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112A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112A
KR20170130112A KR1020160060734A KR20160060734A KR20170130112A KR 20170130112 A KR20170130112 A KR 20170130112A KR 1020160060734 A KR1020160060734 A KR 1020160060734A KR 20160060734 A KR20160060734 A KR 20160060734A KR 20170130112 A KR20170130112 A KR 2017013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upper body
adjusting means
height adjusting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이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욱 filed Critical 이재욱
Priority to KR102016006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112A/ko
Priority to PCT/KR2017/005056 priority patent/WO2017200265A1/ko
Publication of KR2017013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상부몸체를 구비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가 개시된다.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 또는 다른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몸체들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들 중 가장 외측에 형성된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상부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각도조절몸체는,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내측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Mouse for adjusting angle}
본 발명은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하는 각도로 마우스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손목을 틀어서 이용하여야 하므로, 장시간 이용하는 경우 손목의 인대가 좁아지거나 근육의 뒤틀림으로 인해 손목에 통증을 유발하는 수근관증후군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손목의 꺾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손목이 바닥과 직각인 상태나 비스듬한 형태로 이용하는 조이스틱과 유사한 마우스가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조이스틱형태의 마우스는 전통적인 형태의 마우스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고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던 형태의 마우스를 사용함에서 오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이용하는 비율은 낮으며 전통적인 형태의 마우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16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마우스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손 모양 및 취향에 맞춰 마우스를 파지하는 여러 부분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상부몸체를 구비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 또는 다른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몸체들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들 중 가장 외측에 형성된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상부몸체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가장 외측에 형성된 각도조절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다른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조절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상부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몸체 및 복수의 각도조절몸체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몸체의 각각의 부분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 부분별로 나누어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내측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타단 외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들은,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 올린 경우 상기 걸림턱이 상기 하부몸체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 올린 경우 상기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올리지 않는 경우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부몸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제 1 돌기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걸림턱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걸림턱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몸체에 형성된 걸림턱에는 단부가 절곡된 제 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몸체의 상측 단부가 절곡된 제 2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 1 절곡부가 상기 제 2 절곡부에 걸림되도록 하여 내측몸체와 각도조절몸체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몸체는,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의 결합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부분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 또는 타단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하부몸체 상에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 또는 일단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하부몸체 상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 방향의 내측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 1 높이조절수단 및 일단이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높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을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이 위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은, 상부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 방향의 내측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 1 높이조절수단, 일단이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높이조절수단 및 일단이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타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 3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이 위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높이조절수단은,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나사이고,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나사와 상부면이 맞물려서 상기 회전나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나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 모양 및 취향에 맞춰 마우스를 파지하는 여러 방향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손목이 가장 편한 상태로 개별적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목 관절의 피로를 낮춰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비대칭 대각 방향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양손 사용자도 쉽게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수직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4 내지 도5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수직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B-B' 방향으로 절단한 수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과 도 12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5와 도 16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수직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6은 도 5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수직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B-B' 방향으로 절단한 수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는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몸체(310) 및 하부몸체(3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상부몸체(3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는 내측몸체(340), 적어도 하나의 각도조절몸체(330)를 구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3 내지 도 6에서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가 각도조절몸체(330)를 한 개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도 조절 단계를 더 다양하게 하거나 조절되는 각도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는 한 개 이상의 각도조절몸체(3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이용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이외에 마우스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을 채용하므로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몸체(310)는 바닥면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상부몸체(320)는 하부몸체(3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손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부몸체(320)는 하부몸체(310)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외측면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내측몸체(340)는 상부몸체(320)의 내측 공간에서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몸체(340)는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측몸체(340)는 하부몸체(310)의 상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각도조절몸체(330)는 내측몸체(340)의 외부를 둘러싸면서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도 3 내지 도 5의 우측 끝단) 및 타단(도 3 내지 도 5의 좌측 끝단) 즉, 양단이 하부몸체(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몸체(320)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조절몸체(330)를 둘러싸면서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몸체(330)와 동일하게 상부몸체(320)도 상부몸체(320)의 일단(도 3 내지 도 5의 우측 끝단) 및 타단(도 3 내지 도 5의 좌측 끝단) 즉, 양단이 하부몸체(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몸체(320)의 일단은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과 대응하는 위치이고, 상부몸체(320)의 타단은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과 대응하는 위치이다.
각도조절몸체(330)는 내측몸체(340)의 외측을 둘러싸거나 다른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하부몸체(310)에 결합될 수 있고, 상부몸체(320)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조절몸체(330) 중 가장 외측에 형성된 각도조절몸체(330)를 둘러싸면서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가 각도조절몸체(330)를 두 개(제 1 각도조절몸체, 제 2 각도조절몸체)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 1 각도조절몸체는 내측몸체(34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각도조절몸체는 상기 제 1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몸체(320)는 상기 제 2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몸체(320)와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고정되어 마우스(100)의 각도가 조절되거나, 타단을 기준으로 일단이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고정되어 마우스(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부몸체(320)와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 및 타단 중 어느 한 부분이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고정되어 마우스(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양단이 모두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도록 마우스(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고정되어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를 보면, 상기 상부몸체(320) 또는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이 상기 하부몸체(310)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320) 또는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기 내측몸체(340)와 체결수단(335, 341, 342)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상태에서 1차로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상부몸체(320)의 타단이 하부몸체(310)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부몸체(320)의 타단이 각도조절몸체(330)와 체결수단(325, 331, 332)에 의하여 체결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상태에서 2차로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이 하부몸체(310)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이 내측몸체(340)와 체결수단(335, 341, 342)에 의하여 체결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을 기준으로 일단이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고정되어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를 보면, 상기 상부몸체(320) 또는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이 상기 하부몸체(310)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320) 또는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기 내측몸체(340)와 체결수단(335, 341, 342)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상태에서 1차로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상부몸체(320)의 일단이 하부몸체(310)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부몸체(320)의 일단이 각도조절몸체(330)와 체결수단(325, 331, 332)에 의하여 체결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상태에서 2차로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이 하부몸체(310)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도조절몸체(330)의 일단이 내측몸체(340)와 체결수단(335, 341, 342)에 의하여 체결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의 양단을 기준으로 일단 또는 타단이 개별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고정되어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어느 한 방향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하게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에서는 각도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 2단계로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도조절몸체(330)의 개수를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단계로 각도 조절을 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몸체(320)와 각도조절몸체(330)가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마우스(1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부몸체(320), 내측몸체(340) 및 각도조절몸체(33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방향의 몸체가 일정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걸림턱(325, 335) 및 복수의 돌기들(331, 332, 333, 341, 342, 343)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325, 335)은 상부몸체(320) 또는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의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들(331, 332, 333, 341, 342, 343)은 상부몸체(320) 또는 각도조절몸체(330)의 걸림턱(325, 335)이 걸려 고정되도록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내측몸체(340)의 타단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상부몸체(320)의 타단의 내측에 걸림턱(325)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의 내측에 걸림턱(335)이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몸체(330)의 타단의 외측에는 상부몸체(320)의 걸림턱(325)이 걸려 고정되도록 복수의 돌기들(331, 332)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내측몸체(340)의 타단의 외측에는 각도조절몸체(330)의 걸림턱(335)이 걸려 고정되도록 복수의 돌기들(341, 342)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들(331, 332, 341, 342)은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부몸체(320)를 들어 올린 경우 걸림턱(325, 335)이 하부몸체(310)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걸림턱(325, 335)을 지지하는 제 1 돌기(332, 342) 및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부몸체(320)를 들어 올린 경우 걸림턱(325, 335)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돌기(331, 34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 1 돌기(332, 342)는 걸림턱(325, 335)이 하부몸체(310)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돌기(331, 341)는 상부몸체(320) 또는 각도조절몸체(330)를 상부방향(도 3 내지 도 5에서 위쪽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경우 걸림턱(325, 33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돌기(331, 341)는 제 1 돌기(332, 342)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제 1 돌기(332, 342)와 제 2 돌기(331, 341) 사이의 간격은 걸림턱(325, 335)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걸림턱(325, 335)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돌기들(333, 343)에는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부몸체(320)를 들어올리지 않는 경우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부몸체(320)가 하부몸체(31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걸림턱(325, 335)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333, 343)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부몸체(320)가 하부몸체(31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걸림턱(325, 335)이 고정돌기(333, 343)를 빠져 나올 정도의 힘을 주지 않는 한 걸림턱(325, 335)은 고정돌기(333, 343)에 의하여 상부방향으로 올라오지 못하므로 각도조절몸체(330) 또는 상부몸체(320)가 하부몸체(31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몸체(320)의 걸림턱(325)이 고정돌기(333) 아래에 위치하고 각도조절몸체(330)의 걸림턱(335)이 고정돌기(334)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몸체(320)와 각도조절몸체(330)는 모두 하부몸체(310)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몸체(320)의 걸림턱(325)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돌기(333)보다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몸체(320)의 걸림턱(325) 뿐 아니라 각도조절몸체(330)의 걸림턱(335)도 고정돌기(343)보다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걸림턱(325, 335)이 고정돌기(333, 343)보다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마우스(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내측몸체(340)는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내측몸체(340)와 하부몸체(310) 사이의 결합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내측몸체(340)와 하부몸체(310)가 결합되는 부분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질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하부몸체(310)는 상부몸체(320)의 일단의 외측 방향으로 하부몸체(310) 상에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바닥면을 향해 누름부(315)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부몸체(320) 또는 각도조절몸체(33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마우스(100)의 각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310)는 상부몸체(320)의 타단의 외측 방향으로 하부몸체(310) 상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3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받침부(317)는 각도 조절이 된 상태의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을 받칠 수 있는 부분이다. 누름부(315) 또는 받침부(317)는 하부몸체(310)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315) 또는 받침부(317)의 설치 위치는 상부몸체(32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몸체(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몸체(310)에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내측몸체(340)와 각도조절몸체(330)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몸체에 형성된 걸림턱(335)에는 단부가 절곡된 제 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몸체의 상측 단부가 절곡된 제 2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내측몸체(340)의 상측방향으로 각도조절몸체(33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의 걸림턱(335)의 단부에 절곡 형성된 제 1 절곡부(337)가 상기 내측몸체(340)의 상측 단부에 절곡 형성된 제 2 절곡부(345)에 걸림됨으로써 내측몸체(340)로부터 각도조절몸체(330)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몸체(330)가 일측방향으로 꺾일 경우 상기 제 1 절곡부(337)가 상기 내측몸체(340)의 제 2 절곡부(345)에 걸림면서 각도조절몸체(330)가 내측몸체(340)를 일측방향으로 끌어당겨 내측몸체(340)가 소정 각도로 원활하게 꺾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몸체(340)에 형성된 제 2 돌기(341)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돌기(341)의 역할을 제 2 절곡부(345)가 대신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B-B' 방향으로 절단한 수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내측몸체(340) 및 각도조절몸체(33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몸체(320)의 각각의 부분을 구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 부분별로 나누어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몸체(320) 내측으로 배치되는 각도조절몸체(330) 및 내측몸체(340)는 특정 범위 마다 구분되어 분리되도록 각 부분과 부분 사이의 영역이 분리되고, 분리된 영역은 절개되거나 공백을 두어 분리된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꺾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와 내측몸체(340)는 동일 영역에 대응하도록 분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도조절몸체(330)와 내측몸체(340)의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 돌기들(331, 332, 333, 341, 342, 34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있어서, 좌측 상단의 분리된 영역에 대해 마우스(100)의 상부몸체(210)를 파지한 채 각도를 조절했을 때 이와 동일한 수평라인에 있는 우측 상단의 분리된 영역에 대해 마우스(100)의 상부몸체(210)를 파지한 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우측 하단의 분리된 영역에 대해 마우스(100)의 상부몸체(210)를 파지한 채 각도를 조절을 할 수도 있다. 즉, 마우스(100)의 상부몸체(320)는 각도조절몸체(330)와 내측몸체(340) 각각의 복수 영역으로 분리된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별적인 각도 조절을 할 수 있고 좌, 우측 방향에 있어 평형선상 이외에 대각선 방향에 대해서도 개별적인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몸체(340) 및 각도조절몸체(330)는 복수의 각 부분별로 나누어 분리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 모양 및 취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 각도로 다양하게 마우스(100)를 조절하여 마우스(100)를 파지하는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1과 도 12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도 11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는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에 제 1 높이조절수단(710)과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제 1 높이조절수단(710)과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을 제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은 상부몸체(32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몸체(320)의 타단 방향의 내측에 일단이 결합되며, 하부몸체(310)의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은 일단이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몸체(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1 및 제 2 높이조절수단(710, 720)을 이용함으로서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타단을 상부몸체(3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의 타단이 위아래로 이동하여 상부몸체(310)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은 소정의 위치에 있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일단과 타단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타단을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일단은 우측으로 이동되고,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일단을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타단은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3에서는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 및 도 14에서는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1 및 도 13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은 타단이 상부몸체(320)의 타단 방향(도 11의 좌측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일단과 연결된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높이조절수단(710)과 바닥몸체(310)가 이루는 각도를 최소의 각도로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타단을 상부몸체(320)의 일단 방향(도 11 또는 도 13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의 일단과 연결된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몸체(3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320)가 각도조절몸체(330)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된 이후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이 계속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몸체(320)와 체결되어 있는 각도조절몸체(3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높이조절수단(710) 및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을 이용하여 상부몸체(3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몸체(320) 뿐 아니라 각도조절몸체(330)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마우스(100')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높이조절수단(710)에는 상부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의 상부면에 홈이 형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의 일단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부몸체(3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부몸체(320) 또는 각도조절몸체(330)가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유지되지 못하고 하부몸체(310) 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제 1 돌출돌기(332, 342)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4의 실시예의 경우, 제 1 높이조절수단(710) 및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을 이용하여 상부몸체(320) 및 각도조절몸체(330)의 높이가 조절되고 높이가 조절된 상태가 제 1 높이조절수단(710) 및 제 2 높이조절수단(720)에 의하여 고정이 되므로 각도조절몸체(330) 및 내측몸체(340)는 도 1 내지 도 9의 제 1 돌출돌기(332, 342)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돌출돌기(332, 342)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11 내지 도 14에는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이 상부몸체(32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710)의 타단에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이 결합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되는 위치에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1 높이조절수단(710) 및 제 2 높이조절수단(720)이 어느 한 방향에 한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도 15 및 도 16는 도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도 15과 도 16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도 15 내지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는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100)에 제 1 높이조절수단(1110), 제 2 높이조절수단(1120) 및 제 3 높이조절수단(113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수단(1110, 1120, 1130)을 제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은 상부몸체(32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몸체(320)의 타단 방향의 내측에 일단이 결합되며, 하부몸체(310)의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은 도 11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 1 높이조절수단(710)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4와 관련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은 일단이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부몸체(7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높이조절수단(1130)은 일단이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몸체(3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부몸체(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타단을 이용하여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이 상부몸체(3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높이조절수단(1130)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만하는 회전나사일 수 있고,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은 상기 회전나사와 상부면이 맞물려서 상기 회전나사가 회전하는 경우 상부몸체(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나사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은 하부몸체(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수단(1110, 1120, 1130)을 이용하여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3 높이조절수단(1130)을 이용하여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이 상부몸체(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의 타단이 위아래로 이동하여 상부몸체(320)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 및 도 17에서는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 및 도 18에서는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5 및 도 17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은 전체적인 위치가 상부몸체(320)의 일단 방향(도 15의 우측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의 일단과 연결된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높이조절수단(1110)과 바닥몸체(310)가 이루는 각도를 최소의 각도로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 3 높이조절수단(1130)을 이용하여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을 상부몸체(320)의 타단 방향(도 11 또는 도 12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의 일단과 연결된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몸체(3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320)가 각도조절몸체(330)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된 이후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이 계속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몸체(320)와 체결되어 있는 각도조절몸체(11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수단(1110, 1120, 1130)을 이용하여 상부몸체(3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몸체(320) 뿐 아니라 각도조절몸체(330)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마우스(100'')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에는 상부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11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마우스(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부몸체(320) 또는 각도조절몸체(330)가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유지되지 못하고 하부몸체(310) 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제 1 돌출돌기(332, 342)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15 내지 도 18의 실시예의 경우,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수단(1110, 1120, 1130)을 이용하여 상부몸체(320) 및 각도조절몸체(330)의 높이가 조절되고 높이가 조절된 상태가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수단(1110, 1120, 1130)에 의하여 고정이 되므로 각도조절몸체(330) 및 내측몸체(340)는 도 1 내지 도 9의 제 1 돌출돌기(332, 342)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돌출돌기(332, 342)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15 내지 도 18에는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이 상부몸체(32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1110)의 타단에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이 결합되며,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1120)의 타단에 상기 제 3 높이조절수단(1130)이 결합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되는 위치에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1 높이조절수단(1110), 제 2 높이조절수단(1120) 및 제 3 높이조절수단(1130)이 어느 한 방향에 한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310: 하부몸체
315: 누름부 317: 받침부
320: 상부몸체 330: 각도조절몸체
340: 내측몸체 325, 335: 걸림턱
331, 341: 제 2 돌기 332, 342: 제 1 돌기
333, 343: 고정돌기 337: 제 1 절곡부
345: 제 2 절곡부 710, 1110: 제 1 높이조절수단
720, 1120: 제 2 높이조절수단 1130: 제 3 높이조절수단

Claims (16)

  1.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상부몸체를 구비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 또는 다른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몸체들;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들 중 가장 외측에 형성된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상부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가장 외측에 형성된 각도조절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다른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 및 복수의 각도조절몸체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몸체의 각각의 부분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 부분별로 나누어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내측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타단 외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 올린 경우 상기 걸림턱이 상기 하부몸체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 올린 경우 상기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올리지 않는 경우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부몸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제 1 돌기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걸림턱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걸림턱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몸체에 형성된 걸림턱에는 단부가 절곡된 제 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몸체의 상측 단부가 절곡된 제 2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 1 절곡부가 상기 제 2 절곡부에 걸림되도록 하여 내측몸체와 각도조절몸체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6.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상부몸체를 구비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조절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상부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몸체에서 분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 및 복수의 각도조절몸체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몸체의 각각의 부분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 부분별로 나누어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내측몸체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의 타단 외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 올린 경우 상기 걸림턱이 상기 하부몸체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 올린 경우 상기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를 들어올리지 않는 경우 상기 각도조절몸체 또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부몸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제 1 돌기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걸림턱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걸림턱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몸체에 형성된 걸림턱에는 단부가 절곡된 제 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몸체의 상측 단부가 절곡된 제 2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 1 절곡부가 상기 제 2 절곡부에 걸림되도록 하여 내측몸체와 각도조절몸체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는,
    상기 마우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의 결합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부분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 또는 타단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하부몸체 상에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 또는 일단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하부몸체 상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13.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 방향의 내측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 1 높이조절수단; 및
    일단이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높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을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이 위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은,
    상부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15.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는,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 방향의 내측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 1 높이조절수단;
    일단이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높이조절수단; 및
    일단이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타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 3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높이조절수단의 타단이 위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높이조절수단은,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나사이고,
    상기 제 2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나사와 상부면이 맞물려서 상기 회전나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KR1020160060734A 2016-05-18 2016-05-1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KR20170130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34A KR20170130112A (ko) 2016-05-18 2016-05-1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PCT/KR2017/005056 WO2017200265A1 (ko) 2016-05-18 2017-05-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34A KR20170130112A (ko) 2016-05-18 2016-05-1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112A true KR20170130112A (ko) 2017-11-28

Family

ID=6032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34A KR20170130112A (ko) 2016-05-18 2016-05-1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30112A (ko)
WO (1) WO20172002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9972B2 (en) * 2003-08-08 2006-09-19 Liang Fu Adjustable pointing and control device with automatic handedness switch
TWI287734B (en) * 2005-08-12 2007-10-01 Darfon Electronics Corp Adjustable mouse
KR20090020839A (ko) * 2007-08-24 2009-02-27 장수현 롤링 마우스
KR200450295Y1 (ko) * 2009-08-26 2010-09-17 양성목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KR101374881B1 (ko) * 2012-12-14 2014-03-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용 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0265A1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979B2 (en) Adjustable mouse
US8894316B2 (en) Adjustable joint for microphone
US6047939A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video appliance
US20120091076A1 (en) Monitor support device
KR10162544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JP6085606B2 (ja) 顎当て、顎当てシステム、及び楽器
US20230329934A1 (en) Security latch for user interface housing
EP3673350B1 (en) Adjustable mouse
EP3642430A1 (en) Adjustable hanging assembly for flow generating device
CN105688323A (zh) 导丝约束装置
KR20170130112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KR10162544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KR101632909B1 (ko) 척추 임플란트용 스크류 어셈블리
WO2014125312A1 (en) Headrest for massage table
KR20040086182A (ko) 조절식 키보드 스탠드
US6507335B1 (en) Pointing device with adjustable palm rest
KR101760596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빗
JP5349236B2 (ja) 車椅子用ステップ板の支持構造
CN219206334U (zh) 一种坐姿矫正器
KR101361699B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JPH11225841A (ja) 絵画用イ−ゼル
KR200241672Y1 (ko)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CN116917656A (zh) 显示器支架
KR101075510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KR200224772Y1 (ko) 마우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