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674B1 - 컴퓨터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674B1
KR100960674B1 KR1020090069614A KR20090069614A KR100960674B1 KR 100960674 B1 KR100960674 B1 KR 100960674B1 KR 1020090069614 A KR1020090069614 A KR 1020090069614A KR 20090069614 A KR20090069614 A KR 20090069614A KR 100960674 B1 KR100960674 B1 KR 10096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computer
charging
butt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주)큐비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비랩 filed Critical (주)큐비랩
Priority to KR102009006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미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고, 사용자 손가락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없거나 불편한 장애인들에게 마우스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으며, 별도의 어댑터 없이 컴퓨터 본체와 충전용 동글 장치 및 마우스 본체의 선택적인 연결을 통해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손쉬운 방법으로 충전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전을 위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마우스 본체와; 마우스 본체의 바닥에 위치되어 작업 표면에 접하여 미끄러지도록 구성되는 바닥면; 및 바닥면과 이웃하고, 바닥면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작업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둘 이상의 조작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우스, 마우스 본체, 바닥면, 조작버튼, 동시조작방지대, 컴퓨터 본체

Description

컴퓨터용 마우스{MOUSE FOR COMPUTER}
본 발명은 심미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추구할 수가 있고, 사용자 손가락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없거나 불편한 장애인들에게 마우스의 활용도를 높힐 수가 있으며, 별도의 어댑터 없이 컴퓨터 본체와 충전용 동글 장치 및 마우스 본체의 선택적인 연결을 통해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손쉬운 방법으로 충전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전을 위한 제작비용을 줄일 수가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Mouse)는 키보드(key board)와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주변장치의 하나로써,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에서 컴퓨터 화면 상에 현재 마우스 위치에 대응하는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켜 버튼으로 메뉴 항목 등을 선택하여 특정 명령을 실행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마우스는 볼마우스나 광마우스, 또는 이를 이용한 무선마우스이다. 볼마우스의 경우 마우스 본체가 이를테면 책상이나 기타 임의의 평면, 즉 작업 표면 상을 이동할 때 회전하는 볼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동 궤적을 검출함으로써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는 원리를 갖는다. 또한, 광마우스는 볼 대신 광센서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마우스는 작동이 간단하고 가벼워 각종 노트북컴퓨터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통상의 마우스는 두개의 조작버튼과 그 사이에 스크롤휠, 즉 휠버튼이 위치하여 마우스를 사용할 때 검지와 중지를 과도하게 벌린 상태로 작업을 하는데, 이 상태로 장기간 동안 좌우의 클릭버튼과 메뉴버튼을 사용하면 손가락이 쉽게 피로하게 된다. 심하게는 두 손가락의 첫번째 관절이 무리한 운동을 하여 관절염이 발생될 염려도 있다.
또한, 마우스는 본체의 상면에 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히 볼마우스의 경우 마우스 패드 또는 작업 표면이 평탄하지 못하여 마우스의 볼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마우스에 압력을 가하며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조작버튼이 조작되어 마우스 포인트의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의 상면에 조작버튼과 휠버튼이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휠버튼의 조작시 오조작으로 인해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휠버튼의 조작시 검지 또는 중지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기 때문에 그 조작이 어려운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우스는 심미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추구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미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손가락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없거나 불편한 장애인들에게 마우스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어댑터 없이 컴퓨터 본체와 충전용 동글 장치 및 마우스 본체의 선택적인 연결을 통해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손쉬운 방법으로 충전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전을 위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 본체와; 마우스 본체의 바닥에 위치되어 작업 표면에 접하여 미끄러지도록 구성되는 바닥면; 및 바닥면과 이웃하고, 바닥면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작업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둘 이상의 조작버튼;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조작버튼 사이에는 조작버튼이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시조작방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마우스 본체와 컴퓨터 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마우스 본체의 배터리에 제공하는 충전용 동글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충전용 동글 장치는 컴퓨터 본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컴퓨터용 연결 커넥터와, 컴퓨터용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인터페이스 가능한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본체에 공급하도록 인터페이스 가능한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와, 마우스 본체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제 1 무선통신부, 및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접촉 단자 형태로 제작되는 전원 공급용 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마우스 본체는 전원 공급용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원 공급용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인터페이스 가능한 동글용 인터페이스부와, 동글용 인터페이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글용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마우스 본체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부와, 배터리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 공급부와, 배터리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으로 구동하면서 마우스 본체의 이동궤적정보와 조작버튼의 동작정보를 검출하는 구동센서부, 및 제 1 무선통신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구동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제 2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컴퓨터용 마우스는 심미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손가락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없거나 불편한 장애인들에게 마우스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어댑터 없이 컴퓨터 본체와 충전용 동글 장치 및 마우스 본체의 선택적인 연결을 통해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손쉬운 방법으로 충전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전을 위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컴퓨터용 마우스는 무선마우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유선을 이용하는 볼마우스나 광마우스에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용 마우스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용 마우스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10)는 크게 마우스 본체(100)와 바닥면(200) 및 조작버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우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1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사용자가 반주먹을 쥔 상태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마우스 본체(100)는 통상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나, 이 외에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마우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컴퓨터용 마우스(10)의 구동을 위한 각종의 소자와 부품이 구비된다.
한편, 도 1에서는 마우스 본체(100)의 상측에 컴퓨터 본체(400)의 모니터(미도시)화면에 표시된 실행창의 정보를 스크롤링하는 휠버튼(102)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컴퓨터용 마우스(10)를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제조상황 등에 따라 휠버튼(102)이 없을 수도 있다.
바닥면(200)은 마우스 본체(100)의 바닥에 위치되어 책상이나 기타 임의의 평면, 즉 작업 표면에 접하여 미끄러질 수 있도록 수평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바닥면(200)에는 볼마우스의 경우 볼(미도시)이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고, 광마우스의 경우 광센서(미도시)가 광원을 조사하도록 배치되어 컴퓨터용 마우스(10)의 이동 궤적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작버튼(300)은 바닥면(200)과 이웃하고, 바닥면(20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작업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조작버튼(300)은 마우스 본체(100)의 좌측에 마련되어 컴퓨터 본체(400)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지정하여 실행시키는 좌측버튼과, 본체(100)의 우측에 마련되어 모니터 상에서 단축메뉴와 같은 특정 명령을 실행시키 는 우측버튼으로 구성되며, 이를 누름, 즉 클릭하거나 또는 클릭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마우스(10)를 드래그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버튼(300) 및 휠버튼(102)에 의해 선택되어 실행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윈도우(Windows) 운영 체제의 경우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실행창을 구현하며, 이 실행창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10)는 사용자가 조작버튼(3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1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조작버튼(300)을 각각 눌러줌으로써 마우스(10)의 기능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10)는 심미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추구할 수가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으며, 조작버튼(300)이 휠버튼(102)과 떨어져 바닥면(200)과 이웃하게 배치됨으로써 조작버튼(300)의 오조작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조작버튼(300)은 좌측버튼과 우측버튼이 상호 접하여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눌러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작버튼(300) 사이에는 조작버튼(300)이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시조작방지대(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조작방지대(210)는 조작버튼(300), 즉 좌측버튼과 우측버튼 사이에 완충 지대를 형성함으로써 좌측버튼과 우측버튼이 동시에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시조작방지대(210)는 조작버튼(300)이 좌측과 우측을 포함하여 2개일 경우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나만 있으면 되나, 컴퓨터용 마우스(10)의 사용환경이나 제조환경 등에 따라 조작버튼(300)의 개수가 늘어날 경우 그에 따라 더 늘어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용 동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충전용 동글 장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마우스 본체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충전용 동글 장치(150)는 마우스 본체(100)와 컴퓨터 본체(4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400)의 전원을 마우스 본체(100)의 배터리에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용 동글 장치(150)는 충전용 동글 모듈(150a), 충전용 커넥터(150b), 전원 공급용 단자(150c)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용 동글 모듈(150a)은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150a1),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150a2), 제 1 무선통신부(150a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컴퓨터용 연결 커넥터(150b)는 컴퓨터 본체(4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150a1)는 컴퓨터용 연결 커넥터(15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40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인터페이스 가능하게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컴퓨터용 연결 커넥터(150b)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로 제작될 수가 있다.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150a2)는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150a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150a1)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400)의 전원을 이후에 진술할 마우스 본체(100)의 배터리 충전부(160)에 공급하도록 인터페이스 가능하게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무선통신부(150a3)는 이후에 진술할 마우스 본체(100)의 제 2 무선통신부(19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150a1)에 통신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공급용 단자(150c)는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150a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150a2)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400)의 전원을 이후에 진술할 마우스 본체(100)의 동글용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배터리 충전부(160)에 공급하도록 접촉 단자 형태로 제작될 수가 있다.
마우스 본체(100)는 동글용 인터페이스부(140), 배터리 충전부(160), 배터리 전원 공급부(170), 구동센서부(180), 제 2 무선통신부(190)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동글용 인터페이스부(140)는 전원 공급용 단자(150c)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원 공급용 단자(150c)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40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인터페이스 가능하게 제공될 수가 있다.
배터리 충전부(160)는 동글용 인터페이스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글용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400)의 전원을 마우스 본체(100)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배터리 전원 공급부(170)는 배터리 충전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부(160)를 통해 충전된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구동센서부(180)는 배터리 전원 공급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전원 공급부(170)를 통해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으로 구동하면서 마우스 본체(100)의 이동궤적정보와, 조작버튼(300)의 동작정보를 검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구동센서부(180)는 도 1과 같이 휠버튼(102)이 마련되는 경우 휠버튼(102)의 동작정보 또한 검출하게 된다.
제 2 무선통신부(190)는 제 1 무선통신부(150a3)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구동센서부(180)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컴퓨터 본체(400)로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무선통신부(190)는 구동센서부(180)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컴퓨터 본체(400)로 전송하여 모니터를 통해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조작버튼(300) 또는 휠버튼(102)의 동작에 따라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실행창을 구현하며, 이 실행창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버튼(300)을 클릭하게 되면 이를 구동센서부(180)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제 2 무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세서, 즉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동글용 인터페이스부(140)는 도면 상에서 컴퓨터용 마우스(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마우스(10)의 좌, 우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10)는 심미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추구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10)는 바닥면을 이용한 조작버튼 방식이므로, 사용자 손가락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없거나 불편한 장애인들에게 마우스의 활용도를 높힐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10)는 별도의 어댑터 없이 컴퓨터 본체(400)와 충전용 동글 장치(150) 및 마우스 본체(100)의 선택적인 연결을 통해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손쉬운 방법으로 충전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전을 위한 제작비용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 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용 마우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용 마우스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용 동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충전용 동글 장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마우스 본체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우스 100: 마우스 본체
102: 휠버튼 140: 동글용 인터페이스부
150: 충전용 동글 장치 150a: 충전용 동글 모듈
150a1: 전원 및 신호 인터페이스부 150a2: 마우스 본체용 인터페이스부
150a3: 제 1 무선 통신부 150b: 컴퓨터용 연결 커넥터
150c: 전원 공급용 단자 160 : 배터리 충전부
170: 배터리 전원 공급부 180: 구동센서부
190: 제 2 무선 통신부 200: 바닥면
210: 동시조작방지대 300: 조작버튼

Claims (5)

  1. 마우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바닥에 위치되어 작업 표면에 접하여 미끄러지도록 구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면중 중앙 부분에 형성된 동시조작 방지대와;
    상기 바닥면과 이웃하고 상기 바닥면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동시조작 방지대의 나머지 전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작업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둘 이상의 조작버튼; 및
    상기 마우스 본체와 컴퓨터 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상기 마우스 본체의 배터리에 제공하는 충전용 동글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69614A 2009-07-29 2009-07-29 컴퓨터용 마우스 KR10096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14A KR100960674B1 (ko) 2009-07-29 2009-07-29 컴퓨터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14A KR100960674B1 (ko) 2009-07-29 2009-07-29 컴퓨터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674B1 true KR100960674B1 (ko) 2010-05-31

Family

ID=4228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614A KR100960674B1 (ko) 2009-07-29 2009-07-29 컴퓨터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6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0640U (ko) * 1986-11-15 1988-05-27
JPH0523246U (ja) * 1991-09-09 1993-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方位スイツチ付トラツクボール
JPH10326149A (ja) 1997-05-26 1998-12-08 Nec Shizuoka Ltd マウス入力装置
JP2009104937A (ja) * 2007-10-24 2009-05-14 Toshiba Corp ワイヤレス情報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0640U (ko) * 1986-11-15 1988-05-27
JPH0523246U (ja) * 1991-09-09 1993-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方位スイツチ付トラツクボール
JPH10326149A (ja) 1997-05-26 1998-12-08 Nec Shizuoka Ltd マウス入力装置
JP2009104937A (ja) * 2007-10-24 2009-05-14 Toshiba Corp ワイヤレス情報入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9419A1 (en) Thumb mountable cursor control and input device
US20100328205A1 (en) Magic finger mouse
US20040140954A1 (en) Two handed computer input device
US20050264522A1 (en) Data input device
US20120262369A1 (en) Hand-mountable device for providing user input
CN101124532A (zh) 计算机输入设备
CN201383127Y (zh) 右键触摸两用鼠标
US7321358B2 (en) Pointing stick with function pad for two handed operation
KR102053367B1 (ko)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60674B1 (ko) 컴퓨터용 마우스
CN111078032A (zh) 一种可预判两指合并趋势的指环式鼠标及预判方法
KR20170091959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US20090146954A1 (en) Wireless Mouse with Companion Wireless Mouse Pad
WO2022025579A1 (ko) 손가락 무선 마우스
KR20130015511A (ko) 마우스패드형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20120105330A1 (en) Mouse with adjustable switch
TWI823732B (zh) 滑鼠裝置
EP2511792A1 (en) Hand-mountable device for providing user input
KR200369111Y1 (ko) 상하좌우 스크롤링이 가능한 마우스
CN100361058C (zh) 两用计算机鼠标
CN211628214U (zh) 一种指环式鼠标
KR200277580Y1 (ko) 마우스
CN212276380U (zh) 一种单指操控触摸鼠标
KR200187673Y1 (ko) 컴퓨터의 마우스
CN213987447U (zh) 穿戴式手套鼠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