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780A -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780A
KR20170133780A KR1020160064993A KR20160064993A KR20170133780A KR 20170133780 A KR20170133780 A KR 20170133780A KR 1020160064993 A KR1020160064993 A KR 1020160064993A KR 20160064993 A KR20160064993 A KR 20160064993A KR 20170133780 A KR20170133780 A KR 20170133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oor
skin
door
washing machine
ri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280B1 (ko
Inventor
전광민
김화식
이홍렬
임희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280B1/ko
Priority to EP17157908.9A priority patent/EP3249092B1/en
Priority to US15/601,995 priority patent/US10961650B2/en
Publication of KR2017013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33Form or shape having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Injection 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5P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 세탁기용 도어의 내부 도어 조립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내피;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부재의 테두리부와 돌출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Inner door assembly and Doo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에 묻은 오염 물질을 화학적인 분해작용과 기계적인 충격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로 세탁물에 충격을 주는 펄세이터 세탁기와 드럼의 회전으로 세탁물을 낙하시켜 세탁물에 충격을 주는 드럼 세탁기로 구분할 수 있다.
드럼 세탁기는 회전하는 세탁조가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는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세탁물의 꼬임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의 전면에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마련된다. 따라서, 드럼 세탁기용 도어는 세탁물 투입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는 드럼 세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볼록한 부분은 투명한 유리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의 투명한 유리를 통해 드럼 세탁기에 수용된 세탁물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가공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도어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만드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는 유리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드럼 세탁기의 제작시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제작비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는 투명한 유리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어의 내부에 다른 부품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드럼 세탁기용 도어의 내부 도어 조립체를 유리가 아닌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가공과 취급이 용이하고, 제작비를 줄일 수 있으며, 다른 부품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디자인 자유도가 높은 내부 도어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 및 드럼 세탁기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내피;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부재의 테두리부와 돌출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테두리부는 컬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컬링부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에 컬링 가공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돌출부에는 제1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돌출부에는 상기 제1개구에 대응하는 제2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제2개구에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제1개구의 둘레를 감싸는 컬링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 내피는 사출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투입구로 삽입되는 내부 도어 조립체; 및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삽입되는 고정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상기 드럼 세탁기의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 세탁기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내피;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와 돌출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돌출부 내부에는 상기 제1개구에 연결되는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의 일단에는 덮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본체; 및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로 삽입되는 내부 도어 조립체; 및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내피;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와 돌출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드럼 세탁기의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드럼 세탁기용 도어를 선 4-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선 7-7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컬링 가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컬링 가공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선 14-14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럼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1)는 세탁기 본체(3)와 도어(10)를 포함한다.
세탁기 본체(3)는 드럼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세탁기 본체(3)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5)가 마련된다. 세탁기 본체(3)의 전면 상부에는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패널(7)이 마련된다.
세탁기 본체(3)의 내부에는 세탁물 투입구(5)를 향하여 개구부가 마련된 원통형의 세탁조가 마련된다. 세탁조는 고정조와 회전조(9)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고정조는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가 수용되며, 회전조(9)는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을 수행한다.
고정조의 상부에는 고정조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가 마련되며, 고정조의 하부에는 고정조로 부터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회전조(9)는 전면에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 투입구(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와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조(9)의 내면에는 세탁물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복수의 리프트가 마련된다. 회전조(9)는 후면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어(10)는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 투입구(5)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탁기 본체(3)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드럼 세탁기용 도어를 선 4-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10)는 도어 프레임(20)과 내부 도어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20)은 도어(10)가 세탁기 본체(3)의 세탁기 투입구(5)를 막았을 때,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 도어 조립체(100)를 지지한다. 도어 프레임(20)은 중앙에 내부 도어 조립체(100)가 삽입되는 고정 구멍(23)이 마련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 프레임(20)은 내부 도어 조립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의 프레임 부재, 즉 제1프레임 부재(21)와 제2프레임 부재(22)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 부재(21)의 고정 구멍(23)에 내부 도어 조립체(100)를 삽입하고, 제1프레임 부재(21)에 제2프레임 부재(22)를 결합하면, 내부 도어 조립체(100)가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조립체(100)의 테두리부(101)가 제1 및 제2프레임 부재(21,22) 사이에 고정된다.
도어 프레임(20)은 세탁기 본체(3)의 전면에 세탁기 투입구(5)의 일측에 힌지(11)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된 내부 도어 조립체(100)가 세탁기 투입구(5)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20)에는 고정 구멍(23)을 막는 보호 커버(3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커버(30)는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된 내부 도어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S)을 막는다.
내부 도어 조립체(100)는 도어 프레임(20)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 투입구(5)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도어 조립체(100)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의 내부 도어 조립체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선 7-7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도어 조립체(100)는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어 내피(110)는 대략 링 형상의 테두리부(111)와 상기 테두리부(111)에서 일정 각도로 돌출되는 돌출부(113)를 포함한다. 돌출부(113)는 바닥이 있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3)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111)의 내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113)는 테두리부(111)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가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 투입구(5)를 덮을 때, 돌출부(113)는 세탁기 본체(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 도어 내피(110)는 플라스틱을 사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부 도어 내피(110)는 사출기로 사출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120)는 내부 도어 내피(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외피(120)는 상술한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와 돌출부(113)에 대응하는 테두리부(121)와 돌출부(123)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120)의 테두리(121)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부(123)는 테두리(121)의 내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23)는 내부 도어 내피(110)의 돌출부(113)에 대응하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120)의 테두리부(121)와 돌출부(123)는 내부에 내부 도어 내피(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도어 내피(110)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 내피(110)의 외면이 내부 도어 외피(120)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120)는 금속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금속으로는 세탁기 본체(3)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조와 회전조와 동일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내부 도어 외피(120)는 세탁수와 세제에 의해 부식되지 않으며, 세탁시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내식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120)는 내부 도어 내피(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 도어 내피(110)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120)와 내부 도어 내피(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내부 도어 외피(120)와 내부 도어 내피(110)는 컬링 가공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내부 도어 외피와 내부 도어 내피를 결합하는 컬링 가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컬링 가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컬링 가공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링 결합을 위해 내부 도어 외피(120)의 테두리부(121)에는 컬링부(122)가 마련된다. 컬링부(122)는 내부 도어 외피(120)의 테두리부(12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120)에 내부 도어 내피(110)를 삽입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 외피(120)의 컬링부(122)가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컬링 기계 또는 컬링 지그로 내부 도어 외피(120)의 컬링부(122)를 접으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 외피(120)의 컬링부(122)는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를 감싸게 된다. 즉, 내부 도어 외피(120)의 컬링부(122)는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컬링 가공이 완료되면, 내부 도어 외피(120)와 내부 도어 내피(110)는 일체로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116)가 마련되며, 내부 도어 외피(120)의 테두리부(121)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116)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 홈(126)이 마련된다. 복수의 고정 돌기(116)는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의 후면, 즉 내부 도어 외피(120)와 접촉하는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의 일면에 형성된다. 고정 돌기(116)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의 테두리부(111)에 대응하는 곡률로 굽혀진다.
내부 도어 외피(120)의 고정 홈(126)은 내부 도어 내피(110)의 고정 돌기(116)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110)의 복수의 고정 돌기(116)를 내부 도어 외피(120)의 복수의 고정 홈(126)에 삽입하면, 내부 도어 내피(110)가 내부 도어 외피(12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내부 도어 외피(120)의 복수의 고정 홈(12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술한 컬링부(122)가 마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120)에 마련된 컬링부(122)는 복수의 고정 홈(126)에 의해 다수 개로 나누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를 결합하여 내부 도어 조립체(100)를 형성하면, 금속으로 형성된 내부 도어 외피(120)는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내부 도어 내피(110)는 드럼 세탁기(1)의 도어(10)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드럼 세탁기용 도어(10)를 닫은 경우에 세탁기 본체(3)의 내부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내부 도어 조립체(100)의 내부 도어 외피(120)가 노출된다. 따라서, 세탁시 내부 도어 조립체(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금속으로 형성된 내부 도어 외피(120)가 충분하게 견딜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어 내피(11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에 사용하는 유리와 달리 가공성이 뛰어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내부 도어 내피(110)의 외면과 내부 도어 외피(120)의 내면이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내부 도어 내피와 내부 도어 외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내부 도어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내부 도어 내피(110')는 돌출부(113)의 상면(114)이 단이 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내부 도어 내피(110)의 상면(114)의 하부에 테두리부(111)를 향해 상면(114)의 높이 보다 낮은 단부(117)가 마련된다. 내부 도어 내피(110)의 테두리부(111)와 돌출부(113)의 나머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의 내부 도어 내피(110)와 동일하게 내부 도어 외피(1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110')를 내부 도어 외피(120)에 삽입하여 컬링 가공으로 결합하면, 내부 도어 내피(110')의 돌출부(113)의 상면(114)과 내부 도어 외피(120)의 돌출부(123)의 상면(124) 사이에는 공간(127)이 마련된다.
이 공간(127)에는 디스플레이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내피(110')의 단부(117)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노출될 수 있는 관통구멍(118)이 마련되며, 디스플레이부(130)는 공간(127)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30)에 필요한 신호와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은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연장하여 드럼 세탁기(1)의 제어부와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 사이에 형성한 공간(127)에 디스플레이부(130)를 설치하였으나,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 사이의 공간(127)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 사이의 공간(127)에는 드럼 세탁기(1)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나 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내부 도어 조립체(100)의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가 컬링 가공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를 결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법으로 내부 도어 내피(110)와 내부 도어 외피(1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내부 도어 조립체의 내부 도어 내피와 내부 도어 외피를 결합하는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도어 조립체(200)는 내부 도어 내피(210)와 내부 도어 외피(220)를 포함한다.
내부 도어 내피(210)는 테두리부(211)와 테두리부(211)에서 연장되는 돌출부(213)를 포함한다. 내부 도어 내피(210)의 테두리부(211)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돌기(216)가 마련된다. 내부 도어 내피(210)는 상술한 도 6의 실시예의 내부 도어 내피(1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부 도어 외피(220)는 내부 도어 내피(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 도어 내피(210)의 테두리부(211)와 돌출부(213)에 대응하는 테두리부(221)와 돌출부(2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외피(210)의 테두리부(221)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부(223)는 테두리부(221)의 내주면에서 테두리부(223)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23)는 내부 도어 내피(210)의 돌출부(213)에 대응하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220)의 테두리부(221)와 돌출부(223)는 돌출부(22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내부 도어 내피(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도어 내피(210)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210)의 외면이 내부 도어 외피(220)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 내피(210)의 테두리부(211)는 내부 도어 외피(220)의 테두리부(221)와 접촉하고, 내부 도어 내피(210)의 돌출부(213)의 외면과 내부 도어 외피(220)의 돌출부(223)의 내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내부 도어 내피(210)와 내부 도어 외피(220)를 결합하였을 때, 내부 도어 내피(210)의 돌출부(213)의 상면(214)과 내부 도어 외피(220)의 돌출부(223)의 상면(224)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220)의 테두리부(221)에는 내부 도어 내피(210)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 돌기(216)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 홈(226)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내피(210)의 테두리부(211)의 후면, 즉 내부 도어 외피(220)와 접촉하는 내부 도어 내피(210)의 테두리부(211)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2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도어 외피(220)의 테두리부(221)의 외주에는 복수의 고정 홈(226)이 마련된다. 내부 도어 내피(210)의 복수의 고정 돌기(216)는 굽힌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복수의 고정 홈(226)도 고정 돌기(216)에 대응하는 굽혀진 직사각형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210)의 복수의 고정 돌기(216)를 내부 도어 외피(220)의 복수의 고정 홈(216)에 삽입하면, 내부 도어 내피(210)가 내부 도어 외피(220)에 고정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210)가 내부 도어 외피(22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내부 도어 외피(220)와 내부 도어 내피(21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로 내부 도어 외피(220)와 내부 도어 내피(21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 도어 외피(220)와 내부 도어 내피(210)는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내부 도어 조립체(100,200)에 관통구멍이 없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세탁기 본체(3)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내부 도어 조립체에 관통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관통구멍을 갖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내부 도어 조립체를 선 14-14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도어 조립체(300)는 내부 도어 내피(310)와 내부 도어 외피(3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어 내피(310)는 대략 링 형상의 테두리부(311)와 상기 테두리부(31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13)를 포함한다. 돌출부(313)는 바닥이 있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3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13)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311)의 내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드럼 세탁기용 도어(10)가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 투입구(5)를 덮을 때, 돌출부(313)는 세탁기 본체(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313)의 상면(314)에는 돌출부(313)의 상면(314)을 관통하는 제1개구(3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개구(315)의 형상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어 내피(310)의 테두리부(311)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316)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내피(310)의 테두리부(311)의 후면, 즉 내부 도어 외피(320)와 접촉하는 내부 도어 내피(310)의 테두리부(311)의 일면에 복수의 고정 돌기(316)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돌기(316)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311)에 대응하는 곡률로 굽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 도어 내피(310)는 성형성이 좋은 플라스틱을 사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320)는 내부 도어 내피(3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외피(320)는 상술한 내부 도어 내피(310)의 테두리부(311)와 돌출부(313)에 대응하는 테두리부(321)와 돌출부(323)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320)의 테두리(321)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부(323)는 테두리(321)의 내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돌출부(323)는 내부 도어 내피(310)의 돌출부(313)에 대응하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320)의 테두리부(321)와 돌출부(323)는 내부에 내부 도어 내피(3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도어 내피(310)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 내피(310)의 외면이 내부 도어 외피(320)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320)의 돌출부(323)에는 내부 도어 내피(310)의 제1개구(3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개구(325)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320)와 내부 도어 내피(310)를 결합하면, 제1개구(315)와 제2개구(325)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조립체(300)의 돌출부(323)에는 내부 도어 조립체(30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301)가 마련된다.
내부 도어 외피(320)의 테두리부(321)에는 내부 도어 내피(310)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 돌기(316)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 홈(326)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내피(310)의 테두리부(311)의 후면, 즉 내부 도어 외피(320)와 접촉하는 내부 도어 내피(310)의 테두리부(311)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3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도어 외피(320)의 테두리부(321)의 외주에는 복수의 고정 홈(326)이 마련된다. 내부 도어 내피(310)의 복수의 고정 돌기(316)는 굽힌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복수의 고정 홈(326) 각각도 내부 도어 내피(310)의 고정 돌기(316)에 대응하는 굽혀진 직사각형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310)의 복수의 고정 돌기(316)를 내부 도어 외피(320)의 복수의 고정 홈(326)에 삽입하면, 내부 도어 내피(310)가 내부 도어 외피(320)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내부 도어 외피(320)는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도어 내피(310)는 내부 도어 외피(320)에 삽입되며, 내부 도어 외피(320)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 외피(320)와 내부 도어 내피(310)는 컬링 가공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320)와 내부 도어 내피(310)를 컬링 가공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내부 도어 외피(320)의 테두리부(321)에 컬링부(322)가 마련된다. 컬링부(322)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내부 도어 조립체(100)의 내부 도어 외피(120)의 컬링부(12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내부 도어 내피(310)에 제1개구(315)가 마련되고, 내부 도어 외피(320)에 제2개구(325)가 마련되므로, 제1개구(315)와 제2개구(325)의 결합을 위해 제2개구(325)의 둘레에는 컬링부(328)가 마련될 수 있다. 컬링부(328)는 내부 도어 내피(310)의 제1개구(315)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 도어 내피(310)의 제1개구(315)와 내부 도어 외피(320)의 제2개구(325)의 사이에는 투명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이 내부 도어 조립체(300)의 공간(S)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투명부재(330)의 둘레에는 실링(340)이 마련된다. 투명부재(330)는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부 도어 조립체(300)에 마련된 투명부재(330)를 통해 세탁기 본체(3)에 수용된 세탁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내부 도어 조립체(300)에 형성된 개구(301)를 세탁물을 확인하는 점검창으로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개구(301)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 조립체의 개구를 추가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내부 도어 조립체에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가 마련된 드럼 세탁기용 도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10')는 도어 프레임(40)과 내부 도어 조립체(400)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40)은 도어(10')가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 투입구(5)를 막았을 때,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 도어 조립체(400)를 지지한다. 도어 프레임(40)은 중앙에 내부 도어 조립체(400)가 삽입되는 고정 구멍(43)이 마련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 프레임(40)은 내부 도어 조립체(4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의 프레임 부재, 즉 제1프레임 부재(41)와 제2프레임 부재(42)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 부재(41)의 고정 구멍(43)에 내부 도어 조립체(400)를 삽입하고, 제1프레임 부재(41)에 제2프레임 부재(42)를 결합하면, 내부 도어 조립체(400)의 테두리부(401)가 제1 및 제2프레임 부재(41,42)에 의해 고정된다.
도어 프레임(40)은 세탁기 본체(3)의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5)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프레임(40)에 고정된 내부 도어 조립체(400)가 세탁물 투입구(5)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40)에는 고정 구멍(43)을 덮을 수 있는 보호 커버(50)가 설치된다.
내부 도어 조립체(400)는 도어 프레임(40)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세탁기 본체(3)의 세탁물 투입구(5)로 삽입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조립체(400)는 내부 도어 내피(410)와 내부 도어 외피(4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어 내피(410)는 대략 링 형상의 테두리부(411)와 상기 테두리부(41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413)를 포함한다. 돌출부(413)는 바닥이 있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410)의 내부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내피(410)의 돌출부(413)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411)의 내주면에서 일정 각도, 예를 들면, 둔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도어 내피(410)의 돌출부(413)의 상면(414)에는 돌출부(413)의 상면(413)을 관통하는 제1개구(415)가 마련되고, 돌출부(413)의 내부에는 제1개구(415)에서 테두리부(411) 쪽으로 연장되는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가 마련된다.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의 단면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어 내피(410)의 테두리부(411)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내부 도어 내피(110)와 동일하게 복수의 고정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내피(410)의 테두리부(411)의 후면, 즉 내부 도어 외피(420)와 접촉하는 내부 도어 내피(410)의 테두리부(411)의 일면에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도어 내피는 사출성이 좋은 플라스틱을 사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420)는 내부 도어 내피(4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외피(420)는 상술한 내부 도어 내피(410)의 테두리부(411)와 돌출부(413)에 대응하는 테두리부(421)와 돌출부(423)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420)의 테두리부(421)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부(423)는 테두리부(421)의 내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내부 도어 외피(420)의 돌출부(423)는 내부 도어 내피(410)의 돌출부(413)에 대응하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420)의 테두리부(421)와 돌출부(423)는 내부에 내부 도어 내피(4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도어 내피(410)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 내피(410)의 외면이 내부 도어 외피(420)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420)의 돌출부(423)에는 내부 도어 내피(410)의 제1개구(4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개구(425)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 외피(420)와 내부 도어 내피(410)를 결합하면, 제1개구(415)와 제2개구(425)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410)의 제1개구(415)에서 연장된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가 내부 도어 외피(420)의 제2개구(425)를 통해 내부 도어 조립체(400)의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부 도어 조립체(400)의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를 이용하여 세탁기 본체(3) 내부로 세탁물을 추가 투입할 수 있다.
내부 도어 외피(420)의 테두리부(421)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내부 도어 외피(120)와 동일하게 내부 도어 내피(410)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 홈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 내피(410)의 테두리부(411)의 후면, 즉 내부 도어 외피(420)와 접촉하는 내부 도어 내피(410)의 테두리부(411)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도어 외피(420)의 테두리부(421)의 외주에는 복수의 고정 홈이 마련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 내피(410)의 복수의 고정 돌기를 내부 도어 외피(420)의 복수의 고정 홈에 삽입하면, 내부 도어 내피(410)가 내부 도어 외피(420)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내부 도어 외피(420)는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도어 내피(410)는 내부 도어 외피(420)에 삽입되며, 내부 도어 외피(4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 외피(420)와 내부 도어 내피(410)는 컬링 가공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드럼 세탁기용 도어(10')에 마련된 보호 커버(50)에는 상술한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60)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60)는 보호 커버(50)에 대해 힌지(61)로 결합되어 있어, 내부 도어 조립체(400)의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를 개폐할 수 있다.
드럼 세탁기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내부 도어 조립체(400)가 세탁기 본체(3)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드럼 세탁기용 도어(10')가 세탁물 투입구(5)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호 커버(50)에 마련된 덮개(60)를 열고, 내부 도어 조립체(400)의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를 이용하여 세탁기 본체(3) 내부로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가 내부 도어 내피(4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43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는 내부 도어 내피(410)와 별도로 만든 후, 내부 도어 내피(410)에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도어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사출기 또는 사출장치로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내부 도어 내피를 제작한다. 이와 동시에 별도의 공정으로 내부 도어 외피를 제작한다.
내부 도어 외피는 내식성과 강성이 있는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내부 도어 내피를 내부 도어 외피에 삽입한 후, 내부 도어 내피를 내부 도어 외피에 고정하면, 내부 도어 조립체가 완성된다. 이때, 내부 도어 내피와 내부 도어 외피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 내피와 내부 도어 외피는 컬링 가공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부 도어 외피에는 결합을 위한 컬링부가 마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드럼 세탁기 3; 세탁기 본체
5; 세탁물 투입구 7; 제어 패널
10,10'; 드럼 세탁기용 도어 20,40; 도어 프레임
21,41; 제1프레임 부재 22,42; 제2프레임 부재
23,43; 고정 구멍 30,50; 보호 커버
60; 덮개 61; 힌지
100,200,300,400; 내부 도어 조립체
110,210,310,410; 내부 도어 내피
111,211,311,411,121,221,321,421; 테두리부
113,213,313,413,123,223,323,423; 돌출부
116,216,316; 고정 돌기 126,226,326; 고정 홈
117; 단부 122,322; 컬링부
315,415; 제1개구 325,425; 제2개구
330; 투명부재 430;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

Claims (20)

  1.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내피;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와 돌출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테두리부는 컬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컬링부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에 컬링 가공에 의해 고정되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홈이 마련되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돌출부에는 제1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돌출부에는 상기 제1개구에 대응하는 제2개구가 마련된,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제2개구에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제1개구의 둘레를 감싸는 컬링부가 마련되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는 사출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9.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투입구로 삽입되는 내부 도어 조립체; 및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삽입되는 고정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상기 드럼 세탁기의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 세탁기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내피;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와 돌출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테두리부는 컬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컬링부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에 컬링 가공으로 고정되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홈이 마련되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돌출부에는 제1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돌출부에는 상기 제1개구에 대응하는 제2개구가 마련된, 드럼 세탁기용 도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제2개구에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제1개구의 둘레를 감싸는 컬링부가 마련되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돌출부 내부에는 상기 제1개구에 연결되는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가 마련되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세탁물 투입통로의 일단에는 덮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고정 구멍을 막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용 도어.
  17.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본체; 및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로 삽입되는 내부 도어 조립체; 및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조립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내피;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와 돌출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도어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드럼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테두리부는 컬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컬링부는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테두리부에 컬링 가공으로 고정되는, 드럼 세탁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의 돌출부에는 제1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의 돌출부에는 상기 제1개구에 대응하는 제2개구가 마련된, 드럼 세탁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내피는 사출 가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도어 외피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KR1020160064993A 2016-05-26 2016-05-26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227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993A KR102271280B1 (ko) 2016-05-26 2016-05-26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EP17157908.9A EP3249092B1 (en) 2016-05-26 2017-02-24 Inner door assembly and door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5/601,995 US10961650B2 (en) 2016-05-26 2017-05-22 Inner door assembly and door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993A KR102271280B1 (ko) 2016-05-26 2016-05-26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80A true KR20170133780A (ko) 2017-12-06
KR102271280B1 KR102271280B1 (ko) 2021-06-30

Family

ID=5815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993A KR102271280B1 (ko) 2016-05-26 2016-05-26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1650B2 (ko)
EP (1) EP3249092B1 (ko)
KR (1) KR10227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88A (ko) * 2015-02-25 2016-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568675B1 (ko) * 2017-02-21 202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DE102018210860A1 (de) * 2018-07-02 2020-01-02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Gerätetür
CN110872756A (zh) * 2018-08-31 2020-03-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US11346039B2 (en) 2019-05-08 2022-05-31 Whirlpool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262A (ko) *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구조
US20110023559A1 (en) * 2009-07-30 2011-02-0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oor hing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US20120007482A1 (en) * 2010-07-06 2012-01-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Porthole Window for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Appliance
EP2415920A1 (en) * 2010-08-06 2012-02-08 Fagor, S. Coop. Washing machine with a door comprising a cavity adapted to house a loa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4009C2 (de) * 1993-02-11 1999-07-01 Miele & Cie Wäschebehandlungsgerät
DE10031171A1 (de) 2000-06-27 2002-01-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Bullaugen-Fenster für eine Frontlader-Trommelwaschmaschine
KR100595180B1 (ko) 2002-07-3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빨래건조기/드럼세탁기의 도어
US7478502B2 (en) 2003-08-14 2009-01-20 Gemtron Corporation Appliance doors
KR20050108614A (ko)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도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DE102006026717B4 (de) * 2005-06-09 2014-02-20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und Tür einer solchen
DE102009047595A1 (de) * 2009-12-07 2011-06-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gerät mit einem Sichtfenst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Tür
KR102147824B1 (ko) * 2013-09-11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도어의 제조방법
ES2564877B1 (es) * 2014-09-25 2017-01-18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Aparato doméstico para el tratamiento de prendas de ropa con una ventana de cristal con revestimiento específico de una puerta
KR20160103888A (ko) * 2015-02-25 2016-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262A (ko) *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구조
US20110023559A1 (en) * 2009-07-30 2011-02-0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oor hing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US20120007482A1 (en) * 2010-07-06 2012-01-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Porthole Window for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Appliance
EP2415920A1 (en) * 2010-08-06 2012-02-08 Fagor, S. Coop. Washing machine with a door comprising a cavity adapted to house a l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9092A1 (en) 2017-11-29
KR102271280B1 (ko) 2021-06-30
US10961650B2 (en) 2021-03-30
US20170342621A1 (en) 2017-11-30
EP3249092B1 (en)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3780A (ko)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JP4636148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505237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2843105B1 (en)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EP3181750A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KR20030060557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US20050262887A1 (en) Door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KR20100019090A (ko) 세탁기용 도어
JP2024026546A (ja) 衣類処理装置のドア構造
WO2017107940A1 (zh) 一种滚筒洗衣机
JP2011072456A (ja) 電気洗濯機
JP2004508854A (ja) 洗濯装置
JP2012217533A (ja) ドラム式洗濯機
AU2017362549B2 (en)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US20060254319A1 (en) Washing machine
TW201713820A (zh) 滾筒式洗衣機
US20220290358A1 (en) Washing machine
KR20200096042A (ko) 의류처리장치
JP421197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719049B2 (ja) 洗濯機
US20040159128A1 (en) Washing machine
JP7021923B2 (ja) 洗濯機
JP656131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177822B2 (ja) 電気洗濯機
JP2014147838A (ja) 電気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