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008A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3008A KR20190123008A KR1020180046645A KR20180046645A KR20190123008A KR 20190123008 A KR20190123008 A KR 20190123008A KR 1020180046645 A KR1020180046645 A KR 1020180046645A KR 20180046645 A KR20180046645 A KR 20180046645A KR 20190123008 A KR20190123008 A KR 20190123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power
- insulating layer
- power transmission
- transmission coil
- c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이 하나의 부품으로 결합된 형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변압기로 동작하는 압전체; 상기 압전체의 상부면에 위치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 상에 위치한 제1절연층; 및 상기 제1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송 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이 하나의 부품으로 결합된 형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시스템은 공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로써, 모바일(Mobile) 기기 및 디지털 가전 기기들에 대한 전력 공급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기술이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실시간 전력 사용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약, 전력 공급의 공간 제약 극복 및 배터리 재충전을 이용한 폐 건전지 배출량 절감 등의 강점을 지닌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현 방법으로써 대표적으로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이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두 개의 코일을 근접시켜 한쪽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 그에 따라 발생한 자속을 매개로 하여 다른 쪽의 코일에도 기전력이 발생하는 비접촉 에너지 전송 기술로써, 수백 khz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파나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 전장 또는 자장만을 이용하는 기술로써 전력 전송이 가능한 거리가 수 미터 이상으로써, 수십 MHz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는 변압기가 이용되는데, 전력 손실을 줄이고 시스템의 소형화를 위해 기존의 권선형 변압기 대신 압전 변압기를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2551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238호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압기로 동작하는 압전체; 상기 압전체의 상부면에 위치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 상에 위치한 제1절연층; 및 상기 제1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압기로 동작하는 원기둥 형상의 압전체; 상기 압전체의 기둥면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코일과 압전 변압기가 단순히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품과 같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이므로, 보다 높은 전력 전송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코일과 압전 변압기가 단순히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품과 같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이므로, 보다 높은 전력 전송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송 코일과 출력 전극 사이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출력 전극 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송 코일과 출력 전극 사이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출력 전극 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자기 공진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압전 변압기(Piezoelectric Transfomer)와 전송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일치할 때 최대 효율로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의 공진 주파수 차이가 커질수록 전송 효율은 낮아진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는 부품의 크기나 소재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작동중에 발생하는 열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최초에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일치하도록 설계되더라도, 전력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의 온도가 서로 달라져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의 공진 주파수 불일치가 발생하여 전력 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이 결합된 형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이 하나의 부품과 같이 결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이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공유한다. 다시 말해, 압전 변압기 및 전송 코일이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하나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또한 전력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또한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이 공유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의 온도 차이가 감소되어 열에 의한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전 변압기와 전송 코일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크지 않은 상태로 무선 전력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높은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압전 공진기와 코일의 구조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압전 변압기(100), 절연층(120) 및 전송 코일(130)을 포함한다.
압전 변압기(100)는 강유전체인 압전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전 효과를 이용해 입가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한다. 도 1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압전 변압기가 일실시예로서 도시되나, 압전 변압기는 원기둥,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 부피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전 변압기의 형상에 따라서, 절연층 및 전송 코일의 형상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압전 변압기(100)의 상부면에 절연층(120)이 위치하며, 절연층(120)의 일면에는 전력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전송 코일(130)이 형성된다. 전송 코일(130)은 절연층의 일면에 수직으로 결합되거나 전송 코일(130)의 일단 및 타단만이 절연층(120)에 결합되지 않으며, 전송 코일(130)은 절연층(120)과 평행한 상태로 절연층(12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일실시예로서 전송 코일(130)은 스파이럴 패턴으로 절연층(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헬리컬 패턴 등과 같은 다른 패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20)은 절연체 또는 유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서 전기 전도도는 낮고 열 전도도는 우수한 세라믹이나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송 코일(130)은 인쇄 회로 기판에 인쇄되는 회로와 같이, 절연층(120)에 인쇄된 코일일 수 있다. 절연층(120)에 먼저 전송 코일(130)이 인쇄된 후, 압전 변압기(100)에 절연층(12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코일과 압전 변압기가 단순히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품과 같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이므로, 보다 높은 전력 전송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전송 코일과 출력 전극 사이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압전체(110), 절연층(120), 전송 코일(130), 제1 및 제2전극층(140, 150), 제1 및 제2출력 전극(160, 170)을 포함한다.
압전체(110)는 변압기로 동작하며, 압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압을 인가받고 변환된 전압을 출력한다. 제1전극층(140) 및 제2전극층(150)은 입력 전극을 포함하며,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다. 제1 및 제2출력 전극(160, 170)은 압전체(110)의 측면에 위치하며, 전송 코일(130)은 제1 및 제2출력 전극(160, 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압전체(110), 제1 및 제2전극층(140, 150), 제1 및 제2출력 전극(160, 170)는 하나의 압전 변압기에 대응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절연층(120)은 관통홀(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통홀(121)을 통해 제1전극층(140)의 입력 전극이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홀(121)의 위치는 제1전극층(140)의 입력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전송 코일(130)의 일단(131) 및 타단(132)은 메탈 라인을 통해 제1 및 제2출력 전극(160, 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전송 코일(130)의 일단(131)과 제1출력 전극(160), 그리고 전송 코일(130)의 타단(132)과 제2출력 전극(170)을 연결하는 메탈 라인이 절연층(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전송 코일(130)의 일단(131)과 제1출력 전극(160)을 연결하는 제1메탈 라인이 절연층(120)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과 달리, 전송 코일(130)의 타단(132)은 절연층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전송 코일(130)의 타단(132)과 제2출력 전극(170)을 제2메탈 라인은 절연층(120) 상에 형성될 수 없으므로, 제2메탈 라인은 절연체에 의해 전송 코일(130)과 분리될 수 있도록 절연층(1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송 코일(130)의 타단은 절연체로 둘러싸인 전선을 통해 제2출력 전극(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전송 코일(130)이 절연층(12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전송 코일은 절연층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형태로 절연층에 인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복수의 출력 전극 쌍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에서 설명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송 코일이 압전 변압기의 일면에만 결합된 것과 달리, 도 4에서는 전송 코일이 압전 변압기의 타면에도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압전체(110), 제1 및 제2절연층(120, 220), 제1 및 제2전송 코일(130, 230), 제1 및 제2전극층(140, 150)을 포함한다.
제2절연층(220)은 제1절연층(120)과 같이 관통홀(221)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절연층(120, 220)의 관통홀을 통해 전원이 제1 및 제2전극층(140, 150)의 입력 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및 제2전송 코일(130, 230)은 동일한 출력 전극에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출력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복수의 출력 전극 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로서 한쌍의 제1 및 제2출력 전극(160, 170)이외 추가적으로 한쌍의 제3 및 제4출력 전극(260, 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송 코일(130)의 일단 및 타단은 제1 및 제2출력 전극(160, 170)에 연결되고, 제2전송 코일(230)의 일단(231) 및 타단(232)은 제3 및 제4출력 전극(260, 2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전송 코일(230)은 제2절연층(220)의 메탈라인을 통해 제3 및 제4출력 전극(260, 270)에 연결되거나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원기둥 형상의 압전체(110), 압전 변압기의 기둥면에 형성된 절연층(620) 및 절연층(620)을 감싸는 전송 코일(6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5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달리,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전송 코일이 압전 변압기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에 결합되지 않고 기둥면에 결합되며, 헬리컬 패턴으로 기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절연층(620)은 곡면인 기둥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절연체나 유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압전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전송 코일(63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출력 전극(660)을 포함하는 제1전극층 및 압전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전송 코일(63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출력 전극(670)을 포함하는 제2전극층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전체(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입력 전극(640, 650) 및 출력 전극(660, 670)이 형성되는데, 입력 전극(640, 650)은 상부면 및 하부면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전극(660, 670)은 입력 전극(640, 650) 주변에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전극(640, 650)과 출력 전극(640, 65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 코일(630)의 일단은 제1출력 전극(660), 전송 코일(630)의 타단은 제2출력 전극(6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전송 코일이 압전 변압기의 측면뿐만 아니라 상부면에도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 코일은 압전 변압기의 하부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전송 코일이 압전 변압기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 변압기로 동작하는 압전체;
상기 압전체의 상부면에 위치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 상에 위치한 제1절연층; 및
상기 제1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송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 코일은
상기 제1절연층에 인쇄된 코일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 코일은
상기 압전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출력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의 중심부에 인접한 상기 제1전송 코일의 일단은,
절연체로 둘러싸인 전선 또는 상기 제1절연층 내부에 포함된 메탈라인을 통해 상기 제1출력 전극과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은 제1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층에 포함된 제1입력 전극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전원과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전극층;
상기 제2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2절연층; 및
상기 제2절연층에 인쇄된 제2전송 코일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층은
제2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극층에 포함된 제2입력 전극은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전원과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송 코일은
서로 다른 출력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변압기로 동작하는 원기둥 형상의 압전체;
상기 압전체의 기둥면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전송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코일은
유연한 재질의 상기 절연층에 인쇄된 코일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송 코일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층; 및
상기 압전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송 코일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층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645A KR102133634B1 (ko) | 2018-04-23 | 2018-04-23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645A KR102133634B1 (ko) | 2018-04-23 | 2018-04-23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3008A true KR20190123008A (ko) | 2019-10-31 |
KR102133634B1 KR102133634B1 (ko) | 2020-07-13 |
Family
ID=6842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645A KR102133634B1 (ko) | 2018-04-23 | 2018-04-23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363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35006A (ja) * | 2009-12-25 | 2011-07-07 | Canon Inc | 発振素子 |
KR20170135116A (ko) * | 2016-05-30 | 2017-12-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
2018
- 2018-04-23 KR KR1020180046645A patent/KR102133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35006A (ja) * | 2009-12-25 | 2011-07-07 | Canon Inc | 発振素子 |
KR20170135116A (ko) * | 2016-05-30 | 2017-12-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공진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3634B1 (ko) | 2020-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5256B1 (ko)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 |
CN118413013A (zh) | 传输组件、通用无线充电装置和传输电力的方法 | |
US9413196B2 (en) | Wireless power transfer | |
CN105229756A (zh) | 线圈印刷电路板、受电模块、电池单元及受电通信模块 | |
CN104350664A (zh) | 用于无线分配电力的系统 | |
DE60326849D1 (de) | Planarer resonator zur drahtlosen energieübertragung | |
CN102386684A (zh) | 电子部件、馈电设备、电力接收设备和无线馈电系统 | |
JP2008136311A (ja) | 複合平面コイル | |
JP2006245591A (ja) | 3dBカプラ | |
JP2010063324A (ja) | 誘導電力伝送回路 | |
KR20180019532A (ko) | 무선 전기장/자기장 전력 전달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 |
JP5354874B2 (ja) | 誘導電力給電システム | |
CN107017704A (zh) | 一种线圈嵌入式绝缘子为中继的无线电能传输装置 | |
KR101167382B1 (ko) | 무선 에너지 전송 구조체 | |
KR101369415B1 (ko) | 무선전력 전송용 송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시스템 | |
KR102133634B1 (ko)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
RU2490785C1 (ru) | Метаматериальная резонансная структура | |
CN109037921B (zh) | 便携终端用无线充电天线 | |
KR20160050445A (ko) | 무선충전장치 | |
JP2016004990A (ja) | 共振器 | |
JP2019087592A (ja) |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共振器、ワイヤレス送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 |
JP6215969B2 (ja) |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送電装置と受電装置 | |
US11303153B2 (en) | Wireless charging pad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
CN110429918B (zh) | 一种变压器、电容和电感接合形成串联谐振的结构 | |
KR102521855B1 (ko) | 무선 충전 패드 및 무선 충전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