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839B1 -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 - Google Patents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839B1
KR101508839B1 KR20130096352A KR20130096352A KR101508839B1 KR 101508839 B1 KR101508839 B1 KR 101508839B1 KR 20130096352 A KR20130096352 A KR 20130096352A KR 20130096352 A KR20130096352 A KR 20130096352A KR 101508839 B1 KR101508839 B1 KR 10150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heel
control unit
moto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355A (ko
Inventor
이종실
김인영
임태호
오재훈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13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후두경 및 후두경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후두경을 사용하는 시술자는 한 손으로 안정적으로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에 기관내관을 삽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가 수신하는 입력에 따라 기관내관의 이동이 제어됨으로써 기관내관의 삽관 및 발관의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LARYNGOSCOPE WITH CONTROL UNIT}
아래의 설명은 후두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에 관한 것이다.
후두경은 의료인이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환자의 기관에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을 삽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기구이다. 예컨대, 후두경은 사고 등에 의해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인공호흡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후두경의 사용자는 비디오 후두경을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인두나 후두를 더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두경의 사용자가 후두경을 사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기관내관을 삽관하기 위해서는, 후두경의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두경을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 기관내관을 잡고 기관내관의 삽관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환자의 구강 내에 출혈이 발생하거나, 환자의 타액 또는 약물에 의해 환자의 구강 내의 분비물이 과다한 경우, 환자의 구강 내에 기관내관이 삽관되는 것과 동시에 환자에 대해 별도의 흡인(suction) 시술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환자의 구강 내에 기관내관이 삽관되는 도중, 환자의 목 부위에 압박이 가해져야 하는 경우나 환자의 구강 내의 이물질이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말하자면, 환자의 구강 내로의 기관내관의 삽관과 동시에 환자에 대한 다른 조치가 함께 취해져야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후두경의 사용자는 단독으로 환자의 구강 내 기관내관의 삽관을 수행할 수 없다. 말하자면, 전술된 경우, 후두경의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환자의 구강 내에 기관내관을 삽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2198호 (공개일 2012년 9월 18일)에는 흡인부를 구비한 후두경이 개시되어있다. 선행기술은 후두경이 환자의 기도, 기관 등과 같은 목적 부위에 삽입될 때 환자의 인두, 후두 등에 구강분비물, 구토물, 객혈, 또는 토혈과 같은 오염물이 있는 경우에도 후두경의 진입 및/또는 관의 삽관을 멈추지 않고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인부를 구비한 후두경을 개시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정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종래 기술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 및 후두경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입력부가 수신하는 입력에 따라 기관내관의 이동이 제어되는 후두경 및 후두경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상기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 내의 통로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상기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후두경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통로 내에서 상기 기관내관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관내관과 접촉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기관내관과 접촉한 채 회전함으로써 상기 통로 내에서 상기 기관내관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의 상기 이동은 상기 블레이드 내에서의 상기 기관내관의 전진 또는 후진일 수 있다.
상기 후두경은 시술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전진 버튼 및 후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통로에는 하나 이상의 요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들은 상기 기관내관에 접촉하여 상기 기관내관에 소정의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관내관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 상기 기관내관이 상기 통로 내에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1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스텝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2 소정의 거리만큼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이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상기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블레이드 내의 통로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상기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부의 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제어부가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1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부의 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텝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2 소정의 거리만큼 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휠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휠이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시술자가 한 손으로 안정적으로 기관내관을 삽관할 수 있는 후두경 및 후두경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입력부가 수신하는 입력에 따라 기관내관의 이동이 제어됨으로써 기관내관의 삽관 및 발관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후두경 및 후두경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경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경의 제어부 및 입력부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후두경의 블레이드 내의 통로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경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후두경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실시예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는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경을 나타낸다.
후두경(100)은 손잡이부(110), 블레이드(120), 제어부(130), 통로(140), 입력부(150), 카메라부(160), 영상 표시부(170) 및 요철(1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두경(100)은 기관내관(190)을 구성요소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관내관(190)은 후두경(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피시술자에 따라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전반에서 언급되는 시술자는 후두경의 사용자인 의료인일 수 있고, 피시술자는 후두경의 사용 대상이 되는 환자일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후두경(100)을 사용하는 시술자가 후두경(100)을 사용할 때 시술자의 손에 잡히는 후두경의 부분일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시술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110)는 시술자가 후두경(100)을 손에 쥘 때 손가락이 위치하는 손잡이부(110)의 위치에 시술자의 각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시술자는 손잡이부(110)에 구비된 홈에 손가락을 위치시킴으로써 후두경(100)을 안정적으로 손에 쥘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후두경(100)의 일부로서,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는,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도달될 수 있는 피시술자의 기관일 수 있다. 블레이드(120)가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삽입됨으로써 피시술자의 기도가 확보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손잡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120)는 손잡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완만한 곡선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120)는 "L"의 형상일 수 있다.
블레이드(120)의 내부에는 통로(140)가 존재할 수 있다. 말하자면, 통로(140)는 블레이드(120)에 둘러싸인 형태일 수 있다.
통로(140)는 블레이드(120)의 선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가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삽입됨에 따라 통로(140)의 일방은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를 향할 수 있다. 말하자면, 블레이드(120) 내의 통로(140)는 통로(140)를 통해 삽입되는 개체를 블레이드(120)의 선단부까지 유도할 수 있다.
통로(140)는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에 기관내관(19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또는, 수술 도구, 내시경 카메라 등과 같은 의료 기구가 통로(140)를 통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기관내관(190)은 통로(140)를 통해 피시술자의 기관으로 삽관되는 피시술자의 호흡을 유지시키기 위한 관(tube)일 수 있다. 기관내관(190)은 블레이드(1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통로(140)를 통해 피시술자의 기관으로 삽관될 수 있다. 피시술자의 호흡을 유지시키기 위해 피시술자의 기관으로 삽관되는 기관내관(190)의 부분의 반대쪽의 말단부에는 엠부주머니(ambu bag)가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블레이드(120) 내의 통로(140)를 통해 블레이드(1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130)는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에 의해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이 제어됨으로써 기관내관(190)은 피시술자의 목적부위에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의 구성 및 제어부(130)가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후술될 도 2 내지 도 4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제어부(130)는 손잡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부(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130)는 시술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았을 때, 시술자의 손과 접촉하지 않는 손잡이부(11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시술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시술자는 입력부(150)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부(150)에 대해 특정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50)가 수신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130)는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술자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휠들을 조작함으로써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손잡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50)는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부(110)의 시술자의 각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된 위치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의 시술자의 각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된 위치의 반대쪽의 위치는 시술자의 엄지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말하자면, 시술자는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부(150)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것과는 달리 입력부(150)는 손잡이부(110)의 시술자의 각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말하자면, 시술자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입력부(150)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후두경(100)을 잡은 시술자의 손과 동일한 손에 의해 입력부(150)에 입력이 제공됨에 따라, 시술자는 한 손으로 후두경(100)을 사용하여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시술자는 한 손으로 후두경(100)을 사용하여 기관내관(190)을 피시술자의 목적부위로 삽관하거나, 또는 피시술자의 목적부위로부터 발관할 수 있다. 기관내관(190)의 발관은 기관내관(190)이 삽관된 피시술자로부터 기관내관(190)을 제거하는 행위일 수 있다. 말하자면, 피시술자에 블레이드(1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기관내관(190)의 부분을 다시 블레이드(120) 내로 인입시키는 행위일 수 있다.
입력부(150)의 구성 및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이 제어되는 방법은 후술될 도 2 내지 도 4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카메라부(160)는 피시술자의 목적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블레이드(120)의 선단부에 배치됨으로써 블레이드(120)가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삽관된 경우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부(160)는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처리부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의 LED 로부터 방출된 광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부터 반사되고, 반사된 광은 렌즈를 통해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고, 이미지 센서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가 이미지 처리부에서 처리됨으로써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가 촬영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170)는 카메라부(1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표시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통로(140)에는 하나 이상의 요철들(180)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180)는 도시된 것처럼 통로(140)의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요철(180)들은 통로(14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요철(180)은 기관내관(190)이 통과하는 통로(140)의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통로(14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철(180)은 통로(140)의 전체에 걸쳐 전방향으로 기관 내관(190)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요철(180)의 기능 및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5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제어부(130)는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모터(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터(210)를 소정의 방향 또는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터(210) 회전 방향 또는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130)는 모터(210)를 동작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모터(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모터(2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포함하는 모터(210)는 스텝 모터일 수 있다. 스텝 모터는 스텝 모터로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터(210)일 수 있다.
스텝 모터가 수신하는 입력 신호는 스위칭 방식의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스텝 모터가 수신하는 입력 신호는 디지털 펄스형 신호일 수 있다.
스텝 모터의 회전 각도에 따라 기관내관(190)의 통로(140) 내의 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과 접촉된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2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모터(21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220)는 모터(21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구동부(220)는 하나 이상의 기어들을 통해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20)의 동작은 모터(210)의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220)는 모터(21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소정의 방향 또는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모터(210)가 동작함에 따라 기관내관(190)과 접촉한 채 회전함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130)는 모터(210)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부(220)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시키고, 회전의 결과로서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통로(140) 내에서의 기관내관(190)의 이동은, 블레이드(120) 내에서의 기관내관(190)의 전진 또는 후진일 수 있다. 기관내관(190)의 블레이드(120) 내에서의 전진은 기관내관(190)이 블레이드(1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말하자면, 기관내관(190)의 블레이드(120) 내에서의 전진은 기관내관(190)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것일 수 있다. 기관내관(190)의 블레이드(120) 내에서의 후진은 기관내관(190)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부터 발관되는 것일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구동부(220)들의 각각은 두 개의 모터(210)들의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구동부(220)는 각 모터(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두 개의 모터(210)들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두 개의 구동부(220)들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이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도시된 것처럼 구형일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220)의 형상은 구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구동부(220)가 기관내관(190)과 접촉함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로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전술된 대로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입력부(150)로 수신되는 입력에 따른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의 동작은 후술될 도 3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경의 제어부 및 입력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입력부(150)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50)는 전진 버튼(310) 및 후진 버튼(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가 포함하는 버튼은 돌출된 형상으로서 입력부(150)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50)가 포함하는 버튼은 입력부(15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생성된 신호에 기반하여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는 전기적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렸을 때 생성되는 신호는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만 온(on)되는 스위치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렸을 때 생성되는 신호는 별도의 오프(off) 신호가 생성되기 전까지 온으로 유지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전진 버튼(310)이 눌렸을 때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킬 수 있고, 입력부(150)의 후진 버튼(320)이 눌렸을 때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킬 수 있다.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는 제어부(130)가 모터(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모터(2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전진 버튼(310)이 눌렸을 때, 모터(210)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킬 수 있고, 입력부(150)의 후진 버튼(320)이 눌렸을 때, 모터(210)를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킬 수 있다.
기관내관(190)이 통로(140) 내에서 전진할 때 모터(210)와 연결된 구동부(220)의 회전 방향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이 후진할 때 모터(210)와 연결된 구동부(220)의 회전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전진 버튼(310)이 눌렸을 때, 구동부(220)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키고, 입력부(150)의 후진 버튼(320)이 눌렸을 때, 구동부(220)를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킬 수 있다.
입력부(150)는 전원 버튼(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330)이 눌려짐으로써 제어부(130)는 모터(21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상태인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LED와 같은 별도의 인디케이터에 의해 제어부(130)의 대기 모드의 진입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전진 버튼(310) 또는 후진 버튼(320)이 눌려짐에 따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전원 버튼(330)이 눌려지는 경우, 제어부(130)는 대기 모드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모터(210)가 동작하고 있을 때 전원 버튼(330)이 눌려지는 경우, 제어부(130)는 모터(210)의 동작을 멈추고 다시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는 제어부(130)가 스텝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렸을 때, 생성되는 신호는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생성되는 디지털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스텝 모터는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생성되는 디지털 펄스 신호에 따라 입력부(150)의 버튼이 눌릴 때마다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전진 버튼(310)이 눌릴 때마다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제1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킬 수 있고, 입력부(150)의 후진 버튼(320)이 눌릴 때마다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제2 소정의 거리만큼 후진시킬 수 있다. 기관내관(190)이 통로(140)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인 제1 소정의 거리 및 제2 소정의 거리는 전진 버튼(310) 또는 후진 버튼(320)이 눌릴 때 스텝 모터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전진 버튼(310) 또는 후진 버튼(320)이 눌릴 때 스텝 모터가 회전하는 각도는 전진 버튼(310) 또는 후진 버튼(320)이 눌릴 때 생성되는 디지털 펄스 신호의 듀티비(duty rate) 또는 개별적인 스텝 모터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진 버튼(310) 또는 후진 버튼(320)이 눌릴 때 생성되는 디지털 펄스 신호의 듀티비는 시술자가 입력부(150)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입력부(150)는 휠(340)을 포함할 수 있다.
휠(340)은 시술자가 손잡이부(110)를 잡고 후두경(100)을 사용할 때, 시술자의 후두경(100)의 손잡이부(110)를 잡은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휠(340)이 회전됨으로써 제어부(130)가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휠(340)이 회전됨으로써 생성되는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의 제어 신호는 휠(340)이 회전되는 동안에만 온되는 스위치 신호일 수 있다.
휠(3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어부(130)는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 또는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시술자가 휠(340)을 회전시키는 정도에 비례하는 만큼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휠(340)은 통로(140) 내에서 직접 기관내관(190)과 접촉하거나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과 직접 접촉하는 구동부(2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휠(340)이 회전함에 따라 기관내관(190)은 휠(340)의 회전에 의해 통로(140) 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의 도움 없이 휠(340)이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수동으로 직접 제어하는 경우, 도시된 것과는 달리, 휠(340)은 제어부(13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요컨대,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휠(34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입력부(150)의 휠(340)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킬 수 있고, 입력부(150)의 휠(340)이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입력부(150)의 휠(340)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킬 수 있다.
시술자가 휠(340)을 회전시켜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도 4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입력부(150)는 휠(340) 및 버튼들(310 내지 320)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가 휠(340) 및 버튼들(310 내지 320)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 휠(340)은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예컨대, 전진 버튼(310) 또는 후진 버튼(320)이 눌려짐으로써 생성된 모터(210)의 제어 신호의 크기는 휠(340)이 회전 방향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모터(210)의 제어 신호의 크기가 클수록 모터(210)의 회전 속도는 빠를 수 있다.
말하자면, 휠(34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어부(130)는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휠(340)이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어부(130)는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휠(340)이 회전됨으로써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의 도움 없이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이 수동으로 직접 제어될 수 있다.
휠(340)은 통로(140) 내에서 직접 기관내관(190)과 접촉하거나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과 직접 접촉하는 구동부(2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휠(340)이 통로(140) 내에서 직접 기관내관(190)과 접촉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손가락은 시술자의 후두경(100)의 손잡이부(110)를 잡은 손의 엄지 손가락일 수 있다.
휠(34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휠(340) 및 기관내관(190) 간의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 휠(340)과 통로(140) 내에서 접촉한 기관내관(190)이 이동할 수 있다. 말하자면, 휠(3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휠(340)는 도시된 것처럼 구형일 수 있다. 그러나, 휠(340)의 형상 또는 휠(340)의 표면의 재질은 휠(340)이 기관내관(190)과 접촉함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 또는 재질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것과는 달리 휠(340)은 구동부(2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휠(34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기관내관(190)과 통로(140) 내에서 접촉된 구동부(220)가 회전됨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이 이동할 수 있다. 휠(340)이 하나 이상의 기어들 등에 의해 구동부(220)와 연결됨으로써, 시술자가 휠(340)을 회전시키는 힘은 구동부(220)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킬 수 있을 만큼 증폭될 수 있다. 말하자면, 휠(340)을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후두경의 블레이드 내의 통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설명에 따르면, 통로(140)에는 하나 이상의 요철(18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요철(180)들은 통로(140) 내의 돌출된 형상으로서 대칭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요철(180)들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과 접촉할 수 있다.
요철(180)들은 기관내관(190)에 접촉하여 기관내관(190)에 소정의 힘을 가함으로써 제어부(130)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 기관내관(190)이 통로(140) 내에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요철(180)들이 기관내관(190)에 가하는 소정의 힘은 요철(180)들 및 기관내관(190) 간의 마찰력일 수 있다. 요철(180)들 및 기관내관(190) 간의 마찰력의 크기는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추진력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130)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이 고정되지 않는 경우,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의도치 않게 기관내관(190)이 삽관됨으로써, 피시술자의 기도가 손상될 수 있다. 제어부(130)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이 고정됨에 따라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에 대한 기관내관(190)의 안정적인 삽관 및 발관이 가능하다.
요철(180)의 개수 및 형상은 제어부(130)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 기관내관(190)이 통로(140) 내에서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요철(180)들 및 기관내관(190) 간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개수 및 형상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두경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손잡이부(110), 손잡이부(110)와 결합되고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120), 입력부(15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후두경(100)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 후두경(100)은 블레이드(120) 내의 통로(140)를 통해 블레이드(1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기관내관(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입력부(150)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50)가 수신하는 입력은 후두경(100)을 사용하는 시술자로부터의 입력일 수 있다.
단계(62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가 수신한 입력에 기반하여 블레이드(120) 내의 통로(140)를 통해 블레이드(1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들(610 및 620)이 수행됨으로써, 후두경(100)의 동작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후두경(100)은 카메라부(160) 및 영상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카메라부(160)는 피시술자의 목적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영상 표시부(170)는 카메라부(1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들(610 및 620)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7 내지 도 10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후두경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들(610 및 620)이 더 상세하게 도시되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610)는 단계들(710, 720 및 730)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620)는 단계들(715, 725 및 7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모터(210)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710)에서, 입력부(150)는 모터(210)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715)에서, 제어부(130)는 단계(710)에서 입력부(150)가 수신한 모터(210)의 제어를 위한 입력에 따라 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스텝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720)에서, 입력부(150)는 스텝 모터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725)에서, 제어부(130)는 단계(720)에서 입력부(150)가 수신한 스텝 모터(210)의 제어를 위한 입력에 따라 스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50)가 도 3의 휠(340)을 포함하는 경우, 단계(730)에서, 입력부(150)는 휠(340)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휠(340) 입력은 시술자가 휠(340)을 소정의 방향 또는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한 입력일 수 있다. 또한, 단계(735)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가 단계(730)에서 수신한 휠(340) 입력이 나타내는 휠(340)의 동작에 따라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계(7350)에서, 휠(340) 입력이 휠(340)의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기관내관(190)의 이동은 휠(340)의 동작에 따라 수동으로 직접 제어될 수 있다.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이 제어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8 내지 도 10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620)가 더 자세하게 도시되었다.
후술될 단계들(810 내지 830)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715)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에 의해 수신된 입력이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키기 위한 입력인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키기 위한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가 수신한 입력에 따라 모터(210)를 동작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단계(82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전진 버튼(310)이 눌렸을 때,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50)의 전진 버튼(310)이 눌렸을 때, 제어부(130)는 모터(210)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킬 수 있다.
또는, 단계(83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후진 버튼(320)이 눌렸을 때,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50)의 후진 버튼(320)이 눌렸을 때, 제어부(130)는 모터(210)를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킬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725)가 더 자세하게 도시되었다.
후술될 단계들(910 내지 930)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725)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가 수신한 스텝 모터의 제어를 위한 입력이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키기 위한 입력인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키기 위한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가 수신한 입력에 따라 스텝 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단계(920)에서, 입력부(150)의 전진 버튼(310)이 눌릴 때마다 제어부(130)는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제1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킬 수 있다.
또는, 단계(930)에서, 입력부(150)의 후진 버튼(320)이 눌릴 때마다 제어부(130)는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제2 소정의 거리만큼 후진시킬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통로 내의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735)가 더 자세하게 도시되었다.
후술될 단계들(1010 내지 1030)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735)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가 수신한 휠(340) 입력이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키기 위한 입력인지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키기 위한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가 수신한 입력에 따른 휠(340)의 동작에 따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휠(34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휠(340)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전진시킬 수 있다.
또는, 단계(103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의 휠(340)이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휠(340)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을 후진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단계들(1020 및 1030)에서의 통로(140) 내에서의 기관내관(190)의 전진 또는 후진은, 휠(340)이 회전함에 따라, 제어부(130)가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단계들(1020 및 1030)에서의 통로(140) 내에서의 기관내관(190)의 전진 또는 후진은, 휠(340)이 회전함에 따라 휠(340)의 회전에 의해 수동으로 통로(140)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모터(210) 또는 스텝 모터의 도움 없이 휠(340)이 통로(140) 내에서 기관내관(190)의 이동을 수동으로 직접 제어하는 경우, 도 3에서 도시된 것과는 달리, 휠(340)은 제어부(13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후두경
110: 손잡이부
120: 블레이드
130: 제어부
140: 통로
150: 입력부
180: 요철
190: 기관내관
210: 모터

Claims (15)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상기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엠부주머니와 연결되어 피시술자의 호흡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관 내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스텝모터 및 기관 내관과 접촉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시술자로부터 전진버튼, 후진버튼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블레이드 내 기관 내관이 통과하는 통로와 다른 통로를 통해 삽입되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 내의 통로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상기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휠이 시술자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 상기 시술자가 휠을 회전시킨 속도 또는 강도에 따라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후두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된, 후두경.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상기 블레이드 내에서의 상기 기관내관의 전진 또는 후진인, 후두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고, 상기 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후두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고, 상기 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후두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는 하나 이상의 요철들이 형성되었고,
    상기 요철들은 상기 기관내관에 접촉하여 상기 기관내관에 소정의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관내관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 상기 기관내관이 상기 통로 내에서 고정되게 하는, 후두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1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상기 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스텝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2 소정의 거리만큼 후진시키는, 후두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고, 상기 휠이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후두경.
  1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피시술자의 구강을 통해 상기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입력부, 영상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가 시술자로부터 상기 블레이드를 피시술자의 구강에 삽입하기 위해 전진 버튼, 후진 버튼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부와 연결된 휠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블레이드 내의 통로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상기 목적 부위로 삽관되는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가 기관 내관이 통과하는 통로와 다른 통로를 통해 삽입된 카메라를 통해 목적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휠이 시술자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 상기 시술자가 휠을 회전시킨 속도 또는 강도에 따라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후진 버튼이 눌렸을 때,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고,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부의 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제어부가 스텝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1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의 후진 버튼이 눌릴 때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텝 모터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관내관을 제2 소정의 거리만큼 후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내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휠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휠이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휠이 회전한 정도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기 기관내관을 후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두경의 동작 방법.
KR20130096352A 2013-04-30 2013-08-14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 KR101508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550 2013-04-30
KR1020130048550 2013-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355A KR20140130355A (ko) 2014-11-10
KR101508839B1 true KR101508839B1 (ko) 2015-04-10

Family

ID=5245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352A KR101508839B1 (ko) 2013-04-30 2013-08-14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032A1 (en) * 2018-06-25 2020-01-02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Intubation device improve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07688A (es) * 2014-12-12 2018-02-09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Dispositivo de intubacion.
WO2019074331A2 (ko) * 2017-10-13 2019-04-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 삽관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83342B1 (ko) * 2017-10-13 2019-05-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 삽관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171A (ja) 2004-03-23 2005-10-06 Olympus Corp 内視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171A (ja) 2004-03-23 2005-10-06 Olympus Corp 内視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032A1 (en) * 2018-06-25 2020-01-02 Airway Medical Innovations Pty Ltd Intubation device improv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355A (ko) 201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6617B2 (ja) 喉頭鏡
US20230173209A1 (en) Articulating stylet
KR101508839B1 (ko)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
KR20200088321A (ko) 다기능 시각화 기기
US20130245372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assistance apparatus
US20130035548A1 (en) Fiber optic intubating device
CN108882829B (zh) 能够成像的双向可调气管插管
JP2017508519A (ja) 挿管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218156A1 (en) Multifunctional visualization instrument with orientation control
JP2017537761A (ja) 挿管装置
JP2009000500A (ja) 医療装置
JP2005143756A (ja) 経口エアウェイ、及び気道確保補助器具
JP6244603B2 (ja) 挿管支援装置
US20190015617A1 (en) Method for inserting an endotracheal tube into the trachea of a patient
TWM429482U (en) Tracheal intubation device
US20140128681A1 (en) Intubation guide assembly
CA3179392A1 (en) Robotic-assisted navigation and control for airway management procedures, assemblies and systems
WO2018112057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employing computer-guided tracheal targeting and on-demand endotracheal tube release
JP5424514B2 (ja) 医療用チューブの誘導器具及び医療用チューブ並びに医療用システム
CN205832255U (zh) 喉用吸引器
JP2015016177A (ja) 医療器具
US8425409B2 (en) Laryngoscope
US20220257092A1 (en) Laryngoscope blade with glare-reducing features
WO2022177773A1 (en) Laryngoscope blade with glare-reducing features
TW201509450A (zh) 插管輔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