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767A -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 Google Patents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767A
KR20170130767A KR1020160061369A KR20160061369A KR20170130767A KR 20170130767 A KR20170130767 A KR 20170130767A KR 1020160061369 A KR1020160061369 A KR 1020160061369A KR 20160061369 A KR20160061369 A KR 20160061369A KR 20170130767 A KR20170130767 A KR 2017013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upport
plate
b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2823B1 (en
Inventor
김영기
김관섭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823B1/en
Priority to PCT/KR2017/005215 priority patent/WO2017200335A1/en
Publication of KR2017013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7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87Hanging upr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therapy device for an intervertebral disk which controls a symptom of a patient, who has a possibility of developing spinal diseases such as a lumbar disk, a spinal stenosis and the like, or muscular rigidity, through extension motions and traction therapy, and makes a prognosis. The device comprises: a bed in which a patient horizontally lies and has a therapeutic motion; a stretchable string which is made from elastic materials, is extended according to an extent to which a force is applied, and enables rehabilitation through stress generated when the patient on bed pulls the string; a vertical stand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in a central part of both sides of the bed, has a support ro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n upper part thereof, and pulls the stretchable string through the support rod; a support stand which protrudes from a surface of the bed and bends knee portions of the patient; and an adjusting stand which adjusts a horizontal height and an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bed depending on the therapeutic motions of the patient, wherein the bed is lifted at the height of support legs installed in a rear surface of the bed. The stress of the elastic materials, from repetitive pulling of the lumbar, the cervical vertebrae and muscle strain, and the weight of the patient are applied to an affected portion of the patient, such that joint gaps of the lumbar and the cervical vertebrae and a protruding disk is located in a right place, and muscles can be relaxed by a stretching movement.

Description

디스크 도수치료기{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허리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등 각종 척추질환이나 허리의 근육경직이 염려되는 환자를 신전운동과 견인치료를 통하여 그 증상 조절과 예후를 진행하도록 하는 위한 디스크 도수치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k manipulator for allowing a patient suffering from various spinal diseases such as a lumbar disc, a spinal stenosis, or the like to suffer from muscle stiffness of his / her back to progress his / her symptom control and prognosis through extension exercise and traction therapy.

일반적으로 추간판 헤르니아(椎間板- 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란, 추골의 추체(椎體) 사이에는 쿠션의 역할을 하는 추간판(椎間板)이 있는데, 이것이 외력에 견디지 못하여 피막(被膜)을 찢고 탈출한 상태를 일컫는다.In general, the 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 is an intervertebral disc that acts as a cushion between the vertebrae of the vertebrae, which can not withstand external forces, .

즉, 상기 추간판 헤르니아는 통상 디스크(disk)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요추와 요추 사이가 눌려 간격이 좁아지거나 디스크륜의 변형으로 수액(髓液)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질환으로서, 주로 후면으로 돌출하여 척수신경근(脊髓神經根)을 압박하여 신경통을 유발시키며, 심할 때는 동통으로 인해 자세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That is, the herniated disc hernia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disc. The herniated disc hernia is a disease in which the space between the lumbar vertebrae and the lumbar vertebrae is narrowed or the deformation of the disc wheel causes the fluid to escape to pressurize the nerve, It mainly protrudes to the back to pressurize the spinal nerve roots (脊髓 神经) to cause neuralgia. In severe cases, pain causes a change in posture.

가벼운 경우는 안정을 하거나 코르셋의 장착으로 경감되지만, 심할 때는 수술로 탈출연골을 제거해야 하며, 때로는 경추(頸椎)에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Lightness is relieved by stabilization or corset attachment, but in severe cases, the escaped cartilage must be removed and sometimes it may occur in the cervical spine.

견인치료는 추골과 추골사이를 늘림으로써 주로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관협착증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나는 신경근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하지의 신경자극증상을 완화시키는 보존적 치료법의 하나로써, 현대의학의 척추교정요법(카이로 프랙틱)의 주요한 기법 중 하나로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Traction therapy is a conservative treatment that alleviates the nerve stimulation symptoms of the lower limbs by removing the pressure of the nerve roots that appear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or spinal stenosis by increasing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e and the vertebrae. It is universally known as one of the main techniques of.

주요한 작용은 굴곡-견인 시 추간판 내의 음압을 형성하여 추간판 탈출이 줄어들어 디스크 치료에 효과적이고 척추관 협착이 완화된다. The main function is to produce sound pressure in the intervertebral disk during flexion - traction, which is effective in disc treatment and alleviates spinal stenosis by reducing disc herniation.

또한 고전적 견인요법보다는 요배부의 근육경직을 완화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also known to be more effective in relieving muscular rigidity of the urethra than classical traction therapy.

한편 상기의 방법이 시술자에 의해 시행되는 도수견인(manual traction)과 사용용도에 맞게 제작된 견인침대를 이용한 자동견인(auto traction)으로도 구분될 수 있다. 도수견인(manual traction)은 시술자가 기법에 숙련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시술시 피시술자의 곁에서 시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육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Meanwhile, the above method can be classified into manual traction performed by the practitioner and auto traction using a traction bed manufactured for use. Manual traction requires the practitioner to be skilled in the technique and also has to work with the patient at the side of the procedure and requires physical effort.

또한 종래의 자동견인 장비들은 각각의 견인기능을 수행하나 특히 굴곡-견인치료 시 하체를 받치는 받침판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못하고 무엇보다도 시술자의 손을 대신하여 피시술자의 요배부를 지압 고정하는 장치가 따로 없었기 때문에 수기로 하는 도수견인치료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utomatic traction devices perform respective traction functions. However, in the flexion-traction treatmen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djust the angle of the pedestal supporting the lower body. In particular, a device that fixes the abdomen of the recipient in place of the operator's hand Because it was not separately, it did not exert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the traction treatment which was made by hand.

이러한 디스크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물리치료를 통해 좁아진 요추의 간격을 넓혀주고 주위의 근육을 보강시킴으로써 빠져나간 수액을 제자리로 위치시키는 것이다.The best way to cure these discs is to increase the gap between the lumbar spine and the surrounding muscles by physiotherapy, thereby positioning the exuding fluid in place.

이러한 신경자극증상을 완화시키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6174호 "자동 견인치료기"(이하 '선등록실용'이라 줄여 씀)가 제안된 바 있다. I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6174 entitled "Automatic traction therap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ne registration practice"), which alleviates such nerve stimulation symptoms, has been proposed.

선등록 실용은 상부에 매트리스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탱하면서 일단부가 메인 프레임의 중간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끝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신체의 목과 다리를 각 고정하는 고정밴드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힌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그 상부면은 메인 프레임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호간의 유체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부피가 감소 및 증대되는 것에 의해 메인 프레임의 회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벨로스와, 상기 한 쌍의 벨로스간의 유체 이동을 단속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main frame having a mattress on its upper part; a supporting frame which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is hing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ain frame, A fixing b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hinge of the support frame, the upper surface of which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A pair of bellows for inducing the rotation of the main frame by selectively reducing and increasing the volume by fluid movement of the bellows, and adjusting means for interrupting fluid movement between the pair of bellows.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자동 견인 치료기는 한 쌍의 벨로스 내의 유체를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이송시킴으로써 메인 프레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전의 모터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 automatic traction therapy apparatus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manually or automatically transmit the fluid in the pair of bellows to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main fram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in the previous motor driving .

그러나, 이러한 선등록실용은 공기압을 이용하는 한 쌍의 벨로즈를 사용하는 것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공기장치가 연결되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으며, 벨로즈에 구멍이 생기면 공기가 채워지지 않아 경사조절이 되지 않아 견인치료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such a line registration practice uses a pair of bellows using air pressure, which is troublesome to use in connection with a compressed air device that takes up a lot of space and generates air pressure. When a hole is formed in the bellows, air is fill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action therapy could not be performed because the incline was not adjust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6174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861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스크 환자의 추간판이 돌출된 경추, 요추의 마디들의 간격이 신전운동 및 견인운동에 의해 넓어져 돌출된 디스크가 제자리를 찾아 들어가도록 하여 도수치료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k apparatus and a disk apparatus in which disc spaces of cervical vertebrae and lumbar spine in which discs are protruded are expanded by extension movement and traction movement, So that the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naturall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가정과 병원에서 누구든지 편리하게 도수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and to provide convenient medical treatment to anyone in a home or a hospital.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수평하게 누워 치료동작을 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누움대, 탄성소재로 되며 힘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신장되어 누움대에서 환자가 당김동작을 시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을 통하여 재활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줄, 상기 누움대의 양측면 중앙 위치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봉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을 거쳐 신축줄이 당겨지도록 하는 수직대, 상기 누움대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무릎부위가 구부러지게 하는 지지대 및 상기 누움대 저면으로 설치되는 지지다리에 의해 상기 누움대가 바닥에서 지지다리의 높이로 들려지며, 환자의 치료동작에 따라 누움대의 수평 높이와 경사방향이 조절되게 하는 조절대를 포함하여서 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patient who is stretched horizontally to a size capable of taking a treatment action, A vertical bar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ral posi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elly band and has a support bar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upper end thereof so that the stretching bar is pulled through the support bar, And a supporting leg which is formed by protruding and bent at the knee portion of the patient and a supporting leg which is install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nail member, the nail bar is lifted at the height of the support leg from the floor, and the horizontal height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 regulating member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fuel.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누움대는, 상기 누움대의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위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통해 누움대의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 슬라이딩되고 사용자의 발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발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발거치대는, 사용자의 구부린 발을 펼치고 다시 구부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누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탄성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cushion is formed such that the cushion of the cush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cushion of the cushion of the user, and is reciprocally slid out from the inside of the cushion through an elastic spring, And the foot stand is elastically moved while being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platform by an operation of bending and folding the bent foot of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발거치대는, 상기 누움대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홀에 일부가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누움대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누움대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가이드편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도록 하는 받침편과, 상기 누움대의 수용홀에 일단이 설치되며, 그 타단이 상기 가이드편에 연결되어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탄성을 발휘 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foot rest includes a guide piece, which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a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radle,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radle; And a tension sp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uide hole and adapted to receive a user's foot, and a tension sp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hole of the lifting platform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uide to contract or expand, .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신축줄은, 탄성소재로 되어 상기 누움대의 내부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시작단과, 상기 시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직대에 거치되는 끝단과, 상기 끝단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태로 환자에게 착용되는 보호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stretchable shrinkable string comprises a starting end whic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fixed to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ag, a distal end which is extended from the starting end and is fixed to the vertical stand, And a protective band which is worn by the patient in a state of wrapp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수직대는, 상기 누움대의 양측면 중앙 위치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을 가로지르면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브라켓에서 수직바가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조임력을 갖으며,환자의 치료동작에 따른 각도 설정 시 조임 및 풀음되게 하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vertical bar includes: a bracket installed at a central position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radle; a vertical ba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racket; a support bar horizontally installed acros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And an adjustment bolt having a tightening force to vertically install the vertical bar in the bracket and to tighten and loosen the angle when set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peration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누움대의 표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대홈의 공간 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복수 개의 걸림요홈과, 상기 지지대홈에 설치되어 수평상태 또는 경사상태로 회동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에 힌지 연결되어 제1판의 회동 시 연동되어 수평상태 또는 경사상태로 연동되는 제2판과, 상기 제2판의 끝단 측면으로 돌출되어, 제1판에 의해 연동될 때 상기 지지대홈의 걸림요홈에 선택적으로 걸려 제1판과 제2판의 상기 누움대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경사각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support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pace sidewalls of the support base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radle,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provided in the support base grooves, A second plate hinged to the first plate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plate in a horizontal or inclined state interlocked with the first plate when the first plate is rotated; And a projecting pin which is selectively engaged with a latching groove of the support groove to adjust a height of an inclination angl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n the support plate is interlocked with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조절대는, 상기 지지다리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A’형태로 설치되는 지지다리를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 지지다리의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들려지는 누움대의 높이가 상하로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adjuster comprises a fixing piece installed to fix the supporting leg, and a support leg provided in the shape of 'A' across the fixing piece,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bag to be lifted from the ground to be adjusted up and down.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받침편에는, 상기 누움대에 수평하게 눕는 환자의 발등을 걸을 수 있는 발고정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pedestal pie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oot-fixing band capable of hanging the foot of a patient lying on the level of the push-button.

본 발명에 따르면 누움대에서 디스크 도수치료대상자가 여러 가지 치료동작에 따른 자세를 취하면서 신장줄을 당김과 누움대의 경사조절로 신전운동과 견인운동을 겸하게 되므로 디스트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각종 척추질환이나 허리의 근육경직이 염려되는 환자의 증상 조절과 예후를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bject who is treated by the disk frequency treatment in the nail poles is pulled up by taking the posture according to various treatment actions and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rotch region, it is combined with the extension exercise and the pulling exercise, Of patients who are at risk of muscle stiffness.

또한, 도수치료기를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압축공기 혹은 전동모터 등과 같은 부피를 갖는 동력원이 구비되지 않아 가정은 물론 병원의 물리치료실 및 일반적인 장소에 설치하기에 부담이 없는 이점이 제공된다.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for forming the frequency treatment device is not complicated and a power source having a volume such as compressed air or an electric motor is not provided, an advantage is provided that it is not burdensome to install it in a physical therapy room and a general place of a hospital as well as a home .

그리고, 디스크 도수치료기를 형성하는 구성이 복잡하지 않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 중에 고장이 발생 될 염려가 극히 적으므로 관리하기에도 매우 손쉬운 이점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disk power therapy apparatus is not complicated, there is a very small possibility that a trouble will occur during us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very easy to manage.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디스크 도수 치료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작용하는 디스크 도수 치료기에 대한 정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중 누움대의 일부 평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중 누움대의 일부 종단면 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 practitio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2 is a front view of a disc manipulator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디스크 도수 치료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작용하는 디스크 도수 치료기에 대한 정면상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 manip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disc manipulator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디스크도수 치료기는 환자가 수평하게 누울 수 있는 폭과 길이로 되며, 치료동작을 취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누움대(100)가 구비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k and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e a width and a length that the patient can lie horizontally, and the toe 100 is provided in a size sufficient to take a treatment action.

상기 누움대(100)에서 환자들이 치료동작을 취할 때 힘을 가하는 정도와 방향에 대하여 신장되어 환자가 당기는 정도에 상응하는 응력이 형성되어 치료환자의 환부에 제공되어 재활치료가 되도록 탄성재로 된 신축줄(200)을 누움대(100)에 구비되게 한다.In the nursing case 100, a stress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patient is elongated with respect to the degree and direction in which the patient applies the force when the patient performs the therapeutic operation, and is provided to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So that the elastic strap 200 is provided in the lever 100.

상기 신축줄(200)의 활용성을 확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누움대(100)의 중앙 위치 양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수직대(300)가 설치되게 한다.The vertical bar 300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upper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sition of the lever 100 as a means for expanding the flexibility of the extension bar 200.

그리고, 상기 누움대(100)의 표면에는 환자가 누울 때 무릎부위가 구부러지게 유도하여 치료하게 하는 지지대(400)가 구비되고, 상기 누움대(100)의 저면에는 누움대(100)가 바닥으로부터 들려지게 하며, 누움대(100)에 누워 치료동작을 취하는 환자에게 경사 또는 수평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조절대(500)가 구비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A support base 400 for bending the knee when the patient is lying on the surface of the push rod 100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ush rod 100. The push rod 10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ush rod 100 from the bottom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r the horizontal height to be provided to the patient lying on the toe 100 and taking a treatment action.

상기 디스크 도수치료기의 구성 중 환자가 누울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상기 누움대(100)의 끝단위치에는 환자의 발을 받쳐주는 발거치대(120)가 구비되게 한다.A foot rest 120 for supporting a foot of a patient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lick pad 100 formed by a length and width of the patient to be able to li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disk physiotherapy apparatus.

이러한 디스크 도수치료기의 구성으로 요추 및 경추 및 긴장된 근육 등을 반복적인 당김에 따른 탄성소재의 응력과 환자의 몸무게에 대한 중력이 환자의 환부에 작용하여 요추 및 경추의 마디 간격을 늘려 돌출된 추간판이 제자리를 찾게 함과 스트레칭에 따른 근육을 이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disk therapy device, stress of elastic material due to repetitive pulling of the lumbar and cervical and tense muscles and gravity on the weight of the patient act on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to increase the interval between the lumbar and cervical vertebrae, It is possible to induce relaxation of the muscles caused by locating and stretching.

도 3은 본 발명 중 누움대의 일부 평면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중 누움대의 일부 종단면 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발거치대(120)는 환자의 치료상태에 따라 누움대(100)에 발바닥이 닿게 하고 힘을 발거치대(120)에 가하는 동작을 이루기 위하여 슬라이드되게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누움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홀(110)과, 상기 누움대(100)의 끝단 위치에서 환자의 발이 받쳐지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받침편(121)과, 상기 받침편(121)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누움대 (100)의 수용홀(110)에서 슬라이드되게 삽입되는 가이드편(123)과, 상기 가이드편 (123)에 탄성 설치되게 하는 인장스프링(125)으로 구성된다. FIG. 3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nose b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foot part of the nose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lid to apply force to the footrest 120. This includes a receiving hole 110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oe pad 100 and an insertion hole 110 formed in the end of the toe 100, A guide piece 123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piece 121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hole 110 of the push rod 100, And a tension spring 125 for resiliently attaching to the guide piece 123.

특히, 상기 인장스프링(125)의 일단은 누움대(100)의 수용홀(110)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이드편(123)에 고정되게 하여서 환자의 치료동작에 따라 발에 접촉된 발거치대(120)에 힘을 가하면 인장스프링이 늘어나게 되고, 이때 인장스프링(125)에서 형성되는 스프링의 응력이 치료부위에 전달되는 것에 의해 치료부위에 응력이 전달되므로 재활치료가 가능하게 한다.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125 is fixed in the receiving hole 110 of the lever 1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guide piece 123,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treatment region 120, the tension spring is extended. At this time, the stress of the spring formed at the tension spring 125 is transmitted to the treatment region, so stress is transmitted to the treatment region.

본 발명에서 환자의 치료동작에 따라 상응하는 응력이 치료부위에 제공되게하는 신축줄(200)은 신장수축 시 형성되는 응력이 디스크치료에 효율적인 정도로 나타내는 탄성소재를 선택하여 그 시작단(203)이 상기 누움대(100)의 수용홀(110) 내부에 또는 수용홀 외부에 고정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trands (200) for providing the corresponding stresses to the treatment site according to the treatment action of the patient are selected from elastomer materials exhibiting stresses that ar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he disc,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hole (110) or outside of the receiving hole of the lever (100).

또한, 상기 신축줄(200)의 시작단(20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끝단(205)에는 치료환부에 해당하는 손목을 걸거나, 또는 상체를 감싸아 착용하거나, 팔 또는 다리를 걸치는 상태를 이루게 하는 보호띠(220)가 구비되게 한다.In addition, a wrist corresponding to the treated portion may be worn on the end 20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rting end 203 of the stretchable string 200, or may be wrapped around the upper body, The protective band 220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보호띠(220)에 환자의 상체, 팔, 손목, 다리등을 걸어 환자가 신체를 움직이면 움직이는 동작만큼 신축줄(200)이 당겨지고 이후 수축되는 상태가 반복 되므로 이 과정에서 신축줄(200)에서 형성되는 응력이 환자의 치료부위에 제공되게 하여 재활치료의 회복을 돕게 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when the patient moves his / her body by moving his / her upper body, arm, wrist, leg, and the like to the protective band 220,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200 is pulled and then contracted is repeated. ) Is provided to the treatment site of the patient, thereby helping to recove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이러한 디스크 도수치료기에는 신축줄(200)의 활용성을 다양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누움대(100)의 중앙위치 양측면으로 설치되는 수직대(300)를 수직상태에서 각도조절이 되도록 구성한다. In this disc practicing apparatus, the vertical bar 300, which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buttock 100, is configured to be angularly adjusted in a vertical state, in order to diversify the utilization of the stretchable bar 200.

상기 수직대(300)이 각도조절 구성은 상기 누움대(100)의 중앙 위치 양측면 에 브라켓(310)이 설치되게 하고, 상기 브라켓(310)에 수직하게 수직바(320)가 설치되게 한다. The angle adjusting structure of the vertical bar 300 allows brackets 310 to b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lever 100 and a vertical bar 320 to be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brackets 310.

상기 브라켓(310)에 수직바(320)를 설치함에 있어 조임과 풀음상태를 이루는 조절볼트(350)가 브라켓(310)과 수직바(320)에 체결되는 구성을 갖추어 환자의 치료동작에 따라서 풀음 시 수직바(320)가 브라켓(310)에서 각도조절상태가 되고, 조임 시 수직바(320)가 고정되어 수직바(320)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e vertical bar 320 is installed on the bracket 310 so that the adjusting bolt 350 is fastened to the bracket 310 and the vertical bar 320. Thus, The vertical bar 320 can be angularly adjusted at the bracket 310 and the vertical bar 320 can be fixed at the time of tightening to select the vertical bar 320 state.

또한, 상기 수직바(320)의 상단에는 지지봉(330)이 가로지르는 상태로 설치되게 한다. Further, the vertical bar 3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thereof with the support bar 330 crossing.

이처럼 브라켓(310)의 조절볼트(350)에서 경사조절 되는 수직바(320)의 상단 지지봉(330)에 신축줄(200)이 걸쳐지게 하는 상태에서 신축줄(200)의 끝단(205)에 설치된 보호띠(220)를 환자의 치료대상 부분 즉, 경추부분, 겨드랑이 부분, 허리부분, 다리부분에 걸치도록 하는 상태로 치료동작을 취하고 힘을 주거나 몸을 움직일 때 신축줄(200)에서 형성되는 응력이 치료부위에 전달되어 치료에 도움을 제공하게 된다. The extension bar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support bar 330 of the vertical bar 320 which is inclined by the adjustment bolt 350 of the bracket 310 and is installed on the end 205 of the extension bar 200 The stress applied to the cervical portion, the underarm portion, the waist portion, and the leg portion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that is, the stress applied to the cervical spine 220, This treatment is delivered to the site to provide treatment.

상기의 디스크 도수치료기 중에 누움대(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조절대(500)는, 상기 누움대(100)의 중앙 저면으로 설치되는 고정편(510)과, 상기 고정편(5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벌어지고 오므라 들게 되는 지지다리(520)와, 상기 조절대(500)의 외측면에서 지지다리(520)를 가로지르게 설치될 때 제어공(535)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지지다리(520)의 벌어지는 간격을 제어하는 조절편(530)으로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50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ever 100 in the disk therapy unit includes a fixing piece 510 installed on the center bottom surface of the lever 100, And a control hole 535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control pedestal 500 so as to cross the support leg 520. The control leg 53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520, 520. The control unit 530 controls the firing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520, 520.

상기 조절대(500)에 구비되는 조절편(530)구성에 의하여 지지다리(520)는‘A’형상을 이루게 되어 누움대(100)는 지면에서 들려지는 상태가 되고, 지지다리(520)의 벌어지는 간격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누움대(100)의 들려지는 상하높이가 조절된다. The support leg 520 is formed into an 'A' shape by the structure of the adjuster 530 provided on the adjuster 500 so that the pusher 100 can be lifted from the ground, The lifting height of the lever 100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interval that the lever 100 is lifted.

또한, 높이가 조절되는 누움대(100)는 고정편(510)을 지점으로 하여 수평상태 또는 전, 후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ush rod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can be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the fixing piece 510 as a fulcrum.

이러한 누움대(100)의 전,후방 경사상태는 기울어진 방향으로 환자에게 중력이 작용되므로 신전운동과 견인상태를 치료부위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gravitational force acts on the patient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of the cramp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etching motion and a traction state to the treatment site.

특히, 상기 누움대(100)의 길이 방향 끝단에 설치되는 상기 발거치대(120)의 받침편(121)에 그리고, 상기 누움대(100)의 길이 방향 끝단에 설치되는 상기 발거치대(120)의 받침편(121)에 발고정밴드(600)를 설치한 구성을 이루고 있어 환자가 허리부분의 요추 또는 경추 부분을 견인하고자 할 때 발고정밴드(600)는 환자의 신체 당김 자세에서 고정점 역활을 이루게 된다. Particularly, the foot rest 120 of the foot rest 120, which is install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toe bar 100, and the foot rest 120 of the foot rest 120 install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to- When the patient wishes to pull the lumbar or cervical portion of the waist portion, the foot fixing band 600 serves as a fixed point in the body pulling position of the patient .

이는 누움대(100)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다리(520)의 간격을 좁게 조절하면 바닥에서 누움대(100)의 높이가 높아짐과 동시에 경사각도가 커지게 되는 상태가 되므로 신체의 몸무게에 의한 중력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집중되는 작용을 제공되는 상태가 되어 치료부위에 대한 견인 효율이 향상된다.This is becaus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legs 52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ick pad 100 is narrowed, the height of the click pad 100 on the floor increases and the inclination angle becomes large.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concentrated in the tilted direction is obtained, and the traction efficiency for the treatment site is improved.

그리고, 누움대(100)의 표면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400)는, 상기 누움대 (100)의 표면에 형성된 지지대홈(130)의 공간으로 수평상태 또는 경사상태 범위로 회동되는 제1판(410)과, 상기 제1판(410)에 힌지(450) 연결되어 제1판(410)의 회동시 연동되어 수평상태 또는 경사상태로 견인되도록 제2판(440)이 설치되게 한다.The supporter 40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push button 100 may include a first plate that is rotated in a horizontal or inclined state in a space of the supporter groove 13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ush button 100, And a hinge 450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410 so that the second plate 440 is installed to be pulled in a horizontal state or an inclined state when the first plate 410 rotates.

상기 지지대홈(130)의 공간에 설치된 지지대(400)의 제1판(410)을 들어 올리면 힌지(450) 연결된 제2판(440)이 제1판(410)에 의해 견인되면서 제2판(440)의 측면에서 돌출된 돌출핀(460)이 상기 복수 개의 걸림요홈(132)에 선택적 또는 단계적으로 걸리는 상태가 되어 상기 누움대(100)의 표면에서 제1판(420)과 제2판(440)이 경사각높이(h)로 돌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The second plate 440 connected to the hinge 450 is pulled up by the first plate 410 while the first plate 410 of the supporter 400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supporter groove 130 is lifted, The protruded pins 460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20 and 440 are selectively or stepwis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latching grooves 132, 440 protrude at a height h of inclination.

이는 누음대(100)누운 환자의 다리의 무릎관절 위치를 들어올리는 지지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환자의 다리는 자연적 무릎부위가 굽혀져 들려지는 상태되며,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해당 환자에게 알맞은 도수치료를 이루게 한다. This serves as a support for lifting the position of the knee joint of the leg of the user (100), so that the leg of the patient is bent and lifted, and in a state of being bent, It makes the treatment of frequenc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누움대 110 : 수용홀 120 : 발거치대
121 : 받침편 123 : 가이드편 125 : 인장스프링
130 : 지지대홈 132 : 걸림요홈 200 : 신축줄
203 : 시작단 205 : 끝단 220 : 보호띠
300 : 수직대 310 : 브라켓 320 : 수직바
330 : 지지봉 350 : 조절볼트 400 : 지지대
410 : 제1판 440 : 제2판 450 : 힌지
460 : 돌출핀 500 : 조절대 510 : 고정편
520 : 지지다리 530 : 조절편 535 : 제어공
600 : 발고정밴드 h : 경사각높이
100: click lever 110: receiving hole 120: foot holder
121: Support piece 123: Guide piece 125: Tension spring
130: support base groove 132: engagement groove 200:
203: Starting end 205: End 220: Protective strip
300: Vertical stand 310: Bracket 320: Vertical bar
330: support rod 350: adjusting bolt 400: support
410: first plate 440: second plate 450: hinge
460: projecting pin 500: adjusting base 510:
520: support leg 530: adjustable member 535: control member
600: Foot fixing band h: Height of inclination

Claims (8)

환자가 수평하게 누워 치료동작을 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누움대 (100);
탄성소재로 되며 힘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신장되어 누움대(100)에서 환자가 당김동작을 시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을 통하여 재활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줄 (200);
상기 누움대(100)의 양측면 중앙 위치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봉(330)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330)을 거쳐 신축줄(200)이 당겨지도록 하는 수직대(300);
상기 누움대(100)의 표면에 돌출형성되며 환자의 무릎부위가 구부러지게 하는 지지대(400); 및
상기 누움대(100) 저면으로 설치되는 지지다리(520)에 의해 상기 누움대(100)가 바닥에서 지지다리(520)의 높이로 들려지며, 환자의 치료동작에 따라 누움대(100)의 수평 높이와 경사방향이 조절되게 하는 조절대(500);를 포함하여서 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100) having a size such that the patient can be laid horizontally to take a therapeutic action;
A stretchable cord 200 whic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which is elongated according to a degree of application of a force so as to enable rehabilitation treatment through a stress generated as a patient performs a pulling motion in the pusher 100;
The vertical bar 300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push rod 100 and has a support bar 330 horizontally at its upper end to pull the extension bar 200 through the support bar 330. [ ;
A support 400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click pad 100 to bend the knee of the patient; And
The support leg 52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ush rod 100 lifts the push rod 100 to a height of the support leg 520 from the floor, (500)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dis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움대(100)는,
상기 누움대(100)의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위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인장스프링을 통해 누움대(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 슬라이딩되고 사용자의 발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발거치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발거치대(120)는,
사용자의 구부린 발을 펼치고 다시 구부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누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탄성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rod 100 may include:
Which is form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user's feet of the to-be-dropped pedestal 100 are held and which is slid back and forth from the inside of the to-be-dropped member 100 through a resilient tension spring, A foot rest 120,
The foot rest 120 includes: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 rod (100) by an action of bending and bending the bent foot of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거치대(120)는,
상기 누움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홀(110)에 일부가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누움대(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편(123)과,
상기 누움대(100)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가이드편(123)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도록 하는 받침편(121)과,
상기 누움대(100)의 수용홀(110)에 일단이 설치되며, 그 타단이 상기 가이드편(123)에 연결되어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탄성을 발휘 하는 인장스프링(125)을 포함 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ot rest 120 includes:
A guide piece 123 that is partially received in the receiving hole 110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lick pad 100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ick pad 100,
A support piece 121 connected to the guide piece 12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ick pad 100 to support the user's feet,
And a tension spring (125) having one end in the receiving hole (110) of the click bar (1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uide piece (123) to exhibit elasticity by being contracted or expa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줄(200)은,
탄성소재로 되어 상기 누움대(100)의 내부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시작단(203)과,
상기 시작단(203)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직대(300)에 거치되는 끝단(205)과,
상기 끝단(205)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태로 환자에게 착용되는 보호띠(220)를 포함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trap (200)
A starting end 203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fixed to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click rod 100,
An end 205 extending from the starting end 203 and resting on the vertical stand 300,
And a protective band (220) connected to the end (205) and worn by the patient in a state of wrapp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300)는,
상기 누움대(100)의 양측면 중앙 위치에 설치되는 브라켓(310)과,
상기 브라켓(31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바(320)와,
상기 수직바(320)의 상단을 가로지르면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봉(330)과,
상기 브라켓(310)에서 수직바(320)가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조임력을 갖으며,환자의 치료동작에 따른 각도 설정 시 조임 및 풀음되게 하는 조절볼트(3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stand 300 includes:
A bracket 310 installed at the center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push rod 100,
A vertical bar 32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racket 310,
A support bar 330 horizontally installed acros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320,
And an adjusting bolt (350) having a tightening force for vertically installing the vertical bar (320) in the bracket (310) and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angle when setting the angle according to a treatment operation of the pat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00)는,
상기 누움대(100)의 표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대홈(130)의 공간 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복수 개의 걸림요홈(132)과,
상기 지지대홈(130)에 설치되어 수평상태 또는 경사상태로 회동되는 제1판(410)과,
상기 제1판(410)에 힌지(450) 연결되어 제1판(410)의 회동 시 연동되어 수평상태 또는 경사상태로 세워지는 제2판(440)과,
상기 제2판(440)의 끝단 측면으로 돌출되어, 제1판(410)에 의해 연동될 때 상기 지지대홈(130)의 걸림요홈(132)에 선택적으로 걸려 제1판(420)과 제2판(440)의 상기 누움대(100)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경사각높이(h)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핀(460)을 포함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ase (400)
A plurality of latching grooves 13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pace sidewalls of the support groove 130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click pad 100,
A first plate 410 installed in the support groove 130 and rotated in a horizontal state or an inclined state,
A second plate 440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410 by a hinge 450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plate 410 when the first plate 410 rotates,
The first plate 420 and the second plate 440 protrude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plate 440 and selectively engage with the engaging groove 132 of the support plate groove 130 when interlocked by the first plate 410, And a projecting pin (460) for adjusting the height (h) of inclination of the plate (440)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click bar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대(500)는,
상기 지지다리(520)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편(510)과,
상기 고정편(510)에 ‘A’형태로 설치되는 지지다리(52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 지지다리(520)의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들려지는 누움대(100)의 높이가 상하로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편(530)을 포함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er (500)
A fixing piece 510 installed to fix the support leg 520,
The support leg 520 installed in the shape of 'A' is installed across the fixing piece 510 to control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legs 520 so that the height of the click pad 100 lifted from the ground is adjusted up and down (530) that allows the user to manipulate the dis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121)에는,
상기 누움대(100)에 수평하게 눕는 환자의 발등을 걸을 수 있는 발고정밴드(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도수치료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upport piece 121,
Further comprising a foot fixing band (600) for hanging a foot of a patient lying on the toe plate (100) horizontally.
KR1020160061369A 2016-05-19 2016-05-19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KR102532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369A KR102532823B1 (en) 2016-05-19 2016-05-19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PCT/KR2017/005215 WO2017200335A1 (en) 2016-05-19 2017-05-19 Manual therapy apparatus for 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369A KR102532823B1 (en) 2016-05-19 2016-05-19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67A true KR20170130767A (en) 2017-11-29
KR102532823B1 KR102532823B1 (en) 2023-05-15

Family

ID=6032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369A KR102532823B1 (en) 2016-05-19 2016-05-19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2823B1 (en)
WO (1) WO201720033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465B1 (en) 2022-08-05 2023-07-12 주식회사 바디블 Manual therap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6248B (en) * 2018-02-08 2023-07-07 河南省洛阳正骨医院(河南省骨科医院) Three-bending-position adjustable support pad
CN112545822B (en) * 2019-06-25 2022-06-10 河南省洛阳正骨医院(河南省骨科医院) Auxiliary instrument for stretching shoulders to expand operation visual field
CN117379755B (en) * 2023-12-12 2024-02-27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Auxiliary physiotherapy device for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hemiplegi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0554A (en) * 1983-11-28 1986-04-08 Paul Goodley Traction device
KR200286174Y1 (en) 2002-04-09 2002-08-22 노주석 A bed tractor
KR20100122299A (en) * 2009-05-12 2010-11-22 이창욱 Stretching apparatus
KR20140073832A (en) * 2012-12-07 2014-06-17 주식회사 카스피 Lumbar and cervical vertebrae traction b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92829A1 (en) * 1995-04-21 1996-10-24 Ichiro Onishi Bed
US6926650B2 (en) * 1999-03-11 2005-08-09 Balanced Body, Inc. Collapsible reformer exercise apparatus
JP4223322B2 (en) * 2003-05-09 2009-02-12 忠男 築地 Health applian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0554A (en) * 1983-11-28 1986-04-08 Paul Goodley Traction device
KR200286174Y1 (en) 2002-04-09 2002-08-22 노주석 A bed tractor
KR20100122299A (en) * 2009-05-12 2010-11-22 이창욱 Stretching apparatus
KR20140073832A (en) * 2012-12-07 2014-06-17 주식회사 카스피 Lumbar and cervical vertebrae traction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465B1 (en) 2022-08-05 2023-07-12 주식회사 바디블 Manual therap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823B1 (en) 2023-05-15
WO2017200335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104B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reforming the spinal column
ES2742294T3 (en) Medical leg support system adapted to increase the range of movement of one leg to aid in the healing and strengthening of bones, muscles and / or other damaged, injured and / or substituted leg tissues
KR20090102595A (en) Improved spinal manipulation apparatus
US9597250B2 (en) Posture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1142888B1 (en) spine care system
KR20170130767A (en)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KR20120100613A (en) Spinal rehabilitation and corrective exercise equipment for the spinal muscles
KR20080042427A (en) Apparatus for correction and stretching of vertebra
JP2010264287A (en) Device for preventing or relieving pain in lower back
JP3420546B2 (en) Lower limb exercise device
CN106726060B (en) Prone leg-lifting type self-help traction multifunctional lumbar disease treatment bed
KR101776936B1 (en)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JP6044924B2 (en) Ankle joint exercise device
KR200463327Y1 (en)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KR101529298B1 (en) Lumbar calibration exercise assistive devices
KR101606202B1 (en) Lumber traction device and body correction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035675B1 (en) The rehabilitative therapeutic device for the normalization of trunk and pelvic
KR101624798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body posture
JP2018094384A (en) Inferior limb blood circulation tool
JP2006141694A (en) Stretch table
KR101652056B1 (en) Spinal adjustment device
CN205434838U (en) Ankle joint motion training device
JP3224958U (en) Spine correction exercise equipment
JP7385411B2 (en) back pain treatment device
JPH08126718A (en) Treatment appliance for moving subwaist le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