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819A - 각막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각막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819A
KR20170130819A KR1020160061501A KR20160061501A KR20170130819A KR 20170130819 A KR20170130819 A KR 20170130819A KR 1020160061501 A KR1020160061501 A KR 1020160061501A KR 20160061501 A KR20160061501 A KR 20160061501A KR 20170130819 A KR20170130819 A KR 20170130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pair
donor
corneal tissue
corn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644B1 (ko
Inventor
정완균
조진형
김명준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6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2Cornea, e.g. artificial corneae, keratoprostheses or corneal implants for repair of defective corne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8Implantation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는,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이식되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접하도록 고정시키는 각막 고정 장치이며,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는 투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막 고정 장치{Apparatus for holding a cornea}
본 발명은 각막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막 이식 수술 중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하는 각막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막은 안구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투명한 조직으로, 외상이나 질병에 노출될 경우 혼탁해지며 시력장애가 발생한다. 각막 이식 수술은 이러한 혼탁해진 수여자의 각막 조직을 지름 7~9mm의 원형으로 절개하여 제거하고 투명한 기증자 각막 조직을 이식하여 봉합하는 수술이다.
수여자 각막 조직과 기증자 각막 조직을 연결하기 위해 통상 12개 내지 24개의 봉합을 수행하며, 봉합 초기에는 cardinal suture라고 불리는 동서남북 네 방향의 봉합을 실시한다. cardinal suture는 수술 후 난시에 영향을 많이 줄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수술 정밀도가 요구된다.
미끄럽고 연한 조직인 각막을 고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끝 부분에 뾰족하고 미세한 팁이 있는 toothed forceps을 사용한다. 그러나 각막의 가장 아랫면에 있는 내피는 손상을 입을 경우 회복이 안 되는 조직이기 때문에 toothed forceps으로는 각막의 가장 윗면인 상피와 두께 0.5mm인 절개된 단면만을 잡아야 한다. 또한 봉합 바늘이 상피를 뚫고 들어갈 때나 나올 때 저항력을 받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적인 조직 변형을 포셉으로 방지해야 한다.
이처럼 불안정한 파지 방식으로는 수술 정밀도와 재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술 중 각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미국 특허 US 7,147,648에서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각막을 고정하는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US 7,147,648 B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막 이식 수술 중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봉합 바늘을 이용한 봉합 과정에서 각막 조직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막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는,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이식되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접하도록 고정시키는 각막 고정 장치이며,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는 투스를 포함한다.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측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기증자의 각막의 중앙부에 놓여지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레그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1 레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투스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레그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파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지부는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적어도 1회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를 서로 인접하게 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리거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상기 트리거를 연결하며 상기 트리거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되도록 하는 운동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변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링크,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각막 이식 수술 중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봉합 바늘을 이용한 봉합 과정에서 각막 조직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수술 정밀도, 안정성 및 재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각막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레그(11, 12) 및 한 쌍의 투스(13, 14)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그(11, 12)는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레그(11, 12) 사이에는 니들 출입홀(16)이 형성된다.
한 쌍의 투스(13, 14)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투스(13, 14)는 각각 레그(11, 12)의 하면으로부터 레그(11, 12)의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한 쌍의 투스(13, 14)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투스(13, 1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투스(13, 14)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레그(11, 12)의 일단과 투스(13, 14) 일단 사이의 간격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일반적인 각막 조직의 두께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레그(11, 12)의 일단과 투스(13, 14) 일단 사이로 진입한 기증자의 각막 조직이 레그(11, 12)와 투스(13, 14)에 의해 협지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그(11, 12)의 타단에는 한 쌍의 레그(11, 12)를 연결하는 브릿지(15)가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5)는 한 쌍의 레그(11, 12)를 일체화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15)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타단에 형성되지 않고, 한 쌍의 레그(11, 1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브릿지(15)가 형성되지 않고, 한 쌍의 레그(11, 12)가 타단에서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상부면을 지지하고, 한 쌍의 투스(13, 1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한다. 한 쌍의 레그(11, 12)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 및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막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 고정 장치(1)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의 각막 조직(B)에 접하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실(D)이 연결된 봉합 바늘(C)을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상의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삽입하여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의 바늘 적출 지점(P2)으로 적출시키는 방식으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의 각막 조직(B)에 접합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삽입 지점(P1)은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중 한 쌍의 투스(13, 14)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부에 설정되고, 바늘 적출 지점(P2)은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니들 출입홀(16) 내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합 바늘(C)이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삽입될 때에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기 위해 일정 이상의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상면의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삽입될 때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중 바늘 삽입 지점(P1)의 인근 영역은 봉합 바늘(C)이 뚫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투스(13, 1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봉합 바늘(C)이 바늘 적출 지점(P2)에서 적출될 때 역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기 위해 일정 이상의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면의 바늘 적출 지점(P2)으로 삽입될 때에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바늘 적출 지점(P2)의 인근 영역은 봉합 바늘(C)이 뚫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레그(11, 12)가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레그(11, 12)를 연결하는 브릿지(15)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에게 이식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봉합 바늘(C)이 삽입되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부분적인 변형을 최소화하여 수술 정밀도 및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수술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와 비교하여 한 쌍의 투스(23, 24)의 형상 및 기능이 상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 역시 한 쌍의 레그(11, 12)를 포함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와 유사하게 니들 출입홀(16, 도 1 참고) 및 브릿지(15, 도 1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의 한 쌍의 투스(23, 24)는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한 쌍의 투스(23, 24)의 일단은 뾰족하게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투스(23, 2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레그(11, 12)의 일단과 투스(23, 24) 일단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인 각막 조직의 두께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한 쌍의 투스(23, 24)는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지 않고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상부면을 지지하고 타단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지지한다. 그리고 한 쌍의 투스(23, 2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을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한다.
한 쌍의 투스(23, 2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레그(11, 12)의 타단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는 베이스(36), 복수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를 포함한다.
베이스(36)는 각막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구조체일 수 있으며, 복수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는 베이스(36)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는 일례로서, 4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각막 고정 장치(3)를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2쌍, 3쌍 또는 5쌍 이상의 레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쌍의 레그는 360/N 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N쌍의 레그는 비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36) 및 레그(11a ~ 11d, 12a ~ 12d)는 각막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설계되며, 사람에 따라 각막의 크기 및 곡률이 다르므로, 베이스(36) 및 레그(11a ~ 11d, 12a ~ 12d)는 다양한 크기 및 곡률로 설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의 투스(23, 24)와 유사하다. 즉,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거나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의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의 투스(13, 14)와 유사하게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각 레그(11a ~ 11d, 12a ~ 12d)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한 쌍의 레그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레그(11a, 12a) 중 하나에만 투스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막 고정 장치(3)는 4개의 투스가 형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는 베이스(36)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37)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바(37)는 각막 이식 수술자가 각막 고정 장치(3)를 보다 쉽게 핸들링하기 위한 구성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각막 이식 수술자의 파지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 역시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15, 도 1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 고정 장치(3)는 베이스(36)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 레그(11a ~ 11d, 12a ~ 12d)의 단부는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각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에 형성된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둘러싸며 지지하므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 2)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는 각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 사이에 바늘 삽입 지점(P1)과 바늘 적출 지점(P2)이 설정되므로, 각막 고정 장치(3)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의 각막 조직(B)에 접하도록 고정한 상태로 4곳에서 봉합 바늘(C)의 삽입/적출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막 이식 수술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 간의 봉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봉합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각막 고정 장치(1, 2)와 유사하게,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가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각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가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바늘 적출 지점(P2)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제1 레그부(41a), 제2 레그부(41b) 및 레그 조작부(47a, 47b)를 포함한다.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레그 조작부(47a, 47b)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파지부(47b)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상단은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된다. 즉, 제1 파지부(47a)는 제2 파지부(47b)에 대해 탄성력을 갖고 제2 파지부(47b)는 제1 파지부(47a)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된다.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제1 파지부(47a)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레그부(41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 레그부(41b)가 서로 가까워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멀어짐에 따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 역시 서로 멀어지게 된다.
도 7에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상단에 서로 접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가 변형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부(41a)는 제1 파지부(47a)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46a), 제1 베이스(46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 및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투스(23a, 24a)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는 제1 베이스(46a)로부터 제2 레그부(41b)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 사이에는 제1 니들 출입홀(16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투스(23a, 24a)는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의 하면으로부터 제2 레그부(41b)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제1 투스(23a, 24a)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의 투스(23, 24)와 유사한 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제1 투스(23a, 2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의 투스(13, 14)와 유사하게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부(41a)는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브릿지(1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릿지(15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각막 고정 장치(1)의 브릿지(16)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레그부(41b)는 제2 파지부(47b)와 연결되는 제2 베이스(46b), 제2 베이스(46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 및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투스(23b, 24b)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니들 출입홀(16b)과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브릿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그부(41b)는 제1 레그부(41a)와 대칭되도록 형성되므로, 제2 레그부(41b)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사용자가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함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가까워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게 된다.
각막 고정 장치(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지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는, 제1 베이스(46a)와 인접하는 일측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상에 위치하고, 제1 브릿지(15a)와 인접하는 타측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에 위치하도록,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걸쳐있게 된다.
그리고, 각막 고정 장치(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지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는, 제2 베이스(46b)와 인접하는 일측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상에 위치하고, 제2 브릿지(15b)와 인접하는 타측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에 위치하도록,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걸쳐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멀어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은 각막 고정 장치(4)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전술한 제1, 제2 및 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 2, 3)에 비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놓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각막 이식 수술 중에 필요에 따라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잡거나(고정하거나) 놓을 수 있어서 수술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4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와 비교하여, 레그 조작부(57a, 57b, 57c, 58a, 58b, 58c)가 상이하다.
레그 조작부(57a, 57b, 57c, 58a, 58b, 58c)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57a, 57b, 57c)와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파지부(58a, 58b, 58c)를 포함한다.
제1 파지부(57a, 57b, 57c)는 제1 선단부(57a), 제1 교차부(57b) 및 제1 기단부(57c)를 포함하고, 제2 파지부(58a, 58b, 58c)는 제2 선단부(58a), 제2 교차부(58b) 및 제2 기단부(58c)를 포함한다.
제1 선단부(57a)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선단부(58a)는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은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되며,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는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다.
외력에 의해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확개된다.
그리고,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는 상단이 다시 멀어지며,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오므라들게 된다.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상단은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되며,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는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멀어지게 된다.
한편, 제1 교차부(57b)와 제2 교차부(58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상단으로부터 제1 교차부(57b)과 제2 교차부(58b)가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차부(57b) 및 제2 교차부(58b)는 제1 선단부(57a), 제2 선단부(58a), 제1 기단부(57c) 및 제2 기단부(58c)에 비해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차부(57b)는 제1 선단부(57a) 및 제1 기단부(57c)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되고, 제2 교차부(58b)는 제2 선단부(58a) 및 제2 기단부(58c)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사용자가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함에 의해 제1 교차부(57b)는 제1 기단부(57c) 및 제1 선단부(57a)와의 각도가 커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제2 교차부(58b) 역시 제2 기단부(58c) 및 제2 선단부(58a)와의 각도가 커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은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동시에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확개되며 제1 투스(23a, 24a; 도 8 참고)와 제2 투스(23b, 24b; 도 8 참고)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외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기단부(57c) 및 제2 기단부(58c)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멀어지고 제1 교차부(57b)는 제1 기단부(57c) 및 제1 선단부(57a)와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제2 교차부(58b) 역시 제2 기단부(58c) 및 제2 선단부(58a)와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
동시에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오므라들며 제1 투스(23a, 24a; 도 8 참고)와 제2 투스(23b, 24b; 도 8 참고)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를 고정하게 된다.
이후, 각막 고정 장치(5)에 의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고정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하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확개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은 각막 고정 장치(5)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와 유사하게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놓을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에 힘을 가하고,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에 가하던 힘을 제거함에 의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각막 고정 장치(4)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각막 고정 장치(5)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각막 고정 장치(5)에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고,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각막 고정 장치(5)로부터 분리할 때에만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에 힘을 가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각막 이식 수술 과정에서 사용자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기 위해 각막 고정 장치(5)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수술 편의성이 향상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4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6)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와 비교하여, 레그 조작부(67a, 67b, 67c)가 상이하다.
레그 조작부(67a, 67b, 67c)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67a)와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파지부(67b), 그리고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68)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상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됨에 반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6)는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가 회동축(6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를 회동축(6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제어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거나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각막 고정 장치(6)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조작함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 가까워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의 상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조작함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멀어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은 각막 고정 장치(4)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 사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추가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의 상단이 서로 멀어진 상태 또는 가까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4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각막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7)는 하우징(71), 트리거(72) 및 운동 변환부(73a, 73b, 74a, 74b)를 포함한다.
하우징(71)은 트리거(72)의 하단과 운동 변환부(73a, 73b, 74a, 74b)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71)의 하단에는 제1 회동축(75)이 형성되며, 제1 회동축(75)은 제1 레그부(41a)로부터 연장되는 제1 링크(73a) 및 제2 레그부(41b)로부터 연장되는 제2 링크(73b)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제1 레그부(41a) 및 제2 레그부(41b)는 하우징(71)의 하단에서 제1 회동축(7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운동 변환부(73a, 73b, 74a, 74b)는 제1 링크(73a), 제2 링크(73b), 제3 링크(74a) 및 제4 링크(74b)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73a)는 제1 레그부(41a)의 제1 베이스(46a)로부터 제2 레그부(41b)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링크(73b)는 제2 레그부(41b)의 제2 베이스(46b)로부터 제1 레그부(41a)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링크(74a)는 제1 링크(73a)의 상단과 트리거(72)의 하단을 연결하고, 제4 링크(74b)는 제2 링크(73b)의 상단과 트리거(72)의 하단을 연결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74a)는 제1 링크(73a)와 제2 회동축(77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리거(72)와 제4 회동축(7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4 링크(74b)는 제2 링크(73b)와 제3 회동축(77b)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리거(72)와 제4 회동축(7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동축(75)은 하우징(71)에 대해 위치가 고정된 축이지만, 제2 회동축(77a), 제3 회동축(77b) 및 제4 회동축(76)은 트리거(72)의 승강에 의해 하우징(71)에 대해 위치가 가변되는 축이다.
트리거(72)는 하우징(7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72)를 하우징(71)에 대해 상승시킴에 따라, 제4 회동축(76)은 트리거(72)와 함께 상승한다. 제1 회동축(75)이 하우징(7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리거(72)가 상승함에 따라 제3 링크(74a)와 제4 링크(74b)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고, 제1 링크(73a)와 제2 링크(73b)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를 향해 오므라들듯이 회동하며,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도 11에는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에 접하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를 지지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거나,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72)를 하우징(71)에 대해 하강시킴에 따라, 제4 회동축(76)은 트리거(72)와 함께 하강한다. 제1 회동축(75)이 하우징(7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리거(72)가 하강함에 따라 제3 링크(74a)와 제4 링크(74b) 사이의 각도가 커지고, 제1 링크(73a)와 제2 링크(73b) 사이의 각도가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며 확개되고,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링크(73a)가 제2 레그부(41b)로부터 연장되고, 제2 링크(73b)가 제1 레그부(41a)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트리거(72)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며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고, 트리거(72)가 상승함에 따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를 향해 오므라들듯이 회동하며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72)와 하우징(71) 사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추가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트리거(72)가 상승한 상태 또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3, 4, 5, 6: 각막 고정 장치
11, 11a, 11b, 11c, 11d, 12a, 12b, 12c, 12d: 레그
13, 14, 23, 23a, 23b, 23d, 24, 24a, 24b, 24c, 24d: 투스
15, 15a, 15b: 브릿지 16, 16a, 16b: 니들 출입홀
36: 베이스 37: 핸들바
41a: 제1 레그부 41b: 제2 레그부
46a: 제1 베이스 46b: 제2 베이스
47a: 제1 파지부 47b: 제2 파지부
57a, 67a: 제1 선단부 57b, 67b: 제1 교차부
57c: 제1 기단부 58a: 제2 선단부
58b: 제2 교차부 58c: 제2 기단부
68: 회동축 71: 하우징
72: 트리거 73a: 제1 링크
73b: 제2 링크 74a: 제3 링크
74b: 제4 링크 75: 제1 회동축
76: 제4 회동축 77a: 제2 회동축
77b: 제3 회동축 A: 기증자의 각막 조직
B: 수여자의 각막 조직 C: 봉합 바늘
D: 봉합실 P1: 바늘 삽입 지점
P2: 바늘 봉합 지점

Claims (16)

  1.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이식되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접하도록 고정시키는 각막 고정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는 투스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각막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측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각막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각막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각막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증자의 각막의 중앙부에 놓여지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레그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각막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를 더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1 레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투스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투스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레그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되는, 각막 고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파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부는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적어도 1회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를 서로 인접하게 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각막 고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리거;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상기 트리거를 연결하며 상기 트리거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되도록 하는 운동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변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링크;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링크;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되는, 각막 고정 장치.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되는, 각막 고정 장치.
KR1020160061501A 2016-05-19 2016-05-19 각막 고정 장치 KR10180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01A KR101803644B1 (ko) 2016-05-19 2016-05-19 각막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01A KR101803644B1 (ko) 2016-05-19 2016-05-19 각막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19A true KR20170130819A (ko) 2017-11-29
KR101803644B1 KR101803644B1 (ko) 2017-12-01

Family

ID=6081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501A KR101803644B1 (ko) 2016-05-19 2016-05-19 각막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42A (ko) * 2020-10-13 2022-04-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진공 트위저와 이를 포함하는 조직 봉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8950A3 (de) * 1985-06-27 1987-12-16 Patrik Dr. med. Gründler Vorrichtung zur Transplantation der Cornea des menschlichen Auges
US7147648B2 (en) 2003-07-08 2006-12-12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Device for cutting and holding a cornea during a transplant procedure
EP2691055B1 (en) * 2011-03-29 2018-04-25 O3 Optix, LLC Systems for ophthalmic tissue closure and fixation of ophthalmic prostheses
JP5632980B1 (ja) 2014-03-25 2014-11-2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ビュー 縫合穴作成装置及び縫合穴作成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42A (ko) * 2020-10-13 2022-04-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진공 트위저와 이를 포함하는 조직 봉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644B1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1579A (en) Incision guide for intra-ocular surgery
ES2327978T3 (es) Sonda quirurgica.
US8038684B2 (en) Intraocular device for retaining a lens capsule
JP5457144B2 (ja) 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の保持装置、保持装置セット、並びに、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
JP4877570B2 (ja) 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保持リング
RU2564074C2 (ru) Ирис-ретрактор
KR20030034047A (ko) 무봉합 안과 수술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기구
JP2012135627A (ja) 眼組織を安定させる装置
EP1661533A1 (en) Method for eye refractive surgery and device for implanting an intraocular refractive lens
ES2423291T3 (es) Pinza de microcirugía, en particular pinza de capsulorrexis por microincisión
JP4834337B2 (ja) 水晶体前嚢カッター
CN107920915A (zh) 用于切割圆形切口的眼科手术装置
KR101803644B1 (ko) 각막 고정 장치
JP4931408B2 (ja) 眼科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5501666A (ja) 網膜血管にカニューレを挿入する装置および方法
ES2673598T3 (es) Cánula
KR101056823B1 (ko) 수정체낭 절개 기구
JP6045659B1 (ja) 医療用器具
JPS60212161A (ja) 手術用器具
US20190167415A1 (en) Surgical tool and method
US20060287655A1 (en) Method for eye refractive surgery and device for implanting an intraocular refractive lens
US6113606A (en) Incision guide for intra-ocular surgery
US20020156486A1 (en) Optical lens furler and injector
JP2007021147A (ja) 水晶体嚢赤道部保持器具
JP6502431B2 (ja) 眼内レンズ強膜内固定用極細チューブ付き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