잡한 회로 구성이 필요하므로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0196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039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050848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변압 회로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스위칭하여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1 압전 소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유발된 제2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대응하는 제2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압전 변압기 및 상기 제2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모듈을 제안한다. 상기 공진 모듈은, 제1 교류 전압을 제1 압전 소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유발된 제2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대응하는 제2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압전 변압기 및 상기 제2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변압 회로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 (확인 부탁)에 도시된 압전 변압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압전 변압기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인접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자기적으로 결합-예컨대, 자기 공진이나 자기 유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수신한 전력을 전자 기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자 기기(300)의 일 구성으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 기기(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일부 이격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제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접 입력받아 구동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요구하던 점과 다르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접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휴대가 용이하고 소형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스위치부(110), 압전 변압기(120) 및 공진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제어부(140) 또는 교류 직류 변환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류 직류 변환기(150)는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류 직류 변환기(150)는 상용 교류 전압을 입력받고, 상용 교류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부(110)는 직류 전압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생성하여 압전 변압기(120)의 1차측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스위치부(110)는 상기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스위칭 동작하여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압전 변압기(120)는 물리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 1차 측, 즉, 제1 압전 소자와 2차측, 즉,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변압기(120)는 스위치부(110)에서 제공된 제1 교류 전류를 제1 압전 소자로 입력을 수 있다. 상기 제1 교류 전류는 제1 압전 소자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제1 압전 소자의 진동은 제2 압전 소자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에 의하여 유발된 제2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으로부터, 제2 압전 소자는 그에 대응하는 제2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공진기(130)는 제2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공진기(13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스위치부(110)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스위치부(1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공진기(130)의 출력이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펄스 폭 변조 방식이나, 주파수 변조 방식 등 다양한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스위칭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1)는 스위치부(111), 압전 변압기(121), 공진기(131) 및 교류 직류 변환 회로(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교류 직류 변환 회로(151)는 정류 회로(D1 내지 D4) 및 평활 커패시터(Cin)을 포함할 수 있다. 정류 회로(D1 내지 D4)는 전파 정류회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파 정류회로 등 다양한 정류 회로가 적용될 수도 있다.
평활 커패시터(Cin)는 평활된 직류 전압을 스위치(111)에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부(111)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스위치(S1, 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스위치(S1,S2) 각각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복수의 스위치(S1,S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스위치부(111)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가 적용되어 있으나, 풀 브리지 인버터 등 다양한 인버터가 적용될 수 있다.
스위치부(111)에서 제공된 교류 전류는 압전 변압기(121)의 1차측 제1 압전 소자로 입력되고, 제1 압전기의 진동에 의하여 제2 압전기에 진동이 유발되면, 제2 압전기는 전류를 공진기(131)에 제공하게 된다.
공진기(131)는 공진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공진기(131)는 공진 커패시터가 존재하지 않은 실시 형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압전 변압기(121)의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공진기(131)에 공진 커패시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위치부(111)는 압전 변압기(121)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즉, 압전 변압기(121)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압전 변압기(121)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므로, 압전 변압기의 출력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출력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미도시)는 스위치부(111)의 동작 주파수를 압전 변압기(121)의 공진 주파수로 고정하고,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공진기(131)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압전 변압기(121)의 최대 효율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출력 효율이 증대되고, 커패시터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2)는 스위치부(112), 압전 변압기(122), 공진기(132) 및 교류 직류 변환 회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12), 압전 변압기(122) 및 교류 직류 변환 회로(152)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를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공진기(132)는 공진 커패시터(Cr) 및 공진 코일(Lr)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공진기(132)의 공진 주파수와 압전 변압기(122)의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스위치부(112)는 압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로 스위칭 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이한 제2 주파수로 스위칭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스위치부(112)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부(112)의 동작 주파수는 압전 변압기의 효율이 높은 압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될 수도 있고, 또는 그와 다른 주파수일 수 도 있다.
즉, 공진기(132)의 주파수에 대한 이득 특성은 주파수에 대해 넓게 형성되는 반면, 압전 변압기(122)의 주파수에 대한 이득 특성은 주파수에 대해 좁게 형성되는 특징을 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2) 전체의 주파수에 대한 이득 특성은 공진기(132)의 주파수에 대한 이득 특성과 압전 변압기(122)의 주파수에 대한 이득 특성이 모두 영향을 미쳐서 결정되므로, 두 이득 특성의 중간값에 해당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결국,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2)는 주파수 변화가 발생하여도 이득의 손실이 비교적 적어지게 되므로, 주파수 제어 방식의 스위칭 조절을 통해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상용 교류 입력 전원의 변화에 대응하여 스위칭 제어를 변경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3)는 스위치부(113), 압전 변압기(123), 공진기(133), 제어부(143), 교류 직류 변환기(153) 및 검출기(163)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13), 압전 변압기(123), 공진기(133) 및 교류 직류 변환기(153)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검출기(163)는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검출기(163)는 주기적으로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검출기(163)의 출력의 변화로부터 상용 교류 전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43)는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스위치부(113)에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조절 -예를 들어,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변조하거나, 또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3)는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을 초과하면, 초과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3)는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 미만이면, 감소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3)는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을 초과하면, 초과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3)는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 미만이면, 감소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3)는 상용 교류 전압의 입력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스위칭 제어를 조절함으로써, 압전 변압기의 입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압전 변압기의 출력 특성을 안정시키고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출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압전 변압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압전 변압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압전 변압기(12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압전 소자(610)와 제2 압전 소자(620)를 포함한다. 제1 압전 소자(610)는 입력 압전 소자, 제2 압전 소자(620)는 출력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입력 압전 소자(610)는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압전층(613)과, 그의 외측에 형성되는 입력 전극들(611, 6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전극들(611, 612)을 통해 입력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출력 압전 소자(620)는 제2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압전층(623)과, 그의 외측에 형성되는 출력 전극들(621, 622)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전극들(621, 622)을 통해 출력 전류가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층들(613, 623) 내에는 교차로 내부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내부전극은 극성에 따라 입력 전극 또는 출력 전극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입력 압전층(613)과 출력 압전층(623)의 분극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입력 압전 소자(610)의 분극 방향은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출력 압전 소자(620)의 분극 방향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므로, 실시예에 따라 입력 압전층(613)과 출력 압전층(623)의 분극 방향은 동일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압전 소자(610)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입력 압전 소자(610)은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출력 압전 소자(620)에 진동이 유발될 수 있다. 출력 압전 소자(620)는 이와 같이 유발된 진동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절연층(630)은 입력 압전 소자(610)와 출력 압전 소자(620) 사이에서 형성되어, 입력 압전 소자(610)와 출력 압전 소자(6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절연층(630)은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630)은 절연성이 높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절연층(630)은 수지 재질의 시트(sheet) 또는 필름(fil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절연층(630)은 절연성을 가지며, 동시에 연성을 갖는 박막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세라믹 재질로 절연층(630)을 형성하는 경우, 진동에 의한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어 절연층(630)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세라믹 재질의 강성으로 인해 입력 압전 소자(610)의 진동이 출력 압전 소자(620)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층(63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은 공기가 채워지거나, 진공 상태인 빈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중공을 통해 입력 압전 소자(610)와 출력 압전 소자(620)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중공이 형성된 절연층(630)은 중공이 없는 경우보다 실제적인 부피가 매우 감소되며, 최소한의 면적으로 입력 압전 소자(610)의 진동의 감쇄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출력 압전 소자(620)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압전 변압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압전 변압기(120)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압전 소자(710), 제2 압전 소자(720) 및 두 압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7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전 변압기(120)는 입력 압전 소자(710)와 출력 압전 소자(720)가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예의 경우, 입력 압전 소자(710)의 복수의 압전층(713)이 제1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출력 압전 소자(720)의 복수의 압전층(723)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압전 소자(710)는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압전층(713)과, 그 양 면에 형성된 입력 전극들(711, 71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압전 소자(720)는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압전층(723)과, 그 양 면에 형성된 출력 전극들(721, 72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압전 소자(710)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입력 압전 소자(710)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는 출력 압전 소자(720)에 상하 방향의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출력 압전 소자(720)는 그와 같이 유발된 진동으로부터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절연층(730)에 대해서는 도 6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8은 압전 변압기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는, 압전 변압기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공진기(131)에 커패시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자체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은,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와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압전 변압기는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이득의 변화량이 크게 된다. 따라서, 압전 변압기는 충분한 이득을 확보할 수 있는 특정 주파수 범위, 예컨대, 공진 주파수 등에서 동작하는 것이 보다 높은 효율을 확보하는 방안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그래프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공진기(132)에 커패시터가 포함되는 경우의 전압 이득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표기된 그래프(910)는 압전 변압기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고, 1점 쇄선으로 표기된 그래프(920)는 공진기(132)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압전 변압기의 특성과 공진기의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점선으로 표기된 그래프(930)와 같은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주파수에 대한 전압 이득의 특성(930)은, 도 8에 도시된 예에 비하여, 주파수에 의한 전압 이득의 변화량이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출력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300 : 전자 기기
110, 111, 112, 113 : 스위치부
120, 121, 122, 123 : 압전 변압기
130, 131, 132, 133 : 공진기
140, 143 : 제어부
150, 151, 152, 153 : 교류 직류 변환기
163 : 검출기

Claims (15)

  1.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스위칭하여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1 압전 소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유발된 제2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대응하는 제2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압전 변압기; 및
    상기 제2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기;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공진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압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스위칭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스위치부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상기 공진기의 출력을 조절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공진 커패시터 및 공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압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이한 제2 주파수로 스위칭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의 이득 특성은
    상기 압전 변압기의 이득 특성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용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교류 직류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을 측정하는 검출기; 및
    상기 스위치부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크 전압 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 또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을 초과하면, 초과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줄이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 미만이면, 감소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늘이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을 초과하면, 초과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압의 피크 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 미만이면, 감소된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2. 제1 교류 전압을 제1 압전 소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유발된 제2 압전 소자의 기계적 진동에 대응하는 제2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압전 변압기; 및
    상기 제2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기;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공진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교류 전압은
    상기 압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공진 커패시터 및 공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교류 전압은
    상기 압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또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이한 제2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의 이득 특성은
    상기 압전 변압기의 이득 특성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모듈.
KR1020160066524A 2016-05-30 2016-05-30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56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24A KR102560807B1 (ko) 2016-05-30 2016-05-30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5/387,084 US20170346341A1 (en) 2016-05-30 2016-12-21 Resonance modul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the same
CN201710038023.5A CN107453492A (zh) 2016-05-30 2017-01-19 谐振模块和包括该谐振模块的无线电力发送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24A KR102560807B1 (ko) 2016-05-30 2016-05-30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116A true KR20170135116A (ko) 2017-12-08
KR102560807B1 KR102560807B1 (ko) 2023-07-28

Family

ID=6041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524A KR102560807B1 (ko) 2016-05-30 2016-05-30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46341A1 (ko)
KR (1) KR102560807B1 (ko)
CN (1) CN1074534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008A (ko) * 2018-04-23 2019-10-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전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059A (ko) * 2014-12-04 2016-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공성 압전 박막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
US10886783B2 (en) * 2018-01-15 2021-01-05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2569722B1 (ko) * 2018-07-09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07A (ko) 1998-06-30 2000-01-25 손동준 압전소자를 이용한 안정기 및 역률보상회로
KR20060101969A (ko)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삼화양행 강압용 압전변압기를 사용하는 어댑터
KR20090129924A (ko) * 2008-06-13 2009-12-17 미다스웨이 트레이딩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절연 압전 변압기
JP2012146289A (ja) * 2010-12-22 2012-08-02 Panasonic Corp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30029002A (ko) * 2011-09-13 2013-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20130178915A1 (en) * 2012-01-10 2013-07-11 Piezo Energy Technologies, LLC High power ultrasound wireless transcutaneous energy transfer (us-tet) source
KR20140061337A (ko) * 2014-04-09 2014-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JP2015050848A (ja) 2013-09-02 2015-03-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送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6073B1 (da) * 1998-03-03 2006-04-03 Limiel Aps Piezoelektrisk transformer
US20100188068A1 (en) * 2009-01-23 2010-07-29 Qortek, Inc. Solid State High Power Piezokinetic Transformer and Method Thereof
US9509179B2 (en) * 2011-09-13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O2013080647A1 (ja) * 2011-12-01 2013-06-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降圧回路及び該降圧回路を用いた受電装置
US9276639B2 (en) * 2013-02-25 2016-03-01 Apple Inc. Wirelessly charged electronic device with shared inductor circuitry
JP5862844B2 (ja) * 2013-10-09 2016-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6183243B2 (ja) * 2014-02-20 2017-08-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WO2015125539A1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伝送システム
CN104158269B (zh) * 2014-08-11 2016-03-16 长城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发射器、接收器、充电装置及无线充电方法
US20160064640A1 (en) * 2014-09-01 2016-03-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07A (ko) 1998-06-30 2000-01-25 손동준 압전소자를 이용한 안정기 및 역률보상회로
KR20060101969A (ko)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삼화양행 강압용 압전변압기를 사용하는 어댑터
KR20090129924A (ko) * 2008-06-13 2009-12-17 미다스웨이 트레이딩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절연 압전 변압기
JP2012146289A (ja) * 2010-12-22 2012-08-02 Panasonic Corp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30029002A (ko) * 2011-09-13 2013-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20130178915A1 (en) * 2012-01-10 2013-07-11 Piezo Energy Technologies, LLC High power ultrasound wireless transcutaneous energy transfer (us-tet) source
JP2015050848A (ja) 2013-09-02 2015-03-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送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40061337A (ko) * 2014-04-09 2014-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008A (ko) * 2018-04-23 2019-10-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6341A1 (en) 2017-11-30
KR102560807B1 (ko) 2023-07-28
CN107453492A (zh)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8193B2 (ja) 電子装置
KR20170135116A (ko)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7330662B2 (ja) 受信装置を充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509179B2 (en)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20100164433A1 (en) Wireless Battery Charging Systems, Battery Systems and Charging Apparatus
US10122212B2 (en) Power supply device
US9531216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TW507414B (en) Switching power circuit with secondary side parallel and series resonance
US9312778B2 (en) Power supply device
WO2013125090A1 (ja) 電力伝送システム
JP6716112B2 (ja) 超音波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252051B2 (ja) 電力変換器
WO2015033860A1 (ja) 送電装置、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伝送判別方法
KR20140073416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0245077A (ja) 非接触電力伝達装置
JP2012005185A (ja) 非接触電力伝送及び通信システム
JP6183243B2 (ja) 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KR101839527B1 (ko)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부하 전류에 따른 정류 전압 가변 방법
US10355532B2 (en) Inductive power transfer
US20100296316A1 (en) Piezoelectric converter with primary regulation and associated piezoelectric transformer
KR102283082B1 (ko) 전원 공급 장치
JP2015050848A (ja) 送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10505098B2 (en) Driv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JP6685016B2 (ja) 非接触給電装置、プログラム、非接触給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679631B1 (ko)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