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295Y1 -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295Y1
KR200450295Y1 KR2020090011149U KR20090011149U KR200450295Y1 KR 200450295 Y1 KR200450295 Y1 KR 200450295Y1 KR 2020090011149 U KR2020090011149 U KR 2020090011149U KR 20090011149 U KR20090011149 U KR 20090011149U KR 200450295 Y1 KR200450295 Y1 KR 200450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ergonomic
present
wris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목
Original Assignee
양성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목 filed Critical 양성목
Priority to KR2020090011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2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70 내지 80도 각도로 경사진상태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와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인체공학적인 손잡이 모양으로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Description

인체공학적용 마우스{human organisism mouse}
본 고안은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70 내지 80도 각도로 경사진상태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와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인체공학적인 손잡이 모양으로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컴퓨터 상에서 문서 작성을 제외하고 그래픽 작업이나 게임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컴퓨터 주변기기이다. 이러한 마우스는 보통 컴퓨터 옆이나 컴퓨터 자판기 옆의 한 공간에 마우스 패드를 놓고 그 위에 마우스를 놓고 손을 얹어서 좌우 상하로 움직이며 마우스를 조작하게 된다. 유선, 무선의 두 종류가 있으나 마우스를 평지에 놓고 손을 얹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손이 팔과 90도 각도로 뒤틀리게 되며, 팔을 뻗은 상태에서 책상에 올려놓은 채 작업을 하게 되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팔목이 마비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어깨와 뒷목이 결 리게 되는 현상까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컴퓨터 옆에 마우스를 놓고 작업을 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가까운 거리에서 자연히 몸을 웅크리게 된다. 그로 인한 목 디스크의 위험이 따르고 또한 웅크린 자세로 인해 몸의 불균형을 유발하게 되며 가까운 거리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서 눈이 피로하게 된다.
마우스는 사용자가 마우스 패드 위에서 마우스를 쥐고 조작버튼을 클릭하거나 사방으로 움직이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중에서 손목에 가까운 특정부위(손바닥의 높은 부분)가 지속적으로 패드와 마찰을 일으키게 되므로 손바닥이 빨갛게 부어오르며 통증을 수반하게 되며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반복적으로 누적됨에 따라 관절(척골)에 이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반복사용 증후군(RIS.Repetitive Strain Injury)이 발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손가락에 통증이 생기며 감각이 없어지는 손신경 질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람의 손을 어깨에서부터 팔과 손목이 일자형으로 자연스럽게 놓여져야 불편함이 없는 인체공학적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인체공학적인 손잡이형의 핸드마우스이며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우스를 들어서 쥐고 사용하기 때문에 조작이 편 리하고 팔목의 마비와 어깨와 뒷목의 통증과 그 외 장시간의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육체의 피로감을 덜어주며 마우스를 조작하는 데 있어 종래의 마우스보다 빠르게 조작할 수 있고, 받침대와 일체형이기 때문에 바로 평지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우스 조작시 손바닥을 보호판으로 받쳐주어 마우스 패드와의 마찰을 방지하고 보호판을 손바닥의 굴곡에 따라 자연스럽게 굴곡되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여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더라도 손바닥 및 손목,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마우스를 제공함을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70 내지 80도 각도로 경사진상태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부 부위에 회전이동구(30)가 장착되어 있고,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검지부 부위에 좌측버튼(40)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우측버튼(50)이 장착되어 있는 몸체(10); 및 몸체(10) 후면에 형성된 손목보호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70 내지 80도 각도로 경사진상태로 인체 공학적인 타원형의 손잡이 모양으로 하여 직접 손으로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하면서 컴퓨터 작업을 함으로서 기존 마우스에서 손을 마우스 위에 얹음으로 하여 오는 팔과 목의 통증을 경감할 수 있고, 마우스를 책상 등 평지에 올려놓지 않기 때문에 편한 자세로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마우스를 조작하는 속도가 향상되며, 바로 평지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마우스에 연질의 구션재로 이루어진 손목보호대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므로써 마우스패드에 손바닥이 마찰됨을 방지하고 손바닥의 굴곡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호판이 굴곡되어져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 하더라도 손목과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70 내지 80도 각도로 경사진상태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부 부위에 회전이동구(30)가 장착되어 있고,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검지부 부위에 좌측버튼(40)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우측버튼(50)이 장착되어 있는 몸체(10); 및 몸체(10) 후면에 형성된 손목보호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있어서 몸체는 상부에 USB포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있어서 손목보호대는 상부표면이 유연성이 뛰어난 연질의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공학적용 마우스는 마우스를 평지에 올려놓았을 때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과 수직의 각도가 아닌 70 내지 80도 각도의 기울기로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마우스를 잡았을 때 팔목과 손의 각도를 생각하여 자연스럽게 팔목과 손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팔목에 무리를 주지 않고 편하게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70 내지 80도 각도로 경사진상태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마우스는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부 부위에 회전이동구(30)가 장착되어 있고,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검지부 부위에 좌측버튼(40)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우측버튼(50)이 장착되어 있는 몸체(10)와 몸체(10) 후면에 형성된 손목보호대(20)로 이루어진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체공학적용 마우스에 있어서 몸체는 상부에 USB포트가 장착되어 있어 USB메모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 마우스는 다수의 조작버튼(30, 40, 50)이 장착되어 있으며 몸체(10) 후면에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보호대(20)가 형성되어 있어 마우스의 디자인을 심플하게 하고 무엇보다 손바닥과 손목에 무리가 없도록 손목보호대(20)가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몸체(10)는 자동차를 연상시키듯 자동차의 모형으로 형성하 거나 동물의 캐릭터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하여 종래 일률적인 모양을 가진 마우스의 고정관념을 탈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마우스에서 손목보호대(20)는 마우스패드나 책상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바닥판을 잦은 마찰에 의해서도 마모되지 않고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10)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하고, 바닥판의 상부에는 손목에 가까운 손바닥의 돌출부분되거나 굴곡되어지 부분을 안정되고 편안하게 받쳐주는 쿠션재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쿠션재는 물침대에 사람이 누웠을때 인체의 굴곡에 따라 물침대가 물결치듯 굴곡되어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쿠션력과 더불어 유동이 자유롭고 유동되어 전체적인 모양이 변형된 후에는 원상태로의 복원력이 뛰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는 일상에서 흔히 접촉할 수 있는 연질의 실리콘고무가 적합하다. 하지만 실리콘고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실리콘 정도의 유연함과 복원력을 구비한 재료이면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마우스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마우스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마우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마우스를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마우스를 나타낸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20: 손목보호대
30: 회전이동구 40: 좌측버튼
50: 우측버튼 60: USB포트
70: 광센서부

Claims (3)

  1.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우스를 잡는 손잡이 부위가 바닥면에 대하여 70 내지 80도 각도로 경사진상태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부 부위에 회전이동구(30)가 장착되어 있고,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검지부 부위에 좌측버튼(40)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우측버튼(50)이 장착되어 있는 몸체(10); 및 몸체(10) 후면에 형성된 손목보호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에 USB포트(6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보호대는 상부표면이 유연성이 뛰어난 연질의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KR2020090011149U 2009-08-26 2009-08-26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KR200450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49U KR200450295Y1 (ko) 2009-08-26 2009-08-26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49U KR200450295Y1 (ko) 2009-08-26 2009-08-26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295Y1 true KR200450295Y1 (ko) 2010-09-17

Family

ID=4447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149U KR200450295Y1 (ko) 2009-08-26 2009-08-26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29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45B1 (ko) 2012-12-26 2014-02-2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그립각 조절 기능을 갖는 컴퓨터용 마우스
KR101374881B1 (ko) 2012-12-14 2014-03-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용 마우스
WO2017200265A1 (ko) * 2016-05-18 2017-11-23 이재욱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KR20190000829U (ko) 2017-09-25 2019-04-03 유지열 자세교정기
KR102281692B1 (ko) * 2020-03-29 2021-07-26 강미란 손목을 보호하는 마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465Y1 (ko) 2001-05-18 2001-10-29 박영호 마우스 대체용 펜타입 입력 장치
KR20030068353A (ko) * 2002-05-31 2003-08-21 박종권 스틱마우스
KR20070013012A (ko) * 2005-07-25 2007-01-30 강훈기 마우스 증후군 방지용 마우스
KR20090096926A (ko) * 2008-03-10 2009-09-15 와우테크 주식회사 손목 뒤틀림 보완 수직 수평형 광마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465Y1 (ko) 2001-05-18 2001-10-29 박영호 마우스 대체용 펜타입 입력 장치
KR20030068353A (ko) * 2002-05-31 2003-08-21 박종권 스틱마우스
KR20070013012A (ko) * 2005-07-25 2007-01-30 강훈기 마우스 증후군 방지용 마우스
KR20090096926A (ko) * 2008-03-10 2009-09-15 와우테크 주식회사 손목 뒤틀림 보완 수직 수평형 광마우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881B1 (ko) 2012-12-14 2014-03-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용 마우스
KR101366345B1 (ko) 2012-12-26 2014-02-2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그립각 조절 기능을 갖는 컴퓨터용 마우스
WO2014104690A2 (ko) * 2012-12-26 2014-07-0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그립각 조절 기능을 갖는 컴퓨터용 마우스
WO2014104690A3 (ko) * 2012-12-26 2014-09-1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그립각 조절 기능을 갖는 컴퓨터용 마우스
US9740308B2 (en) 2012-12-26 2017-08-22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uter mouse with automatic grip angle control function
WO2017200265A1 (ko) * 2016-05-18 2017-11-23 이재욱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KR20190000829U (ko) 2017-09-25 2019-04-03 유지열 자세교정기
KR102281692B1 (ko) * 2020-03-29 2021-07-26 강미란 손목을 보호하는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295Y1 (ko) 인체공학적용 마우스
US8216169B2 (en) Wrist support device
US6587090B1 (en) Finger securable computer input device
US5892499A (en) Forearm support for computer interface device
US7284300B1 (en) Grip for a handle
US20150103007A1 (en) Computer keyboard including a control unit and a keyboad screen
CA2534662C (en) Ergonomic mouse
CA2336423C (en) Wrist support for use with a computer mouse
KR200291263Y1 (ko) 핸드마우스
US7757998B1 (en) Computer mouse accoutrement (attachment) and method of preventing or alleviating carpel tunnel syndrome (CTS)
KR200358651Y1 (ko) 마우스 손목 지지대 (마우스-캡)
CN209980210U (zh) 一种多功能人体工学鼠标
KR200229820Y1 (ko) 손목보호판이 형성된 마우스
KR200283618Y1 (ko) 손목 보호대
CN202771383U (zh) 一种卧式拇指鼠标
KR200491598Y1 (ko) 자세교정기
CN216907169U (zh) 一种用于提手的护手套、提手及背包
CN208676417U (zh) 一种防治鼠标手的手套
NO334620B1 (no) Ergonomisk datamus
US20160198815A1 (en) Wrist Cushion Device
KR20090010413U (ko) 마우스 패드
KR200274068Y1 (ko) 스틱마우스
KR20030068353A (ko) 스틱마우스
JP2001243013A (ja) 指先だけで掴んで操作するマウスと手首の負担軽減の手首載せ台。
CN106527766A (zh) 一种人机工程学计算机输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