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002A -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002A
KR20130029002A KR1020120083076A KR20120083076A KR20130029002A KR 20130029002 A KR20130029002 A KR 20130029002A KR 1020120083076 A KR1020120083076 A KR 1020120083076A KR 20120083076 A KR20120083076 A KR 20120083076A KR 20130029002 A KR20130029002 A KR 2013002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wireless
mechanical resonator
power transfer
transf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2593B1 (ko
Inventor
알렉산더 쥐. 체르노카로프
미하일 엔. 마쿠린
니콜라이 엔. 올리유닌
블라디미르 와이. 알히펜코프
김기영
유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612,228 priority Critical patent/US9509179B2/en
Publication of KR2013002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3Varying beside the frequency also another parameter of the oscillator in dependence on the frequency
    • H03B2201/036Varying beside the frequency also another parameter of the oscillator in dependence on the frequency the parameter being the quality factor of a reson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케이블(cable)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가변 자기장(variable magnetic field)을 생성하는 소스(source) 및 상기 소스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제1 장치 및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전기적 파워(electric power)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아래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전력 전송, 즉 전선(cable) 없이 전력을 전송하는 시스템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적 무선 전력 전송(electromagnetic wireless power transfer) 시스템은 복사(radiative) 시스템과 비복사(non-radiative) 시스템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복사 전력 전송 시스템 (radiative power transfer systems)은 좁은 빔 전송기(narrow-beam transmitters)에 기초하고, 원거리 필드(far-field)에서 전자기적 복사(electromagnetic radiation)를 활용한다. 비복사 전력 전송 시스템(non-radiative power transfer systems)은 전자기적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에 기초하고, 근거리 필드(near-field)에서 비복사(non-radiative)를 사용한다.
공진 전력 전송(resonance power transfer) 기술이 제안 된 후로, 비복사 전력 전송 시스템(non-radiative power transfer system)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대부분의 알려진 공진기 기반의 장치는 전자기적 공진기 구조에 기초한다.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진기 구조의 경우, 비공진 시스템(non-resonance systems)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사 시스템(radiative systems)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적 공진기(electromagnetic resonator) 구조의 결점은 높은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 Q-factor, Q)를 갖는 작은 사이즈의 민감한(sensitive) 전자기적 공진기의 공정과정이 복잡하다는 점에 있다. 다른 결점은 높은 Q-팩터(Q-factor)와 낮은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적 공진기(electromagnetic resonator)의 생산이 복잡하다는 점에 있다. 전력 전송 과정(power transfer process)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높은 Q-factor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반응하는 제1 장치 및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전기적 파워(electric power)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는(contact with) 제2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는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의(integral solid-state) 기계적 공진기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전기적 파워로 변환하는 변환기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외부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유지할 수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2000보다 큰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갖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페라이트(ferrite)로 만들어질 수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기계적 공진 모드가 동작 주파수(working frequency)에서 수행되는 방식으로 선택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원통(cylinder)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사각형(square)이 교차된 (cross-section) 바(bar)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영구(permanent) 자석에 의하여 바이어스(biased) 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영구(permanent) 자석은 마그네틱 세라믹(magnetic ceramics)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변환기는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electret condenser converter)일 수 있다.
상기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electret condenser converter)는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 및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에 근접하여 고정된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의 부분을 커버하는(covering) 금속화 된(metallized) 표면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도체로써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및 상기 일렉트릿 레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는 프리차지 된(precharged) 콘덴서(condenser)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은 부하(load)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가변 자기장(variable magnetic field)을 생성하는 소스(source) 및 상기 소스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제1 장치 및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전기적 파워(electric power)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치는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의(integral solid-state) 기계적 공진기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전기적 파워로 변환하는 변환기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외부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2000보다 큰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갖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페라이트(ferrite)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기계적 공진 모드가 동작 주파수(working frequency)에서 수행되는 방식으로 선택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원통(cylinder)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사각형(square)이 교차된 (cross-section) 바(bar)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영구(permanent) 자석에 의하여 바이어스(biased) 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영구(permanent) 자석은 마그네틱 세라믹(magnetic ceramics)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변환기는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electret condenser converter)일 수 있다.
상기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는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 및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에 근접하여 고정된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의 부분을 커버하는(covering) 금속화 된(metallized) 표면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의 부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도체로써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및 상기 일렉트릿 레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는 프리차지 된(precharged) 콘덴서(condenser)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은 부하(loa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스는 주파수 f에서,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비복사(non-radiating) 공진 구조를 가지고, 여기서, λ=c/f이고, c는 빛의 속도일 수 있다.
상기 소스는 주파수 f에서,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비복사(non-radiating) 비공진(non-resonant) 구조를 가지고, 여기서, λ=c/f이고, c는 빛의 속도일 수 있다.
상기 소스는 주파수 f에서,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며, 복사(radiating) 구조를 가지고, 여기서, λ=c/f이고, c는 빛의 속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일 측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110) 및 타겟(120)을 포함한다. 소스(110)는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디바이스에는 패드, 단말, TV 등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타겟(120)은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디바이스에는 단말, TV, 자동차, 세탁기, 라디오, 전등 등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소스(110)는 Variable SMPS(111), Power Amplifier(112), 매칭 네트워크(113), 제어부(114) 및 통신부(115)를 포함한다.
Variable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111)는 Power Supply로부터 출력되는 수십 Hz 대역의 AC 전압을 스위칭하여 DC 전압을 생성한다. Variable SMPS(111)는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을 출력하거나 제어부(Tx Control Logic)(114)의 제어에 따라 DC 전압의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Power Detector(116)는 Variable SMPS(111)의 출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및 전압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4)로 전달한다. 또한, Power Detector(116)는 Power Amplifier(112)의 입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Power Amplifier(112)는 수 MHz ~ 수십 MHz 대역의 스위칭 펄스 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를 AC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Power Amplifier(112)는 기준 공진 주파수 FRef를 이용하여 Power Amplifier(112)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용 전력은 0.1~1mWatt의 작은 전력을 의미하고, 충전용 전력은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로드에서 소비되는 1mWatt~200Watt의 큰 전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충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소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는 예를 들어 배터리,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회로, 메인 프로세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준 공진 주파수"는 소스(110)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공진 주파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트래킹 주파수"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조정된 공진 주파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제어부(114)는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에 대한 반사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파에 기초하여 타겟 공진기(133)와 소스 공진기(131) 사이의 미스매칭(mismatching)을 검출한다. 제어부(114)는 반사파의 포락선(envelop)을 검출함으로써, 미스 매칭을 검출하거나 반사파의 전력량을 검출함으로써 미스매칭을 검출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13)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간의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최적의 매칭으로 보상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13)는 캐패시터 또는 인덕터의 조합으로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소스 공진기(131) 또는 Power Amplifier(112)의 출력 전압의 레벨 및 상기 반사파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계산하고,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커지면 상기 미스매칭이 검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커지면 기 설정된 N개의 트래킹 주파수 각각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N개의 트래킹주파수 중 전력 전송 효율이 가장 좋은 트래킹 주파수 FBest를 결정하고, 상기 FRef를 상기 FBest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는 Power Amplifier(112)를 제어함으로써, 타겟(120)에 전송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5)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타겟(120)과 다양한 데이터(140)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반사파를 검출하고, 반사파의 포락선을 통해 타겟(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스위칭 펄스 신호를 온/오프 함으로써,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일정한 포락선을 가지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5)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5)는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5)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타겟(120)과 데이터(140)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31)는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130)를 타겟 공진기(133)로 전달(transferring)한다. 즉, 소스 공진기(131)는 타겟 공진기(133)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타겟(120)으로 전달한다.
타겟(120)은 매칭 네트워크(121), 정류부(122), DC/DC 컨버터(123), 통신부(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기(133)는 소스 공진기(131)로부터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수신한다. 즉, 타겟 공진기(133)는 소스 공진기(131)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소스(110)로부터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수신한다. 또한, 타겟 공진기(133)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소스(11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140)를 수신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21)는 소스(110) 측으로 보이는 입력 임피던스와 부하(Load)측으로 보이는 출력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21)는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122)는 교류 전압을 정류함으로써, DC 전압을 생성한다. 즉, 정류부(122)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된 교류 전압을 정류한다.
DC/DC 컨버터(123)는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Load에서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게 조정한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123)는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3~10Volt로 조정할 수 있다.
Power Detector(127)는 DC/DC 컨버터(123)의 입력단(126)의 전압과 출력단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단(126)의 전압은 소스에서 전달되는 전력의 전송 효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된 출력단의 전류 및 전압은 제어부(Rx Control Logic)(125)가 Load에 전달되는 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스(110)의 제어부(114)는 Load의 필요전력과 Load에 전달되는 전력을 고려하여, 소스(110)에서 전송해야 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124)를 통해 계산된 출력단의 전력이 소스(110)로 전달되면, 소스(110)전송해야 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5)는 타겟 공진기(133)과 정류부(122) 사이의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거나, 정류부(122)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5)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복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5)는 매칭 네트워크(121)를 통하여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를 조정함으로써, 소스(110)에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제어부(125)는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를 증가 시킴으로써, 소스(110)의 제어부(114)에서 반사파가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파의 발생 여부에 따라, 소스(110)의 제어부(114)는 이진수 "0" 또는 "1"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해당 타겟의 제품의 종류", "해당 타겟의 제조사 정보", "해당 타겟의 모델명", "해당 타겟의 Battery type", "해당 타겟의 충전 방식", "해당 타겟의 Load의 임피던스 값", "해당 타겟의 타겟 공진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의 소요되는 전력량", "해당 타겟의 고유의 식별자" 및 "해당 타겟의 제품의 버전 또는 규격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110)의 통신부(11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4)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24)는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소스(110)와 데이터(140)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소스(110)로부터 웨이크-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Power Detector(127)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검출하며, 통신부(124)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를 소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는, "정류부(122)의 입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정류부(122)의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또는 "DC/DC 컨버터(123)의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이다.
도 1에서, 제어부(114)는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의 설정에 따라서, 소스 공진기(131)의 Q-factor(QS)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5)는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할 수 있다.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의 설정에 따라서, 타겟 공진기(133)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은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될 수 있다.
통신을 통해, 소스(110)와 타겟(120)은 소스 공진기(131) 및 타겟 공진기(133) 각각의 공진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타겟(120)으로부터 기준값 보다 높은 전력(High Power)이 요구되는 경우, 소스 공진기(131)의 큐-펙터 QS는 100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타겟(120)으로부터 기준 값 보다 낮은 전력(Low Power)이 요구되는 경우, 소스 공진기(131)의 큐-펙터 QS는 100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서, 공진 대역폭은 중요한 factor이다.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반사 신호 등을 모두 고려한 Q-factor를 Qt라 할 때, Qt는 수학식 1과 같이 공진 대역폭과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0는 중심주파수,
Figure pat00002
는 대역폭,
Figure pat00003
는 공진기 사이의 반사 손실, BWS는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 BWD는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을 나타낸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 U는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4
여기서, K는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결합 계수,
Figure pat00005
는 소스 공진기(131)에서의 반사계수,
Figure pat00006
는 타겟 공진기(133)에서의 반사계수, 는 공진 주파수, M은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RS는 소스 공진기(131)의 임피던스, RD는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 QS는 소스 공진기(131)의 Q-factor, QD는 타겟 공진기(133)의 Q-factor, QK는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Q-factor이다.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Q-factor는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과 관련이 높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Q-factor는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때, QS 와 QD가 각각 지나치게 높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결합 계수 K의 변화,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등에 의하여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각각의 공진 대역폭을 지나치게 좁게(narrow) 설정하면, 외부의 작은 영향에도 임피던스 미스매칭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고려하면, 수학식 1은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8
도 1에서, 소스(110)는 타겟(120)의 웨이크-업을 위한 웨이크 업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신호(configuration signal)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구성 신호(configuration signal)의 수신 감도 값을 포함하는 서치 프레임을 상기 타겟(120)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겟(120)의 조인을 허락하고,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에서 상기 타겟(12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타겟(120)으로 전송하고, 전력 제어를 통해 충전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충전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타겟(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겟(120)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웨이크 업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들 각각의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신호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소스(110)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스(110)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200)는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평면모양의 공진기(210)와 일렉트릿 기반의 에너지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200 -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210 - 평면모양(Plane-shaped)의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의 공진기(magnetostrictive solid-state resonator)
220 -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
230 - 자기장의 방향(Exciting magnetic field)
240, 250 - 얇은 전도 레이어들(Thin conducting layers)
260 -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
270 - 부하(Load)
에너지 변환기는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240, 250) 및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240, 250)에 근접하여 고정된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260)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240, 250) 및 일렉트릿 레이어(260)를 포함하는 구조는 프리차지 된(precharged) 콘덴서(condenser)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300)는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막대 모양(rod-shaped)의 공진기(310)와 일렉트릿 기반의 에너지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300 -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310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solid-state)의 막대 모양(rod-shaped)의 공진기
320 -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
330 - 생성된 자기장(Exciting magnetic field)
340, 350 - 얇은 전도 레이어들(Thin conducting layers)
360 -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
370 - 부하(load)
에너지 변환기는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340, 350) 및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340, 350)에 근접하여 고정된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360)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340, 350) 및 일렉트릿 레이어(360)를 포함하는 구조는 프리차지 된(precharged) 콘덴서(condenser)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410) 및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410 - 가변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을 발생시키는 소스(Source)
420 - 소스(source)(410)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Exciting magnetic field)
430 -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430)의 제1 기능적 부분은 도 2의 영구(permanent) 자석(220)과 함께 배치된 자기변형(magnetostrictive)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solid-state)의 공진기(210)로 표시될 수 있다. 공진기(210)는 높은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Q>2000)를 갖는 자기변형 물질(magnetostrictive material)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변형 페라이트(magnetostrictive ferrite)가 사용될 수 있다. 공진기(210)는 플레이트(plate), 원형(cylindrical) 또는 직사각형의 막대(rectangular rod) 형태일 수 있고, 그 밖에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일 수도 있다. 공진기의 기하학적 형태는 공진기(210)의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 f에서 기계적 공진 모드(mechanical resonance mode)가 수행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차원(in one dimension)에서, 세로방향(longitudinal)의 기계적 공진 모드(mechanical resonance mode)를 위해 공진기의 사이즈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Figure pat00009
과 동일해야 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10
는 음속(sound velocity)이다. 기계적 공진 모드(mechanical resonant mode)는 공진기(210)에 저장된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가 최대인 경우에 에너지 변환을 위한 최적의 방법이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430)의 제1 기능적 부분은 도 2의 영구(permanent) 자석(220)과 함께 배치된 자기변형(magnetostrictive)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solid-state)의 공진기(210)이다. 공진기(210)는 높은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 를 갖는 자기변형 물질(magnetostrictive material)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변형 페라이트(magnetostrictive ferrite)가 그러한 자기변형 물질일 수 있다. 공진기(210)는 플레이트(plate), 원형(cylindrical) 또는 정삼각형(right-angled)의 형태일 수 있고, 그 밖에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일 수도 있다. 공진기의 형태는 공진기(210)의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 f에서 기계적 공진 모드(mechanical resonance mode)가 수행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장된 공진 모드(dilatational mechanical resonance mode)를 위해 공진기의 사이즈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Figure pat00011
과 동일해야 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음속(sound velocity)이다. 상기 기계적 공진 모드(mechanical resonance mode)는 공진기(210)의 기계적 발진(mechanical oscillations)으로 전력이 첨두치(peak)일 때 전력 전송에 최상이다.
공진기(210)는 공진기(210)의 선형(linearize) 동작과 공진기(210)의 필요한 자기변형(magnetostrictive)적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짧은 거리에 위치한 영구(permanent) 자석(220)에 의해 바이어스(biased) 될 수 있다. 영구 자석(220)은 세라믹(ceramic)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영구 자석(220)은 시스템 효율 면에서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공진기(210) 가까이에 놓일 수 있다.
공진기(210)는 외부 가변 자기장(external variable magnet field)(230)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외부 가변 자기장(230)은 자기변형 현상(magnetostriction phenomenon)으로 인하여 공진기(210)에서 기계적 발진(mechanical oscillations)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 f 에서 발진의 크기(amplitude)는 공진기(210)를 구성하는 물질(material)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 Q에 의존한다.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가 클수록 발진 크기(amplitude of oscillations)가 더 커질 수있다. 따라서, 가장 높은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의 보장이 요구된다. 또한, 발진의 크기(amplitude of oscillations)는 공진기(210)를 구성하는 물질(material)의 자기변형 성질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200)를 위해 특별한 자기변형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430)의 제2 기능적 부분은 전력 변환기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렉트릿 기반의 변환기의 사용이 제안된다. 상기 변환기는 두 개의 얇은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240, 250)와 공진기(210) 가까이에 위치하고,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240, 250)에 근접하여 고정된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 레이어(240)는 공진기(210)의 표면의 부분을 커버하는(covering) 금속화 된(metallized) 표면(metallized surface)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공진기(210)의 표면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전도 레이어(250)는 공진기(210)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260)는 프리차지 된 캐패시터(precharged capacitor)도 동작할 수 있다.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260)는 전도 레이어(conductive layer)(25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환기의 결합된 구조는 공진기(210)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가 감소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전도 레이어(conductive layers)(240) 및 전도 레이어(250)가 결합된 공진기(210)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발진(mechanical oscillations)은 캐패시터에서 전압 발진(voltage oscillations)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전도 레이어(conductive layers)(240) 및 전도 레이어(250)는 부하(load)(27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430)는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의 요소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시스템은 가변 자기장(variable magnet fields)을 생성하는 소스(source)(410), 소스(source)(4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자기장(420)의 주파수는 소스 (source)(410)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고,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430)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종류의 소스(410)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변 자기장(420)이 생성될 수 있다.
주파수 f의 비복사(Non-radiative) 공진 구조의 소스(source)(410)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430)로부터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여기서, λ=c/f이고, c는 빛의 속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소스(source)(410)와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430)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 비복사 비공진(Non-radiative non-resonance) 구조의 소스(source)(410)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coil)이 발진기와 연결되고,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λ=c/f이다.
-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430)로부터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고, 주파수 f를 가지는 복사(Radiative) 구조의 소스(source)(410)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λ=c/f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의 핵심 구성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두 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구성에는 공진기와 변환기가 포함될 수 있다. 고체 상태의 공진기(solid-state resonator)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의 방식으로 외부 가변 자기장(variable magnet field)에 의해 동작할 수 있고, 변환기는 공진기의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전기적 파워(electrical power)로 변환할 수 있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현상의 도움으로 전자기적(electromagnetic)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높은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갖는 기계적 고체 상태의 공진기의 사용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케이블(cables) 또는 전선(wires)없이 저전력(low-power) 소형(compact) 장치를 위해 필요한 전력 공급을 허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예를 들면, 생물학적 시스템(biological systems)과 같이 특별히 낮은 주파수(low frequencies)의 사용을 선호하는 영역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 기반 수신기는 높은 Q 팩터(Q>2000)와 작은 사이즈(~1cm)를 가질 수 있고, 낮은 주파수(f<1 MHz)의 응용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은 Q 팩터는 Q가 2000보다 큰 경우일 수 있고, 작은 사이즈는 1센티미터 이하의 경우일 수 있으며, 낮은 주파수는 1메가 헤르츠 보다 작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의 효과는 아래의 내용으로 구성된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의 앞선 설계의 발전 덕분에 이루어진다.
-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의(integral solid-state) 기계적 공진기
- 기계적 공진기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파워(electrical power)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기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자기변형(magnitostriction)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integral solid-state)의 공진기를 기본 구성으로 사용한다. 이때, 공진기는 화합물이 아닌 순수한 고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압전 레이어((piezo-electric layer)는 에너지 변환기(transducer)로 대체될 수 있는데, 에너지 변환기는 공진기의 주변부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공진기와 접촉할 수도 있다. 에너지 변환기는 공진기의 Q 팩터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변환기의 배치 및 사용으로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의 Q 팩터가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의 활성화(activated) 모드에서 상기 고체 상태의 기계적 공진기는 기계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에 매칭(matching)되는 주파수에서, 외부 전자기장에 의해 구동될(drived) 수 있다.
기계적 공진기의 높은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보장하는 변환기의 설계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의 효율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이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의 효율적인 기능을 위해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의 필드(field) 내에 위치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기계적 공진(mechanical resonance)에 기초한 알려진 다른 기술들과 비교해서 높은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기계적 공진기를 포함하고,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현상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사이즈 및 주파수와 무관하게, 높은 Q 팩터(Quality-factor)를 가질 수 있다. 이때, Q 팩터는 약 103에서 104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소형(compact)이면서, 저 주파수(low-frequency)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 및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는 가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고,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의 기계적 공진기
- 기계적 공진기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파워(electrical power)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기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주변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일렉트릿 변환기(electret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렉트릿 변환기는 일렉트릿(electret)에 의하여 프리차지(precharged)된 캐패시터일 수 있다.
기계적 공진기 표면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발진(mechanical oscillations)은 콘덴서 플레이트(condencer plates)에 교류 전압(alternating voltage)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소스(source)에 의해서 발진하는 가변 자기장의 주파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에 매칭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9)

  1.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반응하는 제1 장치; 및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전기적 파워(electric power)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는(contact with) 제2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는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의(integral solid-state) 기계적 공진기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전기적 파워로 변환하는 변환기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외부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하여 동작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유지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2000보다 큰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갖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물질로 만들어진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페라이트(ferrite)로 만들어진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기계적 공진 모드가 동작 주파수(working frequency)에서 수행되는 방식으로 선택된 형태를 갖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원통(cylinder) 형태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사각형(square)이 교차된 (cross-section) 바(bar) 형태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영구(permanent) 자석에 의하여 바이어스(biased) 되어 동작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permanent) 자석은
    마그네틱 세라믹(magnetic ceramics)으로 만들어진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electret condenser converter)인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는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 및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에 근접하여 고정된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
    를 포함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의 부분을 커버하는(covering) 금속화 된(metallized) 표면으로 동작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도체로써 동작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7. 제13 내지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및 상기 일렉트릿 레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는
    프리차지 된(precharged) 콘덴서(condenser)를 구성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은
    부하(load)와 연결된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19. 가변 자기장(variable magnetic field)을 생성하는 소스(source); 및
    상기 소스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는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제1 장치; 및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전기적 파워(electric power)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치는 자기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상태의(integral solid-state) 기계적 공진기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전기적 파워로 변환하는 변환기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외부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하여 동작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유지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2000보다 큰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갖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물질로 만들어진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페라이트(ferrite)로 만들어진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기계적 공진 모드가 동작 주파수(working frequency)에서 수행되는 방식으로 선택된 형태를 갖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원통(cylinder) 형태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사각형(square)이 교차된 (cross-section) 바(bar) 형태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영구(permanent) 자석에 의하여 바이어스(biased) 되어 동작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permanent) 자석은
    마그네틱 세라믹(magnetic ceramics)으로 만들어진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electret condenser converter)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릿 콘덴서 변환기는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conductive layers); 및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에 근접하여 고정된 일렉트릿 레이어(electret layer)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의 부분을 커버하는(covering) 금속화 된(metallized) 표면으로 동작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표면의 부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도체로써 동작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 레이어는
    상기 기계적 공진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5. 제31항 내지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 및 상기 일렉트릿 레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는
    프리차지 된(precharged) 콘덴서(condenser)를 구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도 레이어들은
    부하(load)와 연결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주파수 f에서,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비복사(non-radiating) 공진 구조를 가지고, 여기서, λ=c/f이고, c는 빛의 속도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주파수 f에서,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비복사(non-radiating) 비공진(non-resonant) 구조를 가지고, 여기서, λ=c/f이고, c는 빛의 속도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주파수 f에서, 파장 길이(wave length) λ 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며, 복사(radiating) 구조를 가지고, 여기서, λ=c/f이고, c는 빛의 속도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120083076A 2011-09-13 2012-07-30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5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12,228 US9509179B2 (en) 2011-09-13 2012-09-12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1137641/07A RU2481704C1 (ru) 2011-09-13 2011-09-13 Беспроводной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риемник и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энергии
RU2011137641 2011-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02A true KR20130029002A (ko) 2013-03-21
KR101952593B1 KR101952593B1 (ko) 2019-02-27

Family

ID=4817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76A KR101952593B1 (ko) 2011-09-13 2012-07-30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2593B1 (ko)
RU (1) RU2481704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116A (ko) * 2016-05-30 2017-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4020C1 (ru) 2013-06-19 2014-11-27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зарядки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10186371B2 (en) 2013-07-08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field generation apparatus having planar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339B1 (en) * 1999-03-31 2001-01-02 Methode Electronics, Inc. Rotating signal transducer
US20090079268A1 (en) * 2007-03-02 2009-03-26 Nigel Power, Llc Transmitters and receivers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US20100194206A1 (en) * 2009-02-05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US20100253089A1 (en) * 2002-12-09 2010-10-07 Ferro Solutions, Inc. Energy harvester utilizing external magnetic fiel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3639B (zh) * 2005-07-12 2016-01-27 麻省理工学院 无线非辐射能量传递
DE102007060811A1 (de) * 2007-09-01 2009-03-05 Maquet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rahtlosen Energie- und/oder Datenübertragung zwischen einem Quellgerät und mindestens einem Zielgerät
RU2342761C1 (ru) * 2007-09-07 2008-12-27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наук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ификаци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ГНУ ВИЭСХ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варианты)
US20100015918A1 (en) * 2008-07-18 2010-01-21 Ferro Solutions, Inc. Wireless transfer of information using magneto-electric devices
RU95200U1 (ru) * 2010-01-15 2010-06-10 Олег Николаевич Журавлев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энергии и/или информации для контроля и/или управления удаленными объектами, размещенными в скважин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339B1 (en) * 1999-03-31 2001-01-02 Methode Electronics, Inc. Rotating signal transducer
US20100253089A1 (en) * 2002-12-09 2010-10-07 Ferro Solutions, Inc. Energy harvester utilizing external magnetic field
US20090079268A1 (en) * 2007-03-02 2009-03-26 Nigel Power, Llc Transmitters and receivers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US20100194206A1 (en) * 2009-02-05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116A (ko) * 2016-05-30 2017-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593B1 (ko) 2019-02-27
RU2011137641A (ru) 2013-03-20
RU2481704C1 (ru)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9227B2 (en)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9509179B2 (en)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9812902B2 (en)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1394963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것들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JP5738940B2 (ja) 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のための送信電力制御
JP5855713B2 (ja) 双方向無線電力転送
CN102570629B (zh) 本地计算环境中的无线功率使用
KR101813264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55559B2 (en) Forward link signaling within a wireless power system
US9934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wireless power
KR102098643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0063245A (ja) 非接触給電装置
JP2011523270A5 (ko)
TW201112568A (en) Parasitic device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984822B1 (ko) 무선 전자기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52593B1 (ko)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8760009B2 (en) Wireless power source
KR101952595B1 (ko) 무선 전자기적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40751B1 (ko) 품질 계수가 향상된 평면 나선 인덕션 코일 및 품질 계수가 향상된 평면 나선 인덕션 코일의 설계 방법
KR102040726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