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239A -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239A
KR20170133239A KR1020167012531A KR20167012531A KR20170133239A KR 20170133239 A KR20170133239 A KR 20170133239A KR 1020167012531 A KR1020167012531 A KR 1020167012531A KR 20167012531 A KR20167012531 A KR 20167012531A KR 20170133239 A KR20170133239 A KR 2017013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worm wheel
belt
tensione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885B1 (ko
Inventor
김성묵
이현욱
김낙유
최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피 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피 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피 지
Publication of KR2017013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3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means, e.g.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동력 전달 기구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웜기어, 상기 구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웜휠, 상기 구동 웜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웜기어 및 상기 제1 웜휠과 연결되고 상기 종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웜휠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AMERAS COMPRISING THE SAME}
이하,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웜기어(worm gear) 및 웜휠(worm wheel)은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직각이면서 교차하지 않는다. 한줄나사의 웜기어가 일 회전을 하는 경우, 이에 맞물린 웜휠은 이 하나만큼 회전한다. 예를 들어, 웜휠이 50개의 이를 가지고 웜기어가 한줄나사라면 감속비가 50:1이다. 스퍼 기어로 얻을 수 있는 감속비는 기껏해야 10:1을 넘지 못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크다. 따라서, 웜기어와 웜휠은 차지하는 공간에 비하여 매우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감속장치에 사용된다. 또한, 웜기어를 구동하여 웜휠을 회전시키는 장치로 사용되며 역구동은 불가능하다. 즉, 웜휠을 회전시킨다고 하여 웜기어가 회전하지 않는다.
백래시(backlash)는 웜기어 및 웜휠과 같이 기계에 사용되는 톱니바퀴 등이 서로 맞물려 운동하는 장치에서 운동방향으로 만들어진 틈이다. 다만, 이러한 백래시로 인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기어 및 웜휠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어긋나거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백래시는 마모에 의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진동 또는 소음을 발생시키고 기계의 수명을 저하한다.
셀프록킹(Self-Locking)은 죈 나사가 이를 죄던 손을 놓아도, 즉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반대쪽으로 돌아가서 저절로 풀리는 일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웜기어 및 웜휠을 맞물리는 기구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207048호는 웜 기어의 백래시를 감소시키는 카메라 고정 대 장치의 동력 전달 기구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백래시를 저감하기 위한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셀프록킹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웜기어, 상기 구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웜휠, 상기 구동 웜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웜기어 및 상기 제1 웜휠과 연결되고 상기 종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웜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텐셔너는, 상기 벨트에 접하는 아이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텐셔너는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제1 웜휠 또는 상기 종동 웜기어와 상기 제2 웜휠 간 백래시를 측정하는 백래시 측정센서, 상기 텐셔너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결정된 텐셔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텐셔너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백래시 측정센서는, 회전각을 측정하는 엔코더 또는 광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벨트는, 상기 구동 웜기어 및 상기 종동 웜기어 간 공통 내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지지 장치는,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제1 웜휠, 상기 제1 웜휠에 연결되는 제2 웜휠, 상기 제1 웜휠에 맞물리는 구동 웜기어, 상기 제1 웜휠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웜기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웜휠에 맞물리는 종동 웜기어,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종동 웜기어 간 공통으로 접하여 연결되는 벨트 및 상기 구동 웜기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카메라 지지 장치는, 상기 벨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텐셔너는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및 카메라 지지 장치는 웜기어와 웜휠 간 발생하는 백래시를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및 카메라 지지 장치는 웜기어의 회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발생하는 어긋남 또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및 카메라 지지 장치는 웜기어 및 웜휠의 구조에 의해 셀프록킹을 구현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웜휠 및 그와 연결된 구성들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텐셔너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동력 전달 기구(1)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굵은 화살표는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점선 화살표는 하기에서 설명할 텐셔너(70)에 의해 벨트(40)에 장력이 가해진 경우 장력 방향을 나타낸다.
동력 전달 기구(1)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10),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웜기어(20), 상기 구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웜휠(30), 상기 구동 웜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40),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웜기어(50) 및 상기 제1 웜휠과 연결되고 상기 종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웜휠(6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0)는 사용 환경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모터가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웜휠(30) 및 상기 제1 웜휠과 연결된 제2 웜휠(6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기어드 모터(geared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10)를 구동하면 모터(10)로부터 발생한 동력이 구동 웜기어(20)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 웜기어(20)는 모터(10)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웜기어(20)의 회전 방향은 모터(1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웜기어(20)는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웜기어(20)는 상기 구동 웜기어에 연결된 벨트(40)에 동력을 전달하고, 벨트(40)는 구동 웜기어(2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웜기어(2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40)는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웜기어(20)는, 모터(10)로부터 멀어질수록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방향 나사산 또는 모터(10)로부터 멀어질수록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방향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구동 웜기어(20)가 제1 방향 나사산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력 전달 기구(1)는, 하기에서 설명할 텐셔너(70)의 위치를 조절할 여유 공간을 구비하기 위하여 구동 웜기어(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구비한, 구동 웜기어(20)와 연결될 수 있고 벨트(40)와 결합할 수 있는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웜휠(30)은 구동 웜기어(2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모터(10)에 의하여 구동 웜기어(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웜휠(30)은 도 1의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벨트(40)는 구동 웜기어(20)에 연결되어 구동 웜기어(20)의 회전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벨트(40)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벨트는 기어처럼 등간격의 홈을 가진 풀리의 홈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내측에 동일한 간격의 홈을 가진 벨트로서 구동 웜기어(20)의 회전을 높은 효율로 전달할 수 있다. 벨트(40)는 구동 웜기어(20) 및 하기에서 설명할 종동 웜기어(5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구동 웜기어(20)에 연결된 풀리 및 하기에서 설명할 종동 웜기어(50)에 연결된 풀리에 연결되어 구동 웜기어(20)의 동력을 종동 웜기어(50)에 전달할 수 있다.
종동 웜기어(50)는 벨트(4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종동 웜기어(50)의 회전 방향은 벨트(4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웜기어(2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40)는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종동 웜기어(50)는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종동 웜기어(50)는 구동 웜기어(20)와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웜기어(20)가 제1 방향 나사산을 구비할 때, 종동 웜기어(50)는 제2 방향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구(1)는, 하기에서 설명할 텐셔너(70)의 위치를 조절할 여유 공간을 구비하기 위하여 종동 웜기어(5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구비한, 종동 웜기어(50)와 연결될 수 있고 벨트(40)와 결합할 수 있는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웜기어(20)의 풀리 및 종동 웜기어(50)의 풀리의 크기는 같을 수 있다. 다만, 웜휠의 직경 또는 웜기어의 직경 등이 달라지는 경우, 그에 따라서 구동 웜기어(20)에 연결될 수 있는 풀리 또는 종동 웜기어(50)에 연결될 수 있는 풀리의 직경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웜휠(60)은 제1 웜휠(30)과 연결되고 종동 웜기어(5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제2 웜휠(60)은 지지대(80)에 의하여 동일한 축을 공유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웜휠(60)은 제1 웜휠(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웜휠(60)은 종동 웜기어(50)에 맞물려 제1 웜휠(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구동 웜기어(2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웜휠은 도 1의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웜휠은 제1 웜휠과 연결되어 도 1의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종동 웜기어(50) 또한 구동 웜기어(20)에 연결된 벨트에 의해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웜휠(60)은 종동 웜기어(50)에 맞물려 도 1의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동력 전달 기구(1)의 텐셔너(7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텐셔너(70)는 벨트(40)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텐셔너(70)가 벨트(40)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구동 웜기어(20)와 제1 웜휠(30) 간 백래시 또는 종동 웜기어(50)와 제2 웜휠(60) 간 백래시를 저감시킬 수 있다.
텐셔너(70)는 벨트(40)에 접하여 회전 가능한 원통형의 아이들러(idler)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러에 의하면 벨트(40)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아이들러에 의하면 벨트(40)에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을 구비하게 되어 벨트(40)의 구동 경로를 부드럽게 유지함으로써 벨트(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구동 웜기어(20), 종동 웜기어(50), 벨트(40) 및 텐셔너(70)의 배치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여, 지지대(80)를 기준으로 동일 측에 배치된 구동 웜기어(20)와 종동 웜기어(50) 및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종동 웜기어에 공통 외접하는 벨트(40)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구동 웜기어(20)가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40)가 구동 웜기어(2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 웜기어(50)가 벨트(40)의 회전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웜휠(30) 및 제2 웜휠(6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종동 웜기어(50)는 제1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텐셔너(70)가 벨트(40)에 장력을 가하는 경우 구동 웜기어(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및 종동 웜기어(5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벨트(40)에 장력이 가해진다.
도 4b를 참조하여, 지지대(80)를 기준으로 반대 측에 배치된 구동 웜기어(20)와 종동 웜기어(50) 및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종동 웜기어에 공통 내접하는 벨트(40)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구동 웜기어(20)가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40)가 구동 웜기어(20)의 회전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 웜기어(50)가 벨트(4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웜휠(30) 및 제2 웜휠(6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종동 웜기어(50)는 제1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텐셔너(70)가 벨트(40)에 장력을 가하는 경우 구동 웜기어(2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및 종동 웜기어(5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벨트(40)에 장력이 가해진다.
도 4c를 참조하여, 지지대(80)를 기준으로 동일 측에 배치된 구동 웜기어(20)와 종동 웜기어(50) 및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종동 웜기어에 공통 내접하는 벨트(40)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구동 웜기어(20)가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40)가 구동 웜기어(2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 웜기어(50)가 벨트(4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웜휠(30) 및 제2 웜휠(6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종동 웜기어(50)는 제1 방향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텐셔너(70)가 벨트(40)에 장력을 가하는 경우 구동 웜기어(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및 종동 웜기어(5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벨트(40)에 장력이 가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동력 전달 기구(1)는 구동 웜기어(20)와 제1 웜휠(30) 또는 종동 웜기어(50)와 제2 웜휠(60) 간 백래시를 측정하는 백래시 측정센서(100), 텐셔너(7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110) 및 제어부(110)에 의해서 결정된 텐셔너(70)의 위치에 기초하여 텐셔너(70)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블록(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래시 측정센서(100)는 회전각을 측정하는 엔코더 또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에를 들어, 백래시 측정센서(100)는 구동 웜기어(20)와 제1 웜휠(30) 간 백래시 또는 종동 웜기어(50)와 제2 웜휠(60) 간 백래시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어 간 맞물린 부위에 광을 조사하고 되돌아오는 빛을 수광하여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영상 이미지로부터 기어 간 맞물린 회전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값을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측정된 회전각값에 기초하여 벨트(40)에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7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텐셔너(70)의 위치값은 측정된 회전각값에 대응하도록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력 전달 기구(1)는 제1 웜휠(30) 및 제2 웜휠(6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모터 회전수 또는 모터 토크 값을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110)는 모터 회전수 또는 모터 토크를 결정하여 모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는 제어부(110)로부터 결정된 모터 회전수 또는 모터 토크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동블록(120)은 제어부(110)에 의해서 결정된 텐셔너(70)의 위치에 기초하여 텐셔너(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블록(120)은 선형으로 이동하는 선형가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텐셔너(70)는 이동블록(120)에 연결되어 이동블록(120)이 이동함에 따라 벨트(40)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1)의 형상을 설명한다.
카메라 지지 장치(1)는,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80),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제1 웜휠(30), 상기 제1 웜휠에 연결되는 제2 웜휠(60), 상기 제1 웜휠에 맞물리는 구동 웜기어(20), 상기 제1 웜휠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웜기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웜휠에 맞물리는 종동 웜기어(50),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종동 웜기어 간 공통으로 접하여 연결되는 벨트(40) 및 상기 구동 웜기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웜휠(30)의 회전축 및 제2 엄휠(60)의 회전축은 지지대(80)의 회전축과 동축일 수 있고, 제1 웜휠(30) 및 제2 웜휠(60)은 지지대(80)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연결될 수 있다.
벨트(40)는 구동 웜기어(20)의 일 측과 종동 웜기어(50)의 일 측에 공통으로 접하여 연결되거나 구동 웜기어(20)의 풀리 및 종동 웜기어(50)의 풀리에 공통으로 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벨트(40)가 공통으로 접하여 연결되는 방식은 공통으로 외접하거나 공통으로 내접하여 연결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 웜기어(50)는 제1 웜휠(30)을 기준으로 구동 웜기어(20)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제2 웜휠(60)에 맞물릴 수 있지만, 제1 웜휠(30)을 기준으로 구동 웜기어(20)의 동일 측에 배치되어 제2 웜휠(60)에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제1 웜휠(30) 및 제2 웜휠(60)의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구동 웜기어(20) 및 종동 웜기어(50)의 나사산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지지 장치(1)는, 벨트(4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셔너(70)는 벨트(40)의 접촉면 외부에 또는 접촉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셔너(70)가 벨트(40)의 접촉면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벨트(40)에 장력을 가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벨트(40)의 접촉면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벨트(40)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텐셔너(70)는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벨트(40)에 인접하게 배치된 텐셔너(70)의 위치를 조절하여 벨트(40)에 가하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셔너(70)의 가동 범위를 고려하여 텐셔너(70)는 벨트(40)의 접촉면 외부에 배치되어 접촉면 내부를 향하여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1)의 작동을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카메라가 연결될 수 있는 지지대(8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모터 회전수 값 또는 모터 토크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모터 회전수 값 또는 모터 토크 값에 기초하여 제어부(110)는 모터(10)를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1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터(10)에 연결된 제1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구동 웜기어(2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웜기어(2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동 웜기어(20)에 맞물린 제1 웜휠(30)이 도 1의 평면(또는 도 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웜기어(2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동 웜기어(20)에 연결된 벨트(4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벨트(4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종동 웜기어(5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종동 웜기어(50)가 도 1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종동 웜기어(50)에 맞물리고 상기 제1 웜휠(30)에 연결된 제2 웜휠(60)이 도 1 평면(또는 도 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대(8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생기고, 이에 따라 모터(1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웜기어 및 웜휠 간 백래시에 의한 어긋남 또는 충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웜기어 및 웜휠 간 백래시를 저감시키도록 벨트(40)에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70)가 벨트(4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텐셔너(70)가 벨트(40)에 장력을 가할 때 백래시 저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백래시 측정센서(100)가 웜기어 및 웜휠 간 백래시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래시 측정센서(100)는 광을 조사하여 되돌아오는 빛을 수광하여 영상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웜기어 및 웜휠 간 백래시 저감 정도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백래시 저감 정도에 따라 벨트(40)에 가하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텐셔너(7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블록(120)은 제어부(110)로부터 결정된 텐셔너(70)의 위치에 따라 텐셔너(7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텐셔너(70)가 벨트(40)에 가하는 장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웜기어 및 웜휠 간 백래시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는 두 개의 웜기어 및 두 개의 웜휠을 균형있게 배치하고 벨트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벨트에 텐셔너를 가하여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웜기어와 웜휠의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백래시를 저감하여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 모터의 방향 전환에 따라 웜기어와 웜휠 간 백래시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어긋남 또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또는 웜기어 및 웜휠의 구조로부터 셀프록킹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웜기어;
    상기 구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웜휠;
    상기 구동 웜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웜기어; 및
    상기 제1 웜휠과 연결되고 상기 종동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웜휠;
    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를 더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상기 벨트에 접하는 아이들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동력 전달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제1 웜휠 또는 상기 종동 웜기어와 상기 제2 웜휠 간 백래시를 측정하는 백래시 측정센서;
    상기 텐셔너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결정된 텐셔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텐셔너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록;
    을 더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래시 측정센서는, 회전각을 측정하는 엔코더 또는 광센서 중 하나인 동력 전달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구동 웜기어 및 상기 종동 웜기어 간 공통 내접하여 연결되는 동력 전달 기구.
  8.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제1 웜휠;
    상기 제1 웜휠에 연결되는 제2 웜휠;
    상기 제1 웜휠에 맞물리는 구동 웜기어;
    상기 제1 웜휠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웜기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웜휠에 맞물리는 종동 웜기어;
    상기 구동 웜기어와 상기 종동 웜기어 간 공통으로 접하여 연결되는 벨트; 및
    상기 구동 웜기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지지 장치.
KR1020167012531A 2016-04-29 2016-04-29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KR101817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4513 WO2017188483A1 (ko) 2016-04-29 2016-04-29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39A true KR20170133239A (ko) 2017-12-05
KR101817885B1 KR101817885B1 (ko) 2018-01-11

Family

ID=6015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531A KR101817885B1 (ko) 2016-04-29 2016-04-29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7885B1 (ko)
WO (1) WO2017188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8762B (zh) * 2018-11-29 2020-06-23 安徽迪思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节的交通专用监控装置
US20240007750A1 (en) * 2022-06-30 2024-01-04 Cheng Yuan Liao Moni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147B1 (ko) * 1996-12-17 1999-06-15 정몽규 타이밍 벨트의 자동 장력조정장치
KR200377857Y1 (ko) * 2004-12-14 2005-03-11 윤사빈 고배율 고선명 주야간 무인 관측장치의 구동장치
KR20060067072A (ko) * 2005-03-03 2006-06-19 윤사빈 고배율 고선명 주야간 무인 관측장치의 구동장치
KR100774398B1 (ko) * 2006-01-17 2007-11-08 주식회사 만도 백래시 측정장치 및 방법
JP2013159203A (ja) * 2012-02-03 2013-08-19 Toyota Motor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341661B1 (ko) 2012-12-18 2013-12-16 김성곤 멀티 웜샤프트를 구비한 로터리테이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483A1 (ko) 2017-11-02
KR101817885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824B1 (ko) 검사 스테이지의 회전 각도 정밀조절장치
US9350907B2 (en) Drive device which can be freely attached to/detached from lens barrel, and process control method and adjustment method for same
US10359037B2 (en) Peristaltic pump having adjustable roller guiding parts
JP4998898B2 (ja) 組み合わせ歯車、及びレンズ調整機構、電子機器
US9746057B2 (en) Drive mechanism for OPTO-mechanical inspection system
JP6712492B2 (ja) パンチルト駆動装置及びカメラ装置
KR101817885B1 (ko) 동력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 장치
JP20080050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7255853B (zh) 一种转动调节装置、镜头组件和摄像装置
US6946649B2 (en) Rotary encoder and position adjuster therefor
US10324308B2 (e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lens apparatus having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KR20120067239A (ko) 벨트를 이용한 단축로봇
JP2005284130A (ja) レンズ移動機構
KR101855581B1 (ko) 니들 삽입 장치
JP2007249062A (ja) 光学部材切り換え装置
US8574117B2 (en) Mechanism with component position adjusting function
KR101811156B1 (ko) 기어 조립체
JP2003159635A (ja) 割出し装置
JP5042875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7092788A (ja) ウォーム歯車回転伝達装置
JP5473791B2 (ja) 減速装置
JP2012191495A (ja) 立体カメラのステージ装置
JP2015147287A (ja) アクチュエータとロボット
JP2014016582A (ja) 光量調節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1008193A (ja) 旋回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