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746A -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천연 물질의 조합, 및 이의 화장품 응용에의 용도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천연 물질의 조합, 및 이의 화장품 응용에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746A
KR20170134746A KR1020177032677A KR20177032677A KR20170134746A KR 20170134746 A KR20170134746 A KR 20170134746A KR 1020177032677 A KR1020177032677 A KR 1020177032677A KR 20177032677 A KR20177032677 A KR 20177032677A KR 20170134746 A KR20170134746 A KR 20170134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ster
salt
vesicles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츠 베버
로버트 레너트
Original Assignee
온토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토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온토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3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8Commiphora, e.g. mecca myrrh or balm of Gil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besity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천연물질들의 조합 및 이들의 화장품 응용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한다.
본 발명은 특히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 (특히 국소적으로 적용)에 관련한 것이다. 소포들은 바람직하게는 크림, 로션 또는 젤에 첨가되며, 결과로 얻어지는 크림, 로션 또는 젤은 피부의 화장품적으로 및/또는 피부학적인 치료 및/또는 셀룰라이트의 출현 및/또는 노화되는 피부를 예방하거나 및/또는 예를 들면 지방종(lipomas) 및 다른 비-특이성 피하 지방 침착 (non-specific subcutaneous fat deposits)과 같은 피하 지방 또는 각질 조직의 변화를 치료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얼굴과 목 부분에 있는 지방체, 예를 들면 누낭 (lachrymal sacs)등과 같은, 질병에 의한 원인이 아닌 지방체들 (fat pad)을 위축 또는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천연 물질 조합 및 이의 화장품 응용에서의 용도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glycyrrhetinic acid)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guggulsterone)을 포함하는 소포 (vesicles, 베지클)(특히 국소 적용)와 관련된다. 이 소포는 바람직하게는 크림, 로션 또는 젤(gel)에 첨가되고, 결과로 얻어지는 크림, 로션 또는 젤은 화장품 및/또는 피부에 피부과학적인 치료 및/또는 셀룰라이트 출현 예방 및/또는 노화피부의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 크림, 로션 또는 젤은 더 나아가, 예를 들어 피부 케어 제품으로서 크림, 로션 또는 젤의 효과, 저장 기간, 냄새 등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물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glycyrrhetinic acid)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guggulsterone)을 포함하는 활성 구성 성분의 조합을 가진 소포 포뮬레이션(vesicular formulation) 형성은 충분한 피부 침투 및 그러므로 바람직한 화장품 및/또는 셀룰라이트 및/또는 노화 피부과학적인 효과를 확실하게 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face mask) (예를 들어 노화 방지 페이스 마스크)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갖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석고(plaster) 또는 패치 (patch)((예를 들어 이중턱(double chin), 지방종 (lipom), 등의 치료를 위한))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plaster) 또는 패치 (patch)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갖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를 포함한다.
셀룰라이트 출현 또는 피부의 노화의 효과적인 화장적 및/또는 피부과학적인 치료 및/또는 예방은 만족할 만하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계속적인 문제로 남아 있다. 특히 셀룰라이트는 피하의 지방 저장과 연관되어 여성의 결합 조직의 특징적인 구조로부터 주로 야기되는 것으로 80% 이상의 모든 여자에서 화장적인 및 인식의 문제이다. 예를 들어 유전적으로나, 나이와 관련되거나, 몸무게의 증가 또는 임신의 결과가 원인이 되어 결합조직이 약해지는 결과에 따라, 피하의 지방 침착은, 특히 지방 저장이 많은 곳에서는, 피분 표면이 특징적으로 고르지 않는 "오렌지 껍질" 같이 보이게 한다. 셀룰라이트를 치료하는 한 가능한 방법은 피부 및 피하의 지방층의 모양을 잡는 것이다, 즉 말하자면 지방세포 분화 억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를 증가시켜 이미 존재하는 지방 침착 파괴 및 지방세포에서 세포사멸 유도, 뿐만 아니라 지방조직의 항상성을 촉진 시켜 과량의 지방저장을 줄이는 것이다.
이런 목적의 조성물 위해, 특히 크림, 로션 또는 젤의 국소 제제로, 수많은 많은 조성물이 서술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활성 원리는 천연 물질 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물 추출물들의 조합이다:
- 담쟁이(ivy), 은행 (gingko), 및 호스테일 (horsetail) 추출물의 조합
- 녹색 커피, 코코아, 해초(seaweed)(Fucus vesiculosusOdontella aurita), 또한 드링크로서
- 연 추출물(lotus extract) 및 카르니틴(carnitine) 의 조합 (Beiersdorf, Hamburg)
- 코코아 폴리페놀 (cocoa polyphenols), 야콘(yacon)잎 추출물(Nuxe, Paris)
- 노랑 뿔-양귀비 (yellow horned-poppy) 추출물과 함께인 브라질 미모사 (Brazilian mimosa)
많은 경우, 치료는, 공급자의 지시에 따라, 예를 들어 포장, 마사지 또는 승마까지에 의해서 지원되어야 한다. 임상적 관찰은 매우 적은 수의 케이스에서만, 예를 들어, Nuxe (Paris)로부터의 10개의 필수 오일의(깔깔이 국화 (strawflower), 삼나무 (cedar), 자몽(grapefruit) 등)) 조합 에서만 서술된다,
피부과학적인 감시하에서 하루에 2번씩 적용한 3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임상 연구에서, 참여자들에서 배의 벨트가 감소 되는 것이 관찰 되고 33%의 참여자들에서 엉덩이 크기가 평균 1.5 cm까지 감소 하였다(Nuxe, Paris).
그러나 셀룰라이트는 특히 윗 넓적다리에 영향을 주므로, 윗 넓적다리의 둘레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흥미 있는 일이었을 것이다. 18명 (9 치료/9 플라시보) 여성의 윗 넓적다리의 둘레에 대한 이중-맹시험 연구에서, 9명의 여성에게 국소적으로 적용된 2.5%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크림을 (시장에서는 Minus Adip® cream으로)사용하였다; 윗 넓적다리에의 표피 상의 지방층의 두께는 조금 감소했으나, 윗 넓적다리의 둘레는 거의 감소 되지 않았다(Armanini D. et al., Steroids 2005, 70, 538-542).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얻을 수 있고 검사된 모든 조성물들은 이들의 항-셀룰라이트 활성과 관련하여서는 검사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서술되었다 (Stiftung Warentest, Issue 5, 2009), 이는 많은 경우 활성 성분들이 피부 장벽- 특히 피부 각질층 (stratum corneum) 을 통해 침투가 불충분한 것과 더불어 사용된 천연 물질들의 생물학적 활성이 낮기 때문인 것에 기인한다 (적어도 위험성이 없는 용량에서).
다른 조성물들에서 피부과학적으로 검사된 활성도는 증가 되었으나, 이들은 안전하지 않다, 왜냐하면 예를 들면 Erlacos로 부터의 콰드롤롤 (Quadrollol®)(Q-L®) (Erlangen)의 예상되는 부작용 때문이다, 콰드롤롤 (Quadrollol®)(Q-L®)은, 소위 말하는 식물 스테롤(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에스테르화된 테스토스테론 유도체인, ER1446 ((17β-O-아세틸-4-하이드록시-안드로스텐-3-언(17β-O-acetyl-4-hydroxy-androsten-3-one))의 이 중 복합체로서 구성된 것으로, 이는 또한 동화작용 성질을 가지고 있어 안드로겐 (남성홀몬) 성질을 가지며, 이는 여성에서 셀룰라이트 치료에 효과적 일수는 있으나, 예상되는 안드로겐 부작용들 때문에 바람직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WO 2010/121814 (L. Weber and T. Wilckens)에서는, 예를 들어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18β-glycyrrhetinic acid) 와 같은 11βHSD1 억제제, 및 예를 들어 Z-구굴스테론 (Z-guggulsterone)과 같은 미네랄 코티코이드 수용체 (mineral corticoid receptor) 억제제를, 예를 들어 종양을 비롯한 셀룰라이트와 같은 여러 다양한 질병 치료에 약학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그 특허 출원에서는, 청구된 조합의 약학적 제제는, 타블렛, 주사, 좌약 또는 국소 제제로서의 어떤 예로도 시행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사용할만한 용량도 제시되지 않았다. 독성학적인 조사에서 18-글리시레티닉 애시드 (18β-glycyrrhetinic acid) 가 글리시리진(glycyrrhizine)의 형태로서 경구로 또는 다른 전체 루트로 보통 사람에게 매일 약 16mg의 용량까지 만으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R.A. Isbrucker, G.A. Burdock,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2006, 46, 167-192). 그러나 이 전신적인 최대 용량은 셀룰라이트 및/또는 노화 피부의 효과적인 치료에 필요한 농도가 피부에 축적되기에는 너무 낮다. 더 나아가, 30 mg/1일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전신적으로 투여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 왜냐하면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제제, 에퀴스테롤(Equisterol)의 한 케이스에서 간염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Grieco A. et al., Journal of Hepatology 2009, 50(6), 1273-127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견딜만한 제제 (특히 예를 들어, 크림, 로션 또는 젤과 같은 국소 적용을 위한)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특히 피부의 지방층의 모양을 만들게 함으로서 화장적인 및/또는 피부과학적인 치료 및/또는 노화 피부 또는 셀룰라이트 출현 예방을 지금까지 보다는 좀 더 효과적이게 하는 것이다.
셀룰라이트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들을 더 깊은 피부층의 활성 부위까지 운반시키기 위해, 국소 적용일 경우 피부 상층 ((각질층(stratum corneum), 표피(epidermis), 피부 (dermis)),을 효율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첫 번째로 필요하며, 이는 대부분의 천연 물질들일 경우 특히 각질층의 자연적인 장벽 기능 때문에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이다. 침투되어야 할 상층 피부층의 특별한 성질 때문에, 활성 성분들은 전통적이며 알려진 화장품학적 및 국소 제제, 예를 들어 전형적인 크림 (Minus Adip®, Newfields, Paris)으로는, 더 깊은 피부층으로 전형적으로 운반되지 않으며, 침투 깊이는 단지 10 μm 까지 만이다 (Elias, P.M., Friends, D.S., J. Cell Biol . 1975, 20, 1-19).
셀룰라이트를 치료 가능하게 할 각질층을 통과시키는 수많은 방법이, 예를 들어 이온이동 (ionophoresis), 전기화학적 방법 (electrochemical methods), 라디오파 (radiowaves), 초음파(ultrasound) 또는 미세침(microneedles)의 사용이, 전문가들에게는 알려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특히 헬스케어 클리닉이 아닌 곳에서 수행 된다면, 매일 사용으로 수행하기는 쉽지 않으며, 그러므로 여기 특히 매일 사용이 필요한 곳에서는 적절하지 않다. 다른 가능성은 DMSO, 프로필렌 글라이콜 (propylene glycol) 또는 우레아 (urea)와 같은 침투 증강제들의 사용이다.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 둘 다 실제로 DMSO 와 함께 더 깊은 피부층으로 침투될 수 있다, 그러나 DMSO의 알려진 부작용 때문에 DMSO를 침투 증강제로서 정규적/매일 사용은 권고할만하지 않다 (negative decision of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n DMSO, 16th June 2006 를 보시오). DMSO 와는 달리, 우레아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단독으로는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구굴스테론의 침투 증강제로서 충분한 활성을 보이지는 않는다.
피부 침투를 개선 시키는 다른 방법들은 활성 성분들을, 예를 들어, 소위 말하는 레시틴(lecithin) 또는 이의 주 구성 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의 리포좀(liposomes)에 근거한, 지방 캡슐에 싸는 제제를 추천한다 (Artmann C. et al., Arzneimittelforschung 1990, 40 (12): 1365-1368; Blume G., Skin Delivery Systems 2008, ed. J.W. Wiechers, Allured Publishing Corp. USA, 269-282). 계란의 레시틴을 사용하여 생산된 리포좀은 그 크기가 약 200nm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러한 리포좀에 캡슐화된 글리시레티닉 애시드는 더 깊은 피부층으로 수송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층 피부층에서는 항-염증 효과는 달성되었다.
피부 활성 성분의 수송에 원칙적으로 또한 적절한 것은 소위 말하는 트란스퍼좀(transfersomes)이며, 이는 지방 성분과, 표면-활성 물질, 예를 들면, 트윈 80 (Tween 80), 과 조합한 것으로 매우 유연한 소포를 만들며, 이를 제제화하여 예를 들면 크림으로 적용하였을 때, 포함된 성분을 더 깊은 피부층으로 수송시킬 수 있다 (Lampen P. et al., J. Cosmet . Sci . 2003, 54: 119-131; Zhang Y.-T. et al., Int. J. Pharm . 2014, 471: 449-452; Li C. et al., Int . J. Nanomed . 2013, 8: 1285-1292; Badran M. et al., Scientific World Journal 2012, Art.ID: 134876; Cevc G. et al., Adv . Drug Deliv . Rev. 1996, 18: 349-378). 비슷하게 매우 큰 분자까지도, 예를 들면, 단백질 인슐린도, 트란스퍼좀에 의해 경피로(transdermally) 수송되어 피부를 거쳐 전신 혈류로 수송되었고 따라서 의미 있는 전신적인 효과를, 인슐린인 경우 혈중 포도당의 수준을 감소를,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보였다 (Cevc G. et al., Biochim . Biophys . Acta 1998, 1368: 201-215).
이 발견에 근거하여,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의 조합을 위한 수송 소포로서 트랜스퍼좀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트란스퍼좀의 타겟 부위가 치료할 피부층에만 국한될 수 있는 것은 거의 아니며 어떤 전신적인 부작용을 배제시키기 위해 피부에 적용되어야 할 활성성분의 조합을 어떤 전신적으로 투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통적인 리포좀을 좀 더 수정한 것은 소위 말하는 에토좀(ethosomes)으로, 이는 원칙적으로, 피부 활성 성분을 수송하는데 또한 적절하다. 에토좀은 일반적으로 1-5% 포스파티딜콜린/레시틴 (phosphatidylcholine/lecithin) 및 20-50% 에탄올을 포함한다. 이들이 피부를 잘 침투하는 작용은 특히 고농도의 에탄올 함량의 침투-증강 작용에 근거한다. ((Romero E.L. et al., Int . J. Nanomed . 2013, 8: 3171-3181; Touitou E. et al., J. Contr . Rel . 2000, 65: 403-418). 그러나 에토좀에 대한 피부의 내성은 매우 논란이 많다. 고농도의 에탄올은 방어적인 지방층인 각질층(stratum corneum)의 용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러므로 피부 경피의 습기의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다 (Blume G., Skin Delivery Systems 2008, ed. J.W. Wiechers, Allured Publishing Corp. USA, 269-282). 그러므로 에토좀은 매일 사용하는 데는, 특히 윗 넓적다리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추가로, 고농도의 에탄올 함량은 기분 좋은 감각적 성질 (예 냄새)을 가진 크림, 로션 또는 젤로서 쉽게 제제화될 수 없다. 그러므로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의 조합을 위한 수송 소포로서 에토좀의 사용은 바람직 하지 않다.
놀랍게도,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지질 유화제(lipidic emulsifier), 장쇄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이트)의 모노에스터 및 선택적으로 식물 오일에 근거한 소포들이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의 활성 성분의 조합을 캡슐로 싸는데 적절하다는 것이 지금 발견되었다. 이 제제는 레시틴-함유 리포좀 보다 더 높은 팩킹 비율을 가지고도 지질친화성뿐만 아니라 또한 친수성 물질도 캡슐로 싸이게 한다.
놀랍게도 또한,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의 활성 성분의 조합을 가진 소포(vesicles)들은 만약 이들이 포스파티딜콜린((바람직하게는 콩 레시틴 (soy lecithin)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 (sunflower lecithin))에 기반했다면 더 깊은 피부층으로의 수송에 적합하다. 계란 레시틴에 비해, 콩 및 해바라기 레시틴, 또는 특히 콩 및 해바라기 포스파티딜콜린, 은 불포화지방산, 예를 들어 이중불포화 리노레익 애시드 (diunsaturated linoleic acid), 의 함량이 특별히 높아 구별이 된다. 놀랍게도, 더 나아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고 35℃ 아래에서 상의 전환성 (phase transition)을 가진 포스파티딜콜린은 활성 성분 조합을 더 깊은 피부층으로 수송하는데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한 지방산들은 특히 리노레익 애시드 (linoleic acid), 알파-리노레닉 애시드 (alpha-linolenic acid), 팔미토올레익 애시드 (palmitoleic acid) 또는 올레익 애시드 (oleic acid)이다.
더 나아가, 포스파티딜콜린 함량이 80 중량부 이상인 (≥80%) 소포는 특히 활성 성분 조합을 놀랍게도 효과적으로 각질층 (stratum corneum)을 통과하여 수송시키고 뿐만아니라 상층 피부층을 통해 피하 지방조직으로 수송되게 한다.
소포에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와 구굴스테론을 본 발명에 따라 조합시키면 놀랍게도,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구굴스테론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특히 셀룰라이트의 치료 및/또는 예방의 관점에서 상당히 개선된 활성 프로화일을 보인다. 이두 천연물질은 조합이되면 놀랍게도 상승적으로 증강 효과를 보여준다.
구굴스테론은 글리시레티닉 애시드보다 성숙하는 지방세포에서 지질(lipid) 저장을 아주 더 잘 억제한다(표 1 참조). 놀랍게도, 구굴스테론은 또한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와 조합하여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지방세포 사멸 유도 및 따라서 지방조직에서 지방세포를 감소시키는 양성적 효과를 상승적으로 증강 시킨다 (도 1 및 2 참조). 더 나아가, 구굴스테론은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와 조합하여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지방분해 작용을 놀랍게도 증강 시킨다. 이는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유도체와 구굴스테론 유도체의 조합은 성숙하고 있는 지방세포 및 성숙한 지방세포의 지방 함량 및 지방세포 자체의 수 둘 다를 이 두 천연물 중 하나가 그 자체로 할 수 있는 것보다 상당히 더 효율적으로 놀랍게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크림, 로션 또는 젤에서와같이 국소 적용에 물에 근거한 제제로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 둘 다의 사용 및 효과는 이 두 천연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아 현존하는 기존 분야 (current prior art)에 의하면 제한적이다.
현존하는 기존 분야에서 특히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앞의 적용이 더 나아가 불리한 점은 기존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함유하는 피부관리 제품들이, 예를 들어, 피부의 특별한 장벽 기능과 더불어 이들의 수용성이 낮기 때문에, 침투력이 불 충분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소포에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을 캡슐로 쌈으로써, 놀랍게도, 이들을 국소로 적용을 위한 수용성 제제에서 보기에도 효과 있는 충분한 농도로 병합시키는 것이 쉽게 가능하며, 그래서 현존하는 사전 기술에 따라 수용성이 좋지 않아 국소 침투력이 불충분한 아주 결정적인 단점이 개선된다.
본 발명은 그중에서도, 예를 들어, 크림, 로션 또는 젤과 같은 국소 제제 (포뮬레이션)를 제공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포 (특히 국소 적용을 위한)에 관련된 것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glycyrrhetinic acid)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ester);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guggulsterone); 및
c) 다음 중 하나: c1)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또는 c2)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emulsifier) 및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fatty acid)의 모노에스터.
본 발명은 특별히 다음을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c) 포스파티딜콜린 (바람직하게는 콩 레시틴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으로부터 얻은포스파티딜콜린)
본 발명은 특별히 다음을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c)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특별히 다음을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c) 포스파티딜콜린 (바람직하게는 콩 레시틴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으로부터 얻은포스파티딜콜린).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특별히 다음을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c)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emulsifier) 및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fatty acid)의 모노에스터.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식물 오일(plant oil) (vegetable oil)을 더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되며, 이 식물오일은 예를 들어, 해바라기 오일 (Helianthus annuus), 유채오일(rape oil) (Brassica napus), 또는 콩 오일((Glycine max)과 같은 식용식물의 씨의 오일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18α-글리시레티닉 애시드 (18α-glycyrrhetinic acid) 및/또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18β-glycyrrhetinic acid )로부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들의 염 (들) 또는 에스터 (들)로 부터 선택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은 (Z)-구굴스테론 및/또는 (E)-구굴스테론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는 감초 (Glycyrrhiza glabra)의 형태 또는 감초 (Glycyrrhiza glabra)로부터 얻은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및/또는 순수한 화학물질의 형태 및/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의 형태로 사용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은 구굴 지질 (guggul lipid)의 형태 또는 구굴 지질의 추출물 형태 및/또는 순수한 화학물질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소포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라멜라(unilamellar)이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의 포스파티딜콜린은 콩 레시틴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으로부처 유래한다.
더 나아가, 포스파티딜콜린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불포화지방산, 예를 들어, 리노레익 애시드, 올레익 애시드 또는 알파-리노레익 애시드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소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중량부의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한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는 입자 크기 20-200nm, 바람직하게는 50-100 nm를 가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소포는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다중분산성 인덱스 (polydispersity index) 0.25 미만을 가진다.
본 발명의 따른 소포 (vesicles)가 크림, 로션 또는 젤로서 제제화되기 전에,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PC 필터 멤브레인을(바람직하게는 구멍 크기가 200nm 이하를 가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의 구멍크기를 가진) 통해 압출성형 (extruded)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이나 필터를 (바람직하게는 구멍 크기가 200nm 이하를 가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의 구멍크기를 가진) 사용하는 투석(dialysis) 또는 젤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세파덱스 G75 (Sephadex G75))와 같은 이 분야 전문가에게는 알려진 다른 표준 방법으로 처리하여 해당하는 지방 소포의 크기 제한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는 또한 단지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만을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또는 구굴스테론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러나, 최종 제제에는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하는 소포 및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 둘 다를 바람직하게는 2:1 에서 1:2 (특히 1:1)의 비율로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 된다.
한 예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및
c) 다음 중 하나: c1)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c2)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적어 도 하나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및
B)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d) 다음 중 하나: d1)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d2)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적어 도 하나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0.1-0.5 중량부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특히 18-β 글리시레티닉 애시드(18β-glycyrrhetinic acid));
0.1-0.5 중량부의 구굴스테인 ((특히 (Z-구굴스테인)(Z)-guggulsterone)); 및
0.5-3 중량부의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특히 콜레스테롤, 소듐 콜레이트 및/또는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0 중량부의 바람직하게는 콩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으로부터 얻은 포스파디딜콜린.
더 나아가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15-20% (v/v) 식용 식물의 씨 오일(seed oil)((예를 들어 해바리기 씨 오일(Helianthus annuus)));
2.5-10% (w/v)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유화제 (emulsifiers) ((예를 들어Imwitor®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에이트/올레이트)(glyceryl citrate/lactate/linoleate/oleate); Cremer Oleo GmbH, Hamburg));
2.5-5% (w/v)의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2-올레에이트):
10-20% (v/v) 에탄올;
0.1-10% (w/v)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0.1-10% (w/v) (Z)-구굴스테론;
물로 100% 채운다 (바람직하게는 aqua bidest.).
더 나아가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7-17.5% (w/v)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유화제 (emulsifiers) ((예를 들어Imwitor®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에이트/올레이트); Cremer Oleo GmbH, Hamburg));
3-7.5% (w/v)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
10-20% (v/v) 에탄올;
0.1-10% (w/v)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0.1-10% (w/v) (Z)-구굴스테론;
물로 100% 채운다 (바람직하게는 aqua bidest.).
바람직한 예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 지질 유화제,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및 식물 오일에 기반하고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소포는 또한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Z)-구굴스테론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러나, 최종 제제에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하는 소포 및 (Z)-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 둘 다를 바람직하게는 2:1 에서 1:2 (특히 1:1)의 비율로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된다.
더 나아가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0 - 5% (w/w)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0 - 5% (w/w) 구굴스테론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5 - 25% (w/w) 절대 에탄올 (abs. ethanol)
1 - 30% (w/w)에틸 오레에이트
0 - 30% (w/w) 식물 오일 (예를 들어, 해바라기 오일, 콩 오일, 유채오일)
0.5 - 5% (w/w) 디글리세릴 모노오레이트 (diglyceryl monooleate)
0 - 5% (w/w) Imwitor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에이트/올레이트)
정제수로 100% 채움;
여기서 소포는 적어도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또는 구굴스테론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한 예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 지질 유화제 및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에 근거하고 활성 성분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포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소포는 또한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Z)-구굴스테론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러나, 최종 제제에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를 포함하는 소포 및 (Z)-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 둘 다를 바람직하게는 2:1 에서 1:2 (특히 1:1)의 비율로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된다.
더 나아가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된다:
0 - 5% (w/w)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0 - 5% (w/w) 구굴스테론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5 - 25% (w/w) 절대 에탄올 (abs. ethanol)
1 - 10% (w/w)에틸 오레에이트
5 - 25% (w/w) Imwitor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에이트/올레이트)
정제수로 100% 채움;
여기서 소포는 적어도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또는 구굴스테론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한 예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합성 세틸 팔미테이트 (cetyl palmitate), 식물 오일 ((예를 들어, 조조바 오일 (jojoba oil), 해바라기 씨 오일, 콩 오이르 유채 오일)), 표면-활성 메이트릭스 안정제로서 식물 폴리삭카라이드 코몰리머 (plant polysaccharide copolymer), 또는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이눌린(inulin), Inutec® SP1, 마이크로크리스탈 셀루로오즈 (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Avicel PH105, 등)) 및 스테아릭 애시드-기반한 유화제 (예를 들어, TEGO® Care PS, TEGO® Care PSC-3, TEGO® Care 450, 등)에 근거하고 활성 성분조합으로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에 관련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소포들은 또한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만 또는 (Z)-구굴스테론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러나, 최종 제제에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를 포함하는 소포들 및 (Z)-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들 둘 다를 바람직하게는 2:1 에서 1:2 (특히 1:1)의 비율로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들에 관련된다:
0 - 5% (w/w)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0 - 5% (w/w) 구굴스테론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10 - 15% (w/w) 조조바 오일 (jojoba oil)
15 - 25% (w/w) 세틸 팔마테이트(cetyl palmitate)
0.2 - 1.0% (w/w) Inutec® SP1
1 - 3% (w/w) TEGO® Care PS
정제수로 100% 채움;
여기서 소포들은 적어도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또는 구굴스테론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포들은 바람직하게는 크림, 로션 또는 젤로서 제조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크림, 로션 또는 젤은 활성 성분의 조합으로 전체 크림, 로션 또는 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 10% (w/w), 바람직하게는 0.1 - 5% (w/w), 양의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셀룰라이트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크림, 로션 또는 젤의 생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의 사용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노화되어가는 피부의 출현을 치료 및/예방을 위한 크림, 로션 또는 젤의 생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의 사용과 관련된다.
크림, 로션 또는 젤에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의 사용은 놀랍게도 더 깊은 피하 피부층에 활성성분 조합을 효과적으로 소포수송을 하게 하여, 거기서 피하 지방 침착에서 성숙되어 가는 및 성숙 된 지방세포에 대한 직접적이고 정량될 수 있는 활성이 놀랍게도 달성된다. 더 나아가, 놀랍게도, 본 발명을 통해 피부 및 피하의 지방 조직에 있는 지방세포의 수를 오래 지속 되는 형식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 지방생성 억제 및 성숙된 지방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결과로서- 이는 피부의 모습 및 탄력성을 개선하게 하며 그러므로 셀룰라이트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오렌지 껍질 (orange peel)" 을 조이게 함)) 특별한 관심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로션 또는 젤의 사용은 추가로 피부 수분의 균형을 증강 시키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은 바람직하게는 지질 수송 소포(lipidic transport vesicles)들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소포(vesicle)라는 용어는 특히 구형 또는 둥근 모양에서 타원형모양 (특히 양친매성 지질)의 지질 및/또는 수성 매체에 있는 유화제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따른 소포는 특히 멤브레인 껍질(shell) 또는 이들의 내강(lumen)에 있는 지질친화성, 소수성, 및/또는 양친매성 화합물들을 흡수할 수 있다. 멤브레인 껍질은 지질 이중 층 또는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 층 내강 또는 식물성 오일 또는 이 둘 다로 구성된 내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식품첨가물 군으로부터의 유화제들은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하이드록시(polyhydroxy) 화합물(들)의 에스터 또는 에스터의 혼합물들이며 (글리세롤, 펜토즈, 헥소즈, 또는 폴리삭카라이드와 같은), 이들은 각 경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들)(올레익 애시드, 리놀레익 에시드, 또는 알파-리놀레익 에시드와 같은)를 가지며 및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쇄 (C2-6) 유기산 ((특히 탄소 원자 2 에서 6개를 가지고 및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H 그룹(들) 또는 아세틸 그룹(들)으로 치환된, 예를 들면, 아세틱 애시드, 락틱 애시드, 시트릭 애시드, 타르타릭 애시트 또는 디아세틸 타르타릭 애시드와 같은 모노-, 디-, 트리-애시드)) 을 가진다. 예들로는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di-glycerides) 또는 슈가 지방산 (sugar fatty acid)에스터 또는 슈가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이 둘의 해당하는 혼합물이다. 슈가 글리세라이드의 예들에는 슈크로즈 글리세라이드는 물론, 상기 언급된 에스터들의 혼합물이 있다. 특별히 선호하는 것은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에스터 및 에스터 혼합물이다.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바람직한 유화제들에는 예를 들어 EU regulation no. 1130/2011 11th November 2011 에서 또는 Liste des aid infodienstes e.V. (as at March 2014) 에서 공시된 대로 식품첨가제 E471에서 E477 (E471, E472a, E472b, E472c, E472d, E472e, E472f, E473, E474, E475, E476 및 E477) 까지 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장쇄지방산(long-chained fatty acid)은 바람직하게 탄소 원자 12 에서 24를 가고 0 에서 6개의 이중결합을 가진 불포화 지방산이다.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에탄올, 글리세롤, 펜토즈, 헥소즈, 또는 폴리삭카라이드와 같은 모노- 또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을 가진 장쇄지방산의 에스터이다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의 예들에는 슈크로즈 올레에이트(sucrose oleate), 트레할로즈 이소스테아레이트(trehalose isostearate),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glyceryl monooleate), 디글리세릴 올레에이트 (diglyceryl oleate), 폴리글리세릴-2 올레에이트 (polyglyceryl-2 oleate), 폴리글리세릴-4 올레에이트 (polyglyceryl-4 oleate), 프로필렌 글리콜 올레에이트 (propylene glycol oleate), 에틸 올레에이트 (ethyl oleate) 또는 리노레익 애시드 (linoleic acid), 알파-리노레익 애시드 (alpha-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 애시드 (eicosapentaenoic acid) 또는 스테아릭 애시드 (stearic acid)의 해당 에스터들이다. 특히 선호하는 것은 올레익 애시드, 리노레익 애시드 알파-리노레익 애시드 또는 에이코사펜타에노익 애시드와 같은 불포화 장쇄 지방산의 에틸 및 폴리글리세릴 에스터들이다.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안정화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레시틴이라는 용어는 특히,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s),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s), 포스파디딜세린 (phosphatidylserines), 포스파디딜이노시톨 (phosphatidylinositols), 스핑고콜린 (sphingocholines) 및 글라이코리피드(glycolipids)와 같은 천연 식물 소스로부터 얻은 포스포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을 의미하며, 포스포글리세라이드의 % 조성 및 성질과 에스테르화 된 지방산의 % 조성은 식물 소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포스파티딜콜린은 특히, 글리세롤, 지방산, 인산 및 콜린으로 구성된 포스포글리세라이드 만을 의미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콩 또는 해바라기 오일 또는 레시틴의 천연 식물 소스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합성적으로 또한 제조 될 수 있다. 식물 소스로부터 얻은 포스파티딜콜린은 일반적으로 다른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를 지닌 포스파티딜콜린의 혼합물이어서, 에스테르화 된 지방산의 성질 및 % 조성은 식물 소스에 따라 다를 수 있는 반면에, 합성 포스파티딜콜린은 정해진 두 개의 지방산의 조합, 바람직하게는 올레익 애시드, 리놀레익 애시드 또는 알파-리놀레익 애시드와 같은 불포화 지방산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합성 세틸 팔미테이트 (synthetic cetyl palmitate)는 천연 포화지방산 및 모노-, 또는 디- 또는 트리-불포화 C12-C24 지방산의 에스테르와 평균 분자량 ~ 500 g/mol 을 갖는 포화 C12-C24 지방산 알콜, 예를 들면, 포화 팔미틱 애시드 (C16) 및 포화 세틸 알콜 (C16)의 관명의 에스터 (eponymous esters)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표면-활성 매트릭스 안정제로서의 식물의 폴리삭카라이드 공중합체(polysaccharide copolymers)들은 폴리삭카라이드 유도체, 예를 들면, 후락탄(fructan) 유도체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 셀루로즈 (microcrystalline cellulose) 유도체들이다. 후락탄(fructan) 유도체의 예들에는 인슐린- 후락토즈 분자 100개까지의 후락토즈 중합체 및 말단 글루코즈 분자의 혼합물- 및 예를 들면, Inutec® SP1와 같은 인슐린 유도체 들이 있다. 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 셀루로즈의 예들에는, 즉 소위 말하자면 부분적으로 단량체로 분해된 알파-셀루로즈 (α-cellulose), Avicel PH 셀루로즈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테아릭-애시드-기반한 유화제들 (stearic-acid-based emulsifiers)에는 폴리글리세롤-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3- 및/또는 메틸글루코즈 를 가진 스테아릭 애시드의 모노-, 또는 디-에스터 들이다. 그런한 스테아릭-애시드-기반한 유화제들의 예들에는 메틸글루코즈 세스퀴스테레에이트(methylglucose sesquistearate)(TEGO® Care PS) 폴리글리세릴-3-디시트레이트 스테아레이트 (TEGO® Care PSC-3) 및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즈 디스테아레이트 ((TEGO® Care 450)이 있다.
구굴 (Guggul) ((동의어: 로반 (loban), 브델리움 수지 (bdellium resin), 베델리움(bedellium), 브델리움 (bdellium), 검 구굴루(gum guggulu), 인다인 미르 (Indian myrrh))은 발삼 나무 (Commiphora mukul)의 수지이다.
구굴 지질의 주 구성성분은 구굴스테론이며, 이는 (E) 및(Z) 구조로 존재한다. 이 두 형태 사이에 생물학적 활성이 뚜렷이 다른 차이를 관찰하는 것은 지금까지 가능하지 않았다.
(Z)- 구굴스테론 (E)-구굴스테론
Figure pct00001
감초 (Liquorice) (Glycyrrhiza glabra) 는 나비모양(콩과)식물 (papilionaceous plants)(Faboideae)의 아부류(subfamily)의 식물이다. 감초는 글리시리지닉 애시드(glycyrrhizinic acid)의 포타슘 및 칼슘염의 혼합물인 글리시리진 (glycyrrhizine)을 포함한다, 글리시리지닉 애시드 (glycyrrhizine)의 디구르크로나이드(diglucuronide)가 쪼개져 글리시리진(glycyrrhizine)으로부터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glycyrrhetinic acids)(GA)- 18ß-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더 적은 양의 18α-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혼합물-이 형성된다.
18α-글리시레티닉 애시드, 18ß-글리시레티닉 애시드
Figure pct00002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선호적인 염들은 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리티움(lithium),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들, 암모늄 염과 같은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류의 염들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피페리딘, 에틸렌디아민 라이신, 콜린하이드록사이드, 메그루민 (meglumin), 모르폴린 (morpholine), 또는 아르기닌과 같은 유기 염기(organic base) 들의 염들이다.
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바람직한 에스터(ester)들은 1에서 18 탄소 원자룰 가진 포화, 직-쇄 또는 가지형 알콜의 에스터들이다. 특히 바람직한 에스터들은 메틸 에스터, 글리세릴 에스터, 및 스테아릴 에스터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소듐 콜레이트 또는 소듐 데옥시콜레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이들은 특히 소포들의 성질을 수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크림, 로션 또는 젤의 형태로는 하기와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라겐 (carrageen), 1,2-핵산디올(1,2-hexanediol),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쉬어버터 (shea butter),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클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acrylate/C10-C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 C12-C15 alkyl benzoate), 카프리릭 애시드 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 acid triglyceride), 카프릴로일글리세롤/세바식 애시드 (capryloylglycerol/sebacic acid), TEGO® 카보머 140 (TEGO® Carbomer 140), TEGO®케어 PS (TEGO® Care PS), 카보폴 981 (Carbopol 981), 카복시메틸셀루로즈 (carboxymethylcellulose), 세테아릴 알콜 (cetearyl alcohol), 세틸 팔미테이트 (cetyl palmitate), 세틸 알콜 (cetyl alcohol), 세틸 스테아릴 알콜(cetyl stearyl alcohol), 시트릭 애시드 (citric acid), 데실 올레에이트 (decyl oleate), 디부틸 아디페이트 (dibutyl adipate),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핵실 벤조에이트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 benzoate), 디헵틸 올레에이트 (diheptyl oleate), 디메티콘 (dimethicone), 소듐 이디티에 (Sodium EDTA) 및 디소듐 이디티에 (Disodium EDTA), 풀라워컨센트롤 (Flowerconcentrole®), 에틸헥실글리세롤 (ethylhexylglycerol), 에틸헥실 라우레이트 (ethylhexyl laurate), 에틸헥실 살리시레이트 (ethylhexyl salicylate),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ethylhexyl stearate), 에틸 옥타노에이트 (ethyl octanoate), 글리세롤 (glycero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glyceryl stearate citrate), 우레아 (urea), 수소화된 코코-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coco-glycerides), Inutec® SP1,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isopropyl palmitate), 이소옥틸 라우레이트 (isooctyl laurate), 조조바 오일(jojoba oil), 포타슘 소르베이트 (potassium sorbate), 켈트롤 CG-SFT (Keltrol CG-SFT), 리모넨 (limonene), 리난눌 (linanool), 맥로골 2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Macrogol 20 glyceryl monostearate),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magnesium sulfate heptahydrate), 만니톨 (mannitol),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methyl hydroxybenzoate), 메틸파라벤 (methylparaben), 메틸프로파네디올 (methylpropanediol), 미글리올 821 (Miglyol 812),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소듐 에데테이트 (sodium edetate), 소듐 할우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sodium hydroxide), 옥틸데카놀 (octyldecanol), 판테놀 (panthenol), 점액성 파라핀 (viscous paraffin), 향수( perfume), 팬틸렌 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Hydrolite), 피오니어 1033 (Pionier 1033),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레이트 에스터 (polyoxyethylene laurate ester) (PEG-6 L),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 애시드 (phenylbenzimidazolesulfonic acid), 포스포리폰 (Phospholipon), 프로필렌 글라이콜(opylene glycol),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propyl hydroxybenzoate), 폴리아크릴릭 애시드(polyacrylic acid),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소듐 스테아릴 글루타메이트 (sodium stearyl glutamate), SLM 2026, 스테아릴 알콜 (stearyl alcohol), 스콰알렌 (squalane), 슈크로즈 스테아레이트(sucrose stearate), 트리글리세롤 디이소스테아레이트 (triglycerol diisostearate), 트리소듐 에틸렌디아민 (trisodium ethylenediamine), 밀랍(beeswax), 소듐 카보머 (sodium carbomer), 에탄올, 언구엔툼 에멀지피칸스 아쿠아섬 (unguentum emulsificans aquosum), 바실리눔 알붐(vasilinum album)(흰색 석유 젤리), 비타민 E 아세테이트 (vitamin E acetate), 물(아쿠아 비데스.트, aqua bidest.), 잔텐 검 (xanthan gum) 또는 전문가에게 알려진 다른 적절한 부형제.
.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은 알려진 방법으로 크림, 로션 또는 젤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별히 바람직한 것은 상대적으로 작고, 높은 유동성 및 모양이 유연한 단일 층 소포들이다. 이러한 소포들은 특히 입자 크기가 20-200 nm (특히 50-100 nm)이고, 다 확산성 인덱스 (polydispersity index)는 0.25 미만 ((예를 들어, Zetasi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s, Germany를 사용하여 다이나믹 라이트 스케터링 (dynamic light scattering)(DLS)을 측정하여 둘 다 검출한다)) 인 것 및 이 천연 물질들 둘 다를 내포하는 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내하면, 그러한 소포들은 놀랍게도 사람 피부에 침투하는 능력이 매우 유리함을 보여 주는 반면 동시에 독성 및 피부에의 자극은 무시할 정도이며, 더불어 놀랍게도 크림, 로션 또는 젤로 가공 하는데 있어 높은 입자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입자 크기, 안정성, 피부 침투 및 부작용 프로화일 (예를 들어 피부 자극, 전신적인 부-작용의 위험)에 대한 상기-서술된 필요조건들은 특히 콩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 또는 콩 또는 해바라기 포스파티딜콜린(특히 적어도 80중량부의 포스파티딜콜린의 양 및 많은 양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연성이 있는 소포들 또는 식품첨가제 그룹들로부터의 지질 유화제에, 예를 들면 올레에이트 와 같은,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및 선택적으로 식물오일에 기반한 유연성 있는 소포들이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face mask)에 (예를 들어 항-노화 페이스마스크)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는 페이스 마스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각각 0.01 - 5% (w/w)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 2.5% (w/w)의 활성 성분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에서 바람직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을 노화되는 또는 스트레스된 피부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의 생산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피하 지방 (ubcutaneous fatty)또는 각질 조직(connective tissue)의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것에는, 예를 들면 지방성수종(lipoedema), 지방종(lipoma), 복병(abdominal wall)의 지방종증(lipomatosis), 더마토펜니쿨로시스 데포만스(dermatopanniculosis deformans), 슈도기네코마스티아(pseudogynecomastia), HIV 환자에서의 버팔로 험프(buffalo hump) 및 비 특이적 피하지방 침착(non-specific subcutaneous fat deposits)들이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면, 얼굴과 목 부위의 지방체(fat pad) 예를 들면, 누낭(lachrymal sacs), 코입술주름(nasolabial folds), 늘어진 뺨(flabby cheeks), 이중턱(double chin) 등)와 같은 질병에 의한 원인이 아닌 지방체는 본 발명에 의해 퇴행 되게 하거나 또는 감소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지방 흡입술 (liposuction)후의 사후-치료(after-treatment)에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의 사용 또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석고(plaster) 또는 패치(patch)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글리 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가지는 소포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석고(plaster) 또는 패치(patch)는 각각 하나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만을 또는 하나의 구굴스테론만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경우, 그러나, 그 후 석고 또는 패치에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하는 소포들 및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소포들을 둘 다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2:1 에서 1:2(특히 1:1)의 혼합물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한 석고(plaster) 또는 패치(patch)는, 예를 들어, (i) 탑 층 또는 커버층, (ii)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방어 층 및 (iii)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성분-포함 층들 또는 저장고들(active-ingredient-containing layers or reservoirs)이 각각 탑층 및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층 사이에 놓여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성분-포함하는 층 또는 저장고(active-ingredient-containing layer or reservoir)" 라는 표현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층 또는 저장고를 의미한다.활성-성분-포함하는 층 또는 저장고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소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각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터)만 또는 구굴스테론만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활성-성분-포함하는 층 또는 저장고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젤 또는 로션의 형태를 포함한다.
석고 또는 패치는 더 나아가 피부 쪽에 접착층 또는 커버층에 의해 운반되는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서, 접착층은 자가-접착 (self-adhesive) 폴리머 매트릭스 층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예시에서, 접착층은 한 열린 곳을 가지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에 있어서 비-접착 형태가 있다. 접착층은 바람직하게는 활성-성분-포함하는 층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0.1 에서 1000 mg, 특히 1 에서 500 mg, 바람직하게는 1 에서 250 mg, 의 각각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을 포함 할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성분-포함하는 층(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장고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예를 들면, 매트릭스 시스템 또는 저정고 시스템(reservoir system)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서,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성분-포함하는 층들에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성분-포함하는 저장고들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젤 또는 로션으로서의 제형 형태로.
접착층은 피부용으로 사용이 허가된 피부-상응하는 어떤 접착제로도 구성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폴리이소부틸렌 (polyisobutylene), 카타플라즘(cataplasms), 폴리아크리릭 애시드 (polyacrylic acid)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s)에서 젤을 형성하는 폴리머들에 기반한 그러한 접착 시스템은 이 분야에 숙련된 시람에게는 잘 알려졌다. 땀의 효과하에서 석고가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층은 바람직하게는 물-저항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서 접착층은 더 나아가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olyvinyl acetate), 폴리이소부틸렌 (polyisobutylene0, 실리콘(silicone), 특히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 및 하이드로젤(hydrogel), 특히 고분자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ohol) 및 올리고메릭 폴리에틸렌 옥사이드(oligomeric polyethylene ox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한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서 접착층은 특히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isobutyl acrylate), 프로필 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메틸 아크릴레이트 (methyl acrylate),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ethylhexyl 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ydroxyethyl acrylate)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hydroxyethyl methacrylate)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노머들로부터 유래 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노머 유닛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서 합성 고무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또는 스틸렌-부타디엔 블럭 공중합체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 활성-성분-포함하는 층(들) 및/또는 접착층은 더 나아가 크로스링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에 활성-성분-포함하는 층은 더 나아가 피부 습기에 의해 용해되기 시작하거나 또는 용해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재료의 매트릭스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하이드로젤(hydrogel)에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젤 또는 로션 제형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하이드로젤로서 하이드록시메틸셀루로즈 (hydroxy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루로즈 (hydroxypropylcellulose), 카보풀(carbopol) 또는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ohol)이 특징적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더 나아가 진하게 하거나 (thickener) 또는 부풀리는 (swelling) 제제로, 바람직하게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루로즈, 특히 Klucel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더 나아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침투 촉진제(permeation promoters)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그러므로 다음의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침투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옥틸페놀(octylphenol),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polyethylene glycol) (PEG), 특히 PEG400, 펜틸렌 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라이콜 (prop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라이콜 옥틸페닐 에테르( polyethylene glycol octylphenyl ether), 올레익 애시드 (oleic acid), 리놀레익 애시드(linoleic acid), 리놀레닉 애시드 (linolenic acid), 조조바 (jojoba oil), 콩 오일 (soybean oil), 알로에 베라 추출물 (aloe vera extract), 도데카놀 (dodecanol), 우레아(urea), 라부라필(Labrafil), 라브라솔 (Labrasol), 지방산 에스터들 (fatty acid esters), 특히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isopropyl myristate), 모노라우레이트 (monolaurates),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우레이트(methyl laurate),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라우레이트 (propylene glycol monolaurate),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라우레이트 (glycerol monolaurate and polyethylene glycol monolaurate), 옥틸도데실 락테이트 (octyldodecyl lactate),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및 글라이콜 모노올레에이트 (glycerol monooleate and glycol monooleate), 트란스큐톨 (Transcutol), 토코페롤 (tocopher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 판테놀( panthenol), N-데실메틸설폭사이드(N-decylmethylsulfoxide), 트리아세틴 (triacetin) 및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더 나아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부제, 특히 알콜, 4차 아민(quaternary amines), 유기산, 파라벤 및 페놀 그룹들로부터의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더 나아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초포화 안정제들(supersaturation stabilisers),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더 나아가 폴리오레핀 (polyolefi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면(cotton), 비스코스 (viscose) 또는 울(wool)의 군으로부터의 재료로 구성되거나 또는 포함하는 커버링 필림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커버링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거나 또는 포함한다.
탑 층은 더 나아가, 예를 들어, 코팅된 종이(coated paper), 폴리실리콘( polysilicone), 폴리플로필렌 (polypropylene),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copolymers of ethylene and vinyl acetate), 폴리에스터 (polyesters), 폴리우레탄 (polyurethanes), 폴리아마이드 (polyamide),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및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으로 구성되거나 포함할 수 있다. 탑 층은 닫히거나 또는 구멍 난 필림, 직물 또는 닫히거나 또는 구멍 난 부직포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두께가 0.01 에서 1.5 mm 및 특히 0.03 에서 1.0 mm 을 가진 커버링 필림이 특징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들은 1 에서 50 cm2 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이 될 수 있다. 석고들은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 길이가 약 1-5cm인 직사각형 또는 가장자리 길이 1-10cm인 직사각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더 나아가 2 에서 100cm2, 바람직하게는 5 에서 50cm2, 특히 10 에서 40cm2 , 예를 들어 약 20cm2 의 표면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는 오버태이프 (overtape)로 제공될 수 있다.
탑 층, 부착 층 및/또는 매트릭스 층은 방향성 오일 또는 향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층들은 더 나아가 착용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공기나 습기가 침투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포함 층은 소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예시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미셀 (micelles)과 관련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셀은 단지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만을 또는 구굴스테론 만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러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하는 미셀 및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미셀 둘 다를 바람직하게는 2:1 에서 1;2 (특히 1:1)의 비율로 혼합된 형태로 최종 제제에 첨가시킬 수 있다. 그런 미셀들의 예들에는 친수성 부분 및 소수성 부분을 갖는 블럭 공중합체의 폴리머 미셀들이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된 "친수성 부분 및 소수성 부분을 갖는 블럭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코아 (주로 소수성 부분을 포함하는)-쉘 (shell)(주로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타입의 폴리머 미셀 형태로 수용성 매체에 존재할 수 있는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는 의미한다. 그러한 블럭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친수성 부분 (hydrophilic segment)"에는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 (말릭 애시드) (((poly(malic acid)), 폴리 (삭카라이드) ((poly(saccharide)), 폴리(아크릴릭 애시드) ((poly(acrylic acid)), 폴리 (비닐 알콜) ((poly(vinyl alcohol)) 및 폴리 (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조각들이 포함된다. "소수성 부분 (hydrophobic segment)" 에는 폴리아미노산 부분들이 포함된다. "소수성 부분" 에는 특히 폴리-(ß-벤질 아스파르테이트) (poly-(-benzyl aspartate)), 폴리-(η-벤질 글루타미네이트) (((poly-(η-benzyl glutaminate)), 폴리-(β-알킬 아스파르테이트)((poly-(β-alkyl aspartate)), 폴리 (락타이드) ((poly(lactide)),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폴리-(δ-발레로락톤) ((poly-(δ-valerolactone)), 폴리-(η-(부티로락톤) ((poly-(η-butyrolactone)) 및 폴리-( α-아미노산) ((poly-(α-amino acid))은 물론 이들의 두 개 또는 그 이상 타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미셀들은,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과 같이 또는 그들 서로, 크림, 로션 또는 젤 또는 패이스 마스크로 제제화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석고 또는 패치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세포 배양
3T3-L1 마우스 섬유아세포는 10% 태아 송아지 혈청 (foetal calf serum) (FCS) 및 2 mM L-글루타민 (L-glutamine)을 포함하는 둘베코의 수정된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내에서 37°C, 95% 습기 및 5% CO2 에서 배양되었다.
지방세포의 분화 및 성숙은 (Yang J.Y. et al., Obesity 2008, 16, 16-22; Shugart E.C. 및 Umek R.M., Cell Growth & Differentiation 1997, 8, 1091-1098)에 서술된대로 유도되었다.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것과 같은 덱사메타손으로뿐만 아니라, 좀더 생리적인 코티졸로도 자극시켰다.
세포는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세포들이 합쳐질 때까지 배양하였다. 세포가 합쳐진 점에 도달 후 2일에 (D0 = day 0), 10% FCS, 167 nM 인슐린, 0.5 μM IBMX 및 1 μM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또는 200 nM 코티졸 (cortisol)이 있는 DMEM 를 첨가하여 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시켰다(D2). 그 후 세포는 10% FCS 및 167 nM 인슐린이 있는 DMEM 에서 2일 동안 더 배양시키고(D4), 이어서 DMEM/10% FCS 에서 4일 더 배양시켰다 (D8). 궁극적으로, 20-30% 이상의(>20-30%) 세포들이 지방 저장이 축척된 성숙 된 지방세포였다.
세포의 지방함량의 측정
지방생성 정도의 지표로서 세포의 지질 함량 (세포 내 지질 작은 방울)을 (Yang J.Y. et al., Obesity 2008, 16, 16-22; Greenspan P.,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985, 100, 965-973)에 서술된 대로 지질친화성 칼라 시약 나일 레드 (Nile red)를 통해 검출하였다. 세포가 합쳐진 점에 도달 후, 3T3-L1 세포들 (5,000 - 10,000 세포/웰)을 96-웰 플레이트에서 2일 더 배양시켰다 (D0). 그 후 세포는 D0-D2, D2-D4, D4-D6 및 D0-D6 동안 구굴스테론 및/또는 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각각 또는 조합하여 처리하여 지방생성되게 하였다 (농도 범위:1 - 200 μM). 배지는, 테스트 물질이 있든 또는 없든, 매 2일 마다 바꾸거나 또는 갱신되었다. 다음과 같이 처리된 세포는 컨트롤로 제공되었다: (1) 순수 세포 배지(미분화 컨트롤), (2) 순수 분화 배지(처치하지 않은 컨트롤), (3) 분화 배지에서 테스트 배치에 있는 DMSO의 가장 높은 농도에 해당하는 DMSO (DMSO 컨트롤).
6일째 되는 날 (D6), 세포 내 지질 축척 (지질 작은 방울)은 나일 레드 에세이(Nile red assay)를 통해 그 양을 측정하였다. 그 목적으로, 세포의 배지는 버리고 세포는 100 μl/웰 의 PBS (pH 7.4)로 세척시켰다. 그 후 세포는 상온에서 20 분 동안 50 μl/웰의 PBS에 있는 나일 레드(10 μg/ml)로 배양시켰다. 지질의 함량은 시너지 2 플레이트 리더 (Synergy 2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USA) (excitation: 485 nm, emission: 560 nm, mirror: 550 nm)를 사용하여 형광 분석형광법적으로 측정하였다. 나일 레드는 선택적으로 중성 지질을, 예를 들어, 세포 내 작은 방울에 있는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 (triacylglycerides),를 염색한다.
형광현미경으로 분석을 위해, 세포들은 상기 서술된 대로 Lab-TekTM 챔버 슬라이드 (Lab-TekTM chamber slides) (Nunc, Langenselbold, Germany)에서 처리 했으며 지방생성 되는 D2-D4 일 동안 구굴스테론 및/또는 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50 또는 100 μM; 각각 또는 동일몰수 조합으로) 배양시켰다. 그 후 배양 배지는 버리고 세포들은 PBS로 세척시키고 50 μl/웰의 PBS 에 있는 나일 레드(10 μg/ml) 및 DAPI (1 μg/ml)로 상온에서 20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 용액이 제거된 후, 세포들은 PBS로 세척시키고 실온에서 PBS에 있는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araformaldehyde)로 30분간 고정 시켰다. 최종적으로, 세포들은 PBS로 세 번 세척시키고 형광 고정 배지(Fluorescence Mounting Medium)(Dako, Carpinteria, USA)를 통해 대물 슬라이드 (object slide)에 고정 시켰다. 형광현미경 이미지들은 Zeiss Axio Observer.Z1 with ApoTome (Carl Zeiss MicroImaging, Jena, Germany)로 DAPI 및 GFP 필터 세팅을 사용하여 찍었다.
세포 생존력 에세이
테스트 화합물의 처치 후 성숙한 지방세포의 세포 생존력은 형광 분석 레사주린 -기반한 에세이 (fluorimetric Resazurin-based assay)로 측정 되었다. 생존, 소위 말하면 대사적으로 활성 있는, 세포는 레사주린 (Resazurin)을 형광 유도체인 레소루핀(Resorufin)으로 전환 시킬 수 있다(Strotmann U.J. et al., Ecotox . Environ. Safety 1993, 25, 79-89).
3T3-L1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 (5,000 - 10,000 세포들/웰)에 접종키고, 상기 서술된 대로, 성숙 될 때까지 (D8) 배양시켰다. 8일째에 (D8), 성숙 된 지방세포들은 24시간동안 표준 배양 조건하에서 구굴스테론 및/또는 글리시레테닉 애시드 (1 - 250 μM)로 배양시켰다. 아래와 같은 세포들은 컨트롤로 사용되었다: (1) 순수 세포 배지(미분화 컨트롤), (2) 순수 분화 배지(처치하지 않은 컨트롤), (3) 분화 배지에서 테스트 배치에 있는 DMSO의 가장 높은 농도에 해당하는 DMSO (DMSO 컨트롤) 및 (4) DMEM 에 있는 150 μg/ml 디기토닌 (digitonin) (세포 사멸 컨트롤). 24시간 후에, 배양 배지는 버리고 세포들은 100 μl/웰의 DMEM으로 세척시키고, 그 후 표준 배양 조건하에서 50 μl/웰의 레사주린 (Resazurin)용액 ((60 μM 을 DMEM에)에 2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최종으로, 레소루핀 (Resorufin) 형광을 시너지 2 플레이트 리더 (Synergy 2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USA) (excitation: 540 nm, emission: 590 nm, mirror: 550 nm)를 통해 검출하였다.
세포사멸 에세이
성숙된 지방세포에서 (Z)-구굴스테론 및/또는 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처치한 결과로서 세포 사멸 유도가 가능한가를 평가하기 위해, 카르파세--Glo® 3/7 에세이 킷트 (Caspase-Glo® 3/7 assay kit) (Promega, Mannheim, Germany)가 사용되었다.
3T3-L1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 (5,000 - 10,000 세포들/웰)에 접종키고, 상기 서술된 대로, 성숙 될 때까지 (D8) 배양시켰다. 8일째에 (D8), 성숙 된 지방세포들은 24시간동안 표준 배양 조건하에서 구굴스테론 및/또는 글리시레테닉 애시드 (1 - 250 μM)로 배양시켰다. 아래와 같은 세포들은 컨트롤로 사용되었다: (1) 순수 세포 배지(미분화 컨트롤), (2) 순수 분화 배지(처치하지 않은 컨트롤), 및 (3) 분화 배지에서 테스트 배치에 있는 DMSO의 가장 높은 농도에 해당하는 DMSO (DMSO 컨트롤). 24시간 후에, 배양 배지는 버리고 세포들은 100 μl/웰의 DMEM으로 세척시키고, 그 후 150 μl/웰의 DMEM 에 있는 Caspase-Glo® 3/7 시약 (1:1, v/v)을 첨가 시켰다. 2시간 실온에서 배양시킨 후, 시약의 루미네센스 신호 (luminescence signal)를 시너지 2 플레이트 리더 ((Synergy 2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USA)를 통해 검출하였다.
지방분해 에세이
구굴스테론 및/또는 글리시레테닉 애시드로 처치한 결과에 따른 성숙 된 지방세포의 지방분해는 글리세롤 방출 에세이에 의해 검출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세포의 지방분해 결과로 세포 배양액으로 방출되는 글리세롤을 자유 글리세롤 염색 시약을(free glycerol staining reagent) 사용하여 정량하였다(Cayman Chemical, Ann Arbor, USA).
3T3-L1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 (5,000 - 10,000 세포들/웰)에 접종키고, 상기 서술된 대로, 성숙 될 때까지 (D8) 배양시켰다. 8일째에 (D8), 성숙 된 지방세포들은 24시간 동안 표준 배양 조건하에서 구굴스테론 및/또는 글리시레테닉 애시드 (1 - 250 μM)로 배양시켰다. 아래와 같은 세포들은 컨트롤로 사용되었다: 아래와 같은 세포들은 컨트롤로 사용되었다: (1) 순수 세포 배지(미분화 컨트롤), (2) 순수 분화 배지(처치하지 않은 컨트롤), 및 (3) 분화 배지에서 테스트 배치에 있는 DMSO의 가장 높은 농도에 해당하는 DMSO (DMSO 컨트롤). 배양 후, 각 샘플의 25 μl/웰의 세포 배지를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의 해당 웰에 이전시키고 90 μl의 자유 글리세롤 염색 시약을 넣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배양시켰다. 25 μl/웰 샘플과 시약 대신 90 μl의 물 (aqua dest.)을 측정 참고 치로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방출된 글리세롤의 함량을 시너지 2 플레이트 리더 (Synergy 2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USA)로 540nm 에서의 흡광도에 기반하여 결정하였다.
전-지방세포(pre- adipocytes )에서 지질 함량
지질 함량, 소위 말하는 세포 내 지질 작은 방울 안에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저장, 은 지방생성 정도의 표시자이다. 우리는 덱사메타손- 또는 코티졸- 로 각각 자극한 3T3-L1 마우스 섬유 아세포에 대한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나일 레드 에세이 (Nile red assay)를 사용하였다. 염색약 나일 레드는, 485nm에서 흥분되고 560nm에서 형광 검출이 되어, 중성지질에 매우 선택적이기 때문에, 특히 지방생성이 진행되는 동안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세포 내 축적의 측정을 그러므로 가능하게하였다.
지방세포의 분화 기간 6일 내에 처치하는 기간은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세포의 지방 축적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화합물 둘 다는 분화 기간 6일 전체 내 내에 걸쳐 적용하였을 때 세포 내 지질 축적 억제 정도가 가장 컸다. 현미경으로의 분석에서 지방생성(1μM 덱사메타손으로 자극)기간 D0-D6에 걸쳐 100μM (Z)-구굴스테론 및 100μM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각각 처치한 3T3 전-지방세포의 지질 함량에서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효과를 매우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자극되었으나 처치되지 않은 세포는 참조로 제공되었으며 높은 지질 저장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각각 처치한 후에는 의미있을 정도로 적은수 및 더 작은 지질 작은방울이 검출되었다.
대부분, 이 효과는 D0-D2 일에, 소위 말하자면 지방세포 분화 초기기간에, 유도되었다. D0-D2 동안 0 - 100μM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각각 해당하게 처치한 3T3 전-지방세포의 지질함량의 감소가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다.
(Z)-구굴스테론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0 μM 10 μM 40 μM 100 μM 0 10 40 μM 100 μM
지질 함량 * 100% 71% 26% 5% 100% 98% 91% 7%
* 자극시키지않은세포/처치하지않은 세포에 대하여 정상화 함
지방생성 6일째에(D6), 세포 내 지질 작은 방울의 축적을 나일 레드 에세이 (Nile red assay)로 형광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흥분 (excitation): 485nm; 방출 (emission): 560nm; 550nm mirror)). 데이타는 정상화 (normalised)하였으며 지질 축적은 %로 표시하였다; 자극되지 않은 세포는 0% 참조로 사용되었으며, 자극은 되었으나 처치되지 않은 세포는 100% 참조로 사용되었다.
지방세포 분화 전체 6일 동안 (D0 - D6) 세포를 처치하였을 때, 세포 지질 축적 억제의 IC50 값은 (Z)-구굴스테론은 ~5 μM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는 ~20 μM로 얻어졌다.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두 화합물 다 그러므로 지방생성 동안 3T3-L1 세포에서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의 축적을 억제 시켰다, 그러나 이점에서는 구굴스테론이 글리시레티닉 애시드보다 조금 더 강하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활성 범위내(≥50 μM)에서, (Z)-구굴스테론과 동일몰수 양으로 함께 사용했을 때 상승 작용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분화 중기 시기에 (D2 - D4 일) 세포의 처치도 지질 축적의 억제를 비슷하게 잘 가져왔다. 지방분화의 촉진을 위해, 덱사메타손 대신, 비교목적으로 좀 더 생리적인 코티졸도 또한 사용 되었으며, 결과에서 보듯이 큰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 생존력/ 성숙된 지방세포의 수
(Z)-구굴스테론 및/또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처치가 성숙 된 3T3 지방세포의 생존력, 및 그러므로 세포 수에 미치는 가능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형광분석적인 레사주린-기반한 세포 생존력 에세이 (Resazurin-based cell viability assays)가 수행되었다. 그 목적으로, 성숙 된 3T3 지방세포를 1 μM 덱사메타손으로 자극하고 그 후 24시간 동안 표준 세포 배양 조건하에서 (Z)-구굴스테론 또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증가 되는 농도 또는 두 화합물의 동일 몰수 혼합물의 농도로 처치하였다. 최종적으로, 세포의 수와 세포의 형태로 측정되는, 세포 생존력을, 레사주린 에세이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1에서 보여준 대로, 250 μM 까지의 (Z)-구굴스테론으로 24시간 처치했을 때 세포 생존력을 손상시키지 않았다. 반면에 250 μM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켰다, 소위 말하면 같은 시간의 처치로 성숙 된 지방세포의 수가 28% 감소 되었다. 두 화합물을 동 몰수의 혼합물로 세포에 처치하였을 때,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는 의미 있는 상승효과의 결과를 가져왔다. 두 화합물 각 250 μM 의 조합은 세포 생존력을 56% 감소시켰다. (Z)-구굴스테론은 -그 자체만으로는 효과가 없지만- 성숙된 지방세포에 대한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세포정지 효과를 강화시키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된 지방세포에서 세포사멸 유도
관찰된 세포 생존력의 감소의 가능한 이유들은 테스트 화합물의 항-증식 효과 (소위 말하면 세포주기 정지의 유도), 세포의 대사작용 감소, 또는 세포사멸 유도 후 살아있는 지방세포 수의 감소 일수 있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혼자 또는 동 몰수의 (Z)-구굴스테론과 조합으로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세포사멸 유도에 근거한 것인가를 테스트하기 위해, 해당하게 처치한 지방세포들을 효과제(effector)인 캐스페이즈 3/7 (caspases 3/7 )(진전돤 세포사멸인 경우)의 활성화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덱사메타손 또는 코티졸이든 지방세포 자극의 타입과 무관하게, (Z)-구굴스테론은 캐스페이즈3/7의 유도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세포를 250 μM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24시간 동안 처치했을 때는 처치하지 않은 세포에 비교해 2.5 - 3.0 배의 캐스페이즈3/7의 증가를 가져 왔다. 두 화합물, (Z)구굴스테인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의 동몰수 조합은 -생존력 에세이의 결과에서와 함께- 캐스페이즈 활성화의 관점에서 두 화합물의 상승효과를 보여주었다. 250 μM 각각의 두 화합물의 조합은 캐스페이즈 3/7의 활성을 처치하지 않은 세포에 비교해 3.5 - 4.0 배 증가하게 하였다 (도 2).
요약해서,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는 세포사멸적 세포 죽음 프로그램을 유도시켜 그 결과로, 그중에서도, 캐스페이즈3/7가 활성화됨으로써 성숙 된 지방세포의 생존력을 억제한다.
성숙된 지방세포에서 지방 분해
(Z)-구굴스테론 및/또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의 처치 결과로 인한, 성숙 된 지방세포에서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저장소의 가능한 붕괴를 연구하기 위해, 소위말하는 지방분해, 글리세롤 방출 에세이 (glycerol release assay)가 수행되었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효소적 분해로 글리세롤이 생산되며, 이는 멤브레인 투과성이 있어 그러므로 주위의 배양 배지로 방출된다. 배지에 있는 유리된 글리세롤은 특별한 염색시약을 통해 스펙트로포토메트릭하게 정량될 수 있다. 동몰수(equimolar) 조합 (각 경우 250μM)의 두 화합물, (Z)-구굴스테론 및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로 24시간 동안 처치한 후,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분해는 처치하지 않은 컨트롤에 비해 ~ 66% 증가했다.
다음의 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예들을 보여 주려는 의도이다.
1: 18β -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 구굴스테론 활성 성분 조합을 포함하는 유연한 콩-포스파티딜콜린-함유 (soy- phosphatidylcholine -containing) 리포좀 ,
유연한 콩-포스파티딜콜린-함유 (soy-phosphatidylcholine-containing)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 콩 포스파티딜콜린(Phospholipon 90 G; Lipoid, Ludwigshafen) 및,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또는 소듐 콜레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물론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를 중량부로 10 / 0.5-3 / 0.1-0.5 / 0.1-0.5 (w/w/w/w)로 섞었다. 바람직한 포뮬레이션(formulation)에서는 포스포리폰 90G (Phospholipon® 90 G)(≥ 95% 콩 포스파티딜콜린), 소듐콜레이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이 10 / 1 / 0.3 / 0.3 (w/w/w/w)의 비율로 포함된다. 지질과 계면활성제는 클로로포름/MeOH (1:2 v/v)에 용해 시키고 진공, 40℃에서 로타리 증류기 (rotary evaporator)에서 하룻밤 동안 건조될 때까지 농축한다. 이 결과로 얻어지는 지질 필름은 PBS (pH 7.4)로 재수화(rehydrated)시켜 (1 h / 30°C / 200 rpm), 해당하는 양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10% 지질 현탁액이 되게 하였다. 이 현탁액은 초음파로 20분 동안 처치하고(on/off 간격 :10초) PC 필터 멤브레인 (100 nm 구멍 크기)을 통해 압출성형 시켰다. 소포의 크기는 제타시저 나노 ZS (Zetasi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s GmbH, Herrenberg, Germany; 실온에서 5분 동안)를 사용하여 다이나믹 라이트 스케터링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크기는 50-100 nm의 범위이었다.
예 2: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지질 유화제,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및 식물 오일에 기반하고 18β -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 구굴스테론 조합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소포들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15-20% (v/v)의 해바라기 씨 오일 (Helianthus annuus); 2.5-10% (w/v) Imwitor®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glyceryl citrate)/락테이트(lactate)/리노레이에트(linoleate)/올레에이트(oleate);Cremer Oleo GmbH, Hamburg)); 2.5-5% (w/v) 폴리글리세릴-2 올레에이트 (polyglyceryl-2 oleate); 10-20% (v/v) 에탄올을 0.1-10% (w/v) 각각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와 섞고 물 (aqua bidest.)로 100%로 채웠다. 바람직한 포뮬레에션(formulation)은 20% (v/v) 해바라기 씨 오일; 5% (w/v) Imwitor® 375; 2.5% (w/v) 폴리글리세릴-2 올레에이트; 15% (v/v) 에탄올; 5% (w/v)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물에(aqua bidest.) 포함한다. 해바라기씨 오일, Imwitor® 375, 폴리글리세릴-2 올레에이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실온에서 에탄올에 흔들어서(500 rpm) 용해 시켰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그 후 물 (aqua bidest)을 천천히 및 균일하게 (200 μl/min) 첨가시켜 100%로 하고, 전체 혼합물을 완벽하게 혼합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산물은 5분 동안 섞고 (vortexed), 5분 동안 초음파로 처치하고(on/off 간격: 10 초), PC 필터 멤브레인 (100nm 구멍 크기)을 통해 압출 성형시켰다. 소포의 크기는 제타시저 나노 ZS (Zetasi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s GmbH, Herrenberg, Germany; 실온에서 5분 동안)를 사용하여 다이나믹 라이트 스케터링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크기는 80-100 nm 의 범위이었다.
3: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지질 유화제 및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에 기반하고 및 18β -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 구굴스테론 조합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소포들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7-17.5% (w/v) Imwitor®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노레이에트/올레에이트;Cremer Oleo GmbH, Hamburg)); 3-7.5% (w/v) 에틸 올레에이트 (ethyl oleate); 10-20% (v/v) 에탄올을 0.1-10% (w/v) 각각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와 섞고 물 (aqua bidest.)로 100%로 채웠다. 바람직한 포뮬레이션은 10.5% (w/v) Imwitor® 375; 4.5% (w/v) CrodamolTM 에틸 올레에에트 (ethyl oleate) (Croda GmbH, Nettetal Kaldenkirchen); 15% (v/v) 에탄올; 5% (w/v)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5% (w/v) (Z)-구굴스테론을 물(aqua bidest)에 포함한다. Imwitor® 375; 에틸 올레에이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실온에서 에탄올에서 흔들면서(500 rpm) 용해 시켰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그 후 물 (aqua bidest)을 천천히 및 균일하게 (200 μl/min) 첨가시켜 100%로 하고, 전체 혼합물을 완벽하게 혼합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산물은 5분 동안 200 바 (bar)로 균질하게(homogenised) 하였다. 소포의 크기는 제타시저 나노 ZS (Malvern Instruments GmbH, Herrenberg, Germany; 실온에서 5분 동안)를 사용하여 다이나믹 라이트 스케터링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크기는 100-150 nm 의 범위이었다.
예 4: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은 바람직하게는 예 1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을 포함하며, 이 소포들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60 4g: 세틸 알콜 (cetyl alcohol) 6 g; 미글리올 812 (Miglyol 812) 7.5 g; 흰색 페트롤륨 젤리 (white petroleum jelly) (바실리움 알붐)vfasilinum album) 25.5 g; 맥로골 2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Macrogol 20 glyceryl monostearate) 7 g; 플로필렌 글라이콜 (propylene glycol)10 g 이 포함 되고 및 물로 (aqua bidest.) 100 g으로 만든 기초 크림 DAC에 10% (v/w)의 양만큼 포함된다. 예 1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크림 성분으로서 기반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5: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은 바람직하게는 예 2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을 포함하며, 이 소포들은 이소옥틸 라우레이트 (isooctyl laurate) 10g; 세틸 스테아레릴 알콜 (cetyl stearyl alcohol) 21 g; 글리세롤 (glycerol) (85% v/v) 5 g;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propyl hydroxybenzoate) 0.05g;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에트 (methyl hydroxybenzoate) 0.15g; 0.3g의 리모넨 (limonene); 0.3g의 리난울(linanool); 에탄올 (90% v/v) 1.8 mg을 포함하고 물로 (aqua bidest.) 100g으로 한 크림에 10% (v/w) 만큼 병합된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는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크림 성분으로서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6: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은 바람직하게는 예 3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화제 소포들을 포함하며, 이 소포들은 PEG-8 L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레이트 에스터) ((PEG-8 L (polyoxyethylene laurate ester)) 15 g; 에틸 옥타노에이트 (ethyl octanoate) 5 g;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 C12-C15 alkyl benzoate) 4.5 g; 글리세롤 (glycerol) 3 g; 디메티콘 (dimethicone) 0.5 g; 디소듐 이디티에 (disodium EDTA) 0.1 g 을 포함하고 및 물 (aqua bidest.)로 100g으로 한 크림에 10% (v/w)의 양 만큼 병합된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화제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크림 성분으로서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된다.
예 7 :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1,2-헥산디올 (1,2-hexanediol) 0.5 g;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4.0 g; Butyrospermum parkii 버터 (쉬아 버터)(shea butter) 6.0 g;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2.0g; 테고 카버머 140 (Tego Carbomer 140) 0.3 g; 세틸 팔미테이트 (cetyl palmitate) 1.0 g; 세틸 알콜 1.0 g; 세틸 스테아릴 알콜(cetyl stearyl alcohol) 1.0 g; 디부틸 아디페이트 (dibutyl adipate) 3.0 g;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elthylhexyl salicylate) 4.5 g; 글리세롤 10.0 g;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glyceryl monostearate) 2.5 g; 수소화된 코코-글리세라이드 (hydrogenated coco-glycerides) 1.0 g; 메틸프로판네디올 (methylpropanediol) 2.0 g; 소듐 할우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0.15 g; 향수 (perfume); 페녹시에타놀(phenoxyethanol) 0.6 g;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포닉 애시드 (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2.0 g; 소듐 스테아릴 글루타메이트 (sodium stearyl glutamate) 0.2 g; 소듐 클로라이드 (sodium chloride) 0.2 g; 밀납 (beeswax) 1.0 g; 소듐 이디티에/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EDTA/sodium hydroxide) 2.5 g; 을 포함하고 물로 (aqua bidest/) 100g이 되도록 한 크림에 예 2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을 10% (v/w)의 양 만큼 병합되게 하였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크림 성분으로서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8 :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예 1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이 10% (w/v)의 양으로 라멜라 기반 크림 (lamellar base cream )에 병합되었으며, 이 라멜라 기반 크림은 SLM 2026 (Lipoid AG, Steinhausen, Switzerland) 25 g; 카프릴릭 애시드 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 acid triglyceride) 18 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 (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바 오일)(jojoba oil) 6 g; 펜틸렌 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3.75 g; 글리세롤 3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vitamin E acetate) 1 g; 판텐올 (panthenol) 0.5 g; 테고 카버머 140 (Tego Carbomer 140) 0.2 g;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sodium hydroxide) (20% v/v) 0.15 g; 켈트롤 CG-SFT (Keltrol CG-SFT) 0.1 g; 을 포함하고; 물로 (aqua bidest.)로 100 g 되도록 한 라멜라 기반 크림이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크림 성분으로서 라멜라 기반한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9: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예 1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은 10% (w/v)의 양으로 라멜라 기반 크림 (lamellar base cream )에 병합되었으며, 이 라멜라 기반 크림은 SLM 2026 (Lipoid AG, Steinhausen, Switzerland) 30 g; 미그리올 812 (Miglyol 812) 15 g; 펜틸렌 글라이콜 10 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 (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바 오일)(jojoba oil) 5 g; Butyrospermum parkii 버터 (쉬아 버터)(shea butter) 2.0 g; 스쿠알렌 (squalane) 1 g; 포스포리폰 90H (Phospholipon 90H) 1 g; 비타민E 아세테이트 1 g; 팬텐올 (panthenol) 0.5 g; 풀라워컨센트롤 (Flowerconcentrole®)((Symrise, Holzminden, Germany; 서로 다른 꽃추출물 (different blossom extracts)) 1 g을 포함하고; 물로 (aqua bidest.) 100 g이 되게 한 크림이다. 지방 층(fatty phase) 및 물 층(aqueous phase)은 처음에는 따로 60℃에서 교반 하면서 섞었다. 지방 층(fatty phase)은 20,000 rpm에서 3분 동안 균질하게 (homogenised)하였으며 그 후 물 층(aqueous phase)을 지방 층(fatty phase)에 교반하면서 섞었으며, 이 혼합물은 20,000 rpm에서 5분 동안 균질하게 (homogenised) 하였다. 냉각시킨 후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 및 풀라워칸센트롤 (Flowerconcentrole® )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은 40°C에서 크림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으며 pH는 5.0 - 6.0로 조정하였다.
예 10: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SLM 2026 (Lipoid AG, Steinhausen, Switzerland) 30 g; 미그리올 812 (Miglyol 812) 15 g; 펜틸렌 글라이콜 10 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 (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바오일) 5 g; Butyrospermum parkii 버터 (쉬아 버터) (shea butter) 2.0 g; 스쿠알렌 (squalane) 1 g; 포스포리폰 90H (Phospholipon 90H) 1 g; 비타민E 아세테이트 1 g; 팬텐올 (panthenol) 0.5 g; 풀라워컨센트롤 (Flowerconcentrole®)((Symrise, Holzminden, Germany; 서로 다른 꽃추출물 (different blossom extracts)) 1 g을 포함하고; 물로 (aqua bidest.)100g이 되게 한 라멜라 기반한 크림에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 각각 2.5g의 양을 병합시켰다. SLM 2026 기반 크림, 지방 층(fatty phase) 및 물 층(aqueous phase)은 교반시키면서(stiring) 처음에는 따로 섞고 60℃에서 가열시켰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뜨거운 지방 층(fatty phase)에 첨가시키고 이 혼합물을 강렬하게 균질화 되게 하였고, 그 후 이 지방 층(fatty phase)을 60℃에서 SLM 2026 기반 크림에 교반시키면서 섞었으며, 이 혼합물을 강렬하게 균질화 (homogenised intensively)시켰다. 뜨거운 물 층(aqueous phase)을 그 후 60℃에서 교반하면서 첨가시켰으며 이 혼합물은 20,000 rpm 에서 5분 동안 균질화 시켰다. 냉각시킨 후,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을 40℃에서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시켰으며 pH는 5.0 - 6.0로 조정하였다.
예 11: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ethylhexyl stearate) 10 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Simmondsia chinensis oil)(조조바오일) 5 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glyceryl stearate citrate) 4 g; 펜틸렌 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3 g; 데실 올레에이트(decyl oleate) 2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풀라워컨센트롤 (Flowerconcentrole® )(Symrise, Holzminden, Germany; 서로 다른 꽃 추출물 혼합물) 1 g; 펜텐올 (panthenol) 0.5 g; 스테아릴 알콜 (cetearyl alcohol) 0.5 g; 디햅틸 석시네이트 (diheptyl succinate) 0.5 g; 카보머 (carbomer) 0.5 g; 를 포함하고 물로 (aqua bidest.)로 100 g 되게 한 크림에 예 1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을 10% (w/v)의 양으로 병합시켰다. 지방 층(fatty phase) 및 물 층(aqueous phase)은 처음에는 따로 60℃에서 교반 하면서 섞었다. 지방 층(fatty phase)은 15,000 rpm에서 3분 동안 균질하게 (homogenised)하였으며, 그 후 물 층(aqueous phase)을 지방 층(fatty phase)에 교반하면서 첨가시켰으며, 이 혼합물은 20,000 rpm에서 5분 동안 균질하게 (homogenised) 하였다. 냉각시킨 후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 및 풀라워칸센트롤 (Flowerconcentrole® )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은 40°C에서 크림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으며 pH는 5.0 - 6.0로 조정하였다.
예 12: 크림으로서의 포물레이션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ethylhexyl stearate) 8 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바오일) 4 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glyceryl stearate citrate) 4 g; 데실 올레에이트 (decyl oleate) 4g; 글리세롤 3g; 펜틸렌 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3 g; 슈크로즈 스테아레이트 1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풀라워컨센트롤 (Flowerconcentrole® )(Symrise, Holzminden, Germany; 서로 다른 꽃 추출물 혼합물) 1 g; 펜텐올 (panthenol) 0.5 g; 스테아릴 알콜 (cetearyl alcohol) 0.5 g; 디햅틸 석시네이트 (diheptyl succinate) 0.4 g;카보머 (carbomer) 0.4 g;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acrylate/C10-C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1 g; 카프릴로일글리세롤/세바식 애시드 (capryloylglycerol/sebacic acid) 0.1 g; 트리소듐 에틸렌디아민(trisodium ethylenediamine) 0.02 g; 을 포함하고 물( aqua bidest.)로 100 g 되게한 라멜라 기반 크림에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각각 2.5 g의 양을 병합시켰다. 지방 층(fatty phase) 및 물 층(aqueous phase)은 처음에는 따로 60℃에서 교반하면서 섞었다. 지방 층(fatty phase)은 15,000 rpm에서 3분 동안 균질하게 (homogenised)하였으며, 그 후 물 층(aqueous phase)을 지방 층(fatty phase)에 교반 하면서 첨가하였으며, 이 혼합물은 20,000 rpm에서 5분 동안 균질하게 (homogenised) 하였다. 냉각시킨 후 풀라워칸센트롤 (Flowerconcentrole®)을 40°C에서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게 하였으며 pH는 5.0 - 6.0 로 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시 15,000 rpm 에서 3분 동안 균질화 (homogenisation)시켰다.
13:로션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은 바람직하게는 예 2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 20% (w/v)를 포함함은 물론이고 글리세롤 5 g; 운겐툼 에멜지피칸 아쿠아섬 (unguentum emulsificans aquosum) 15 g; 푸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propyl hydroxybenzoate) 0.3 g;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methyl hydroxybenzoate) 0.7 g; 에탄올 (90% v/v) 0.9 g 을 포함하고;물로 ( aqua bidest.) 100 g 으로 한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C에서 최종 성분으로서 로션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14:젤
예 2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 75% (w/v) 에 2%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0.5% 소듐 카보머 (sodium carbomer) (PNC 400) 및 물(aqua dest.)를 첨가하고; 물로 (aqua dest.) 100% 되게 하였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C 에서 최종 성분으로서 젤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15:젤
예 1로부터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 15g을 5 g의 만니톨 (mannitol); 0.1 g의 소듐 에데테이트 (sodium edetate) ; 1 g의 플로필렌 글라이콜 (propylene glycol); 1 g의 카보풀 934 (Cabopol 934) 및 95 g의 물을 포함하는 젤 베이스 75 그램과 섞는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을 그렇게 함으로써 40 °C에서 최종 성분으로서 젤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16:젤
예 1로부터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 18.5g을 1.75 g의 리포이드 PG 14.1, 14.1 (Lipoid PG 14:1, 14:1); 3.75 g의 에탄올 및 76 g의 물 (aqua dest.)과 함께 젤의 형태로 처리하였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연한 콩 포스파디딜콜린 리포좀은 그렇게 함으로써 젤에 40°C에서 젤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17: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 각각 2.5g 씩의 양을 3.5 g 의 포스포리핀 90G (Phospholipon 90G) ; 1.5 g 의 리포이드 PG 14:1, 14:1 (Lipoid PG 14:1, 14:1); 3.75 g의 에탄올 및 76.25 g의 물(aqua dest.)로 구성된 포스포리피드 젤에 병합시켰다. 이 목적을 위하여, 포스포리핀 90G는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60°C / 100 rpm) 에탄올에 용해 시켰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은 60°C 에서 리포이드 PG 14:1, 14:1 로 녹게하고 균질하게 섞었다. 용해된 포스포리핀 90G가 그 후 첨가되었고 이미 존재하는 성분과 함께 60°C에서 페이스트 (paste)로 만들었다. 45°C로 냉각시키는 동안, 물 (aqua dest.)을 단계적으로 첨가하였으며, 젤을 형성시키기 위해 천천히 교반시켰다. 그 후 젤은 부풀어오르게 45°C에 놓아두고 천천히 5분 더 교반시켜 균질한 젤이 되게 하였다.
예 18: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지질 유화제,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및 식물 오일에 기반하고 18β -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 구굴스테론 조합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소포들
바람직한 포물레이션은 8.5% (w/w) 콩 오일(soybean oil); 3.5% (w/w) Imwitor® 375; 10% (w/w) 에틸 올레이트 (ethyl oleate); 10% (w/w)에타올; 1.5% (w/w)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diglyceryl monooleate); 0.75% (w/w)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0.75% (w/w) (Z)-구굴스테론을 물(aqua bidest.)(ad 100%)에 포함하는 소포들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소포들은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또는 (Z)-구굴스테론을 1.5 % (w/w)양으로 포함하는 소포들이다:
(a)1.5 % (w/w)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와 13.5% (w/w) 해바라기씨 오일; 3.5% (w/w) Imwitor® 375; 5% (w/w) 에틸 올레에이트; 10% (w/w) 에탄올; 물에(aqua bidest.) 1.5% (w/w)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에에트 (ad 100%).
(b) 1.5% (w/w) (Z)-구굴스테론과 8.5% (w/w) 해바라기씨 오일; 3.5% (w/w) Imwitor® 375; 10% (w/w) 에틸 올레에이트; 10% (w/w) 에탄올; 물에(aqua bidest.) 1.5% (w/w)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에에트 (ad 100%).
이 두 타입의 소포들, (a) 및 (b), 는 바람직하게는 최종 포물레이션에는 1:1로 첨가 된다.
식물씨 오일 (콩 또는 해바리기 오일), Imwitor® 375, 에틸 올레에이트,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실온에서 에탄올에 흔들어서(500 rpm) 용해 시켰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그 후 물 (aqua bidest)을 천천히 및 균일하게 (200 μl/min) 첨가시켜 100%로 하고, 전체 혼합물을 완벽하게 혼합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산물은 5분 동안 섞고 (vortexed), 5분 동안 초음파로 처치하고(on/off 간격: 10 초), PC 필터 멤브레인 (200nm 구멍 크기)을 통해 압출 성형시켰다. 소포의 크기는 제타시저 나노 ZS (Zetasi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s GmbH, Herrenberg, Germany; 실온에서 5분 동안)를 사용하여 다이나믹 라이트 스케터링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크기는 80-140 nm 의 범위이었다.
예 19: 식품 첨가제 군으로부터의 지질 유화제 및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18β -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 구굴스테론 조합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소포들
바람직한 소포들은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또는 (Z)-구굴스테론을 1.5 % (w/w)양으로 포함하는 소포들이다:
(a)1.5 % (w/w)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와 10.5% (w/w) Imwitor® 375; 4.5% (w/w) 에틸 올레에이트; 16% (w/w) 에탄올과 물 (aqua bidest.)로 100% (ad 100%).
(b) 1.5% (w/w) (Z)-구굴스테론과 14% (w/w) Imwitor® 375; 6% (w/w) 에틸 올레에이트; 16% (w/w) 에탄올과 물로 (aqua bidest.) 100% (ad 100%).
이 두 타입의 소포들, (a) 및 (b),는 바람직하게는 최종 포물레이션에는 1:1로 첨가 된다.
Imwitor® 375, 에틸 올레에이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구굴스테론을 실온에서 에탄올에 흔들어서(500 rpm) 용해 시켰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그 후 물 (aqua bidest)을 천천히 및 균일하게 (200 μl/min) 첨가시켜 100%로 하고, 전체 혼합물을 완벽하게 혼합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산물은 5분 동안 섞고 (vortexed), 5분 동안 초음파로 처치하고(on/off 간격: 10 초), PC 필터 멤브레인 (200nm 구멍 크기)을 통해 압출 성형시켰다. 소포의 크기는 제타시저 나노 ZS (Zetasi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s GmbH, Herrenberg, Germany; 실온에서 5분 동안)를 사용하여 다이나믹 라이트 스케터링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크기는 80-160 nm 의 범위이었다.
예 20: 합성 세틸 팔미테이트 (synthetic cetyl palmitate ), 식물 오일, 식물 폴리삭카라이드 공중합체 및 스테아릭 - 애시드 기반한 유화제 및 18β -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Z)- 구굴스테론 조합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소포들
바람직한 포뮬레이션은 20% (w/w)세틸 팔미테이트; 10% (w/w)조조바오일; 5% (w/w)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5% (w/w) (Z)-구굴스테론; 1.5% (w/w)테고 케어 PS( TEGO® Care PS) 및 0.5% (w/w) 인우택 SPI (Inutec® SP1)을 물(aqua bidest.)로 100%로 한(ad 100%)소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소포들은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또는 (Z)-구굴스테론을 5 % (w/w)양으로 포함하는 소포들이다:
(a)5 % (w/w)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와 20% (w/w) 세틸 팔미테이트; 10% (w/w)조조바오일; 1.5% (w/w)테고 케어 PS( TEGO® Care PS) 및 0.5% (w/w) 인우택 SPI (Inutec® SP1)을 물(aqua bidest.)에 포함한(ad 100%) 소포.
(b) 5% (w/w) (Z)-구굴스테론과 20% (w/w) 세틸 팔미테이트; 10% (w/w)조조바오일; 1.5% (w/w) 테고 케어 PS( TEGO® Care PS) 및 0.5% (w/w) 인우택 SPI (Inutec® SP1)을 물(aqua bidest.)에 포함한 (ad 100%) 소포.
이 두 타입의 소포들, (a) 및 (b), 는 바람직하게는 최종 포물레이션에는 1:1로 첨가 된다.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또는 (Z)-구굴스테론은 조조바 오일에 교반 시키면서 다시 현탁시킨다. 세틸 팔미틸레이트를 60℃에 녹이고; 테고케어 PS (TEGO® Care PS) 및 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또는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조조바 오일을 강하게 교반 하면서 첨가하였다. 인우택 SPI (Inutec® SP1)를 60℃ 에서 정제수로 용해 시켰다. 60℃에서, 액체 혼합물을 서서히 인우택 SPI 용액에 첨가하였다. 분산물은 60℃에서, 고압 균질기 (호모게나이져, homogeniser)로 균질하게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예 21: 크림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은 각각 2.5 g씩의 양으로 SLM 2026 (Lipoid AG, Steinhausen, Switzerland) 86.5 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시 오일(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바 오일) 6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판테놀 (panthenol) 0.5 g;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을 포함하는 라멜라 기반한 크림에 병합시켰다. 성분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서서히 라멜라 기반한 크림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2: 크림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예 12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은 10% (v/w)의 양으로 SLM 2026 (Lipoid AG, Steinhausen, Switzerland) 86.5 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시 오일(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바 오일) 6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판테놀 (panthenol) 0.5 g;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을 포함하는 라멜라 기반한 크림에 병합시켰다. 예 16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마지막 크림성분으로서 40℃에서 라멜라 기반한 크림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3: 크림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 각각 2.5 g 씩을 포함하며, 이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60 (glycerol monostearate 60) 4 g; 세틸 알콜 (cetyl alcohol) 6 g; 미글리올 812 (Miglyol 812) 7.5 g; 흰색 페트롤륨 젤리 (바실리눔 알붐)(white petroleum jelly)(vasilinum album) 25.5 g; 마크로골 2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Macrogol 20 glyceryl monostearate) 7 g; 프로필렌 글라이콜 (propylene glycol) 10 g을 포함하고 및 물 (aqua bidest.)로 100 g 되게 한 베이스 크림 DAC에 병합시킨다. 크림 페이스 마스크는 더 나아가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g;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시 오일(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바 오일) 5 g; 및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을 포함한다. 성분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단계적으로 베이스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4: 크림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예 13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화제 소포들은 10% (v/w) 의 양으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60 4 g; 세틸 알콜 6 g; 미글리올 812 7.5 g; 흰색 페트롤륨 젤리 25.5 g; 마크로골 2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7 g; 프로필렌 글라이콜 10 g을 포함하고 및 물 (aqua bidest.)로 100 g 되게 한 베이스 크림 DAC에 병합시켰다. 크림 페이스 마스크는 더 나아가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g; 에탄올 5 g; 및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을 포함한다. 예 17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유화제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크림 성분으로서 베이스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5: 크림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예 14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소포들은 10% (v/w) 의 양으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60 4 g; 세틸 알콜 6 g; 미글리올 812 7.5 g; 흰색 페트롤륨 젤리 25.5 g; 마크로골 2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7 g; 프로필렌 글라이콜 10 g을 포함하고 및 물 (aqua bidest.)로 100 g 되게 한 베이스 크림 DAC에 병합시켰다. 크림 페이스 마스크는 더 나아가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g; 펜태놀 0.5 g; 및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을 포함한다. 예 18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크림 성분으로서 베이스 크림에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6: 크림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예 12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은 10% (v/w) 의 양으로, PEG-8 L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레이트 에스터 (polyoxyethylene laurate ester) 15 g; 에틸 옥타노에이트 (ethyl octanoate) 5 g;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4.5 g; 글리세롤 (85%) 3 g; 프로필렌 글라이콜 3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디메티콘 350 (dimethicone 350) 0.5 g,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을 포함하고 및 물(aqua bidest.)로 100 g 되게 한 크림에 병합되었다. 예 16 에 따른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을 함유하는 오일 유화제 소포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40℃에서 최종 성분으로서 포뮬레이션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7: 젤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젤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2.5 g 각각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 에탄올 5 g; 만니톨 (mannitol) 5 g; 소듐 에데테이트 (sodium edetate) 1 g; 프로필렌 글라이콜 1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카보폴 981 (Carbopol 981) 0.5 g;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및 물 (aqua bidest.)로 100 g으로 한 것을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성분들은 단계별로 40℃에서 포뮬레이션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8: 젤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포뮬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젤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2.5 g 각각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 2-프로판올 (2-propanol) 10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카보폴 981 (Carbopol 981) 0.5 g;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및 물 (aqua bidest.)로 100 g으로 한 것을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성분들은 단계별로 40℃에서 포뮬레이션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9: 연고 페이스 마스크 로서의 포뮬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젤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2.5 g 각각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 에탄올 5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운구엔텀 에멀지피칸스 아쿠아섬 N SR (unguentum emulsificans aquosum N SR)((비-이온성, 유화 알콜들 21 g; 2-에틸헥실 라우레이트 (2-ethylhexyl laurate) 10 g; 글리세롤 (85%) 5 g; 포타슘 소르베이트 (potassium sorbate) 0.14 g; 시트레이트 (citrate) (무수) 0.07 g를 포함하고 및 물로 100g(aqua ad 100 g)으로 함));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및 물 (aqua bidest.)로 100 g으로 한 것을 포함한다. 성분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단계별로 40℃에서 포뮬레이션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30: 연고 페이스 마스크 로서의 포뮬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젤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2.5 g 각각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 (Simmondsia chinensis oil) (조조 바오일) 5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리니멘툼 아쿠아섬 N (Linimentum aquosum N)((유화적인 세틸 스테아릴 알콜 (타입 A) 11.5 g; 2-에틸헥실 라우레이트 5 g; 글리셀롤 (85%) 2.5 g; 포타슘 소르베이트 0.07 g; 시트레이트 (citrate) (무수) 0.07 g를 포함하고 및 물로 100g(aqua ad 100 g)으로 함));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및 물 (aqua bidest.)로 100 g으로 한 것을 포함한다. 성분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단계별로 40℃에서 포뮬레이션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31: 로션 페이스 마스크 로서의 포뮬레이션
본 발명에 따른 로션 페이스 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2.5 g 각각의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 에탄올 2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g, 판테놀(panthenol) 0.5 g; 글리세롤 (85%) 5 g; 파이오니어 1033 (Pionier 1033) 7 g; 점액성 파라핀 (viscous paraffin) 20 g; 우레아 2 g; 흰색 페트롤륨 젤리 (white petroleum jelly) 20 g;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magnesium sulfate heptahydrate) 0.5 g;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methyl hydroxybenzoate) 0.3 g;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propyl hydroxybenzoate) 0.7 g; 풀라워컨센트롤(Flowerconcentrole®) 믹스 (꽃 추출물들; Symrise, Holzminden, Germany) 1 g 및 물 (aqua bidest.)로 100 g으로 한 것을 포함한다. 성분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단계별로 40℃에서 포뮬레이션으로 균질하게 병합되었다.
예 27에서부터 예31의 페이스 마스크들은 더 나이가 예 16,17 및 18의 소포들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예 4에서 예 17 까지의 크림, 로션 및 젤들은 더 나아가 예 16,17 및 18의 소포들을 사용하여 제조 될수 있다.
예 32: 페이스 마스크들 조성물들의 추가 예들
성분 조성물 A:
정제수 (Purified water)
벤토나이트 (Bentonite)
글리세롤(Glycerol)
아카시아 세네갈 껌 (Acacia senegal gum)
젠탄 껌 (Xanthan gum)
벤질 알콜 (Benzyl alcohol)
에탄올 (Ethanol)
소듐 디하이드로아세테이트 (Sodium dehydroacetate)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Simmondsia chinensis oil)(조조바 오일) (jojoba oil)
소듐 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
디하이드로아세틱 애시드(Dehydroacetic acid )
시트릭 애시드 (Citric acid)
꽃 추출물(향수)((Blossom extract (fragrance))
카모머 (Carbomer)
1,2- 헥산디올 (1,2-Hexanediol)
카프릴릴 글라이콜 (Caprylyl glycol)
소듐 벤조에이트 (Sodium benzoate)
락틱애시드 (Lactic acid)
포타슘 소르베이트 (Potassium sorbate)
알긴 (Algin)
판테놀 (Panthen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
성분 조성물 B:
정제수(Purified water)
심몬드시아 차이네시스 오일(Simmondsia chinensis oil)(조조바 오일)(jojoba oil)
부티로스페르눔 파키 (쉬아) 버터 추출물((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extract))
글리세롤 (Glycerol)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
세테아릴 알콜 (Cetearyl alcohol)
세라 알바 (Cera alba)(밀납(beeswax))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벤질 알콜 (Benzyl alcohol)
소듐 살리실레이트 (Sodium salicylate)
꽃 추출물(향수) ((Blossom extract (fragrance))
레부리닉 애시드 (Levulinic acid)
젠탄 껌 (Xanthan gum)
소듐 레부리네이트 (Sodium levulinate)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Sodium hydroxide)
디하이드로아세틱 애시드 (Dehydroacetic acid)
소듐 벤조에이트 (Sodium benzoate)
포타슘 소르베이트 (Potassium sorbate)
시트릭 애시드 (Citric acid)
판테놀 (Panthen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
성분조성물 C:
정제수(Purified water)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헥토라이트 (Hectorite)
세테아릴 알콜 (Cetearyl alcohol)
팬틸렌 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Isopropyl isostearate)
글리세롤 (Glycerol)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
세테아레스-20 (Ceteareth-20)
판테놀 (Panthenol)
토코페롤 (Tocopher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
벤질 알콜 (Benzyl alcohol)
알란토인 (Allantoin)
세테아레스-12 (Ceteareth-12)
세틸 팔미테이트 (Cetyl palmitate)
꽃 추출물(향수) ((Blossom extract (fragrance))
시트릭 애시드 (Citric acid)
벤조익 애시드 (Benzoic acid)
소듐 할우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0.01 - 0.5%)
소르빅 애시드 (Sorbic acid)
벤질 알콜 (Benzyl alcohol)
이 들 조성물들 A, B 또는 C 에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트 및 (Z)-구굴스테론 이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들이 첨가 된다.

Claims (30)

  1.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Vesicles):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glycyrrhetinic acid)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ester);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guggulsterone); 및
    c) 다음 중 하나: c1)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또는 c2)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emulsifier) 및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fatty acid)의 모노에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c) 포스파티딜콜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c)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콩 레시틴(soy lecithin)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sunflower lecithin)으로부터 유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콩 레시틴 또는 해바라기 레시틴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식물 오일(plant oi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는
    18a-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또는 18b-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염 또는 에스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은 (Z)-구굴스테론 및/또는 (E)-구굴스테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는 감초(Glycyrrhiza glabra)의 형태 또는 감초 추출물의 형태 및/또는 순수 화학물질의 형태 및/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형태로 사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은 구굴 리피드(guggul lipid)의 형태 또는 구굴 리피드의 추출물의 형태 및/또는 순수 화학물질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는 식품 첨가제 E471, E472a, E472b, E472c, E472d, E472e, E472f, E473, E474, E475, E476 및 E477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포스파티딜콜린 10 중량부당,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0.1-0.5 중량부;
    구굴스테론 0.1-0.5 중량부; 및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surfactant) 0.5-3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식용식물의 시드 오일(seed oil) 15-20% (v/v);
    식품첨가제군으로부터 유화제 2.5-10% (w/v);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2.5-5% (w/v);
    에탄올 10-20% (v/v);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0.1-10% (w/v); 및
    (Z)-구굴스테론 0.1-10% (w/v);을 포함하고, 물로 100%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는,
    식품첨가제군으로부터 유화제 7-17.5% (w/v);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의 모노에스터 3-7.5% (w/v);
    에탄올 10-20% (v/v);
    18β-글리시레티닉 애시드 0.1-10% (w/v); alc
    (Z)-구굴스테론 0.1-10% (w/v);을 포함하고, 물로 100%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13. 제1항 내지 제12항의 소포를 포함하는 크림, 로션 또는 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로션 또는 젤은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이 크림, 로션 또는 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 10% (w/w)의 양으로 존재하고, 바람직하게는 0.1 - 5%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로션 또는 젤.
  15.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
    0 - 5% (w/w)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0 - 5% (w/w) 구굴스테론;
    5 - 25% (w/w) abs. 에탄올(ethanol absolute);
    1 - 30% (w/w) 에틸 올레이트(ethyl oleate);
    0 - 30% (w/w) 식물오일(예를들어 해바라기 오일, 콩 오일(soybean oil), 유채 오일(rape oil));
    0.5 - 5% (w/w)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0 - 5% (w/w) 임위터 375(Imwitor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라이놀레이트/올레이트);를 포함하고 정제수(purified water)를 첨가하여 100%를 만들되, 여기서, 상기 소포는 적어도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또는 구굴스테론을 포함한다.
  16.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
    0 - 5% (w/w)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0 - 5% (w/w) 구굴스테론;
    5 - 25% (w/w) abs. 에탄올;
    1 - 10% (w/w) 에틸 올레이트;
    5 - 25% (w/w) 임위터 375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라이놀레이트/올레이트); 를 포함하고 정제수(purified water)를 첨가하여 100%를 만들되, 여기서, 상기 소포는 적어도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또는 구굴스테론을 포함한다.
  17.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
    0 - 5% (w/w)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0 - 5% (w/w) 구굴스테론 ;
    10 - 15% (w/w) 조조바 오일(jojoba oil);
    15 - 25% (w/w) 세틸 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0.2 - 1.0% (w/w) 이누텍® SP1(Inutec® SP1);
    1 - 3% (w/w) 테고® 케어 PS(TEGO® Care PS); 를 포함하고 정제수(purified water)를 첨가하여 100%를 만들되, 여기서, 상기 소포는 적어도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또는 구굴스테론을 포함한다.
  18. 제1항 내지 제12항 및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포의 화장용 및/또는 피부과학적 치료용 및/또는 셀룰라이트 예방용 및/또는 피부 노화 예방용 크림, 로션 또는 젤 제제.
  19.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Face mask).
  20.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포를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
  21.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이 페이스 마스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 5% (w/w)의 양으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0.1 - 2.5% (w/w)의 양으로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
  22. 노화 또는 스트레스받은 피부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페이스 마스크 생산에서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포의 사용.
  23. 예를들어, 지방성수종(lipoedema), 지방종(lipoma), 복병(abdominal wall)의 지방종증(lipomatosis), 더마토펜니 쿨로시스 데포만스(dermatopanniculosis deformans), HIV 환자에서의 버팔로 험프(buffalo hump) 및 비 특이적 피하지방 침착(non-specific subcutaneous fat deposits)과 같은 피하지방(subcutaneous fatty) 또는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의 변화의 치료 또는 얼굴과 목 부위의 지방체(fat pad)(예를들어, 누낭(lachrymal sacs), 코입술주름(nasolabial folds), 늘어진 뺨(flabby cheeks), 이중턱(double chin) 등)와 같은 질환에 의해 유발되지 않은 지방체의 퇴행 또는 감소 또는 지합 흡입 후의 후치료(after-treatment)에서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포 또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의 조합의 사용.
  24.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석고(Plaster) 또는 패치(patc).
  25.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포를 포함하는 석고 또는 패치.
  26.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A)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 및
    a)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또는 이의염또는 에스터; 및
    c) 다음 중 하나: c1)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c2)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fatty acid)의 모노에스터;
    B) 하기를 포함하는 소포:
    b)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 및
    d) 다음 중 하나: d1)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d2) 식품첨가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하나 이상의 장쇄 지방산(fatty acid)의 모노에스터.
  27. 제26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 로션, 젤, 석고, 패치 또는 페이스 마스크.
  28. 화장용 및/또는 피부과학적 치료용 및/또는 셀룰라이트 예방용 및/또는 노화된 피부 외관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제26 항에 따른 크림, 로션 또는 젤 조성물의 제제.
  29. 노화 또는 스트레스 받은 피부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페이스 마스크 생산에서 제26항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30. 예를들어, 지방성수종(lipoedema), 지방종(lipoma), 복병(abdominal wall)의 지방종증(lipomatosis), 더마토펜니 쿨로시스 데포만스(dermatopanniculosis deformans), HIV 환자에서의 버팔로 험프(buffalo hump) 및 비 특이적 피하지방 침착(non-specific subcutaneous fat deposits)과 같은 피하지방(subcutaneous fatty) 또는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의 변화의 치료 또는 얼굴과 목 부위의 지방체(fat pad)(예를들어, 누낭(lachrymal sacs), 코입술주름(nasolabial folds), 늘어진 뺨(flabby cheeks), 이중턱(double chin) 등)와 같은 질환에 의해 유발되지 않은 지방체의 퇴행 또는 감소 또는 지합 흡입 후의 후치료(after-treatment)에서 제26항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KR1020177032677A 2015-04-13 2016-04-12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천연 물질의 조합, 및 이의 화장품 응용에의 용도 KR20170134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001045 2015-04-13
EP15001045.2 2015-04-13
EP15003170 2015-11-05
EP15003170.6 2015-11-05
PCT/EP2016/057995 WO2016166091A1 (de) 2015-04-13 2016-04-12 Naturstoffkombination enthaltend mindestens eine glycyrrhetinsäure und mindestens ein guggulsteron sowie verwendung derselben für kosmetische anwend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746A true KR20170134746A (ko) 2017-12-06

Family

ID=5570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77A KR20170134746A (ko) 2015-04-13 2016-04-12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천연 물질의 조합, 및 이의 화장품 응용에의 용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80207078A1 (ko)
EP (1) EP3283055A1 (ko)
JP (1) JP2018514506A (ko)
KR (1) KR20170134746A (ko)
CN (1) CN107438422A (ko)
AU (1) AU2016249759A1 (ko)
BR (1) BR112017021950A2 (ko)
CA (1) CA2982397A1 (ko)
MX (1) MX2017012815A (ko)
PH (1) PH12017501756A1 (ko)
RU (1) RU2017139120A (ko)
TW (1) TW201701861A (ko)
WO (1) WO2016166091A1 (ko)
ZA (1) ZA201706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5799A1 (en) * 2018-08-23 2021-10-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r Prolifer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
JP7421298B2 (ja) * 2019-10-02 2024-01-24 花王株式会社 Brg-1発現促進剤
WO2021123280A1 (en) * 2019-12-18 2021-06-24 Pantea Gmbh Dietary supplement for lipedema patie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61728T3 (es) * 2005-10-03 2018-04-03 Pinksky, Mark A.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el cuidado mejorado de la piel
EP2243494A1 (en) 2009-04-22 2010-10-27 OntoChem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steroid-dehydrogenase-reductase inhibitor, and a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39120A3 (ko) 2019-07-17
WO2016166091A1 (de) 2016-10-20
PH12017501756A1 (en) 2018-04-02
RU2017139120A (ru) 2019-05-13
TW201701861A (zh) 2017-01-16
ZA201706881B (en) 2019-09-25
JP2018514506A (ja) 2018-06-07
CN107438422A (zh) 2017-12-05
EP3283055A1 (de) 2018-02-21
US20180207078A1 (en) 2018-07-26
AU2016249759A1 (en) 2017-11-02
MX2017012815A (es) 2018-05-02
CA2982397A1 (en) 2016-10-20
BR112017021950A2 (pt)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ianecci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novel ammonium glycyrrhizinate/niosomes delivery system: human and murine models
CN112891241B (zh) 一种靶向线粒体皮肤抗衰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427976B (zh) 疏水的活性成分的储库制剂及其制备方法
CA2872279C (en) Topical lipolysis compositions and methods
Razavi et al. Ethosome: a nanocarrier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CN103565743B (zh) 氨甲环酸皮肤外用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240099976A1 (en) Blended formulations
CN109528725A (zh) 一种含二氨基嘧啶氧化物和吡咯烷基二氨基嘧啶氧化物的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09149692A (ja) ゲル軟膏
KR20170134746A (ko) 하나 이상의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및 하나 이상의 구굴스테론을 포함하는 천연 물질의 조합, 및 이의 화장품 응용에의 용도
US10967036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onion extract and liposomes
Allaw et al. From plants to phospholipid vesicles: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incorporation of phytochemicals into phospholipid vesicles designed for skin applications with special focus on scalability and in vitro and in vivo efficacy
KR102551369B1 (ko)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투명한 리포좀 조성물
KR101775266B1 (ko) 신규한 트라넥사민산 담지 액정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038920A (zh) 用于治疗美学皮肤病症的铁螯合化合物
JP2004182635A (ja) 皮膚外用剤
JP2003063996A (ja) 皮膚外用剤
Opatha et al. Asiatic acid-entrapped transfersomes for the treatment of hypertrophic scars: In vitro appraisal, bioactivity evaluation, and clinical study
US9913908B2 (en) Transdermal pharmaceutical bases for treating ear disorders
JP2004182636A (ja) 皮膚外用剤
US20220047499A1 (en) Topical Lipolysis Composition and Methods
Annissya et al. Development of a Serum with 4-N-Butylresorcinol in The Etosome Vesicular System
US20200069585A1 (en) Compositions for upregulating defensin expression
DE102015004672A1 (de) In Vesikeln formulierte Naturstoffkombination
WO2016156470A1 (en) Vesicular formula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uscle so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