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452A -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452A
KR20170132452A KR1020160063299A KR20160063299A KR20170132452A KR 20170132452 A KR20170132452 A KR 20170132452A KR 1020160063299 A KR1020160063299 A KR 1020160063299A KR 20160063299 A KR20160063299 A KR 20160063299A KR 20170132452 A KR20170132452 A KR 2017013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and
filter unit
unit
spati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637B1 (ko
Inventor
박노철
조장현
전성빈
진지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6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03H1/0866Digital holographic imaging, i.e. synthesizing holobjects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07Spatial filter, e.g. for suppressing higher diffraction or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1Element having optical power, e.g. field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저간섭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광원부,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면을 조정하는 공간 주파수 필터(Spatial filter)부, 공간 주파수 필터부를 통과한 광으로부터 복수의 파장으로 광을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부 및, 대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한 다파장의 광으로부터 대상체의 홀로그래피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상체의 정밀한 검출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소형화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MULTI-WAVELENGTH DIGITAL HOLOGRAPHY SYSTEM}
본 발명은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검출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향상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는 컴퓨터로 물체의 파면(波面)을 계산하여 디지털적으로 홀로그램을 제작하거나, 홀로그램 정보로부터 디지털적으로 화상을 재생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이러한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주된 응용 분야는 위상 측정을 통해 3차원 이미징이다. 특히, 투명한 물체에 물체광을 통과시켜 홀로그램을 취득하는 투과형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경우, 매우 정밀한 수준의 위상 획득이 가능하므로, 마이크로 광학 소자 및 바이오 샘플 등의 측정에 활용되고 있다.
마이크로 광학 소자는 특정 기판(substrate) 위에 형상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바이오 샘플은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리는 형태로 제작된다. 측정된 위상은 광학적 특성에 의해 -Π에서 Π 범위 내의 값으로 랩핑(wrapping)되어 저장되며, 이를 원래 위상으로 언랩핑(unwrapping)하는 작업을 거친 후에 물체의 3차원 정보를 취득한다.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위상 정보를 활용한 3차원 측정은 나노미터 이하의 깊이 방향에 대한 해상도를 확보할 수 있지만, 랩핑된 영상을 언랩핑하는 과정에서 노이즈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정밀도가 하락한다. 또한, 반 파장 이상의 단차 또는 급경사를 보이는 표면에 대해서는 언랩핑이 불가능하여 대응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마이크로 스케일의 측정에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출원번호 제2012-7012934호 국내출원번호 제2010-00177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컴팩트한 구조로도 검출되는 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저간섭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면을 조정하는 공간 주파수 필터(Spatial filter)부,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광으로부터 복수 의 파장으로 광을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부 및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한 다파장의 상기 광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홀로그래피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는 LED 램프 및 할로겐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와 공간 주파수 필터부 사이에는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 공간 주파수 필터부 및 대역 통과 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광의 경로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물렌즈가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광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상기 광을 각각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상기 광을 제1파장으로 필터링한 후,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하여 제2파장으로 필터링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를 통과한 상기 광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분리된 광을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여,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검출부는,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광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상기 광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광의 경로상에 교체 가능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광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저간섭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면을 조정하는 공간 주파수 필터(Spatial filter)부,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상기 광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Bandpass filter)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간 주파수 필터는 상기 광의 경로 상에 교체 가능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광을 복수의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부 및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한 다파장 상기 광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홀로그래피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는 LED 램프 및 할로겐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와 공간 주파수 필터부 사이에는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마련되고, 상기 광원부, 공간 주파수 필터부 및 대역 통과 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광의 경로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물렌즈가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상기 광을 제1파장으로 필터링한 후,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하여 제2파장으로 필터링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를 통과한 상기 광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분리된 광을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검출부는,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검출부는 상기 광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단일 저간섭 광원부를 이용하여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어, 소형화 및 단순화된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복수의 파장으로 광을 추출하여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함에 따라, 높은 단차와 경사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져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기존 고간섭성 광원에 비해 노이즈 요인에 덜 취약함으로써,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부가 교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이용한 파장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통해 촬영된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이미지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부가 교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1)은 광원부(10), 공간 주파수 필터부(20), 대역 통과 필터부(30) 및 검출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10)는 저간섭 광(L)을 발생시키며, 단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광원부(10)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및 할로겐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광원부(10)는 레이저와 같은 고간섭성 광원에 비해 낮은 반전잡음(speckle noise)을 갖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는 광원부(10)로부터 발생된 광(L)의 파면을 조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는 핀홀(Pin hole)과 같은 공간 주파수 필터(Spatial filter)를 포함하여, 광(L)의 파면을 균일하게 조정한다. 즉,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는 광원부(10)로부터 발생된 저간섭 특성을 가지는 광(L)의 특징 중, 하나인 고르지 못한 파면을 균일하게 조정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광원부(10)와 공간 주파수 필터부(20)의 사이에는 콜리메이터(Collimator)(11)가 마련된다. 상기 콜리메이터(11)는 광원부(10)로부터 발생된 광(L)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하여 평행 광선으로 시준함으로써,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콜리메이터(11)와 공간 주파수 필터부(20)의 사이에는 대물렌즈(50)가 마련되어, 시준된 광(L)을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로 안내한다.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30)는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를 통과하는 광(L)으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의 광(L)을 추출하여 광(L)의 넓은 대역폭을 특정 파장대로 좁힌다. 이러한 대역 통과 필터부(30)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31)(32)를 포함하되,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31)(32) 중 어느 하나가 광(L)의 경로에 배치되어 광(L)을 특정 파장으로 필터링한다. 이때,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20)와 대역 통과 필터부(30)의 사이에는 대물렌즈(50)가 마련되어 광(L)의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30)는 디지털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 동안에 복수의 파장으로 광(L)을 추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31)(32) 중 어느 하나로 교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30)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31)(32) 중 도 1과 같이 제1대역 통과 필터(31)가 선택되어 제1파장으로 광(L1)을 필터링한 후, 도 2와 같이 제2대역 통과 필터(32)로 교체되어 제2파장의 광(L2)을 추출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2개의 대역 통과 필터(31)(32)를 예시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됨은 당연하다.
도 3을 참고하면, 633nm의 중앙 파장을 가지는 LED를 포함하는 광원부(10)로부터 발생된 광(L)을 서로 다른 파장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31)(32)를 포함하는 대역 통과 필터부(30)에 필터링한 파장 분포가 도시된다.
상기 검출부(40)는 대역 통과 필터부(30)를 통과한 복수의 파장의 광(L)으로부터 대상체(O)의 홀로그래피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부(40)는 대상체(O)로부터 반사 또는 투과되는 광(L)을 감지하는 감지부(41)와,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분석부(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41)가 대상체(O)로부터 반사되는 광(L)을 촬영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며, 분석부(42)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한편,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30)를 통해 특정 파장으로 추출된 광(L)을 분리하여 대상체(O)와 분석부(42)로 안내하는 분리부(60)가 마련된다. 상기 분리부(60)는 빔스플리터(beam splitter)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60)는 대역 통과 필터부(30)를 통과한 광(L)을 2개로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광(L) 중 일부는 대상체(O)에 조명시켜 반사되는 물체파를 형성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분석부(42)로 조명되어 기준파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분리부(60)를 통해 분리된 광(L)의 누출을 차단하여 광(L)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반사경(70)이 위치 조정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본 제1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1)은 대상체(O)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통해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반사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1)의 대상체(O)에 대한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하나의 저간섭 광을 발생시도록 광원부(10)로부터 발생된 광(L)은 콜리메이터(11)를 통해 시준된 후 대물렌즈(50)를 거쳐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로 안내된다.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20)를 통해 표면이 균일하게 조정한 광(L)은 대물렌즈(50)를 거쳐 대역 통과 필터부(30)로 안내된다.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30)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31)(32)들 중에서 제1파장의 광(L)만을 필터링하는 제1대역 통과 필터(31)가 광(L)의 경로 상에 마련됨으로써, 광(L)을 제1파장의 제1광(L1)으로 필터링한다. 상기 제1파장으로 추출된 제1광(L1)은 분리부(60)에서 분리되어 대상체(O)에 조명되어 반사됨과 아울러 검출부(40)로 안내된다.
이렇게 제1파장으로 추출된 광(L1)에 의해 검출된 대상체(O)의 홀로그래피 이미지가 도 4의 (a)에 도시된다. 참고로, 도 4의 (a)의 이미지는 620nm의 파장으로 검출된 홀로그래피 이미지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 후,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30)의 제1대역 통과 필터(31)를 제2대역 통과 필터(32)로 교체하여, 광(L)을 제2파장의 광(L2)으로 필터링한다. 상기 제2파장으로 추출된 광(L2)은 분리부(60)에서 분리되어 대상체(O)에 조명되어 반사됨과 아울러, 검출부(40)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파장은 633nm인 것으로 예시하며, 제2파장으로 추출된 광(L2)에 의해 검출된 홀로그래피 이미지가 도 4의 (b)에 도시된다.
상기 검출부(40)의 감지부(41)는 도 4의 (a) 및 (b)와 같은 이미지를 촬영한 후, 분석부(42)는 이러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도 4의 (c)와 같은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한다. 즉, 상기 분석부(42)는 제1 및 제2파장으로 추출된 제1 및 제2광(L1)(L2)에 의해 감지부(41)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O)의 홀로그래피 데이터로부터 각 위상값을 빼준 후 언랩핑(unwrapping) 과정을 통하여 원래의 단차를 구한다. 참고로, 도 4의 이미지들은 단일 홀로그램으로 측정이 불가능한 1.8 ㎛의 단차를 측정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100)은 광원부(110), 공간 주파수 필터부(120), 대역 통과 필터부(130) 및 검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110), 공간 주파수 필터부(120) 및 대역 통과 필터부(13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1)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한, 상기 광원부(110)와 공간 주파수 필터부(120)의 사이에 콜리메이터(111)와 대물렌즈(150)가 마련되고, 공간 주파수 필터부(120)와 대역 통과 필터부(130)의 사이에도 대물렌즈(150)가 마련되어 광(L)을 안내하는 구성도,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130)를 통해 특정 파장으로 필터링된 광(L)은 분리부(160)로부터 분리되어, 일부는 대상체(O)로 투과되고 다른 일부는 검출부(140)로 조명된다. 즉, 제2실시예에 의한 대역 통과 필터부(130)는 광(L)을 대상체(O)로 투과시켜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투과방식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된 단일 저간섭 광(L)은 콜리메이터(111)와 대물렌즈(150)를 거쳐 공간 주파수 필터부(120)로 유입되어 파면이 조정된다. 조정된 광(L)은 다시 대물렌즈(150)에 의해 안내되어 제1대역 통과 필터(131)를 통과함으로써 제1파장의 제1광(L)으로 필터링된다. 상기 제1광(L)은 분리부(160)의 제1분리부(161)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 제1 및 제2반사경(171)(172)에 반사되어 경로가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1반사경(171)에 의해 안내되는 분리된 제1광(L) 중 일부는 대상체(O)를 투과하여 제2분리부(162)를 거쳐 검출부(140)로 안내되고, 제2반사경(172)에 의해 안내되는 분리된 제1광(L) 중 다른 일부는 대상체(O)를 투과하여 제2분리부(162)를 거쳐 검출부(140)로 안내된다. 그러면, 상기 검출부(140)의 감지부(141)는 제1광(L)으로부터 제1파장의 홀로그래피 데이터를 감지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된 광(L)은 교체된 제2대역 통과 필터(132)에 의해 제2파장의 제2광(L)으로 필터링된다. 이렇게 추출된 제2광(L) 또한, 제1분리부(161)에서 분리되어 일부는 대상체(O)를 투과한 후 검출부(140)로 안내되고 다른 일부는 검출부(140)로 안내됨으로써, 검출부(140)의 감지부는 제2광(L)으로부터 제2파장의 홀로그래피 데이터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141)에 의해 촬영된 제1 및 제2파장의 홀로그래피 이미지들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석부(142)에 의해 위상값을 빼준 후 언랩핑(unwrapping) 과정을 통하여 원래의 단차를 구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200)이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의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200)은 광원부(210), 공간 주파수 필터부(220), 대역 통과 필터부(230) 및 검출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210) 및 공간 주파수 필터부(220)의 구성은 제1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광(L)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콜리메이터(211)와 대물렌즈(250)의 구성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230)의 제1 및 제2대역 통과 필터(231)(232)가 동시에 배치되어, 분리된 광(L)을 제1 및 제2파장으로 동시에 필터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210)로부터 발생된 광(L)은 공간 주파수 필터부(220)를 거쳐 파면이 조정된 후, 대물렌즈(250)에 안내되어 제1 및 제2분리부(261)(262)를 순차적으로 거쳐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1분리부(261)로부터 분리된 광(L)의 일부는 대상체(O)로 조명되어 반사되며, 다른 일부는 제2분리부(262)로 유입되어 제1 및 제2파장으로 각각 필터링하는 제1 및 제2대역 통과 필터(231)(232)에 의해 제1 및 제2광(L1)(L2)으로 필터링된다. 이때, 상기 제1분리부(261)로부터 누출되는 광(L)은 반사경(270)에 의해 반사되어 차단된다.
상기 제1 및 제2대역 통과 필터(231)(232)에 의해 동시에 제1 및 제2파장으로 추출된 제1 및 제2광(L1)(L2)은 검출부(24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240)는 제1 및 제2대역 통과 필터(231)(232)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및 제2감지부(241)(242)를 포함함으로써, 제1 및 제2광(L1)(L2)으로부터 제1 및 제2홀로그래피 데이터를 각각 감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241)(242)로부터 감지된 제1 및 제2홀로그래피 데이터는 분석부(243)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분석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200: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10, 110, 210: 광원부
20, 120, 220: 공간 주파수 필터부
30, 130, 230: 대역 통과 필터부
40, 140, 240: 검출부
50, 150, 250: 안내 렌즈
60, 160, 260: 광 분리부
70, 170, 270: 반사경

Claims (15)

  1. 저간섭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면을 조정하는 공간 주파수 필터(Spatial filter)부;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광으로부터 복수의 파장으로 광을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부; 및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한 다파장의 상기 광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홀로그래피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LED 램프 및 할로겐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공간 주파수 필터부 사이에는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마련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공간 주파수 필터부 및 대역 통과 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광의 경로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물렌즈가 마련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광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상기 광을 각각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상기 광을 제1파장으로 필터링한 후,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하여 제2파장으로 필터링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를 통과한 상기 광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분리된 광을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여,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광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상기 광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광의 경로상에 교체 가능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광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9. 저간섭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면을 조정하는 공간 주파수 필터(Spatial filter)부;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상기 광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Bandpass filter)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간 주파수 필터는 상기 광의 경로 상에 교체 가능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광을 복수의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부; 및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한 다파장 상기 광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홀로그래피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LED 램프 및 할로겐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공간 주파수 필터부 사이에는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마련되고,
    상기 광원부, 공간 주파수 필터부 및 대역 통과 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광의 경로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물렌즈가 마련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상기 광을 제1파장으로 필터링한 후,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하여 제2파장으로 필터링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주파수 필터를 통과한 상기 광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분리된 광을 각각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필터링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이미지를 검출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광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되는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20160063299A 2016-05-24 2016-05-24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184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99A KR101843637B1 (ko) 2016-05-24 2016-05-24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99A KR101843637B1 (ko) 2016-05-24 2016-05-24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52A true KR20170132452A (ko) 2017-12-04
KR101843637B1 KR101843637B1 (ko) 2018-03-29

Family

ID=6092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99A KR101843637B1 (ko) 2016-05-24 2016-05-24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778A1 (ko) * 2018-05-23 2019-11-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시프팅 방법을 이용하는 fdm 기반의 단일 slm에서 풀 컬러 홀로 그래픽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5210A (ja) 2005-02-24 2006-09-07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装置のホログラム情報記録方法
WO2014054446A1 (ja) 2012-10-05 2014-04-10 国立大学法人京都工芸繊維大学 デジタルホログラフ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778A1 (ko) * 2018-05-23 2019-11-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시프팅 방법을 이용하는 fdm 기반의 단일 slm에서 풀 컬러 홀로 그래픽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637B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188B1 (ko) 공초점 계측 장치
TWI780141B (zh) 用於以層特定照明光譜之計量之系統及方法
CN105066908B (zh) 一种基于多波长和多偏振态的数字全息三维形貌检测装置
TWI636231B (zh) 物體表面或內部光反射介面三維形貌偵測光學系統與方法
JP6984963B2 (ja) 測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756306B (zh) 光學特性測定裝置及光學特性測定方法
JP6939360B2 (ja) 共焦点計測装置
KR102135999B1 (ko) 조명 패터닝을 이용하는 압축 감지
TWI640764B (zh) 用於使用多個照明波長檢測樣本之系統及方法
TW201923305A (zh) 藉由干涉距離測量手段來偵測物體表面輪廓之組件
CN107710046A (zh) 用于使用宽场显微镜确定样本的空间分辨高度信息的方法和宽场显微镜
KR20180101157A (ko) 공초점 계측 장치
KR101843637B1 (ko)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1716452B1 (ko) 디지털 홀로그래피 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한 고단차 측정 방법
KR101833623B1 (ko) 코히런스 조절이 가능한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JP2009069041A (ja) 光ピックアップ用波面測定装置
US118928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multi-channel off-axis holography
KR102005624B1 (ko) 양자점을 이용한 다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
US20210231501A1 (en) Multi-mode thermal imag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245097B1 (ko) 박막 두께 측정장치
JP2005537475A (ja) 位相測定法及び多周波干渉装置
KR102087623B1 (ko) 패턴 부호화를 이용한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
KR102198254B1 (ko) 패턴 부호화를 이용한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
RU2608012C2 (ru) Двухканальный дифракционный фазовый микроскоп
JP2007093288A (ja) 光計測装置及び光計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