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839A - 롤링 마우스 - Google Patents

롤링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839A
KR20090020839A KR1020070085439A KR20070085439A KR20090020839A KR 20090020839 A KR20090020839 A KR 20090020839A KR 1020070085439 A KR1020070085439 A KR 1020070085439A KR 20070085439 A KR20070085439 A KR 20070085439A KR 20090020839 A KR20090020839 A KR 20090020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elastic
disposed
ang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현
Original Assignee
장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현 filed Critical 장수현
Priority to KR102007008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0839A/ko
Publication of KR2009002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2Ergonomic shaped mouse adjustable to suit one of both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링 마우스에서는 버튼을 포함하는 상단부(Upper Portion), 상단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단부(Lower Portion),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Elasticity)을 가지며, 상단부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탄성부(Elastic Portion)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링 마우스는 상단부가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탄성부를 배치하여, 마우스가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맞추어지게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기에 편안한 손과 손목 및 팔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의 통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롤링 마우스{Rolling Mouse}
본 발명은 롤링 마우스(Rolling Mous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인터넷의 빠른 보급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단으로서 마우스가 있다. 마우스는 키보드로 자유롭게 입력할 수 없는 것을 보완하여 보다 자유롭게 화면에서 위치나 명령을 입력하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또한, 요즘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래픽 GUI 방식이란, 컴퓨터와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서, 사용자가 명령을 키보드를 통하여 컴퓨터에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시키고 컴퓨터는 작업 결과를 텍스트(Text)로 화면에 표시하는 문자 중심의 조작 대신에, 사용자가 키보드의 입력뿐만 아니라 마우스 등의 위치 지정 도구를 사용하여 도형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icon)을 지정하거나 메뉴 항목 목록 중에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명령을 선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파일 목록을 열람하고 기타 선택을 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는 상호작용 방식이다.
상술한 GUI 방식의 프로그램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마우스의 사용시간이 증가하게 되었다.
마우스는 전용 패드 또는 책상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때 그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라서 모니터에 위치된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마우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수단으로는 볼을 이용하는 볼 마우스와 광센서를 이용하는 광 마우스가 있다.
그리고, 현재는 선이 없이도 동작할 수 있는 무선 광 마우스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마우스는 손으로 잡을 때 손바닥이 지면을 향하고 손등이 하늘을 향하도록 수평상태가 되는 것으로, 손목이 편안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피로감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근육 및 관절 등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마우스를 사용하는 손의 자연스럽지 못한 움직임은 곧바로 운동근육의 부자연스런 움직임으로 연결되어 기존의 마우스를 사용하면 할수록 손가락과 손목, 팔목, 어깨, 뒷목까지 근육과 신경계통에 무리가 발생하게 되고,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따라 인체에 피로가 쌓이게 된다.
특히 마우스는 손과 눈, 두뇌를 동시에 사용해야하는 도구로 손의 움직임의 불편함은 눈과 두뇌의 능률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일부 사용자에게는 앉은 자세의 비뚤어짐까지 발생시켜 목과 인체의 기둥인 척추까지 비뚤어지게 되어 각종 신경통에 시달리게 되는 등, 일의 능률이 떨어짐으로 인해 결국 개인과 국가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마우스의 내부에 탄성부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기에 편안한 손과 손목 및 팔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링 마우스는 버튼을 포함하는 상단부(Upper Portion), 상단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단부(Lower Portion),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Elasticity)을 가지며, 상단부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탄성부(Elastic Portion)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부는 상단부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단축방향으로 가변되도록 한다.
또한, 상단부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50도(°) 이상 +50도(°) 이하이다.
또한, 버튼은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링 마우스는 상단부가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탄성부를 배치하여, 마우스가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맞추어지게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기에 편안한 손과 손목 및 팔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의 통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링 마우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는 버튼(102)이 배치된 상단부(101)와, 상단부(101)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단부(110)가 결합 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단부(101)와 하단부(110)의 사이 내부 공간에는 탄성부(120)가 배치되어 상단부(101)가 좌, 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120)는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하단부(110)를 기준으로 상단부(101)가 기울어질 수 있고,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상단부(101)가 복원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단부(101)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지면과 평행을 유지하는 상태이지만,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을 올려놓으면 사용자의 손목이 편안한 각도가 될 수 있도록 탄성부(120)에 의해 하단부(110)를 기준으로 상단부(101)가 기울어지는 것이다.
또한, 마우스의 이동이나 버튼(102), 휠(103)의 동작시 손의 움직임이 발생 하면서 손의 각도도 변하게 되고, 그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에 따라 상단부(101)가 기울어지며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상단부(101)의 상부에는 제 1 버튼(102a)과 제 2 버튼(102b)이 배치될 수 있고, 제 1 버튼(102a)과 제 2 버튼(102b)의 사이에는 휠(103)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버튼(102a)은 화면상에 커서(Cursor)의 위치를 지정하거나, 제 1 버튼(102a)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드래그(Drag)하여 범위를 지정하거나, 아이콘(Icon)이나 링크(Link) 등을 클릭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하고, 제 2 버튼(102b)은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메뉴를 호출하는 기능을 하고, 휠(103)은 화면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Scroll) 기능이나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기능을 한다.
마우스의 내부에는 연결부(12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여기 도 1에서 연결부(121)는 하단부(110)에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단부(101)와 하단부(110)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1)는 상단부(101)와 하단부(110)를 연결하고, 상단부(101)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상단부(101)와 하단부(110)의 지지 및 기준점 역할을 한다.
또한, 상단부(101)나 하단부(110)에는 탄성부(120)에 대응되는 보조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20)와 보조부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첨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단부(101)와 하단부(110)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마우스의 위치 신호를 인식하는 광 센서(미도시)나 버튼(102)과 휠(103)의 신호감지를 위한 장치와 구동 회로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는 볼(ball)이 내장된 볼 마우스와 광센서를 이용한 광 마우스, 선이 없이도 동작 가능한 무선마우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링 마우스는 볼 마우스, 광 마우스, 무선 마우스 등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마우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상단부의 기울어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상단부(101)는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a)는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단부(101)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수평을 유지한다.
(b)와 (c)는 상단부(101)가 좌.우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무게가 많이 실리는 쪽으로 상단부(101)가 기울어지고,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면 상단부(101)는 (a)와 같이 다시 처음의 수평상태로 복원된다.
여기서 상단부(101)가 기울어질 수 있는 범위 즉, 상단부(101)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θ)는 -50도(°) 이상 +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101)가 기울어지는 각도(θ)가 -85도(°) 이상 +85도(°) 이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5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로도 마우스를 동작하는데에 충분한 움직임의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마우스의 조작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마우스에 가해지는 힘이나 손목의 각도가 각각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단부(101)가 기울어지는 각도(θ)도 다양하게 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 1 버튼(102a)과 제 2 버튼(102b) 및 휠(103)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마우스에 가해지는 힘이나 손목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단부(101)가 기울어지는 각도(θ)가 변화될 수 있다.
이렇게 상단부(101)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편안한 손과 손목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a내지 도 3c는 탄성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는 용수철(Spring)을 이용한 제 1 탄성부(32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310)의 내부 좌측과 우측에 제 1 탄성부(320)를 각각 배치하고, 상단부(301)에는 제 1 탄성부(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부(321)를 배치한다.
또한, 중앙에는 연결부(322)를 두어 상단부(301)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상단부(301)와 하단부(310)가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중심점 역할을 하고, 연결부(322)의 중심부분에는 상단부(301)가 좌우로 잘 움직일 수 있도록 나사못이나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탄성부(320)는 용수철의 기본적인 특성인, 힘을 가하면 수축되었다가 힘을 가하지 않으면 본래대로 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단부(301)가 좌측으로 기울어질 때는 하단부(310)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탄성부(320)가, 그와 대응되는 보조부(321)에 의해 눌려져 수축되고, 상단부(301)가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는 우측의 제 1 탄성부(320)가 수축되어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 도 3a에서는 제 1 탄성부(320)를 좌우에 각각 2개씩 배치하였지만, 3개 이상의 제 1 탄성부(320)를 배치할 수도 있고, 좌우에 각각 1개씩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탄성부(320)의 수에 제한받지 않고 복수 개의 제 1 탄성부(320)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탄성부(320)와 보조부(321)는 서로 대응되는 것이므로 제 1 탄성부(320)와 보조부(321)의 수는 같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여기 도 3a에서는 제 1 탄성부(320)가 하단부(310)에 배치되고, 보조부(321)가 상단부(301)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단부(320)에 제 1 탄성부(320)가 배치되고, 하단부(310)에 보조부(321)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3b는 용수철이 뒤틀어지는 탄성을 이용한 제 2 탄성부(3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를 살펴보면, 제 2 탄성부(3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단부(301) 및 하단부(310)와 연결되는 고정부(331)를 배치하고, 고정부(331)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Cross Bar, 332)의 외부에 제 2 탄성부(330)가 배치된다.
도 3b에서는 제 2 탄성부(330)의 배치위치에 따라 중앙부분의 제 2-1 탄성 부(330a), 전면부분의 제 2-2 탄성부(330b), 후면부분의 제 2-3 탄성부(330c)로 구분하여 제 2 탄성부(33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탄성부(330)가 배치되는 위치는 제 2-1 탄성부(330a)와 같이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제 2-2 탄성부(330b)나 제 2-3 탄성부(330c)와 같이 전면부분이나 후면부분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 2-1 탄성부(330a)와 제 2-2 탄성부(330b) 또는 제 2-1 탄성부(330a)와 제 2-3 탄성부(330c) 또는 제 2-1, 2-2, 2-3 탄성부(330a, 330b, 330c)가 모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 외에도 제 2 탄성부(330)의 위치나 모양 등은 편의와 효율을 고려하여 변경되거나 추가가 가능하다.
또한, 도 3b에서는 제 2 탄성부(330)가 제 2-1 탄성부(330a)의 경우와 같이 크로스바(332)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 2-2 탄성부(330b)나 제 2-3 탄성부(330c)와 같이 크로스바(332) 없이 제 2 탄성부(330)를 고정부(331)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제 2 탄성부(330)는 용수철의 뒤틀림을 이용하여 상단부(301)가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3c는 열 처리된 강철판의 특성을 이용한 제 3 탄성부(34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를 살펴보면, 하단부(310)에 제 3 탄성부(340)를 지지하는 지지부(342)가 배치되고, 지지부(342)의 상부에 제 3 탄성부(340)가 배치된다.
또한, 상단부(301)에는 보조부(341)를 배치하여 상단부(301)가 기울어질 때 제 3 탄성부(340)를 누르게 되어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여기 도 3c에서는 제 3 탄성부(340)를 하나만 배치하였지만, 2개 이상의 제 3 탄성부(34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탄성부(340)의 수에 제한받지 않고 복수 개의 제 3 탄성부(320)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여기 도 3c에서는 제 3 탄성부(340)가 하단부(310)에 배치되고, 보조부(341)가 상단부(301)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단부(301)에 제 3 탄성부(340)가 배치되고, 하단부(310)에 보조부(341)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상단부(301)가 좌우 양쪽으로 모두 기울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왼쪽이나 오른쪽 중 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다.
오른손으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방향에서 상단부(301)가 수평인 상태에서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왼손으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단부(301)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부(301)가 왼쪽이나 오른쪽 중 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도록 마우스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마우스가 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도록 제작된 경우에는, 탄성부도 한 방향 쪽에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이 불필요하므로 왼쪽에는 탄성부를 배치하지 않고 오른쪽에만 배치할 수 있고, 왼손으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이 불필요하므로 왼쪽에만 탄성부를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에서는 상단부(301)가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지만,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마우스의 사용에 있어서 상단부(301)가 상하로 기울어지는 것은 인체의 구조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단부(301)가 좌우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탄성부의 재질은 강철, 니켈합금, 고무, 청동에 인이 첨가된 인청동 등의 탄성과 복원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상단부(310)가 기울어지고,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탄성부가 용수철이나 강철판의 형상이었지만, 탄성과 복원력을 갖고 본 발명의 마우스에 적용가능한 것이라면 그 형상이나 형태에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탄성부는 손의 무게와 마우스를 누르는 압력에 반응할 수 있고, 그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탄성부의 탄성이 너무 강하면 손을 올려놓아도 상단부가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고, 탄성이 너무 약하면 무게중심이 쏠리는 쪽으로 완전히 기울어져 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사람마다 마우스를 조작하는 힘과 손의 무게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마우스의 제조과정에서 탄성부의 탄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 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미끄럼 방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단부(401)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큰 문제가 없지만 마우스에 압력이 가해지 되면 상단부(401)가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기에 편안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단부(401)가 기울어진 각도가 커지게 되면, 손가락(404) 아래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a에서는 버튼(402)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을 가운데 부분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a를 살펴보면, 상단부(401)에 버튼(402)이 배치되고 버튼(402)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을 가운데 부분보다 높게 하여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402)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미끄럼 방지역할을 하는 미끄럼 방지부(402)가 버튼(402)과 일체화가 된 것으로 버튼(402)의 가장자리를 높여 버튼(402) 자체가 미끄럼 방지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마우스의 앞쪽에서 바라본 버튼(402)의 평면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버튼(402)에 손가락(404)이 올려져 있고, 상단부(401)의 기울어짐에 따른 손가락(404)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의 가장자리 부분이 더 높게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 도 4b에서는 도 4a와 달리 버튼(420)의 상부 면에 미끄럼 방지부(421) 를 형성한다.
미끄럼 방지부(421)는 버튼(420)의 상부 면에 마우스의 장축방향으로 복수의 요철을 형성한 형태로,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굴곡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버튼(420) 상부 면과 손가락(404)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손가락(404)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끄럼 방지부(402, 421)를 형성하여 마우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더욱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안정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상단부의 측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살펴보면 상단부(501)가 기울어질 때에 측면의 끝단 부분이 지면과 맞닿게 되어 더 이상 기울어지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바라볼 때 상단부(501)의 측면이 볼록하게 나온 타원형일 경우에는, 상단부(510)가 기울어질 때에 측면의 끝단 부분이 가장 먼저 지면에 닿게 되어 기울어지는 각도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50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의 끝단은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단부(501) 측면의 끝단을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단부(501)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에 측면의 끝단 부분이 지면에 먼저 닿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단부(501)가 기울어질 수 있는 각도를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 도 5b의 경우에는 위에서 바라본 상단부(503)의 볼록하게 나온 측면 부분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5a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단부(503)가 기울어졌을 때 측면의 끝단이 가장 먼저 지면에 닿아 상단부(503)가 더 이상 기울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부(503)가 기울어질 수 있는 각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501)를 평평하게 함에 따라 하단부(미도시)도 상단부(501)에 맞게 평평하게 형성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상단부(503)를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단부(503)가 볼록하게 돌출되지만 않는다면 상단부(503)의 측면 끝단이 먼저 지면에 닿게 되어, 좌우로 기울어지는 각도에 제한을 받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를 살펴보면, 서로 결합 되어있는 상단부(601, 602)와 하단부(611, 612)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a에서는 상단부(601)가 하단부(611)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결합 된 것이다.
상단부(601)와 하단부(611)가 결합 되는 부분(A)을 살펴보면 상단부(601)가 하단부(611)와 겹쳐지는 외부 면의 일부를 감싸고, 하단부(611)는 상단부(601)의 안쪽으로 들어와서 결합 된다.
다음, 도 6b의 상단부(602)와 하단부(612)가 결합 되는 부분(B)을 살펴보면, 6a와는 반대로 하단부(612)와 겹쳐지는 상단부(602) 외부 면의 일부를 감싸고, 상단부(602)는 하단부(612)의 안쪽으로 들어와서 결합 된다.
이와 같이, 상단부(601, 602)와 하단부(611, 612)의 결합은 도 6a에서와 같이 상단부(601)가 하단부(611)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 될 수도 있고, 도 6b에서와 같이 하단부(612)가 상단부(602)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 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601)가 하단부(611)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 되는 것이 상단부(601)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동작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b에서와 같이 하단부가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 되는 것은 상단부(602)가 기울어질 때에 상단부(602)가 하단부(612)의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기울어질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기울어지는 각도의 제한을 받을 수 있고, 상단부(602)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에 마우스를 잡고 있는 손이 하단부(612)에 걸려서 마우스의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단부가 하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손의 각도와 마우스 사용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는 마우스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책상(701)에 자연스럽게 손(710)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가상으로 마우스의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과 마우스를 이동하는 동작을 실행해 보면, 손(710)의 각도가 책상과 수평이 이루는 것이 아니라 새끼 손가락(715) 쪽으로 기울어진다.
마우스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손(710)의 각도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7b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는 마우스(720)를 손(710)으로 잡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마우스(720)를 잡은 손의 각도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있어 보기에도 불편해보일 뿐 아니라 실제로 마우스(720)에 손(710)을 올려놓고 사용을 해보아도 불편함을 바로 느낄 수 있다.
다음, 도 7c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730)를 손(710)으로 잡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의 마우스(730)에서는 도 7b의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는 마우스(720)와는 다르게 마우스에 손(710)을 올려놓으면 사용하기 편안한 각도로 상단부(740)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마우스의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 없이 편안한 손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사용자가 마우스를 오른손으로 파지하였을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왼손으로 파지하였을 경우에도 기울어지는 방향만 반대일뿐 다른 사항들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상단부의 기울어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탄성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미끄럼 방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상단부의 측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손의 각도와 마우스 사용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상단부 110 : 하단부
120 : 탄성부

Claims (4)

  1. 버튼을 포함하는 상단부(Upper Portion);
    상기 상단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단부(Lower Portion); 및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Elasticity)을 가지며, 상기 상단부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탄성부(Elastic Portion);
    를 포함하는 롤링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단부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단축방향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롤링 마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수평면과 하단부의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50도(°) 이상 +50도(°) 이하인 롤링 마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롤링 마우스.
KR1020070085439A 2007-08-24 2007-08-24 롤링 마우스 KR20090020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39A KR20090020839A (ko) 2007-08-24 2007-08-24 롤링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39A KR20090020839A (ko) 2007-08-24 2007-08-24 롤링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39A true KR20090020839A (ko) 2009-02-27

Family

ID=4068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39A KR20090020839A (ko) 2007-08-24 2007-08-24 롤링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08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512A1 (ko) * 2015-01-12 2016-07-21 김태수 컴퓨터용 마우스
WO2017052038A1 (en) * 2015-09-26 2017-03-30 Jae Wook Lee Mouse with adjustable angle
WO2017200265A1 (ko) * 2016-05-18 2017-11-23 이재욱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CN108695094A (zh) * 2017-04-07 2018-10-23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电子装置
FR3078421A1 (fr) * 2018-02-28 2019-08-30 Ark Souris pour ordinateur comprenant au moins un verin entre la semelle et le boiti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512A1 (ko) * 2015-01-12 2016-07-21 김태수 컴퓨터용 마우스
CN107111386A (zh) * 2015-01-12 2017-08-29 金泰洙 电脑鼠标
US9990057B2 (en) 2015-01-12 2018-06-05 Tae Soo Kim Mouse for computer
WO2017052038A1 (en) * 2015-09-26 2017-03-30 Jae Wook Lee Mouse with adjustable angle
US10324541B2 (en) 2015-09-26 2019-06-18 Jae Wook Lee Mouse with adjustable angle
WO2017200265A1 (ko) * 2016-05-18 2017-11-23 이재욱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CN108695094A (zh) * 2017-04-07 2018-10-23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8695094B (zh) * 2017-04-07 2019-11-22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电子装置
FR3078421A1 (fr) * 2018-02-28 2019-08-30 Ark Souris pour ordinateur comprenant au moins un verin entre la semelle et le boitier
WO2019166568A1 (fr) * 2018-02-28 2019-09-06 Ark Souris pour ordinateur comprenant au moins un verin entre la semelle et le boit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5667B1 (en) Apparatus for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cursor control device
US20060139331A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JP5540418B2 (ja) マウス
KR20090020839A (ko) 롤링 마우스
US20060007152A1 (en) Computer finger mouse
TWI291120B (en) Ergonomically shaped computer pointing device and computer mouse
US7705827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20040051694A1 (en) Portable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use of such a device
US20100156832A1 (en) Ergonomic keyboard and laptop
US7176882B2 (en) Hand held control device with dual mode joystick for pointing and scrolling
US7057603B2 (en) Notebook computer force-controlled pointing stick device
EP1658606A2 (en) Ergonomic mouse
US20070285400A1 (en) Palm attached touch-pad computer mouse
US6402100B1 (en) Ergonomic lower arm support rest
CN102117138A (zh) 算盘式鼠标
KR19990037802A (ko) 컴퓨터용마우스장치
KR100629167B1 (ko) 틸팅 마우스
JP2006050512A (ja) データ入力方式
US20190384422A1 (en) Hand operated computer input device with palm heel support
KR100879390B1 (ko) 마우스 패드
KR200200914Y1 (ko) 마우스
CN219039720U (zh) 鼠标垫及计算机终端
US20050225532A1 (en) Big wheel mouse
KR100960674B1 (ko) 컴퓨터용 마우스
KR20080003860U (ko) 컴퓨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