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353A - 삽관 장치 - Google Patents

삽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353A
KR20170130353A KR1020177019213A KR20177019213A KR20170130353A KR 20170130353 A KR20170130353 A KR 20170130353A KR 1020177019213 A KR1020177019213 A KR 1020177019213A KR 20177019213 A KR20177019213 A KR 20177019213A KR 20170130353 A KR20170130353 A KR 20170130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tube
inner tube
thumb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바로 줄리오 미겔 알론소
Original Assignee
에어웨이 메디컬 이노베이션즈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4905049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4905049A0/en
Application filed by 에어웨이 메디컬 이노베이션즈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어웨이 메디컬 이노베이션즈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mechani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5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for aler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Abstract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관 장치에 있어서, 팁과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쥐기 위해 블레이드의 베이스에 부착된 손잡이; 내관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 상기 채널은 실질적으로 팁으로부터 베이스로 블레이드를 따라 연장하고 내관 튜브의 말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되도록 하는 팁 근처에 블레이드 채널부 및 상기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채널부를 포함하며, 채널을 통해 내관 튜브를 이동시켜 전진시키기 위한 손잡이 내 튜브 이동기구; 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로서,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삽관 장치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튜브 이동기구를 구동하도록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기관 내 삽관술에 있어 한 손을 이용하여 삽관 장치를 잡은 채로 내관 튜브를 전진시킬 수 있는 삽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삽관 장치{INTUBATION DEVICE}
본 발명은 기관 내 삽관술(an endotracheal intubation procedure)에서 사용되는 삽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관 내 삽관은 의료 전문가가 일반적으로 입과 기관을 통해 가요성 플라스틱 도관, 내관 튜브를 도입하는 수술이다. 이는, 긴급 상황에서 호흡 능력이 질병이나 부상으로 손상되거나 수술 중 약물-유발 우울증에 의해 방해될 때 필요한, 인공 호흡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보편적인 수술이며 전 세계에서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매일 수천 건의 삽관을 다양한 전문가, 특히 마취 전문가, 중환자 전문 치료사, 응급 의사 및 예비 병원의 위생병 및 구급 요원이 수행한다. 그러나, 기관 내 삽관은 사망이나 장애로 이어질 수 있고 상당한 기술이 요구되며 때로는 성취 될 수 없는 고위험 수술이다.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들조차도 종종 어렵고 때로는 실패한다. 새로운 전문 장비와 첨단 기술은 이 어려운 수술을 용이하게 하고 더 나은 성공률을 보장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작업자의 목적은 입, 인두 및 후두를 통해 기관으로 내관 튜브를 성공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이다. 구강인두 통로는 굴곡되고 좁아지고 후두와 식도의 입구에서 끝난다. 환자가 정자세로 누워있을 때, 혀가 인두로 떨어져 넘어가는 경향이 있으며, 환자의 특정 한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후두 입구가 달라질 수 있으며, 후두개(epiglottis)는 후두 입구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성문 개구(glottic opening)를 노출시키도록 움직일 필요가 있다.
작업자는 후두 입구에서 성대(vocal cords), 앙와위 환자와 횡단면에서 후두의 입구 위의 후두개, 및 상기 단면에서 모든 이전 구조들 아래의 식도를 식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수술은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다; 내관 튜브가 식도를 향한 경로를 따르는 것이 더 쉽고, 후두의 좋은 뷰를 달성하는 것이 종종 어려우며, 때때로 내관 튜브를 도입하는 것이 어렵다. 수술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데 어떤 지연이라도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져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관을 통해 내관 튜브(endotracheal tube)를 삽입하는 것을 기관 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후두경(laryngoscope)이라는 도구를 사용한다. 도 1은 손잡이(2) 및 블레이드(3)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후두경(1)의 예를 도시한다. 블레이드(3)의 상이한 형상은 환자의 연령 또는 크기 및 상이한 수술 옵션과 같은 요인의 범위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후두경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분류되지만, 다양한 스타일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 블레이드들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블레이드의 일부 스타일은 후두개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설계되고 다른 스타일은 후두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수술 중에 약간 다른 움직임을 유도한다. 광원은 블레이드(3)의 팁에 구비되어 그 너머의 영역을 조명할 수 있다. 광원은 손잡이(2) 내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기관 내 삽관 동안에, 환자는 앙와위 자세로 누워있으며, 환자의 머리 위에 서있는 수술자는 입을 통과하여 인두 안으로 후두경(1)의 블레이드(3)를 도입하며, 후두의 입구를 노출하기 위해서 (블레이드의 종류 및 특정 환자에 따라) 혀 및 후두개와 같은 해부학적 구조를 교묘히 조작한다. 그런 다음, 직접적인 시각화 하에서, 수술자는 내관 튜브의 팁을 후두에 삽입하여 그것을 기관으로 전진시킨다. 통상적이고 보편적인 수술에서, 수술자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3)를 위치시키기 위해 손잡이(2)에 의해 후두경(1)을 잡기도록 왼손을 이용하고, 후두경 블레이드(3)를 따라 그것을 가시화된 기관으로 밀어 넣는다.
종종, 해부학적 변이와 도전 때문에, 적절한 기술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시각화가 어렵다. 대부분의 경우, 해부학적 구조의 일부를 조작하여 적절한 시각화를 얻을 수 있다. 불행하게도, 종래의 후두경 및 종래의 수술에서, 수술자는 양손을 이용하고 있으며, 내관 튜브를 수동으로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손은 수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해부학적 구조를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제 2 수술자는 이러한 구조를 조작하는 것을 돕기 위해 후두 입구에 직접적 시각적 접근을 할 수 없으며, 제 1 수술자가 시야를 확보하는 입 개구가 매우 커서 제 1 조작자의 시야를 방해 할 수 있으며, 제한적이고 삽관술을 수행하는 수술자는 대개 최적의 시각을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잠재적인 합병증의 심각성과 함께 수술 자체의 어려움 때문에, 상기 수술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만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과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은 수술과 그 수술의 수행에 사용된 도구가 본질적으로 수십 년 동안 변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하는 의사 및 기타 전문가들은 이러한 어려움과 위험을 감안할 때, 새로운 장치를 사용하거나 기존의 방식을 변경하기를 꺼려한다. 따라서, 관상 동맥 우회술을 시행하는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기존의 후두경의 사용에 대해 이미 숙련되고 편안해진 의사가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삽관 장치는 기존의 후두경과 비교하여 명백한 수술상의 이점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형태와 무게 및 사용 방법이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WO2003047673은 자동 작동 의료 삽입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며, 이는 생체 내에서 생체 조직 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삽입 가능한 요소, 삽입 가능한 요소와 물리적으로 관련되고 생체 내에서 생체 내 물리적 표면을 따르도록 배열된 표면 추적 요소, 물리적 표면을 따라 삽입 가능한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 지향시키도록 작동하는 구동 보조 시스템, 및 네비게이션 보조 시스템에 저장된 기준 경로를 따라 상기 표면을 따르는 요소의 인지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구동 보조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네비게이션 보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 장치의 자동 작동에는 기존의 후두경과 크게 다른 구성의 복잡한 하드웨어 배치가 필요 하기 때문에, 기존의 후두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값 비싼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된다.
US5184603삽관 기구를 개시하며, 상기 삽관 기구는: 기관 내 삽관을 위해 후두 개구를 노출시키기 위해 환자의 목구멍 내로 도입되도록 구성된 둥근 말단부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관 튜브용 신장된 채널을 형성하는 측벽; 삽관 기구의 삽입 및 조작 중에 관을 후두경 블레이드 내에 유지시키고 말단부를 넘어서 관의 전방 변위를 수용하는 채널; 그와 결합 된 제1 빠른-결합 커플링을 갖는 기단부를 가지는 블레이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 손잡이 하우징; 상기 지지 손잡이 하우징의 최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 1 빠른-결합 커플링과 결합 가능한 제2 빠른-결합 커플링; 미리 결정된 각도 관계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제1 및 제2 빠른-결합 커플링; 손잡이 하우징 내에 장칙된 내관 튜브 구동기; 손잡이 하우징 및 블레이드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채널 내의 내관 튜브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고 관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관를 관 내로 도입시켜 관의 원위 단부를 기관내로 도입시키는 관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상기 관 구동기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핑거-활성 트리거(finger-activated trigger)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성문 개구부의 노출 및 내관 튜브의 도입은 손잡이 하우징을 유지하면서 한 손으로 수행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문헌에 개시된 삽관 기구는 종래의 후두경과 비교하여 현저히 상이한 구성을 가진다. 특히, 관 드라이버의 위치는 기구의 인체 공학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며 수술 중에 수술자의 움직임이나 해부학적 구조를 방해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776052호는 기관지 내시경의 가요성 광섬유 관을 전진시키고 결합하도록 설계된 기구를 포함하는 햄들을 갖는 후두경을 개시한다. 상기 기구는 손잡이를 파지하는 손으로 조작된다. 후두경은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손잡이로부터 블레이드의 말단부까지 연장되는 표면을 한정하는 블레이드를 갖는다. 기구는 광섬유 관이 블레이드의 말단부로 전진하는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표면을 덮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기구는 채널을 통해 가요성 광섬유 관을 전진 시키도록 배치됩니다. 상기 기구는 또한 가이드를 표면에서 변위시켜 후두경이 가요성 광섬유 관에서 제거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문헌에 개시된 후두경은 내관 튜브가 아닌 광섬유 관을 전진시키는 기구만을 제공한다.
WO2011119521은 성대의 시각화 및 시각화할 때 내관 튜브의 기관 내 자동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광섬유 삽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삽관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 및 상기 길이 방향 축선과 대체로 평행한 상기 말단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신축 및 수축 가능한 탐침(stylet)을 포함한다. 또한, 장치는 하우징에 대해 내관 튜브를 지지하고 하우징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트리거의 작동시 하우징에 대해 탐침을 자동으로 이동 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단 탐침이 성대에 상대적으로 위치되면, 장치는 트리거가 작동할 때 내관 튜브를 기관으로 배치하도록 구성괸다. 그러나, 본 문헌에 개시된 장치는 후두경 블레이드가 없으며 종래의 후두경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상이한 수술적 인간 공학 및 구성을 갖는다.
임의의 선행 문서 (또는 그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공지된 임의의 사안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 참조는 승인 또는 인정 또는 선형 문서 (또는 그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공지된 사안이 명세서와 관련된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어떠한 형태의 제안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
광범위한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광범위한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상기 삽관 장치는:
a) 팁 및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b)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되도록 블레이드의 베이스에 부착된 손잡이;
c) (1) 블레이드를 따라 실질적으로 팁으로부터 베이스까지 연장되고 내관 튜브의 원위 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팁에 인접한 출구를 갖는 블레이드 채널부, 및 (2)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채널부를 포함하는, 내관 튜브를 수용하는 채널; 및
d) 채널을 통해 내관 튜브를 이동시켜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기 위한 손잡이 내의 튜브 이동기구;를 포함하며,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를 사용하여 튜브 이동기구를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기관 내 삽관술에서 한 손을 사용하여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고 삽관 장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튜브 이동기구는 손잡이 채널부에 위치된 기관관의 근위 단부를 맞물리게 하고 엄지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응답하여 내관 튜브가 채널을 통해 움직이도록 하는 튜브 결합기(tube engager)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는 튜브 결합기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엄지에 의한 엄지 인터페이스의 이동은 튜브 채널을 통해 내관 튜브의 상응하는 이동을 일으킨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는 상반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 제1 방향으로의 엄지 인터페이스의 움직임은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고 제2 방향에서의 엄지 인터페이스의 움직임은 내관 튜브를 후퇴시킨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는 튜브 이동기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엄지 인터페이스의 움직임이 기계적으로 내관 튜브의 상응하는 움직임으로 변환된다.
통상적으로, 튜브 이동기구는 엄지 이동 거리에 의한 엄지 인터페이스의 이동이 엄지 이동 거리보다 큰 튜브 이동 거리에 의한 내관 튜브의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튜브 이동 거리는 튜브 이동기구에서의 기계적 이점에 의해 제공되는 증배율에 의한 엄지 이동 거리와 관련된다.
통상적으로, 튜브 이동기구는 레버 배열 및 기어 트레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튜브 이동기구는 내관 튜브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엄지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의 작동은 엑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엑추에이터에 제공된 제어 입력에 의해서 발생된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여, 누름 버튼이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눌려질 때 제어 입력이 엑추에이터에 제공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눌려 질 때 액추에이터에 대한 상이한 제어 입력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누름 버튼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액추에이터는 배터리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된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엄지를 사용하여 엄지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사용자에 의해 엄지 인터페이스가 조작되도록 엄지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엄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엄지를 사용하여 엄지 휠을 굴리는 사용자에 의해 엄지 인터페이스가 조작되도록 엄지 휠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블레이드는 앞쪽 블레이드 면 및 대향하는 뒤쪽 블레이드 면을 결합하는 조직(tissue) 포함하고, 손잡이는 뒤쪽 블레이드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뒤쪽 손잡이 면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채널부 및 손잡이 채널부는 뒤쪽 블레이드 면에 각각 정의된다.
통상적으로, 뒤쪽 손잡이 면 및 뒤쪽 블레이드 면은 집합적으로 삽관 장치의 연속적으로 굴곡된 뒤쪽 면을 정의하며, 채널은 굴곡진 뒤쪽 면에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굴곡진 뒤쪽 면은 블레이드 및 손잡이 각각을 따라 둥글게 된다.
통상적으로, 채널은 굴곡진 뒤쪽 면을 따라 연장한 신장된 개구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블레이드 채널부 및 손잡이 채널부는 각각 측방향 블레이드 면 및 측방향 손잡이 면에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채널은 측방향 블레이드 면 및 측방향 손잡이 면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개구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채널은 내관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굴곡진 통로를 정의한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는 채널 내에 내관 튜브를 보유하기 위해 채널의 신정된 개구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덮는 보유 탭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보유 탭은 내관 튜브가 사용자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되지 않는 한, 채널로부터 튜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는 블레이드의 팁에 근접하여 위치된 광원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는 광섬유 관측 장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는 블레이드의 팁에 근접하여 위치 된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는 블레이드의 팁에 근접한 흡입구를 갖는 흡입 채널을 포함하고, 흡입 채널은 흡입관에서 흡입을 허용하도록 흡입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블레이드는 손잡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는 기관 내 삽관술에 대한 요건에 따라 상이한 모양 및 크기를 갖는 상이한 블레이드의 부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블레이드는 손잡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블레이드가 작동 구성 및 접힌 구성 사이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는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리 가능한 씰(seal)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손잡이는 사용자가 손잡이 내에서 내관 튜브의 일부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채널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광범위한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상기 삽관 장치는:
a) 팁 및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b)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되도록 블레이드의 베이스에 부착된 손잡이;
c) (1) 블레이드를 따라 실질적으로 팁으로부터 베이스까지 연장되고 내관 튜브의 원위 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팁에 인접한 출구를 갖는 블레이드 채널부, 및 (2)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채널부를 포함하는, 내관 튜브를 수용하는 채널; 및
d) 채널을 통해 내관 튜브를 이동시켜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기 위한 손잡이 내의 튜브 이동기구;를 포함하며,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를 사용하여 튜브 이동기구를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손가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기관 내 삽관술에서 한 손을 사용하여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고 삽관 장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삽관 장치를 잡고 있는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은: a) 엄지; 및 b) 핑거(fing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광범위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부지-보조식(bougie-assisted)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상기 삽관 장치는:
a) 팁 및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b)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되도록 블레이드의 베이스에 부착된 손잡이;
c) (1) 블레이드를 따라 실질적으로 팁으로부터 베이스까지 연장되고 부지(bougie)의 원위 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팁에 인접한 출구를 갖는 블레이드 채널부, 및 (2)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채널부를 포함하는, 부지(bougie)를 수용하는 채널; 및
d) 채널을 통해 부지를 이동시켜 부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손잡이 내의 튜브 이동기구;을 포함하며,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엄지를 사용하여 튜브 이동기구를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부지-보조식 기관 내 삽관술에서 한 손을 사용하여 부지를 전진시키고 삽관 장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후두경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삽관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내관 튜브에 적재되고 사용시 사용자의 엄지 위치를 나타내는 도 2a의 삽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사용자의 엄지가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는 엄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 2b의 삽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기 위해 엄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엄지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e는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엄지 인터페이스와 내관 튜브 사이의 커플링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f는 엄지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다음에 커플링의 전진을 도시하는 도 2e에 도시된 커플링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g는 커플링으로부터 내관 튜브의 분리를 도시하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플링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3a는 피검자에 대해 기관 내 삽관술을 수행하기 위해도 2a의 삽관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단 내관 튜브가 대상의 기관에 위치되고 삽관 장치로부터 제거된 경우 도 3a의 대상 및 삽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엄지 인터페이스의 대안 형태를 갖는 삽관 장치의 제2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엄지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대안 형태를 갖는 삽관 장치의 제3 예시의 사시도 이다.
도 6a는 작동 구성에서 삽관 장치의 제4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접힌 구성의 도 6a의 삽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c는도 6a의 삽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d는도 6a의 삽관 장치의 사시도이고, 엄지 인터페이스는 진행된 위치에 있다.
도 6e는도 6a의 삽관 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로서, 엄지 인터페이스가 진행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6f는 내관 튜브가 장착된 도 6a의 삽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g는 내관 튜브의 전진 후 도 6f의 내관 튜브 및 삽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관 장치(100)의 예시가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이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a와 참조하면, 삽관 장치(100)는 팁(111) 및 베이스(112)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110)를 포함한다. 삽관 장치(100)가 사용자의 손에 들어갈 수 있도록 블레이드(110)의 베이스(112)에 손잡이(120)이 부착된다.
삽관 장치(100)는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 (101)을 포함한다. 채널(101)은 실질적으로 팁(111)에서 베이스(112)까지 블레이드를 따라 연장되는 블레이드 채널부(113) 및, 블레이드 채널부(113)로부터 손잡이(120)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채널부(123)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채널부(113)는 도 2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 튜브(210)의 말단부(211)가 출구(114)로부터 전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기 팁(111)에 인접한 출구(114)를 포함한다. 튜브 이동기구(130)은 (도 2b 내지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삽관 장치(100)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201)를 이용하여 튜브 이동기구 (130)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131)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기관 내 삽관술 중에 내관 튜브(210)를 전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의 엄지(201)가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조작을 위해 위치되는 손(301)에서 손잡이(120)에 의해 삽관 장치(100)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블레이드(110)의 팁(111)을 내관 튜브(210)의 전진을 위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손잡이(120)을 사용하여 환자(310)의 구강인두 통로 내의 해부학 구조에 대해 블레이드(110)를 조종할 수 있다. 일단 팁(111)이 적절하게 위치되면, 사용자는 엄지 인터페이스(131)를 조작하여 튜브 이동기구가 채널(101)을 통해 내관 튜브(210)를 이동시키고 내관 튜브(210)을 환자(310)의 기관으로 전진시킨다.
손잡이(120)을 통해 블레이드(110)를 위치시키고 내관 튜브(210)를 전진시키기 위해 삽관 장치(100)의 조작을 한 손으로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다른 손(302)은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기도를 청소하거나 흡입 장치(303) 또는 필요에 따라 기관내 삽관술 중에 해부학적 구조 및/또는 내관 튜브(210)을 조작하기 위한 집게 등의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로부터 자유롭게 될 것이다. 한 손만을 사용하는 것은, 통상적인 수술에 따라 내관 튜브를 수동으로 전진시키는 경우에 발생되는 수술 중 시각 장애를 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의 일반적인 배열은 통상적인 후두경과 함께 기관 내 삽관술을 수행함에 있어서,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게 익숙할 것이며, 따라서 적절하게 숙련된 사용자는 일반적이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손잡이(120)을 통하여 수술 동안 손잡이(120)을 직관적으로 유지하고 블레이드(110)를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손잡이(120) 내의 튜브 이동기구(130)은 엄지 인터페이스(131)를 간단하게 조작함으로써 내관 튜브(210)을 전진시키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적절히 구성되고 위치된 엄지 인터페이스(131)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직관적인 엄지 움직임을 사용하여 수술 중에 내관 튜브(210)을 전진시키면서, 종래의 후두경으로 사용된 그립과 유사한 손잡이(120)에 의해 삽관 장치(100)를 계속 유지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후두경의 숙련된 사용자는 사용자가 기관 내 삽관술 중에 종래의 후두경을 잡고 조작하는 방식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삽관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수술 수행의 주 차이점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다른 손을 사용하여 내관 튜브(210)을 수동으로 전진시키기 보다는, 내관 튜브(210)을 전진시키기 위해 손잡이(110)을 고정하는 손의 엄지로 엄지 인터페이스(131)을 작동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삽관 장치(100)의 사용자는 엄지로 튜브 이동기구(130)를 사용하지 않고 삽관 장치(100)를 사용하여 완전히 종래의 방식으로 기관 내 삽관술을 선택적으로 수행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채널(101)을 통하는 것이 아니라 블레이드(120)를 따라 내관 튜브(210)을 수동으로 전진시키는 보다 익숙한 종래의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삽관 장치(100)는 이러한 사용을 허용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엄지 인터페이스(131) 및 튜브 이동기구(130)를 사용하여 내관 튜브(210)를 성공적으로 배치 할 수 없는 어려운 삽관에 유용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채널(101)로부터 내관 튜브(210)를 인출하여 동일한 내관 튜브(210)를 수동으로 삽입하여, 블레이드(120)의 표면에 의해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보다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유사한 방식으로 블레이드(120)와 나란히 제 2 내관 튜브(210)을 수동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요하다면, 삽관 장치(100)는 사용자가 엄지 인터페이스(131) 및 튜브 이동기구(130)를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전환하여 내관 튜브(210)를 내관 튜브(210)의 수동 전진으로 전진 시키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예컨대,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는 채널(101)로부터 변위되어 사용자가 그들의 다른 손을 사용하여 채널(101)을 따라 수동으로 내관 튜브(210)를 이동시켜 내관 튜브(210)를 수동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내관 튜브(210)의 다른 부분이 여전히 블레이드 채널부(113) 내에 유지되도록 하면서, 채널(101)을 손잡이 채널부(123)로부터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촉진 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수동 전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통상적인 후두경과 같이 삽관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통상적인 후두경을 대체하여 삽관 장치(100)의 사용을 채택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사용 편의성 및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는 상당한 이점으로 인해 엄지로 작동되는 튜브 이동기구(130)의 사용을 용이하게 채택하여 다른 손을 다른 활동으로 자유롭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튜브 이동기구(130) 및 그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필요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이동기구(130)는 엄지 인터페이스(131)에 직접 결합되어,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움직임은 채널(101)을 통해 내관 튜브(210)의 동등한 이동을 초래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 튜브 이동기구(130)은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움직임을 내관 튜브(210)의 보다 긴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튜브 이동기구 (130)은 엄지 인터페이스(131)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10)를 따라 연장되고 손잡이(120)을 부분적으로 따라 연장하는 채널(101)의 배열은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가 손잡이 채널부(123) 내에 위치 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근위 단부(212)는 손잡이(120)에 구비된 튜브 이동기구(130)에 근접하여 손잡이 (120) 내에 위치 될 수 있다. 이것은 튜브 이동기구(130)이 손잡이(120) 내에 완전히 포함되고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와 맞물려서 그에 따라 손잡이(120) 또는 블레이드(110)로부터 어떠한 외부 돌출 없이 채널(101)을 통하여 내관 튜브(210)을 이동시키는 배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이렇지 않다면 수술 중 해부학적 구조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삽관 장치(100)의 바람직한 형태는, 장치의 구조에 의한 간섭 없이, 사용자 종래의 후두경을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손잡이(120)을 잡은 손과 동일한 움직임을 사용자가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손잡이 채널부(123)를 포함하는 채널(101) 구성 및 손잡이(120) 내에 튜브 이동기구(13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종래의 후두경과 같이 친숙한 형태로 삽관 장치(100)를 제공 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삽관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되돌아가서, 다른 선택적 특징들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블레이드(1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후두경 블레이드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종래의 후두경 블레이드와 같이, 블레이드(110)는 환자의 상이한 연령, 크기 및 형태, 상이한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 또는 상이한 수술적 옵션에 적합하도록 다른 크기 및 상이한 형태(예컨대, 직선형 또는 곡선형 블레이드(110), 상이한 곡률을 갖는 블레이드(110), 직선형 또는 곡선형 팁(111)을 갖는 블레이드(110))로 제공 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전통적인 곡선형 후두경 블레이드 스타일(예: "매킨토시(Macintosh)" 블레이드 스타일) 또는 직선형 후두경 블레이드 스타일(예: "밀러(Miller)" 블레이드 스타일)에 따라 구성 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블레이드(110)는 손잡이(120)에 대해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이는 단일 손잡이(120) 및 튜브 이동기구(130)이 내부에 구비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상이한 블레이드(11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20)의 제1 단부(121)는 블레이드 (110)의 베이스(112)가 손잡이(120)에 결합되거나 손잡이(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커플링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삽관 장치는 기관 내 삽관술에 대한 요건에 따라 상이한 모양 및 크기를 갖는 상이한 블레이드(110)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환자에게 적합한 형상을 갖는 블레이드(110)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술적 옵션을 부착함으로써 삽관 장치(100)가 상이한 환경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커플링 장치는 종래의 후두경과 유사한 커플링 기술을 이용하여 종래의 후두경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블레이드가 부착 및 분리되도록 한다. 예컨대, 블레이드 (110) 및 손잡이(120)에는 상보적인 베이오넷(bayonet) 커플링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스타일의 커플링 인터페이스가 제공 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110)가 손잡이 (120)에 부착될 때, 커플링 장치는 블레이드 채널부(113)와 손잡이 채널부(123)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여, 연속적인 유효한 채널(101)을 형성해야 한다.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은 의료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은 비교적 저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몰드된 플라스틱 구성요소로 형성 될 수 있다. 블레이드(110) 및/또는 손잡이(120)은 수술 후에 살균의 필요성을 피하기 위해 일회용 품목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튜브 이동기구(130) 구성요소를 간단하고 저가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의 재사용 가능 버전은 보다 정교한 튜브 이동기구(130)을 구비 할 수 있으며, 환자와 접촉하게 되는 블레이드(110) 만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재사용 가능한 금속 구성요소가 종종 종래의 후두경처럼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 (120)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손잡이(120)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에 대한 적절한 위치 설정을 위해 손잡이(120)의 제 2 단부(122) 근처에 장착 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손잡이(120)은 사용 중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편안하고 단단히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인체공학적 그립 (124)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삽관 장치(100)에서,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엄지 슬라이더(slider)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엄지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사용자에 의해 엄지 인터페이스(131)가 조작된다.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엄지 슬라이더는 손잡이(120)에 형성된 슬롯(125)을 따라 슬라이딩 하고,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슬롯(125)을 통해 손잡이(120) 내의 튜브 이동기구(130)의 내부 구성 요소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튜브 이동기구(130) 및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작동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사용 예시를 참조하여 적시에 제공될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엄지 인터페이스(131) 배열의 범위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도 4는 엄지 인터페이스(131)로서의 누름 버튼(431, 432)을 포함하는 삽관 장치(400)의 예를 도시하고, 도 4는 엄지 인터페이스(131)로서의 엄지 휠 (531)을 포함하는 삽관 장치(50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서로 다른 유형의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추후에 논의될 다른 방식으로 튜브 이동기구(13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채널(101)은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의 뒤쪽 면을 따라 형성된다. 블레이드 (110)는 (도면들에 도시된 블레이드(110)의 곡선형 스타일의 내부 곡률의 면인) 앞쪽 블레이드 면 및 반대편 뒤쪽 블레이드 면을 결합하는 조직(tissu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120)은 뒤쪽 블레이드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압쪽 블레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 채널부(123)는 앞쪽 블레이드 면 및 뒤쪽 블레이드 면에 각각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101)은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의 뒤쪽 면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개구를 제공 할 것이다. 일단 내관 튜브(210)이 삽관 장치(100)를 사용하여 위치되면, 내관 튜브(210)은 내관 튜브(2100을 삽관 장치(100)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이 경우 뒤쪽으로 당김으로써 신장된 개구 채널(10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시에서, 채널(101)은 뒤쪽 면에 인접하여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의 측면을 따라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101)의 경로는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 (120)의 뒤쪽 면의 형상을 따를 수 있지만, 채널 (101)의 신장된 개구는 삽관 장치(100)의 측면으로 오프셋 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내관 튜브(210)이 삽관 장치(100)에 대해 바깥쪽으로(이 경우 측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신장된 개구 채널(101)로부터 제거되게 할 수 있다. 채널의 신장된 개구의 이러한 측 방향 배치는 사용자가 제1 손으로 손잡이(120) 상에 일정한 그립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다른 손을 사용하여 삽관 장치(100)로부터 내관 튜브(210)를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삽관 장치(100)의 도시 된 실시 예에서, 뒤쪽 손잡이면 및 뒤쪽 블레이드면은 삽관 장치(100)의 연속적으로 굴곡진 뒤쪽 면을 집합적으로 정의하며, 채널(101)은 이 굴곡진 뒤쪽 면에 정의된다(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101)은 상기 굴곡진 뒤쪽 면에 인접한 측면에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진 뒤쪽 면은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을 따라 둥글게 된다. 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의 각각의 뒤쪽 면은 직선형 후두경 블레이드 타입인 블레이드(110)의 경우와 같이 직선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101)은 내관 튜브(120)을 수용하기 위한 굴곡진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채널(101)을 굴곡진 뒤쪽 면 내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함으로써, 이는 채널(101)이 뒤쪽 면에 대해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면서 적절한 통로를 제공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널 (101)은 굴곡되지 않거나 둥글지 않은 뒤쪽 면 기하학적 구조를 위한 내관 튜브(120)에 적합한 굴곡진 통로를 제공하도록 가변 깊이로 형성 될 수 있다.
삽관 장치(100)는 채널(101) 내에 내관 튜브(210)을 보유하기 위해 채널(101)의 신장된 개구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덮는 보유 탭(115, 116, 117, 126)을 포함 할 수 있다. 보유 탭(115, 116, 117, 126)은 채널(101)의 신장된 개구를 가로 질러 상술한 면들의 연장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내관 튜브(210)의 의도하지 않은 탈구(dislocation)를 방지하도록 작용될 수 있다. 보유 탭(115, 116, 117, 126)의 수, 형상 및 위치는 삽관 장치의 기하학적 구조 및 사용 요건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블레이드 채널부(113)에 구비된 3개의 보유 탭(115, 116, 117)이 있으며, 손잡이 채널부(123)에 구비된 단일 보유 탭(126)이 있다.
내관 튜브(210)이 사용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제거되지 않으면, 보유 탭(115, 116, 117, 126)은 바람직하게는 내관 튜브(210)이 채널(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내관 튜브(210)은 통상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보유 탭(115, 116, 117, 127)이 상기 내관 튜브(210)을 채널 안에 위치시키거나 상기 내관 튜브(210)을 제거할 때 상기 내관 튜브(210)의 일부 변형을 요구하도록 구성된다.
보유 탭(115, 116, 117, 126)은 상당한 방사상 이동을 허용하지 않으며 채널(101) 내에 내관 튜브(210)를 일반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도시된 예시에 따라,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의 뒤쪽 면에 형성된 채널(101)을 위해, 보유 탭(115, 116, 117, 126)은 내관 튜브(210)이 삽관 장치(100)의 수직 움직임 하에서 채널(101)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는 삽관 장치(100)로부터 뒤쪽 방향에서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내관 튜브(210)을 적극적으로 제거한다.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의 측면에 형성된 채널(101)을 갖는 다른 예시에서, 내관 튜브(210)을 제거하기 위한 적극적 사용자의 작용이 없는 한, 보유 탭(115, 116, 117, 127)은 내관 튜브(210)이 채널(210)로부터 측방향에서 외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막아야만 한다.
내관 튜브(210)은 사전-굴곡된 구성으로 제공되어, 이는 블레이드(110) 및 손잡이(120)에 대해 압박되도록하며 보유 탭(115, 116, 117, 126)이 상당한 보유 힘을 기관 내관(210) 상에 제공하지 않고 채널(101) 내에 쉽게 위치되도록 한다.
삽관 장치(100)는 또한 수술 중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블레이드(110)의 팁(111)에 근접하여 위치된 광원(140)을 포함 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삽관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적 관찰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환자 내부의 해부학 구조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광섬유 관측 장치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광섬유 관측 장치는 블레이드(110)의 팁(111)에 근접한 일 단부에 위치된 렌즈 및 반대쪽 단부에 위치된 접안 렌즈를 갖는 가요성 광섬유 번들을 포함 할 수 있다. 광섬유 번들은 블레이드 (110)를 따라 손잡이(120) 내로 전진할 수 있다. 접안 렌즈는 손잡이(120) 상에 또는 손잡이 (120)로부터 적절히 형성된 돌출부 상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수술 중에 접안 렌즈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한다.
다른 예시에서, 삽관 장치(100)는 수술 중에 환자 내부의 해부학적 구조의 비디오 이미지을 제공하기 위해 블레이드(110)의 팁(111)에 근접하여 위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 할 수 있다. 이것은 상술된 광섬유 관측 장치와 비교하여 훨씬 더 유연한 관측 옵션을 제공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는 수술 중에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작은 디스플레이가 삽관 장치(100)와 통합될 수 있지만, 사용자에 대한보다 편리한 시청 위치에서 내부 해부학 적 구조의 확대 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대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연결은 삽관 장치(100) 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통해 또는 케이블에 의한 사용자 움직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삽관 장치(100)는 블레이드(110)의 팁(111)에 근접한 흡입구(suction outlet)를 갖는 흡입 채널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채널은 상기 흡입구에서의 흡입을 허용하도록 흡입관을 수용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삽관 장치(100)를 사용하는 동안 별도의 흡입 장치를 다른 손으로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 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삽관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작동이 도 2b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 될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 장치(100)는 팁(111) 근처의 채널(101)의 출구(114)에 위치 된 관의 말단부(211)와 채널(101) 내에 내관 튜브(210)을 위치시킴으로써, 내관 튜브(210)과 로드될 것이다.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는 손잡이(120) 내의 블레이드 채널부(123)의 단부 근처에 위치될 것이다. 내관 튜브(210)는 채널(101)이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따라 삽관 장치(100)에 대해 뒤쪽 방향 또는 측 방향으로부터 채널 (101)의 신장된 개구 내로 보유 탭(115, 116, 117, 126)을 지나 채널(101)의 신장된 개구로 내관 튜브(210)을 밀어 넣음으로써 채널(101)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내관 튜브(210)은 출구(114)를 통하여 삽입되고 채널(101)을 따라 통과할 수 있지만, 이는 내관 튜브(210)이 그 근위 단부에 커넥터 이음부(220) 등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만 가능할 것이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은 실질적으로 채널 (101) 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튜브 이동기구(130)은 손잡이 채널부(123)에 위치된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와 결합하고 내관 튜브(210)를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동작에 응답하여 채널(101)을 통해 이동시키도록 하는 튜브 결합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 내지 2G 참조).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튜브 결합기(132)에 결합 될 수 있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한 엄지 인터페이스 (131)의 이동은 튜브 채널을 통해 내관 튜브(210)의 대응 운동을 유발한다.
단순한 형태에서, 튜브 결합기(132)는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에 접하는 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손잡이 채널부 내로 튜브 결합기(132)를 밀어 내관 튜브(210)를 이동시키는 튜브 이동기구(130)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 결합기(132)를 제공하는 것은 내관 튜브(210)를 진행시키는 방향으로의 내관 튜브(210)의 이동 만을 허용 할 것이다.
따라서, 삽관 장치(100)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 결합기(132)는 2개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공하여 이에 따라 내관 튜브(210)의 전진 및 후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은 내관 튜브(210)를 진행시키고,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은 내관 튜브(210)를 제자리로 되돌린다.
이 예에서, 튜브 결합기(132)는 미는 힘과 당기는 힘이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에 가해지도록 하는 클립 장치의 형태로 제공된다. 튜브 결합기(132)의 다른 특징은 이후의 도면과 관련하여 논의될 것이다.
임의의 경우에,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한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움직임이 튜브 채널(101)을 통해 내관 튜브(210)의 대응 운동을 일으키도록 튜브 결합기 (132)에 결합 될 수 있다.
도 2c는 엄지 인터페이스(131)가 화살표(202)로 표시된 방향으로 사용자의 엄지(201)에 의해 이동된 후의 삽관 장치(100) 및 내관 튜브(210)를 도시한다.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이러한 이동은 화살표(203)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튜브 결합기(132)의 대응하는 이동을 유발하고, 또한 내관 튜브(210)의 대응하는 이동을 유발한다. 결과적으로, 내관 튜브(210) 의 원위 단부(211)는 화살표(20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출구(114)로부터 진행된다.
도 2d 및 도 2e는 손잡이 채널부(123) 내의 튜브 이동기구(130)과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 사이의 인터페이스(120)의 세부 사항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튜브 결합기(132)는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에 끼워 맞춰지는 커넥터 이음부(220)와 맞물린다. 커넥터 이음부(220)는 삽관 장치(100)와 함께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 커넥터 이음부(220)는 표준 유형의 튜브 커넥터일 것이며, 튜브 결합기(132)는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도 2e의 보다 상세한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이음부(220)는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 (212)에 연결된 제 1 커넥터 단부(221) 및 대향하는 제 2 커넥터 단부(222)를 포함하며, 보조 호흡 장치 등과 결합된 다른 튜브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예에서, 커넥터 이음부(220)는 또한 표준 내시경 튜브 연결구 부속물의 경우와 같이, 제 1 및 제 2 커넥터 단부 (222) 사이에 플랜지(223)를 포함한다.
삽관 장치 (100)의 이 실시 예의 튜브 결합기(132)는 플랜지(223)와 인터페이스하여 내관 튜브(2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튜브 결합기(132)는 플랜지(223)에 클립핑되어, 튜브 결합기(132)가 엄지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반응하여 움직일 때, 튜브 결합기(132)가 플랜지(223)를 밀거나 당길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일련의 대체적인 튜브 결합기(132)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f는 엄지 인터페이스(131)가 슬롯(125)에 의해 허용되는 전체 운동 범위에서 화살표(205)의 방향으로 이동된 후의 도 2e와 유사한 도면을 도시한다. 이는 튜브 이동기구(130)을 사용하여 내관 튜브가 최대한 전진하여 연장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튜브 결합기(132)는 손잡이 채널부(123) 내로 완전히 연장되고, 튜브 결합기(132)의 클립은 링크(133)에 의해 손잡이 내의 튜브 이동기구(130)에 부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링크(133)는 와이어로부터 형성되거나 튜브 결합기(132)로의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강성 재료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튜브 이동기구(13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움직임이 기계적으로 내관 튜브 (210)의 대응 운동으로 변환된다. 단순한 형태의 튜브 이동기구(130)에서, 튜브 결합기(132)는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엄지 슬라이드와 튜브 결합기(132) 사이에 직접 링크(133)를 연결함으로써 엄지 인터페이스(13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내관 튜브(210)의 운동량이 엄지 인터페이스의 운동량과 동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기관 내 삽관술을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엄지의 이동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서, 튜브 이동기구(130)은 엄지 이동 거리에 의한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이동이 엄지 이동 거리보다 큰 튜브 이동 거리만큼 내관 튜브(210)의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삽관 장치는 비교적 작은 엄지 운동이 더 큰 튜브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엄지 운동과 그 결과인 튜브 운동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존재한다. 튜브 이동 거리는 튜브 이동 기구의 기계적 이점에 의해 제공되는 증배율(multiplication factor)에 의해 엄지 이동 거리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이동 기구는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움직임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레버율(lever arrangement) 또는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내관 튜브(210)를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엄지 운동의 범위가 더 작아질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이것은 삽관 과정 중 엄지의 피로를 예방하거나 보다 편안한 수술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기계식 튜브 이동기구(130)은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움직임을 내관 튜브(210)의 움직임으로 병진시키기 위한 비교적 간단하고 저비용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튜브 이동기구(130)의 다른 형태로서 내관 튜브(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동작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는 내관 튜브(210)의 직선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랙 피니언 배열 등을 통해 적절한 튜브 결합기(132)에 결합된 전기 모터의 형태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및 임의의 다른 튜브 이동기구(130) 구성 요소와 함께 손잡이 내에 수납될 수 있는 배터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100)의 경우에서, 튜브 이동기구(130)는 액추에이터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해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동작이 액추에이터에 제어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사용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으로부터 다른 형태의 입력을 수용하는 다른 스타일의 엄지 손가락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누름 버튼이 눌려졌을 때, 제어 입력이 액추에이터에 제공되도록 하는 누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엄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눌려질 때, 액추에이터에 대한 상이한 제어 입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누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의 대안적인 삽관 장치(400)는 각각 내관 튜브(120)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두 개의 누름 버튼(431, 432)을 갖는 배열의 예를 도시한다.
다른 형태의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예에서, 도 5의 또 다른 대체적인 삽관 장치(500)는 엄지 인터페이스(131)가 엄지 휠(531)을 포함하여, 엄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엄지 휠을 굴림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엄지 휠(531)은 기어 트레인 (gear train), 벨트 배열 등과 같은 방법으로 튜브 결합기(532)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엄지 휠이 굴러갈 때 제어 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적절한 센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g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튜브 결합기(132)는 내관 튜브(210)가 성공적으로 전진된 후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용자는 튜브 커넥터(220)를 화살표(207)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엄지(201)와 손가락(206) 사이의 플랜지(223)를 파지하여 튜브 결합기(132)의 클립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
도 3b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그 후 삽관 장치(100)가 제 1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유지 탭(115, 116, 117, 126)을 지나 채널(101)로부터 내관 튜브(310)의 입구(311)을 통해 환자의 기관(312) 내에서 제 위치로 배치된다.
이 예에서 내관 튜브(210)는 성공적인 기관 삽관 후에 팽창되어, 내관 튜브(210) 주위의 기관 통로를 밀봉할 수 있는 풍선(213)을 포함한다. 내관 튜브(210)는 또한 풍선(213)이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 도관(320)을 포함한다. 채널(101) 및 그 출구(114)는 풍선(213), 팽창 도관(320) 및 내관 튜브(210)의 다른 임의의 특징들을 수용하도록 그에 따라 크기가 정해진다.
적절한 사용 방법 및 관련 이점과 함께, 삽관 장치 (100)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이 하기에 제공된다.
상기 관점에서, 삽관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후두경 장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삽관 장치(100)와 통상적인 후두경 사이의 형상에서의 한 가지 다른 점은 장치의 후방 표면이 전형적으로 손잡이(120) 및 블레이드(110)를 따라 만곡되거나 둥글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삽관 장치(100)는 후방 표면의 형상으로 종래의 후두경과는 외향적으로 다르고, 선형 대신에 만곡되거나 둥글게 된 손잡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면 또는 둥근면은 종래의 후두경과 유사한 방식으로 손잡이(120)에 부착될 수 있는 블레이드(110)의 후방면에도 계속된다. 곡선형 또는 둥근면 모두, 즉 손잡이(120) 및 블레이드(110)의 후방면은 연속적으로 만곡된 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연속적으로 만곡된 부분은 연속적인 반원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만곡 또는 둥근 후방면을 따라, 채널(101)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되기 전에 내관 튜브(210)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채널(101)의 양 측면을 따라 비-완전 경계선 형태의 보유 탭(115,116,117,126)은 (일반적으로 말단부(211)가 기관(312) 내부에 배치되면) 채널(101)의 양측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수동으로 분리 될 때까지 내관 튜브(210)가 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경계는 채널(101)이 측방향으로만 부분적으로 폐쇄되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내관 튜브(210)를 채널(101) 내부에 유지하지만, 내관 튜브(210)가 측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일부 예에서, 내관 튜브(210)는 손잡이(120) 내의 채널(101)의 상부 부분의 핀으로 파지될 수 있으며, 이 핀은 삽관 장치(100)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로 활성화되는 기계적 스위치의 형태로 엄지 인터페이스(131)와 연결될 수 있다. 엄지 손가락을 스위치 위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내관 튜브(210)는 채널(101)을 통해 아래 위로 이동한다. 엄지 인터페이스(131)는 통상적으로 손잡이(120)의 둥근 후방면 위에,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여, 삽관 장치(100)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로 쉽게 도달될 수 있다.
삽관 장치(100)의 다른 특징은 종래의 후두경에서 발견되는 것들과 공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관 장치(100)의 실시예는 블레이드(110)의 팁(111)에 전원 및 광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손잡이(120)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요넷 장착(bayonet mounting)을 사용하여 상호 교환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해부 및 조작자의 선호에 따라 상이한 크기 및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내관 튜브(210)는 도 3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의 팁(211)을 후두 입구와 정렬되도록 위치시키고 내관 튜브(210)를 이동시킴으로써 삽관 장치(100)를 잡고 있는 동일한 손의 엄지를 이동시켜 채널(101)을 통하여 삽관 장치(100) 내부로 진행시킨다. 사용자는 환자의 혀를 잡고 후두 입구의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의 후두경과 유사한 방식으로 삽관 장치(100)를 이용한다.
이것이 달성되면, 사용자는 내관 튜브 (210)의 팁(211)을 후두 입구와 정렬 시켜서, 동일한 손의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내관 튜브(210)를 도입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기관 내 삽관술과는 달리 한 손만 있으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다른 손이 장애물 등을 제거하여 내관 튜브가 기관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엄지 인터페이스(131)의 스위치 상에서 엄지 손가락의 반대쪽 이동으로 내관 튜브(2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내관 튜브(210)의 실패한 진행을 교정할 수 있고, 기관(312)에서의 내관 튜브(210)의 정확한 배치가 달성된다.
일단 내관 튜브(210)의 팁이 성대를 통해 후두에 도입되고 기관(312)으로 전진하면,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는 이전에 보유한 핀으로부터 분리되고, 전체 내관 튜브(210)는 삽관 장치의 손잡이(120) 및 블레이드(110)를 따라 채널(101)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내관 튜브(210)를 원하는 위치에 남겨두면서, 통상적인 절차에서와 같이, 삽관 장치(100)가 환자의 구강 및 인두에서 제거된다.
사용자의 한 손이 종종 후두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조작하는 데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른 손이 자유롭게 남아 있다는 사실은 중요한 이점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만이 이러한 장애물을 볼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관 내 삽관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관 장치(100)를 조작하여 이를 조작 할 수 있다. 이것은 기관 내 삽관 장치에 대한 상당한 개선을 가져와, 이 어려운 과정의 성공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삽관 장치(100)의 도시된 실시예는 의도적으로, 내관 튜브(210)에 대한 만곡 또는 둥근 후방 페이스 및 채널(100)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후두경과 비교하여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종래의 후두경과 유사하게 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전문가들은 새로운 장치 및 절차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내관 튜브(210)의 삽입 시점까지의 일반적인 절차에 완전히 익숙해지며, 사용자는 이 장치를 정상적인 후두경으로 사용하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삽관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삽관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튜브 이동기구(130)로부터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를 결합 해제시키고, 튜브(210)의 근위에 있는 적어도 일부의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를 구비하여 수동 진행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유지 탭(115,116,117,126), 특히 유지 채널 탭(126)을 손잡이 채널부(123)에 적절하게 위치시킴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삽관 장치(600)의 또 다른 예가 도 6A 내지 도 6G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전의 삽관 장치(100)의 것과 유사한 특징은 500번 대의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삽관 장치(600)는 이전의 삽관 예시와 대체로 유사한 전체 구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삽관 장치(600)는 팁(611)및 베이스(612)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610)를 포함한다. 삽관 장치(600)가 사용자의 손에 쥐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620)이 베이스(612)에 부착된다.
이전 실시예에 따라, 삽관 장치(600)는 또한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601)을 포함한다. 채널(601)은 실질적으로 팁(611)으로부터 베이스(612)까지 블레이드(610)를 따라 연장되는 블레이드 채널부(613) 및 블레이드 채널 부(613)로부터 손잡이(620)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채널부(623)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채널부(613)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의 말단부(211)가 상기 출구(114)로부터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팁(611)에 인접한 출구(614)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블레이드 채널부(613) 및 손잡이 채널부(623)는 각각 측면 블레이드면 및 측면 손잡이면에 형성되므로, 채널(601)은 측면 블레이드면 및 측면 손잡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개구를 포함한다.
삽관 장치(600)는 채널(601)을 통해 내관 튜브(210)를 이동시켜 내관 튜브(210)를 전진시키기 위한 손잡이(620) 내의 튜브 이동 기구(630)을 더 포함한다. 튜브 이동 기구(630)은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삽관 장치(600)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튜브 이동 기구(630)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631)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삽관 장치(600)를 한 손을 사용하여, 기관 내 삽관 과정 중에 내관 튜브(210)를 전진시킨다.
삽관 장치(600)의 이러한 예는 또한 이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범위의 선택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관 장치(600)는 도 6e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 과정 중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640)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삽관 장치(600)는 도 6c의 분해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형성된다. 조립체는 캡(650) 및 배터리 삽입부(660)와 함께 블레이드(610), 손잡이(620) 및 튜브 이동 기구(630)을 제공하는 별도의 부품을 포함한다. 블레이드(610)의 베이스(621)는 손잡이(620)의 제 1 단부(621)에서 손잡이(620)에 부착된다. 튜브 이동 기구(630)은 손잡이(620)의 제 2 단부(622)에 삽입되고 손잡이(620)의 제 2 단부(622)로부터 연장되는 슬롯(625) 내에 위치된다. 캡(650)은 손잡이(620)의 제 2 단부(622)를 폐쇄하고 볼 멈춤 장치를 사용하여 제 위치에 고정 될 수 있으며, 볼(651)은 도 2C에서 볼 수 있고 멈춤쇠(624)는 도 6E에서 볼 수 있다. 적절한 나사식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캡(650)을 손잡이(620)에 대하여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배터리 삽입부(660)는 광원(6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670)를 수용하고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이 예에서, 배터리 삽입부(6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셀 배터리(670)를 수용하고 손잡이(620) 내부의 적절히 규정된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a는 손잡이(620) 용기 내로의 삽입 후의 배터리 삽입부(660)의 위치를 도시한다. 배터리 삽입부(660)는 손잡이(620)에 형성된 개구(602)를 통해 삽입된다. 이 개구(602)는 내관 튜브(120)를 삽관 장치(600) 내로 로딩하고 내관 튜브(120)를 삽관 장치(600)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배터리 삽입부(660)는 또한 배터리 삽입부(660)가 용기에 삽입될 때 손잡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로우 배터리 경고등(663)을 포함할 수 있다.
삽관 장치(600)는 블레이드(610)가 손잡이(620)의 제 1 단부(621)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손잡이(620)의 제 1 단부(621)에서 상보적인 힌지 소켓(629)에 수용되는 블레이드(610)의 베이스(612)에 제공된 힌지핀(619)을 사용하여 힌지 연결이 달성된다. 블레이드(610)는 적어도 하나의 볼(628)이 손잡이(620)의 제 1 단부(621) 상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 멈춤쇠(618)가 베이스(612) 상에 제공되는 볼 멈춤 장치를 사용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구성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볼 멈춤쇠 배열은 블레이드(610)가 힌지핀(619)을 중심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힌 형상으로 스윙하도록 포지티브 수동 동작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블레이드(610)가 접힌 형상일 때 힌지핀(619)을 힌지 소켓(629)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블레이드(610)가 손잡이(6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블레이드(610)의 상이한 크기 및 형태의 범위가 힌지 연결의 이러한 형태를 사용하여 삽관에 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튜브 이동 기구(630), 캡(650) 및 배터리 삽입부(660)를 포함하는 동일한 손잡이(620) 및 다른 관련 부품은 환자의 해부에 적합하도록 선택된 상이한 블레이드(610)에 대한 삽관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예는 만곡된 "매킨토시" 블레이드 스타일을 나타내지만, 선형의 "밀러" 블레이드 스타일이 사용될 수 있고, 환자의 연령, 사이즈 및 / 또는 무게에 따라 상이한 크기가 선택 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블레이드 채널부(613)는 블레이드(610)의 팁(614)으로부터 베이스(612)까지의 곡선 경로를 따라 연장하고, 사용시에 블레이드 채널부(613) 내에 내관 튜브(210)를 보유하기 위해 보유 탭(615, 617)이 제공된다. 이는 도 6F 및 도 6G에서 볼 수 있으며, 그 기능은 이전 실시예에서의 동등한 특징에 대해 논의된 바와 유사하다.
손잡이 채널부(623)는 손잡이(620)의 개구(602)와 제 1 단부(621) 사이에서 연장하고, 블레이드 채널부(613)의 곡선 경로를 손잡이(620) 내로 계속한다. 블레이드 채널부(613) 및 손잡이 채널부(623)는 도 6f 및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연속적인 만곡 채널(601)을 형성한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는 사용자가 튜브 이동 기구(630)을 작동함으로써, 특히 삽관 장치(600)의 손잡이(620)을 잡고 있는 동일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엄지 인터페이스(631)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진행된다. 이 실시 예에서, 튜브 이동기구(630)는 내관 튜브(210)를 수용하기 위해 튜브 결합기(632)로부터 연장되는 신장 부재(634)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엄지 인터페이스(631)를 포함한다.
튜브 결합기(632)는 삽관 장치의 초기 예에서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내관 튜브(210)의 플랜지(223)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따라 내관 튜브(2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6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 결합기(632)는 그 사이에 슬롯(634)을 한정하는 한 쌍의 만곡된 클립(633, 633)을 포함한다. 삽관 장치(600) 내로 로드되고 튜브 결합기(632)가 드러나도록 전진된 내관 튜브(210)를 나타내는 도 6G를 참조하면, 플랜지(223)는 슬롯(634)에 삽입되고 클립(633, 635)은 각각 내관 튜브(210)의 커넥터 단부(221, 222)와 결합한다. 이러한 포지티브 결합은 내관 튜브(210)가 사용자가 엄지 인터페이스(631)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조작될 때 튜브 이동 기구 (6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엄지 인터페이스(631)는 돌출부의 형상이 요구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대체로 신장 부재(63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사다리꼴 돌출부의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 시, 사용자는 엄지 인터페이스(631) 중 하나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엄지 인터페이스를 밀어 슬롯을 따라 신장 부재(634)를 이동시켜서 튜브 이동 기구(630)을 사용하여 삽관 장치에 로딩된 내관 튜브(210)를 이동시킨다. 엄지 인터페이스(631)의 면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한 엄지 인터페이스(631)의 맞물림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 또는 다른 텍스쳐 마감을 가질 수 있다.
다중의 엄지 인터페이스(631)의 사용은 사용자가 그들의 손을 다시 위치시키거나 엄지 손가락을 뻗을 필요 없이 튜브 이동기구(630)의 더 넓은 범위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사용자가 자신의 엄지 움직임의 한계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보다 적절하게 위치된 엄지 인터페이스(631)와 맞물리고 그 엄지 인터페이스(631)를 사용하여 튜브 이동 기구(630)을 계속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은 내관 튜브를 완전히 전진시키기 위해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엄지 인터페이스(631)는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제 1 삽관 장치 시도가 실패한 경우, 삽관 과정 중에 내관 튜브(210)를 후퇴시키기 위해 튜브 이동기구(630)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후퇴 후에, 삽관 장치(600)는 환자에 대해 재배향 또는 재배치될 수 있고, 튜브 이동기구(630)는 전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관 튜브(210)를 다시 전진시킬 수 있다.
엄지 인터페이스(631)가 작동됨에 따라, 튜브 이동기구(630)의 신장 부재(634)는 슬롯(625)에 수용되고 슬롯(625)을 따라 미끄러진다. 슬롯(625)은 손잡이(62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도 6f 및 도 6g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 이동기구(630)가 손잡이(620)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삽관 장치(600)가 설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엄지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는 정교한 기구가 필요없이, 내관 튜브(210)의 상당한 양의 엄지 조작식 전진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예에서, 손잡이(620)은 전진 방향으로 튜브 이동기구(630)의 더 큰 이동 범위를 허용하도록 손잡이(620) 내부의 슬롯(625)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키는 포켓을 포함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과도한 팽창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튜브 이동기구(630)의 대응하는 장거리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중 엄지 인터페이스(631)를 갖는 비교적 긴 신장 부재(634)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튜브 이동기구(630)의 이동 범위는 슬롯(625) 및 상술한 포켓(제공되는 경우)의 길이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가요성 재료로부터 적어도 가요성 부재(634)(및 잠재적으로 튜브 이동기구(630)의 전체 또는 부분)를 형성하고/하거나, 힌지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완화 될 수 있어서, 신장 부재(634)는 슬롯(625)(또는 포켓)의 단부에서 정지부에 접한 후 슬롯(625)(또는 포켓) 내부에서 압축되거나 붕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장 부재(634)의 단부가 슬롯(625)(또는 포켓)의 단부에 도달한 후에도 내관 튜브(210)를 계속 전진시킬 수 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이, 개구(602)는 도 6g를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가 삽관 장치(600)에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데에 사용된다. 개구(602)는 통상적으로 내관 튜브(210)의 플랜지(223) 및 커넥터 단부(221, 222)를 수용하고, 도 22 및 도 2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전진 위치에 있을 때 튜브 이동기구(630)의 튜브 결합기(632)와 결합되도록 한다. 커넥터 단부(221, 222)로부터 연장되는 내관 튜브(210)의 일부는 내관 튜브(210)를 블레이드 채널부(623) 내부에 보유하는 보유 탭(615, 617)과 함께 채널(601) 내로 로딩된다. 그런 다음, 내관 튜브(210)의 말단부(211)가 블레이드(610)의 출구(614)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튜브 이동기구(630)를 도 6f에 도시된 수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내관 튜브(210)를 후퇴시킬 수 있다 .
이 단계에서, 내관 튜브(210)는 삽관 장치(600) 내로 로딩되고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해 준비된다. 시술 중에, 사용자는 도 6g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내관 튜브(210)를 출구(114)로부터 전진시킬 필요가 있을 때 엄지 인터페이스(631)에 엄지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 이동기구(630)를 작동시킨다. 내관 튜브(210)가 환자 내의 적당한 위치로 성공적으로 전진될 때, 내관 튜브 (210)의 플랜지(223) 및 커넥터 단부(221, 222)는 통상적으로 개구(602)와 정렬되고, 내관 튜브의 말단부(212)가 사용자에 의해 개구(602)로부터 제거된 후 튜브 결합기(63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내관 튜브(210)의 나머지는 유사하게 채널(601)로부터 이탈하여 제거되어, 삽관 장치(600)가 환자 내에서 제 위치에 있는 내관 튜브(21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다른 손을 사용하여 개구(602)로부터 내관 튜브(210)의 근위 단부(212)를 잡아당길 수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602)에 대향하는 손잡이(620)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접근 구멍(603)을 통해 내관 튜브(210)를 개구(602)를 통해 밀어 낸다. 접근 구멍(603)은 사용자가 장치를 보유하고 있는 동일한 손으로부터 손가락을 접근 구멍(603)을 통해 연장할 수 있게 하여, 튜브 결합기(632)로부터 내관 튜브(210)를 한 손으로 분리하여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접근 구멍(603)을 통해 검지 손가락을 늘리고 사용자(602)의 손잡이를 유지하면서 내관 튜브(210)의 기단부(212)를 개구부(602) 밖으로 밀어 낼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동일한 손의 다른 손가락으로 내관 튜브(210)를 조작하여 채널(601)로부터 내관 튜브(210)를 더 분리시키고 제거 할 수 있다.
상기 삽관 장치(600)의 예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편안하게 조작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한 튜브 이동 기구(630)을 사용하는 동안 내관 튜브(210)의 넓은 범위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삽관 장치(600)를 같은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이 예는 또한 개구(602) 및 접근 구멍(603)을 각각 사용하여 내관 튜브(210)의 로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블레이드(210)의 손잡이(220)에 대한 분리 가능한 힌지 연결은 또한 접힌 위치에서의 저장 및 넓은 범위의 상이한 블레이드 유형 및 크기의 사용에 대한 증가된 유연성을 제공한다.
일 예시된 시나리오에서, 삽관 장치(600)는 환자에게 산소가 공급되는 동안 적절하게 구성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통하여 산소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환자에게 삽관 장치(60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삽관 장치(600)는 채널(601) 및 개구(602, 603)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밀봉부(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 공기가 삽관 장치(600)를 통해 마스크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채널부(613, 623) 및 개구(602, 603) 상에 스냅되고 성공적인 삽관 후 내관 튜브(210)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예들에서, 장치를 보유하고 있는 동일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삽관 장치의 작동을 주로 논의 하였지만, 삽관 장치는 엄지 손가락 또는 다른 손가락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의 임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엄지를 통한 작동은 장치를 잡고 있는 동일한 손으로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는 가장 자연스러운 동작을 제공한다고 간주되지만,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반전된 그립 또는 다른 형태의 튜브 이동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삽관 장치는 엄지 손가락과 반대로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재구성된 튜브 이동기구가 제공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관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삽관 장치는 팁과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쥐기 위해 블레이드의 기부에 부착된 손잡이; 기관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블레이드를 따라 실질적으로 팁을 따라 베이스로부터 베이스까지 연장되는 블레이드 채널부를 포함하며, 팁에 근접한 출구를 포함하여 내관 튜브의 말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하도록 허용하는 채널과, 상기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채널부; 및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내관 튜브를 이동시켜서 상기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기 위한 상기 튜브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상기 삽관 장치 및 튜브 이동기구를 잡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 손을 사용하여 기관 내 삽관술에서 내관 튜브를 전진시킬 수 있다.
장치를 잡고 있는 동일한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된 삽관 장치의 작동은 상술한 예와 근본적으로 유사한 설계 특징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삽관 장치가 엄지 손가락과 달리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의한 조작에 특히 적합하다면, 이전 실시예의 엄지 인터페이스와 비교하여 손가락(digit) 인터페이스의 재구성 및/또는 재위치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손으로 작업하는 원칙은 일반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은 삽관 장치(600)는 대안적으로 부지-보조식(bougie-assisted) 기관 내 삽관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지(bougie)는 표준 내관 튜(210) 및 말단부에 각진 팁과 비교하여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기다란 가요성 장치이며, 환자의 해부체가 적절한 가시성을 허용하지 않거나 표준 내관 튜브(210)의 삽입을 막는 경우와 같은 어려운 환경에서 기관 내 삽관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부지-보조식 기관 내 삽관술에서, 부지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후두경을 사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각진 팁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통해 부지를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일단 부지가 정확하게 위치되면, 후두경을 빼낼 수 있고, 내관 튜브(210)가 부지 위에 나사 결합되고, 이어서 부지를 따라 통과하여 부지가 환자의 경로를 따라 안내되도록 내관 튜브(210)를 전진시킨다. 내관 튜브(210)가 적절한 위치로 전진한 후, 기관 내 삽관술이 완료되도록 부지가 단지 내관 튜브(210) 만을 남겨두고 추출될 수 있다.
삽관 장치(600)는 전통적인 후두경 대신에 부지-보조식 삽관술에서 부지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표준 부지에 대한 미세한 변경은 부지가 삽관 장치(600)와 호환되도록 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삽관 장치(600)의 채널(601)을 따라 맞춰지도록 부지의 길이를 짧게 하고, 각진 말단부에 대향하는 부지의 단부에 적당한 커넥터 이음부(220)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어, 삽관 장치(600)의 튜브 이동 기구(630)의 튜브 결합기(632)에 의해 부지가 결합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커넥터 이음부(220)는 바람직하게는 튜브 결합기(632)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어, 튜브 결합기(632)는 내관 튜브(210)의 커넥터 이음부(2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지의 커넥터 이음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삽관 장치는 부지-보조식 삽관술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삽관 장치는 팁과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쥐기 위해 블레이드의 기부에 부착된 손잡이; 블레이드는 부지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블레이드를 따라 실질적으로 팁으로부터 베이스까지 블레이드를 따라 연장되고 팁에 근접한 출구를 포함하여 부지의 말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하도록 허용하고 손잡이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채널부; 상기 채널부를 통해 상기 부지를 이동시켜서 상기 부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상기 튜브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 이동 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삽관 장치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튜브 이동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삽관 장치를 유지하여 한 손을 사용하여 부지-보조식 기관 내 삽관술에서 부지를 전진시킬 수 있다.
부지-보조식 삽관 과정에서 부지를 삽입하기 위해 삽관 장치(600)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내관 튜브를 사용하는 표준 삽관술에 대해 전술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유일한 차이점은 부지가 로딩되고 내관 튜브(210) 대신에 삽관 장치(600)로부터 방출된다는 점이다. 일단 부지가 성공적으로 전진되어 환자 내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면, 통상적인 방식으로 내관 튜브(210)가 부지 상에 나사 결합되어 부지를 통과하여 가이드로서 부지를 사용해 환자에게 기관 내에 삽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단 내관 튜브(210)가 적절하게 배치되면, 내관 튜브(210)의 내측 도관을 통해 부지가 제거되어 환자 내부에는 내관 튜브(210)만이 남게 된다.
일부 예들에서, 부지-보조식 기관 내 삽관 과정에서 사용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삽관 장치(600)의 특화된 버전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601)은 곤란한 삽관에 작은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부지 만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될 수 있다. 튜브 결합기(630)는 또한 부지에 특별히 적합한 상이한 유형의 커넥터 이음부(220)와 맞물 리도록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옵션에도 불구하고, 기관 내 삽관술의 특정 상황에 따라 동일한 삽관 장치(600)가 부지(bougie) 또는 내관 튜브(210)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여전히 유리할 것이다. 삽관 장치(600)를 사용하여 시도되는 삽관술에서 내관 튜브(210)가 실패하면, 사용자는 동일한 삽관 장치(600)를 이용하여 부지-보조식 삽관술을 시도하지만, 내관 튜브(210) 대신에 부지를 사용하여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요약하면, 삽관 장치는 한 손으로 삽관할 수 있어 기존의 후두경을 직접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삽관 장치(100)는 삽관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삽관 장치의 크기와 모양이 기존의 후두경과 유사하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에 익숙하고 쉽게 적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번 결정되면, 허용될 수 있는 최소한의 차이 만을 가지고 기존의 삽관 방법과 유사하게 진행할 수 있다.
기관 내 삽관은 위험도가 높은 과정이며 새로운 절차로의 변경 프로세스가 안전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특히 이로운 측면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새로운 삽관 장치(100) 및 기관 내 삽관술은 종래의 장치 및 절차로부터의 변화가 최소화되고, 새로운 장치가 어느 시점에서든지 가능하다면 관련 전문가들에 의해서만 받아 들여지고 채택될 것이며, 종래의 절차에서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 범위 전체에서, 문맥 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포함하는" 등의 유사한 단어들은 명시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군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그룹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36)

  1. 기관 내 삽관술에 사용되는 삽관 장치로서,
    상기 삽관 장치는:
    a) 팁 및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b) 상기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스의 베이스에 부착된 손잡이;
    c) 내관 튜브를 수용하는 채널; 및
    d)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내관 튜브를 이동시켜 상기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 내의 튜브 이동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i) 실질적으로 상기 팁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로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내관 튜브의 말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되도록 하는 상기 팁에 근접한 출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채널부; 및
    ii) 상기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채널부; 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튜브 이동기구를 작동하도록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상기 내관 튜브를 전진시킬 수 있는, 삽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상기 손잡이 채널부에 위치된 상기 내관 튜브의 근위 단부를 결합시켜서, 상기 내관 튜브가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의 동작에 반응하여 상기 채널부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튜브 결합기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는 상기 튜브 결합기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한 엄지 인터페이스의 이동이 상기 튜브 채널부를 통해 상기 내관 튜브의 대응 이동을 유발하는 삽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고,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내관 튜브를 되돌리는 삽관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는 상기 튜브 이동기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의 이동은 상기 내관 튜브의 대응하는 이동으로 기계적으로 변환되는 삽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엄지 손가락의 이동 거리에 의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의 이동보다 튜브의 이동거리에 의한 상기 내관 튜브의 이동이 더 길게 되도록 구성되는 삽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이동거리는, 상기 튜브 이동기구 내 기계적 원리에 의해 제공되는 증배율(multiplication factor)에 의하여 상기 엄지 손가락의 이동거리와 연관되는 삽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레버 배열(lever arrangement) 및 기어 트레인(gear tra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상기 내관 튜브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의 동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삽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의 동작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활성화를 제어하도록 제어 입력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되도록 하는 삽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입력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되는 삽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누름 버튼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눌러질 때 각각 서로 다른 제어 입력들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될 수 있는 삽관 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배터리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삽관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는 엄지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가 구동되는 삽관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엄지 휠을 굴림으로써 상기 엄지 인터페이스가 조작되도록 하는 엄지 휠을 포함하는 삽관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전방 블레이드면 및 대향하는 후방 블레이드면을 결합하는 조직(tissue)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후방 블레이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손잡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채널부 및 상기 손잡이 채널부는 후방 블레이드면 및 후방 손잡이면에 각각 정의되는 삽관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손잡이면 및 상기 후방 블레이드면은 상기 삽관 장치의 연속적으로 만곡된 후방면을 집합적으로 한정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만곡된 후방면 내에 형성되는 삽관 장치.
  18. 제 17 항에있어서,
    상기 만곡된 후방면은 상기 블레이드 및 손잡이 각각을 따라 만곡되는 삽관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만곡된 후방면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개구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채널부 및 손잡이 채널부는 각각 측면 블레이드면 및 측면 손잡이면으로 정의되는 삽관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측면 블레이드면 및 상기 측면 손잡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개구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내관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만곡된 통로를 정의하는 삽관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장치는 상기 채널 내에서 상기 내관 튜브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채널의 신장된 개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보유 탭을 포함하는 삽관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탭은 상기 내관 튜브가 사용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제거되지 않으면, 상기 내관 튜브가 상기 채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삽관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의 팁에 인접하여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는 삽관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장치는 광섬유 관측 장치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27.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관 장치는 블레이드의 팁 부근에 위치된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관 장치는 블레이드의 팁에 근접한 흡입 출구를 갖는 흡입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채널은 상기 흡입 출구에서의 흡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흡입 튜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삽관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탈착 가능한 삽관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장치는 기관 내 삽관술에 대한 요구 사항에 따라 상이한 모양 및 크기를 갖는 상이한 블레이드의 부착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삽관 장치.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손잡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블레이드가 작동 구성과 접힌 구성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허용하는 삽관 장치.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장치는 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탈착 가능한 밀봉씰을 포함하는 삽관 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내에서 상기 내관 튜브의 일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채널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34. 기관 내 삽관술에 사용되는 삽관 장치로서,
    상기 삽관 장치는:
    a) 팁 및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b) 상기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스의 베이스에 부착된 손잡이;
    c) 내관 튜브를 수용하는 채널; 및
    d)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내관 튜브를 이동시켜 상기 내관 튜브를 전진시키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 내의 튜브 이동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i) 실질적으로 상기 팁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로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내관 튜브의 말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되도록 하는 상기 팁에 근접한 출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채널부; 및
    ii) 상기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채널부; 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튜브 이동기구를 작동하도록 하는 손가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상기 내관 튜브를 전진시킬 수 있는, 삽관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은:
    a) 엄지 손가락; 및
    b) 다른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삽관 장치.
  36. 부지-보조식(bougie-assisted) 기관 내 삽관술에 사용되는 삽관 장치로서,
    상기 삽관 장치는:
    a) 팁 및 베이스를 갖는 후두경 블레이드;
    b) 상기 삽관 장치를 사용자의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스의 베이스에 부착된 손잡이;
    c) 부지를 수용하는 채널; 및
    d)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부지를 이동시켜 상기 부지를 전진시키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 내 튜브 이동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i) 실질적으로 상기 팁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로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부지의 말단부가 출구로부터 전진되도록 하는 상기 팁에 근접한 출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채널부; 및
    ii) 상기 블레이드 채널부로부터 손잡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채널부; 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 이동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튜브 이동기구를 작동하도록 하는 엄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부지-보조식 기관 내 삽관술에서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삽관 장치를 파지하고 상기 부지를 전진시킬 수 있는, 삽관 장치.
KR1020177019213A 2014-12-12 2015-12-11 삽관 장치 KR20170130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4905049A AU2014905049A0 (en) 2014-12-12 Intubation device
AU2014905049 2014-12-12
PCT/AU2015/050786 WO2016090435A1 (en) 2014-12-12 2015-12-11 Intub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353A true KR20170130353A (ko) 2017-11-28

Family

ID=5610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213A KR20170130353A (ko) 2014-12-12 2015-12-11 삽관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0531792B2 (ko)
EP (1) EP3229657A4 (ko)
JP (1) JP6875287B2 (ko)
KR (1) KR20170130353A (ko)
CN (1) CN107427205B (ko)
AU (3) AU2015362090B2 (ko)
BR (1) BR112017012520B1 (ko)
CA (1) CA2970585C (ko)
HK (1) HK1245056A1 (ko)
MX (1) MX2017007688A (ko)
RU (1) RU2017124170A (ko)
SG (1) SG11201704718TA (ko)
WO (1) WO2016090435A1 (ko)
ZA (1) ZA201704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07688A (es) * 2014-12-12 2018-02-09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Dispositivo de intubacion.
JP2018527997A (ja) * 2015-05-12 2018-09-27 ジップライン ヘルス、インク. 医療診断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医療サービスの提供
US10272217B2 (en) * 2015-12-08 2019-04-30 Boyi Gao Device for gripping and directing bougies for intubation
WO2018112057A1 (en) * 2016-12-13 2018-06-21 Cedars-Sinai Medical Center Endotracheal intubation employing computer-guided tracheal targeting and on-demand endotracheal tube release
AU2019295405A1 (en) 2018-06-25 2022-03-10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Ventilated intubation method and apparatus
AU2019295406A1 (en) * 2018-06-25 2022-03-31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Intubation device improvements
AU2019295408A1 (en) 2018-06-25 2022-03-10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Airway manipulator devices
CN109200420A (zh) * 2018-11-12 2019-01-15 冯明静 一种临床麻醉插管辅助装置
WO2020257851A1 (en) 2019-06-24 2020-12-30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Shielded intubation guide and method
WO2021007085A1 (en) * 2019-07-11 2021-01-14 Imeson Shale Curved bougie guide
US11724053B2 (en) 2020-04-01 2023-08-15 Boyi Gao Device for gripping and securing an intubation bougie
US11213645B2 (en) 2020-05-19 2022-01-04 Spiro Robotics, Inc. Robotic-assisted navigation and control for airway management procedures, assemblies and systems
CN112546378B (zh) * 2020-12-08 2023-09-29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拟合喉镜的插管塑性方法
CN116271383B (zh) * 2023-01-30 2024-02-09 无锡仁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隧道式气管导管顺向导入气道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408A (en) * 1987-03-13 1996-04-23 Vital Signs, Inc. Neonatal resuscitation device
US5184603A (en) * 1991-02-15 1993-02-09 Stone J Gilbert Automatic intubating laryngoscope
GR1002809B (el) 1996-11-07 1997-11-13 Λαρυγγοσκοπιο αποτελουμενο απο λαβη και κυρτη σπαθη, φερουσα αρθρωση στο εγγυς τμημα αυτης και εχουσα επιπροσθετη δυνατοτητα μεταβλητης παρεκτοπισης των ιστων που εφαπτονται στο ανω τμημα της κοιλης επιφανειας αυτης μεσω αεροθαλαμου
US5776052A (en) * 1996-12-19 1998-07-07 Callahan; Patrick C. Laryngoscope adapted to position and advance a fiberoptic bronchoscope
EP1461104A4 (en) 2001-12-05 2005-01-19 Intumed Ltd EXITABLE TUBE
WO2004021868A2 (en) 2002-09-06 2004-03-18 C.R. Bard, Inc. External endoscopic accessory control system
ES2234387B1 (es) * 2003-02-24 2007-08-01 Pedro Acha Gandarias Laringoscopio optico luminoso con dispositivo de extraccion de fluidos incorporado.
US7608040B1 (en) * 2003-02-24 2009-10-27 City Of Hope Device to aid in placing tracheal tubes
US8166967B2 (en) 2007-08-15 2012-05-01 Chunyuan Qiu Systems and methods for intubation
US20090050146A1 (en) 2007-08-23 2009-02-26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bating an airway of a patient
EP2414015B1 (en) 2009-03-31 2021-09-01 Dilon Technologies, Inc. Laryngoscope and system
GB0915107D0 (en) 2009-08-28 2009-10-07 Indian Ocean Medical Inc Laryngoscope
WO2011119521A1 (en) 2010-03-22 2011-09-29 Tufts Medical Center, Inc. Fiber optic intubating device
JP5285732B2 (ja) * 2011-03-22 2013-09-11 元基 山下 喉頭鏡
JP2013192820A (ja) * 2012-03-21 2013-09-30 Terumo Corp 挿入補助具
DE202012003341U1 (de) 2012-03-31 2012-07-02 Guido Scherer Einhand-Laryngoskop & Intubations-Instrument
US8915662B2 (en) * 2012-06-16 2014-12-23 Michael Kildevaeld Marking blade
EP2679144A1 (en) * 2012-06-27 2014-01-01 De Domenico, Andrea Blade of a laryngoscope, or similar devices, with a progressive spreading mechanism
US9579808B2 (en) * 2012-12-19 2017-02-28 Thomas Scimone Pocket cutter
KR101508839B1 (ko) * 2013-04-30 2015-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
CN105307581A (zh) * 2013-05-08 2016-02-03 森特里心脏股份有限公司 组织结扎装置及其方法
US20150336782A1 (en) * 2014-05-21 2015-11-26 Marc Boyajian Container opener
MX2017007688A (es) * 2014-12-12 2018-02-09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Dispositivo de intubac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51785B2 (en) 2019-04-11
US11642012B2 (en) 2023-05-09
WO2016090435A1 (en) 2016-06-16
BR112017012520A2 (pt) 2018-02-27
HK1245056A1 (zh) 2018-08-24
MX2017007688A (es) 2018-02-09
US20170325667A1 (en) 2017-11-16
JP2017537761A (ja) 2017-12-21
EP3229657A1 (en) 2017-10-18
CN107427205A (zh) 2017-12-01
AU2015362090B2 (en) 2017-07-27
ZA201704551B (en) 2023-02-22
AU2015362090A1 (en) 2017-02-02
BR112017012520B1 (pt) 2023-04-11
JP6875287B2 (ja) 2021-05-19
AU2019204961A1 (en) 2019-07-25
CN107427205B (zh) 2020-11-10
CA2970585C (en) 2023-10-10
RU2017124170A (ru) 2019-01-14
SG11201704718TA (en) 2017-07-28
RU2017124170A3 (ko) 2019-11-12
AU2017251785A1 (en) 2017-11-16
CA2970585A1 (en) 2016-06-16
US10531792B2 (en) 2020-01-14
US20200352429A1 (en) 2020-11-12
EP3229657A4 (en)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2012B2 (en) Intubation device
JP5586617B2 (ja) 喉頭鏡
US7946981B1 (en) Two-piece video laryngoscope
AU2014346337B2 (en) A bougie with a controllable tip
US8382665B1 (en) Endotracheal tube placement system and method
JP6652926B2 (ja) 挿管を容易にするためのブジー
US20110196204A1 (en) Shape-conforming intubation device
US20130245372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assistance apparatus
WO2012065886A1 (en) A tracheal intubation guide
JP2020505963A (ja) 挿管スタイレット
US9579476B2 (en) Device for introducing an airway tube into the trachea
WO2018064185A1 (en) Intubating endoscopic device
US20220257889A1 (en) Intubation device impr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