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858A - 액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액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858A
KR20170129858A KR1020177030022A KR20177030022A KR20170129858A KR 20170129858 A KR20170129858 A KR 20170129858A KR 1020177030022 A KR1020177030022 A KR 1020177030022A KR 20177030022 A KR20177030022 A KR 20177030022A KR 20170129858 A KR20170129858 A KR 20170129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liquid
opening
contain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지 스즈키
마사토시 아이하라
히로키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by 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3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 B67D1/003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the controls involving at least two different metering techn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78Ingredient cartridges
    • B67D1/0079Ingredient cartridges having their own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1Level gauges for beverage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diluent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1Carbonating by injecting CO2 in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67D1/108Pump mechanism of the peristalt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67D2001/0828Bags in box in pressurised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7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containers with adjustable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Abstract

공간절약화가 가능하고, 액체의 잔량 확인이나 보충 작업이나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액체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농축 원액이 봉입된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에 주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력에 기초하는 봉입부의 변형에 수반하여, 주출부의 주출구로부터 농축 원액이 주출되도록 구성된 원액 용기 (30)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4) 와, 수용부 (4) 에 수용된 원액 용기 (30) 로부터의 농축 원액의 주출 및 정지를 제어하는 원액 주출 기구 (5) 를 구비하고, 원액 주출 기구 (5) 는, 봉입부로부터 주출부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를 개폐하는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주출부로부터 주출구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와,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각각 제어하는 개폐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체 디스펜서 {LIQUID DISPENSER}
본 발명은 액체가 봉입된 용기로부터 상기 액체를 주출 (注出) 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액체 디스펜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액체를 주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액체 디스펜서의 일례로서의, 액체의 일례로서의 음료를 컵 (C) 등에 주출하는 음료 디스펜서가 알려져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 디스펜서 (101) 는, 액체의 일례로서, 희석액에 의해 희석됨으로써 무탄산 음료를 구성하는 농축 원액이 봉입되어 있는 백 인 박스 (이하, 「BIB」 라고 기재한다.) (130) 를 복수 수용하는 수용부 (104), 수용부 (104) 에 수용된 BIB (130) 로부터 무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을 주출하기 위한 원액 주출 기구 (105), 주출된 무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을 희석하기 위한 음료수 (희석액) 를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 라인 (108) 의 종단에 구비된 희석액 노즐 (118), 원액 공급 라인 (117) 으로부터 주출되는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을 희석하기 위한 탄산수 (희석액) 의 탄산수 공급 기구 (113), 탄산수 공급 기구 (113) 및 원액 공급 라인 (117) 의 냉각조 (115) 등을 구비한 디스펜서 본체 (102) 와, 수돗물로부터 음료수를 생성하고, 음료수를 희석액으로서 디스펜서 본체 (102) 로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 기구 (107), 탄산 가스가 봉입된 가스 봄베 (109), 액체의 일례로서, 희석액에 의해 희석됨으로써 탄산 음료를 구성하는 농축 원액이 저류되어 있는 시럽 탱크 (120),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의 시럽 공급 기구 (121) 등을 구비하고 있다.
BIB (130) 는, 주로 차류 등의 무당 음료의 농축 원액이 봉입된, 유연성이 있는 수지제 주머니 모양의 용기를, 골판지 등의 박스형 케이스에 수용한 것으로, 주머니 모양의 용기에는 유연성이 있는 수지제 튜브 (111) 의 일단이 연통되고, 그 튜브 (111) 의 타단의 주출구 (119) 로부터 농축 원액이 주출된다. 무당 음료는 냉각이 필요하기 때문에, BIB (130) 는 디스펜서 본체 (102) 의 내부에 수용된다.
한편, 시럽 탱크 (120) 는, 주로 사이다 등의 유당 음료의 농축 원액이 봉입된 것으로, 가스 봄베 (109) 와 함께, 디스펜서 본체 (102) 의 외부에, 예를 들어, 음료 디스펜서 (101) 의 설치대의 하부나, 점포의 백야드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농축 원액을 희석하는 희석액은, 희석 대상의 농축 원액이 무탄산 음료인 경우에는 음료수이고, 희석 대상의 농축 원액이 탄산 음료인 경우에는 탄산수이다. 또, 희석 대상의 음료가 미탄산 음료인 경우에는 음료수와 탄산수이다.
음료수의 음료수 공급 기구 (107) 는, 수돗물을 정화하는 정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음료수의 음료수 공급 기구 (107) 와 희석액 노즐 (118) 은 음료수 공급 라인 (108) 으로 접속되어 있다.
탄산수 공급 기구 (113) 는, 가스 봄베 (109) 내의 탄산 가스와, 음료수 공급 라인 (108) 으로부터의 분기 라인 (112) 으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를 혼합하여,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을 희석하기 위한 희석액으로서의 탄산수를 생성하는, 소위 카보네이터이며, 탄산수를 공급하기 위한 탄산수 공급 라인 (1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의 시럽 공급 기구 (121) 는, 가스 봄베 (109) 내의 탄산 가스를 이용하여, 시럽 탱크 (120) 의 농축 원액을 디스펜서 본체 (102) 로 공급하는 것이다. 시럽 공급 기구 (121) 와 디스펜서 본체 (102) 에 형성된 카보네이터는 원액 공급 라인 (117) 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원액 공급 라인 (117) 은, 디스펜서 본체 (102) 내에서 냉각조 (115) 내를 통과한다. 탄산수 및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은, 냉각조 (115) 를 통과됨으로써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다. 카보네이터로 정제된 탄산수는, 원액 공급 라인 (117) 으로부터 공급되는 농축 원액과 함께 탄산 음료 배출구 (116) 로부터 컵 (C) 에 주출된다.
디스펜서 본체 (102) 는, 그 전면 (前面) 에 개폐 가능한 문 (103) 을 구비하고 있다. 문 (103) 의 전면에는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한 조작부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문 (103) 은, 통상은 자물쇠를 채워 닫혀져 있지만, BIB (130) 의 교환이나, 디스펜서 본체 (102) 의 메인터넌스 등일 때에 열린다.
문 (103) 의 내측에는, BIB (130) 의 수용부 (104) 의 하방에는, 원액 주출 기구 (105) 로서 튜브 펌프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 펌프 기구는, BIB (130) 에 봉입된 농축 원액을 주출하기 위한 것으로, BIB (130) 마다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 펌프 기구의 하방에는, 주출구 (119) 에 나란히 희석액 노즐 (118) 이 배치 형성되고, 그 하방에는 음료 용기인 컵 (C) 의 컵 레스트 (10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컵 레스트 (106) 는, 주출구 (119) 나, 희석액 노즐 (118) 등으로부터 비산한 농축 원액 및 희석액이나, 컵 (C) 으로부터 넘친 음료를 받아내는 드립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문 (103) 의 조작 패널을 조작하면, 선택된 차나 쥬스 등의 농축 원액이 봉입되어 있는 BIB (130) 에 대응시켜 형성하고 있는 튜브 펌프 기구가 구동하고, 상기 농축 원액과 희석액이 컵 (C) 에 주출된다. 또는, 선택된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이 저류되어 있는 시럽 탱크 (120) 에 가스 봄베 (109) 로부터 탄산 가스를 공급하여 압송하고, 상기 농축 원액과 탄산수가 컵 (C) 에 주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46086호
상기 서술한 종래의 음료 디스펜서 (101) 는, 시럽 탱크 (120) 를 가스 봄베 (109) 와 함께, 디스펜서 본체 (102) 의 외부에, 예를 들어, 음료 디스펜서 (101) 의 설치대의 하부나, 점포의 백야드에 배치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디스펜서 본체 (102) 의 설치 스페이스와는 별도로 시럽 탱크 (120) 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해진다.
또, BIB (130) 와 시럽 탱크 (120) 가 상이한 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 농축 원액의 잔량 확인이나, BIB (130) 의 교환 작업과 시럽 탱크 (120) 의 보충 작업을 상이한 장소에서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시럽 탱크 (120) 와 디스펜서 본체 (102) 를 접속하는 원액 공급 라인 (117) 의 초기 설치시의 처리 작업이나, 설치 후의 세정 작업이 번잡하고, 설치 비용이나 메인터넌스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간절약화가 가능하고, 액체의 잔량 확인, 보충 작업, 및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나 메인터넌스 비용이 저렴한 액체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액체 디스펜서의 특징 구성은, 액체가 봉입된 용기로부터 상기 액체를 주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로서, 상기 액체가 봉입된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와, 상기 액체를 외부에 주출하기 위한 주출부로서, 주머니 모양의 상기 봉입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주출부를 구비하고, 외력에 기초하는 상기 봉입부의 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주출부에 구비된 주출구로부터 상기 액체가 주출되도록 구성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로부터의 상기 액체의 주출 및 정지를 제어하는 액체 주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주출 기구는, 적어도, 상기 봉입부로부터 상기 주출부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를 개폐하는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상기 주출부로부터 상기 주출구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와,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각각 제어하는 개폐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련된, 액체가 봉입된 용기로부터 상기 액체를 주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를, 농축 원액이 봉입된 원액 용기로부터 상기 농축 원액을 주출하기 위한 음료 디스펜서에 적용하면, 액체로서의 무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이 봉입된 원액 용기 뿐만 아니라, 액체로서의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이 봉입된 원액 용기도 음료 디스펜서의 수용부에 수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인 시럽 탱크를 음료 디스펜서의 외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원액 공급 라인 등을 처리하는 작업이나, 세정 작업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나 메인터넌스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종래의 BIB 와 같이 주머니 모양의 용기를 또한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박스형 케이스에 수용하는 일 없이, 원액 용기 그 자체를 음료 디스펜서의 수용부에 직접 수용함으로써, 박스형 케이스 분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수용 스페이스이면, 보다 큰 원액 용기나 보다 많은 원액 용기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인 공간절약화가 도모된다.
또한, 종래의 BIB 와 같은 주머니 모양의 용기를 덮는 박스형 케이스가 없기 때문에, 원액 용기 내의 농축 원액의 잔량 확인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액 용기의 교환 작업도 용이해졌다.
박스형 케이스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재료비, 제조비의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박스형 케이스가 없는 분, 비운 원액 용기의 폐기 작업도 용이해졌다.
개폐 제어 기구는,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하의 이점이 있다. 개폐 제어 기구에 의해,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가 제 2 밸브체를 닫은 채로,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가 제 1 밸브체를 열면, 봉입부의 변형에 수반하여,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에 끼인 주출부에 농축 원액이 주출된다. 다음으로, 제 1 밸브체를 닫고, 제 2 밸브체를 열면, 조금 전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에 끼인 주출부에 주출된 농축 원액이 주출구에서 외부로 주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밸브체를 2 개 구비함으로써, 2 개의 밸브체에 끼인 분마다 농축 원액을 단속적으로 주출할 수 있다. 즉, 2 개의 밸브체에 끼인 주출부를 농축 원액의 계량 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를 변형시키는 외력은,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에 인가되는 중력이어도 되고, 압압력 (押壓力) 이어도 되고, 원심력이어도 된다.
또, 용기에 봉입되어 있는 액체는, 상기와 같은 농축 원액에 한정되지 않고, 음료 그 자체여도 되며, 이 경우도 액체 디스펜서로서 상기 서술한 음료 디스펜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 제어 기구는, 상기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의 양방이 동시에 열리는 일이 없도록,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및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제어하면 적합하다.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가, 동시에 열림으로써 액체가 주출되는 채로 두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봉입부를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한 제 1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를 변형시키는 외력을, 제 1 가압 기구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제 1 가압 기구로는,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를 끼워 넣는 구성이어도 되고,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의 주위의 압력을 높이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 1 가압 기구에 의해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의 변형을 제어함으로써, 액체의 주출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적어도 상기 제 1 밸브체가 열려져 있을 때에 기능하면 적합하다.
제 1 밸브체가 열려 있을 때 제 1 가압 기구가 기능함으로써, 봉입부의 액체는, 확실하게 주출부로 주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주출부 중 상기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을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한 제 2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제 2 가압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을 외부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그 부분의 액체를 확실하게 주출할 수 있다. 제 2 가압 기구로는, 상기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을 끼워 넣는 구성이어도 되고, 상기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의 주위의 압력을 높이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밸브체 및 상기 제 2 밸브체는 액체 디스펜서측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용기에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를 구비하지 않고 끝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밸브체 및 상기 제 2 밸브체는 상기 용기측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액체 디스펜서에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를 구비하지 않고 끝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밸브체는 액체 디스펜서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밸브체는 상기 용기측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용기측에 구비되는 제 2 밸브체로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열리는 릴리프 밸브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체가, 음료이면 적합하다.
공간절약화가 가능하고, 음료의 잔량 확인이나 보충 작업이나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음료 디스펜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체가, 희석액과 혼합됨으로써 음료를 구성하는 농축 원액이면 적합하다.
공간절약화가 가능하고, 농축 원액의 잔량 확인이나 보충 작업이나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음료 디스펜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희석액의 공급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희석액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희석액 공급 기구는, 계외의 물을 도입하고, 상기 물로부터 음료수를 생성하고, 상기 음료수를 상기 희석액으로서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액체로서의 무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과, 음료수 주출 기구로부터 주출되는 희석액으로서의 음료수로, 무탄산 음료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희석액의 공급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희석액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탄산 가스가 봉입된 가스 봄베를 접속 가능하고, 상기 희석액 공급 기구는, 계외의 물을 도입하고, 상기 물과 상기 탄산 가스로부터 탄산수를 생성하고, 상기 탄산수를 상기 희석액으로서 공급하는 탄산수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액체로서의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과, 탄산수 공급 기구로부터 주출되는 희석액으로서의 탄산수로, 탄산 음료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 기구나 상기 제 2 가압 기구의 동력원으로서, 예를 들어, 희석액으로서의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한 탄산 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산수 공급 기구를 냉각시키는 냉각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탄산 가스는, 온도가 낮을수록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크다. 냉각 기구에 의해 탄산수 공급 기구를 냉각시킴으로써, 탄산수 공급 기구는, 보다 효율적으로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매다는 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용기를, 수용부에 구비된 매다는 부에 매달아 설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용기의 수용이 간단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냉각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냉각 기구에 의해, 용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액체가 특히 차류 등의 무당 음료의 농축 원액인 경우에, 그 유통 기한의 연명이나 품질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를,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박스형 케이스 등으로 덮지 않고 그대로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각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디스펜서의 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디스펜서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디스펜서에 수용되는 원액 용기의 설명도로서, (a) 는 음료 디스펜서에 수용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 (b) 는 음료 디스펜서에 수용된 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원액 주출 기구의 설명도로서, (a) 는 준비 중의 설명도, (b) 는 주출 전의 단면도, (c) 는 주출 중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액 주출 기구의 설명도로서, (a) 는 준비 중의 설명도, (b) 는 주출 전의 단면도, (c) 는 주출 중의 설명도이다.
도 6 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액 주출 기구의 설명도로서, (a) 는 준비 중의 설명도, (b) 는 주출 전의 단면도, (c) 는 주출 중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액 주출 기구의 설명도로서, (a) 는 준비 중의 설명도, (b) 는 주출 전의 단면도, (c) 는 주출 중의 설명도이다.
도 8 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액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9 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액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10 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액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음료 디스펜서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액체 디스펜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디스펜서의 일례로서의 음료 디스펜서 (1) 는, 전면에 개구를 갖는 디스펜서 본체 (2) 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문 (3) 을 갖고, 디스펜서 본체 (2) 의 내부의 수용부 (4) 에 복수의, 액체가 봉입된 용기의 일례로서의 원액 용기 (30) 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4) 에는 8 개의 원액 용기 (30) 가 수용되어 있다. 원액 용기 (30) 에는, 액체의 일례로서, 희석액에 의해 희석됨으로써, 예를 들어, 차류 등의 무당 음료를 구성하는 10 배 농축의 농축 원액이나, 액체의 일례로서, 희석액에 의해 희석됨으로써, 사이다 등의 유당 음료를 구성하는 액체의 일례로서의 6 배 농축의 농축 원액이 봉입되어 있다. 음료 디스펜서 (1) 는, 수용부 (4) 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 기구에 의해, 수용부 (4) 에 수용된 각 원액 용기 (30) 는 소정의 온도로 냉각되고 있다.
문 (3) 의 표면에는, 차류 등의 무당 음료나, 사이다 등의 유당 음료 등의 메뉴로부터,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구비한 조작부 (도시 생략)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4) 의 하방에는, 원액 용기 (30) 에 봉입되어 있는 농축 원액을 주출하는, 액체 주출 기구의 일례로서의 원액 주출 기구 (5)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원액 주출 기구 (5) 의 하방에는, 컵 (C) 의 받침대인 컵 레스트 (6)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료를 주출하는 용기는, 컵 (C) 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글래스, 피처 등의 음료를 주출 가능한 용기가 사용된다.
디스펜서 본체 (2) 에는, 계외의 물을 도입하여 음료수를 생성하고, 음료수를 희석액으로서 디스펜서 본체 (2) 로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 기구 (7) 가 음료수 공급 라인 (8)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디스펜서 본체 (2) 에는, 탄산 가스가 봉입된 가스 봄베 (9) 가, 가스 공급 라인 (10)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 는, 음료 디스펜서 (1) 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료 디스펜서 (1) 의 디스펜서 본체 (2) 에는, 수용부 (4) 의 내부에 구비된 매다는 부로서의 훅 (18) 에 매달아 설치된 원액 용기 (30) 의 주출부 (32) 를 개폐하여, 선택된 음료에 따라 무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 또는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을 주출하기 위한 원액 주출 기구 (5) 나, 음료수 공급 기구 (7) 로 수돗물로부터 생성된 무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을 희석하기 위한 희석액으로서의 음료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수 공급 라인 (8) 이나, 가스 공급 라인 (10) 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봄베 (9) 내의 탄산 가스와, 음료수 공급 라인 (8) 으로부터의 분기 라인 (12) 으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를 혼합하여 탄산 음료의 농축 원액을 희석하기 위한 희석액으로서의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공급 기구 (13) 로서의 카보네이터나, 상기 탄산수를 공급하기 위한 탄산수 공급 라인 (14) 등이 구비되어 있다. 탄산수 공급 기구 (13) 와 탄산수 공급 라인 (14) 의 일부는, 디스펜서 본체 (2) 의 내부에 배치 형성된 냉각조 (15) 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원액 용기 (30) 의 주출부 (32) 나, 음료수 공급 라인 (8) 이나, 탄산수 공급 라인 (14) 의 종단부는, 음료 배출구 (16) 에 개방되어 있다. 음료 배출구 (16) 는 반드시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3(a) 는, 원액 용기 (3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액 용기 (30) 는, 농축 원액이 봉입된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 (31) 와, 농축 원액을 외부에 주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 (31)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출부 (32) 를 구비하고 있다. 원액 용기 (30) 의 봉입부 (31) 중 주출부 (32) 와는 반대측의 주연부 (周緣部) 에는, 원액 용기 (30) 를 훅 (18) 에 걸기 위한 매다는 구멍 (33) 이 구비되어 있다.
원액 용기 (30) 는, 가요성의 수지제 2 매의 시트를 중첩하고, 주연부를 박리 불가능하게 히트 시일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는, 원액 용기 (30) 는, 2 매의 시트를 중첩하고, 주출부 (32) 를 남기고 봉입부 (31) 의 주연부를 히트 시일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성형하고, 봉입부 (31) 에 농축 원액을 주입한 후에, 주출부 (32) 의 주연부를 히트 시일하여 액밀 (液密) 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단, 시일 방법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출부 (32) 로부터 충전하지 않고, 봉입부 (31) 의 주연부로부터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원액 용기 (30) 의 제조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주연부에 매다는 구멍 (33) 이 형성된다.
시트는, 적어도 원액 용기 (30) 의 내측되는 면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층 또는 다층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성, 유연성 및 위생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인 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α-올레핀-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성능 향상을 위해서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내열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일부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시트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폴리올레핀 수지 등에 의해 각각의 층이 구성되는 다층의 시트여도 된다. 다층의 시트의 경우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2 매의 시트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히트 시일이 용이한 점에서, 적어도 대향면은 동종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조, 폐기 처분의 용이로부터 동일한 시트, 나아가서는 단일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액 용기 (30) 를 투명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로 성형함으로써, 봉입되어 있는 농축 원액의 간이한 식별이나, 잔량의 육안 확인, 색의 변화나 탁함 등의 발견이 용이해진다.
원액 용기 (30) 의 봉입부 (31) 의 표면에는, 봉입되어 있는 농축 원액의 종류나, 잔량이나, 소비 기한을 나타내는 눈금을 표시해도 된다.
시트의 두께는, 30 ∼ 6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 ∼ 400 ㎛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액 용기 (30) 는, 농축 원액을 거의 완전히 주출시킨 후에는 얇은 시트상이 되므로, 컴팩트하게 접어 폐기 처분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원액 용기 (30) 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다는 구멍 (33) 을, 디스펜서 본체 (2) 의 수용부 (4) 의 내부에 구비된 훅 (18) 에 걸음으로써, 주출부 (32) 가 하방이 되는 상태로 매달려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주출부 (32) 의 하단을, 그 하단에 형성된, 도 3(a) 에 나타내는 절결부 (34) 를 기점으로, 알코올 스프레이로 소독된 손가락이나, 가위 등으로 수평 또는 비스듬하게 잘라버림으로써,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단이 형성되고, 이 개방단이 주출구 (35) 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원액 주출 기구 (5) 에 대해 설명한다.
주출부 (32) 의 봉입부 (31) 측에는 핀치 밸브 (4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주출부 (32) 의 주출구 (35) 측에는 핀치 밸브 (42)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핀치 밸브 (41, 42) 는, 예를 들어, 전자력으로 구동하는 플런저가, 주출부 (32) 를 협지 (挾持) 또는 협지하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 (通流)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핀치 밸브 (41) 는,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이고, 이 제 1 밸브체로서의 핀치 밸브 (41) 의 플런저를 구동시켜 핀치 밸브 (41) 를 개폐하는 기구가,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핀치 밸브 (42) 는, 주출부 (32) 로부터 주출구 (35)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이고, 이 제 2 밸브체로서의 핀치 밸브 (42) 의 플런저를 구동시켜 핀치 밸브 (42) 를 개폐하는 기구가,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개폐 제어 기구에 의해, 핀치 밸브 (41) 의 플런저와, 핀치 밸브 (42) 의 플런저의 양방이 동시에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들 제 1 밸브체, 제 2 밸브체,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 및 개폐 제어 기구가 원액 주출 기구 (5) 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 즉 핀치 밸브 (41) 나, 제 2 밸브체 즉 핀치 밸브 (42) 가 닫힌다는 것은, 핀치 밸브 (41) 나 핀치 밸브 (42) 의 플런저가 주출부 (32) 를 협지하고, 그 협지된 부분에 있어서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제 1 밸브체 즉 핀치 밸브 (41) 나, 제 2 밸브체 즉 핀치 밸브 (42) 가 열린다는 것은, 핀치 밸브 (41) 나 핀치 밸브 (42) 의 플런저가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는 것을 말한다.
핀치 밸브 (41) 와 핀치 밸브 (42) 의 간격은, 핀치 밸브 (41) 나 핀치 밸브 (42) 를 닫았을 때에, 그 사이의 주출부 (32) 에 저류되는 농축 원액의 양이, 주출 1 회당의 규정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요컨대 핀치 밸브 (41, 42) 는 농축 원액의 계량 기구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원액 용기 (30) 를 수용하는 수용부 (4) 는, 원액 용기 (30) 를 매달아 설치한 상태에서, 주위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밀폐 공간으로 구성되고, 이 밀폐 공간에는, 가스 봄베 (9) 내의 탄산 가스를 가압 가스로서 공급하는 가압 가스 공급 기구 (도시하지 않음) 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 (4) 는, 가압 가스 공급 기구에 의해 공급된 가압 가스를 릴리프하는 압력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가스 공급 기구에 의해 수용부 (4) 의 내부를 양압 상태로 함으로써, 봉입부 (31) 는 변형을 재촉받고, 내부에 봉입된 농축 원액은 주출부 (32) 로 확실하게 압출 (押出) 된다. 상기 가압 가스 공급 기구가, 봉입부 (31) 를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한 제 1 가압 기구이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 가스 공급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수용부 (4) 의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하고, 원액 용기 (30) 에 소정의 압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핀치 밸브 (42) 를 닫고, 또한 핀치 밸브 (41) 를 열면, 봉입부 (31) 내의 농축 원액은 중력과 함께, 상기 양압에 기초하는 압압력에 의해,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로 통류된다.
다음으로,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치 밸브 (42) 를 닫은 채로, 핀치 밸브 (41) 를 닫으면,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정지된다.
마지막으로,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치 밸브 (41) 를 닫은 채로, 핀치 밸브 (42) 를 열면, 주출부 (32) 내의 농축 원액이, 주출구 (35) 로부터 외부로 주출된다.
이와 같이, 원액 주출 기구 (5) 와 상기 가스 공급 기구의 제어가 적절히 실시됨으로써, 원액 용기 (30) 로부터 규정량의 농축 원액이 적절히 주출된다.
또, 핀치 밸브 (41, 42) 의 개폐 제어에 연동시키면서, 제 1 가압 기구에 의해 인가하는 압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주출구 (35) 로부터 주출되는 농축 원액의 주출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가압 기구도 계량 기구로서 기능한다.
이용자가, 원하는 음료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을 조작하면, 조작된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원액 주출 기구 (5) 가 제어되어, 원액 용기 (30) 에 봉입되어 있는 농축 원액이 주출구 (35) 로부터 주출되고, 이것과 동시에 음료수 또는 탄산수 중 주출된 농축 원액에 대응하는 희석액이, 음료수 공급 라인 (8) 또는 탄산수 공급 라인 (14) 으로부터 공급되고, 음료 배출구 (16) 로 조정된 음료가 컵 (C) 에 공급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밸브체가 핀치 밸브 (41) 이고, 제 2 밸브체가 핀치 밸브 (42) 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및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 그리고 개폐 제어 기구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액 주출 기구 (5) 는,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튜브 펌프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 튜브 펌프 기구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되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유지된 복수의 롤러 (51) 를 갖는 로터 (52) 와, 로터 (52) 와의 사이에 주출부 (32) 를 협지하는 수압벽 (受壓壁) (53) 을 구비하고 있다.
롤러 (51) 및 수압벽 (53) 의 사이에 주출부 (32) 를 배치 형성하여 로터 (52) 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롤러 (51) 가 순차 주출부 (32) 를 수압벽 (53) 에 압압하여 이동하면서 훑음으로써 농축 원액이 주출구 (35) 로부터, 인접하는 롤러 (51) 의 1 구분씩, 즉 소정량씩 주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튜브 펌프 기구는, 조작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 로터 (52) 를 계속 회전시킴으로써, 농축 원액을 연속적으로 주출할 수 있다.
로터 (52) 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주출부 (32) 에 맞닿는 롤러 (51) 및 수압벽 (53) 이,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 또는, 주출부 (32) 로부터 주출구 (35)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이고, 이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터 (52) 가,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하고, 로터 (52) 를 회전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가 개폐 제어 기구를 구성한다.
어느 롤러 (51) 도 수압벽 (53) 과의 사이에서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각 롤러 (51) 는 로터 (52) 의 둘레 방향의 소정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밸브체, 제 2 밸브체,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 및 개폐 제어 기구가 원액 주출 기구 (5) 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롤러 (51) 와 수압벽 (53) 이 닫힌다는 것은, 롤러 (51) 및 수압벽 (53) 이 주출부 (32) 를 협지하고, 그 협지된 부분에 있어서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롤러 (51) 와 수압벽 (53) 이 열린다는 것은, 롤러 (51) 및 수압벽 (53) 이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는 것을 말한다.
원액 주출 기구 (5) 는,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핑거 펌프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 핑거 펌프 기구는, 주출부 (32) 의 배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핑거 (61) 와, 핑거 (61) 와의 사이에 주출부 (32) 를 협지하는 수압벽 (63) 과, 핑거 (61) 를 순차 진퇴 이동시키는 캠 기구 (62) 를 구비하고 있다.
핑거 (61) 및 수압벽 (63) 의 사이에 주출부 (32) 를 배치 형성하여 각 핑거 (61) 를 순차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 연동 운동으로 주출부 (32) 를 훑음으로써 농축 원액이 주출구 (35) 로부터, 각 핑거 (61) 의 1 위상분씩, 즉 소정량씩 주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핑거 펌프 기구는, 조작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 각 핑거 (61) 를 계속 연동 운동시킴으로써, 농축 원액을 연속적으로 주출할 수 있다.
핑거 (61) 중 주출부 (32) 의 봉입부 (31) 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핑거 (61) 가,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이고, 핑거 (61) 중 주출부 (32) 의 주출구 (35) 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핑거 (61) 가, 주출부 (32) 로부터 주출구 (35)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이고, 이들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를 진퇴 이동시키기 위한 캠 기구 (62) 가,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하고, 캠 기구 (62) 를 구동하기 위한,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가 개폐 제어 기구를 구성한다.
어느 핑거 (61) 도 수압벽 (63) 과의 사이에서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캠 기구 (62) 에 의해 진퇴 이동된다.
이들 제 1 밸브체, 제 2 밸브체,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 및 개폐 제어 기구가 원액 주출 기구 (5) 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핑거 (61) 와 수압벽 (63) 이 닫힌다는 것은, 핑거 (61) 및 수압벽 (63) 이 주출부 (32) 를 협지하고, 그 협지된 부분에 있어서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핑거 (61) 와 수압벽 (63) 이 열린다는 것은, 핑거 (61) 및 수압벽 (63) 이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는 것을 말한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원액 주출 기구 (5) 는, 주출부 (32) 의 봉입부 (31) 측에 배치 형성된 상부 협지 부재와, 주출부 (32) 의 주출구 (35) 측에 배치 형성된 하부 협지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상기 양 협지 부재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하고, 주출부 (32) 를 협지함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고,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협지 부재가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이고, 상기 하부 협지 부재가 주출부 (32) 로부터 주출구 (35)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이고, 이들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를 개폐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나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나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는, 개폐 제어 기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개폐 제어 기구는, 상기 상부 협지 부재와 상기 하부 협지 부재가, 동시에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나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각각 제어한다.
이들 제 1 밸브체, 제 2 밸브체,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 및 개폐 제어 기구가 원액 주출 기구 (5) 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상기 상부 협지 부재나 상기 하부 협지 부재가 닫힌다는 것은, 상기 상부 협지 부재나 상기 하부 협지 부재가 주출부 (32) 를 협지하고, 그 협지된 부분에 있어서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상기 상부 협지 부재나 상기 하부 협지 부재가 열린다는 것은, 상기 상부 협지 부재나 상기 하부 협지 부재가 주출부 (32) 를 협지하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원액 주출 기구 (5) 는, 주출부 (32) 의 봉입부 (31) 측을 접어 구부릴 수 있는 상부 절곡 기구와, 주출부 (32) 의 주출구 (35) 측을 접어 구부릴 수 있는 하부 절곡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상기 양 절곡 기구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하고, 주출부 (32) 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고, 주출부 (32) 를 접어 구부리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절곡 기구가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이고, 상기 하부 절곡 기구가 주출부 (32) 로부터 주출구 (35)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이고, 이들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를 개폐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나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나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는, 개폐 제어 기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개폐 제어 기구는, 상기 상부 절곡 기구와 상기 하부 절곡 기구가, 동시에 주출부 (32) 를 접어 구부리지 않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나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각각 제어한다.
이들 제 1 밸브체, 제 2 밸브체,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 및 개폐 제어 기구가 원액 주출 기구 (5) 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상기 상부 절곡 기구나 상기 하부 절곡 기구가 닫힌다는 것은, 상기 상부 절곡 기구나 상기 하부 절곡 기구가 주출부 (32) 를 접어 구부리고, 그 접어 구부린 부분에 있어서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 즉 상기 상부 절곡 기구나 상기 하부 절곡 기구가 열린다는 것은, 상기 상부 절곡 기구나 상기 하부 절곡 기구가 주출부 (32) 를 접어 구부리지 않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압 기구로서, 원액 용기 (30) 를 수용하는 수용부 (4) 를 밀폐 공간으로 구성하고, 이 밀폐 공간에 접속된 상기 가압 가스 공급 기구에 의해 가스 봄베 (9) 내의 탄산 가스를 가압 가스로서 공급하고, 수용부 (4) 의 내부를 양압 상태로 함으로써, 봉입부 (31) 에 봉입된 농축 원액을 주출부 (32) 로 압출하도록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가압 기구는, 수용부 (4) 내에 원액 용기 (30) 에 인접하여 형성된 에어 백에 가스 봄베 (9) 내의 탄산 가스를 공급하여 부풀림으로써, 원액 용기 (30) 를 압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에어 백 대신에,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부풀어 오르는 워터 백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워터 백에 공급되어 거세진 냉각수에 의해, 원액 용기 (30) 에 봉입되어 있는 농축 원액의 냉각도 실시할 수 있다. 에어 백 또는 워터 백에 의한 압압의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주출구 (35) 로부터 주출되는 농축 원액의 주출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 1 가압 기구는, 수용부 (4) 내에 원액 용기 (30) 에 인접하여 형성된 가압 부재로 구성하고, 이 가압 부재를 원액 용기 (30) 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원액 용기 (30) 를 압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가압 부재의 이동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기계적 또는 유압적으로 실시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스프링이나, 스펀지와 같은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실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가압 부재의 이동은, 가압 부재의 자중에 의해 실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원액 용기 (30) 는 수용부 (4) 내에 매달아 설치하지 않고 재치 (載置) 하고, 수용부 (4) 에 재치된 원액 용기 (30) 상에 가압 부재를 재치하면 된다.
또, 제 1 가압 기구는, 봉입부 (31) 를 비틀음으로써 농축 원액을 짜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제 1 가압 기구와 동일한 구성을, 제 2 가압 기구로서, 주출부 (32) 중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을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하도록 구비해도 된다. 도 5(a) 내지 도 5(c) 에 나타내는 롤러 (51) 나, 도 6(a) 내지 도 6(c) 에 나타내는 핑거 (61) 는, 제 2 가압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또, 제 2 가압 기구는, 주출부 (32) 의 양면에 배치 형성된 1 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 쌍의 롤러에 의해 주출부 (32) 를 협지하고,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훑음으로써 농축 원액을 주출할 수 있다. 제 2 가압 기구는, 제 1 밸브체가 닫힌 상태로서, 제 2 밸브체가 열린 상태일 때에 가동시킴으로써,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의 농축 원액을 보다 확실하게 주출할 수 있다.
또한, 음료 디스펜서 (1) 는, 상기 서술한 제 1 가압 기구 및 제 2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원액 용기 (30) 의 주출구 (35) 로부터의 농축 원액의 주출은, 농축 원액의 자중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주출부 (32) 에, 적어도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에 걸친 가요성의 관체를 삽입해도 된다.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로, 주출부 (32) 와 함께 제 1 가요성의 관체를 닫고, 그 후 열었을 때에, 제 1 가압 기구에 의해 봉입부 (31) 의 농축 원액을 강제적으로 주출부 (32) 에 보내지 않아도, 가요성의 관체의 복원력에 의해, 주출부 (32) 는 열린다.
또, 원액 주출 기구 (5) 는, 원액 용기 (30) 의 주출부 (32) 를 강제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기구에 의해, 주출구 (35) 로부터 농축 원액의 주출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개폐 기구는, 도 7(a) 내지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출부 (32) 의 양면에 부착, 접착, 압착 등에 의해 부가적으로 접합된 1 쌍의 압인 (押引) 부재 (71, 72, 73), 또는 주출부 (32) 의 양면에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된 1 쌍의 압인 부재 (71, 72, 73) 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출부 (32) 의 봉입부 (31) 측에는 압인 부재 (7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주출부 (32) 의 주출구 (35) 측에는 압인 부재 (73)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압인 부재 (71) 와 압인 부재 (73) 의 사이에는, 압인 부재 (72)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압인 부재 (71, 72, 73) 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출부 (32) 를 밀고 당김으로써, 주출부 (32) 를 강제적으로 개폐하고,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인 부재 (71) 는,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이고, 이 제 1 밸브체로서의 압인 부재 (71) 를 밀고 당기는 액추에이터가,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압인 부재 (73) 는, 주출부 (32) 로부터 주출구 (35) 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이고, 이 제 2 밸브체로서의 압인 부재 (73) 를 밀고 당기는 액추에이터가,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압인 부재 (72) 는,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의 사이에 배치 형성된 제 3 밸브체이고, 이 제 3 밸브체로서의 압인 부재 (72) 를 밀고 당기는 액추에이터가, 제 3 밸브체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로부터 제 3 밸브체 개폐 기구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개폐 제어 기구에 의해, 압인 부재 (71) 내지 압인 부재 (73) 전부가 동시에 주출부 (32) 를 연 상태가 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들 제 1 밸브체로부터 제 3 밸브체,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로부터 제 3 밸브체 개폐 기구, 및 개폐 제어 기구가 원액 주출 기구 (5) 를 구성한다.
제 1 밸브체 즉 압인 부재 (71) 나, 제 2 밸브체 즉 압인 부재 (73) 나, 제 3 밸브체 즉 압인 부재 (72) 가 닫힌다는 것은, 압인 부재 (71) 나 압인 부재 (73) 나 압인 부재 (72) 가 주출부 (32) 를 닫고, 그 닫힌 부분에 있어서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제 1 밸브체 즉 압인 부재 (71) 나, 제 2 밸브체 즉 압인 부재 (73) 나, 제 3 밸브체 즉 압인 부재 (72) 가 열린다는 것은, 압인 부재 (71) 나 압인 부재 (73) 나 압인 부재 (72) 가 주출부 (32) 를 열음으로써, 봉입부 (31) 측으로부터 주출구 (35) 측으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되는 것을 말한다.
압인 부재 (71) 와 압인 부재 (73) 의 간격은, 1 쌍의 압인 부재 (71, 73) 를 밀어 주출부 (32) 의 봉입부 (31) 측과, 주출구 (35) 를 닫은 상태에서, 1 쌍의 압인 부재 (72) 를 당겨 주출부 (32) 의 압인 부재 (72) 가 배치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열었을 때에, 그 사이의 주출부 (32) 에 저류되는 농축 원액의 양이, 주출 1 회당의 규정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인 부재 (71, 72, 73) 는, 농축 원액의 계량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입부 (31) 를 제 1 가압 기구에 의해 압압하지 않는 상태이더라도, 압인 부재 (72, 73) 를 닫은 상태에서, 압인 부재 (71) 를 열면, 봉입부 (31) 내의 농축 원액은 중력과 함께, 압인 부재 (71) 를 열음으로써 발생하는 주출부 (32) 로의 흡인력에 의해, 주출부 (32) 로 통류된다.
다음으로,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인 부재 (73) 를 닫은 상태, 압인 부재 (72) 를 연 상태에서, 압인 부재 (71) 를 닫으면, 봉입부 (31) 로부터 주출부 (32) 로의 농축 원액의 통류가 정지된다.
마지막으로,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인 부재 (71) 를 닫은 채로, 압인 부재 (73) 를 열면, 주출부 (32) 내의 농축 원액이 주출구 (35) 로부터 외부로 주출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압인 부재 (72) 를 닫아도 된다. 이 때 압인 부재 (72) 는 제 2 가압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제 2 가압 기구를, 제 1 밸브체인 압인 부재 (71) 가 닫힌 상태이고, 제 2 밸브체인 압인 부재 (73) 가 열린 상태일 때에 가동시킴으로써, 제 1 밸브체와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의 농축 원액을 보다 확실하게 주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액 주출 기구 (5) 의 제어가 적절히 실시됨으로써, 원액 용기 (30) 로부터 규정량의 농축 원액이 적절히 주출된다.
요컨대, 제 1 밸브체나 제 2 밸브체는, 음료 디스펜서 (1) 에 구비되어 있지만, 주출부 (32) 를 개폐하는 밸브체 자체는, 음료 디스펜서 (1) 측에 구비되어 있어도 되고, 원액 용기 (30) 측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밸브체는, 음료 디스펜서 (1) 측에 구비되고, 제 2 밸브체는, 원액 용기 (30) 측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핀치 밸브 (41, 42), 튜브 펌프 기구, 핑거 펌프 기구, 압인 부재 (71, 72, 73) 를 농축 원액의 계량 기구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는 것을 설명했지만, 농축 원액의 계량 기구는 이하의 구성이어도 된다.
주출구 (35) 의 하방에 주출구 (35) 로부터 주출된 농축 원액을 계량하는 계량 기구를 별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주출구 (35) 에 장착되고, 주출구 (35) 로부터 소정량의 농축 원액을 흡인하여 토출하는 흡인 기구이며, 흡인 기구에 의한 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소정량의 농축 원액을 주출할 수 있다.
또, 컵 레스트 (6) 에 장착된, 컵 (C) 에 주출된 농축 원액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 셀로 농축 원액의 계량을 실시해도 된다. 규정량의 농축 원액이 컵 (C) 에 주출된 것을 검출하면, 농축 원액의 주출을 정지 제어하면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액 용기 (30) 는, 가요성의 수지제 2 매의 시트를 중첩하고, 주연부를 박리 불가능하게 히트 시일함으로써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액 용기 (30) 는, 가요성의 수지제 1 매의 시트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원액 용기 (30) 는, 1 매의 시트를 접어 구부려, 주출부 (32) 를 남기고 봉입부 (31) 의 주연부를 히트 시일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성형하고, 봉입부 (31) 에 농축 원액을 주입한 후에, 주출부 (32) 의 주연부를 히트 시일하여 액밀하게 형성하고, 매다는 구멍 (33) 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원액 용기 (30) 를 1 매의 시트로 제조하기 때문에, 복수의 시트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히트 시일을 하는 지점이 적고, 또 비용도 낮다.
또,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액 용기 (30) 는, 봉입부 (31) 를 더 덮는 외복부 (外覆部) (36) 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원액 용기 (30) 는, 이중 구조이며, 외복부 (36) 에 가압 가스의 주입부 (37) 를 구비한다. 주입부 (37) 로부터, 봉입부 (31) 와 외복부 (36) 사이의 공간 (38) 에 가압 가스를 주입하고, 공간 (38) 의 내부를 양압 상태로 함으로써, 봉입부 (31) 에 봉입된 농축 원액을 주출부 (32) 로 확실하게 압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복부 (36) 가, 봉입부 (31) 를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한 제 1 가압 기구가 된다. 이 가압 가스는, 가스 봄베 (9) 내의 탄산 가스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압 가스 공급 기구에 의해 공급되는 가압 가스는, 가스 봄베 (9) 내의 탄산 가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압 가스 공급 기구는, 팬, 블로어, 또는 피스톤으로 구성해도 되고, 이 경우, 공기 등의 기체가 압축되어 가압 가스로서 공급된다.
이 경우, 원액 용기 (30) 는, 4 매의 시트를 중첩하고, 먼저, 주출부 (32) 를 남기고 봉입부 (31) 의 주연부, 및 외복부 (36) 의 주연부를 히트 시일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성형하고, 봉입부 (31) 에 농축 원액을 주입한 후에, 주출부 (32) 의 주연부를 히트 시일하여 액밀하게 형성하고, 매다는 구멍 (33) 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액 용기 (30) 는, 가요성의 수지제 1 매의 시트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원액 용기 (30) 는, 1 매의 시트를 말아 통상체 (筒狀體) 가 되도록 대향하는 단부 (端部) 를 히트 시일하고, 그 후, 주출부 (32) 를 남기고, 봉입부 (31) 의 주연부를 구성하는 상기 통상체의 개구부의 일방을 히트 시일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성형하고, 봉입부 (31) 에 농축 원액을 주입한 후에, 주출부 (32) 의 주연부를 구성하는 상기 통상체의 개구부 타방을 히트 시일하여 액밀하게 형성하고, 매다는 구멍 (33) 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어느 원액 용기 (30) 도, 예를 들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다는 구멍 (33) 을, 디스펜서 본체 (2) 의 수용부 (4) 의 내부에 구비된 훅 (18) 에 걸음으로써, 주출부 (32) 가 하방이 되는 상태로 매달려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주출부 (32) 의 하단을, 예를 들어, 알코올 스프레이로 소독된 손가락이나, 가위 등으로 수평 또는 비스듬하게 잘라버림으로써, 개방단이 형성되고, 이 개방단이 주출구 (35) 를 구성한다.
또한, 어느 원액 용기 (30) 도, 주출부 (32) 의 선단부가 주출구 (35) 를 갖는 보틀구부 형상으로 성형되고, 이 보틀구부에 별체의 캡이 비틀려 부착되어, 주출구 (35) 가 봉지 (封止) 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주출구 (35) 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열리는 릴리프 밸브 (밸브체) 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원액 용기 (30) 의 매다는 구멍 (33) 을 디스펜서 본체 (2) 의 수용부 (4) 의 내부에 구비된 훅 (18) 에 걸어, 주출부 (32) 가 하방이 되는 상태로 매달아 설치하고, 캡을 개봉함으로써, 주출구 (35) 가 나타난다.
주출구 (35) 에 릴리프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료 디스펜서 (1) 는 상기 서술한 어느 것의 제 1 밸브체를 구비하고, 그 릴리프 밸브를 제 2 밸브체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2 밸브체를 열 수 있는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제 2 가압 기구가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어느 원액 용기 (30) 도, 주출부 (32) 의 내주에, 적어도 주출구 (35) 로부터 봉입부 (31) 에 이르는 길이의 탄성이 있는 튜브가 미리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원액 용기 (30) 의 개봉 후에 삽입해도 된다. 제 1 가압 기구나 제 2 가압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원액 용기 (30) 로부터의 농축 원액의 안정적인 주출이라는 관점에서 특히 유효하다.
또, 상기 튜브 대신에, 또는 더하여, 원액 용기 (30) 의 주출부 (32) 의 외주에, 적어도 주출구 (35) 로부터 봉입부 (31) 에 이르는 길이의 탄성이 있는 튜브, 또는 주출구 (35) 로부터 봉입부 (31) 의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탄성이 있는 링이 미리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원액 용기 (30) 의 개봉 후에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원액 용기 (30) 의 주출부 (32) 에 탄성이 있는 튜브나 링을 사용하여 주출부 (32) 의 적어도 일부에, 고무나 수지 등, 신축 용이한 부재 혹은 탄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일정량의 안정적인 주출을 간단한 구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액 용기 (30) 에 봉입되는 액체가, 희석액에 의해 희석됨으로써 음료를 구성하는 농축 원액이고, 원액 용기 (30) 가 농축 원액이 봉입된 용기인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로서, 음료가 그대로 용기에 봉입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음료 디스펜서 (1) 는, 음료수 공급 기구, 및 탄산수 공급 기구 등의 희석액 공급 기구나, 탄산수 공급 기구를 냉각시키는 냉각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일례이며, 그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부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설계 가능하다.
1 : 음료 디스펜서 (액체 디스펜서)
2 : 디스펜서 본체
4 : 수용부
5 : 원액 주출 기구 (액체 주출 기구)
7 : 음료수 공급 기구 (희석액 공급 기구)
8 : 음료수 공급 라인
9 : 가스 봄베
10 : 가스 공급 라인
12 : 분기 라인
13 : 탄산수 공급 기구 (희석액 공급 기구)
14 : 탄산수 공급 라인
15 : 냉각조 (냉각 기구)
18 : 훅 (매다는 부)
30 : 원액 용기 (용기)
31 : 봉입부
32 : 주출부
35 : 주출구
41 : 핀치 밸브 (제 1 밸브체)
42 : 핀치 밸브 (제 2 밸브체)
C : 컵

Claims (15)

  1. 액체가 봉입된 용기로부터 상기 액체를 주출 (注出) 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로서,
    상기 액체가 봉입된 주머니 모양의 봉입부와, 상기 액체를 외부에 주출하기 위한 주출부로서, 주머니 모양의 상기 봉입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주출부를 구비하고, 외력에 기초하는 상기 봉입부의 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주출부에 구비된 주출구로부터 상기 액체가 주출되도록 구성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로부터의 상기 액체의 주출 및 정지를 제어하는 액체 주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주출 기구는,
    적어도,
    상기 봉입부로부터 상기 주출부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1 밸브체를 개폐하는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상기 주출부로부터 상기 주출구에 이르는 유로에 배치 형성된 제 2 밸브체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와,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와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각각 제어하는 개폐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 기구는, 상기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의 양방이 동시에 열리는 일이 없도록, 상기 제 1 밸브체 개폐 기구 및 상기 제 2 밸브체 개폐 기구를 제어하는 액체 디스펜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입부를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한 제 1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적어도 상기 제 1 밸브체가 열려 있을 때에 기능하는 액체 디스펜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부 중 상기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에 끼인 부분을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한 제 2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디스펜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체 및 상기 제 2 밸브체는 액체 디스펜서측에 구비되어 있는 액체 디스펜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체 및 상기 제 2 밸브체는 상기 용기측에 구비되어 있는 액체 디스펜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체는 액체 디스펜서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밸브체는 상기 용기측에 구비되어 있는 액체 디스펜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음료인 액체 디스펜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희석액과 혼합됨으로써 음료를 구성하는 농축 원액인 액체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의 공급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희석액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희석액 공급 기구는, 계외의 물을 도입하고, 상기 물로부터 음료수를 생성하고, 상기 음료수를 상기 희석액으로서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디스펜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의 공급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희석액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탄산 가스가 봉입된 가스 봄베를 접속 가능하고,
    상기 희석액 공급 기구는, 계외의 물을 도입하고, 상기 물과 상기 탄산 가스로부터 탄산수를 생성하고, 상기 탄산수를 상기 희석액으로서 공급하는 탄산수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디스펜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공급 기구를 냉각시키는 냉각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디스펜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매다는 부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디스펜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냉각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디스펜서.
KR1020177030022A 2015-03-19 2016-03-16 액체 디스펜서 KR201701298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6963 2015-03-19
JP2015056963A JP6906889B2 (ja) 2015-03-19 2015-03-19 液体ディスペンサ
PCT/JP2016/058366 WO2016148203A1 (ja) 2015-03-19 2016-03-16 液体ディスペ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858A true KR20170129858A (ko) 2017-11-27

Family

ID=5691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022A KR20170129858A (ko) 2015-03-19 2016-03-16 액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065838A1 (ko)
EP (1) EP3272702A4 (ko)
JP (1) JP6906889B2 (ko)
KR (1) KR20170129858A (ko)
CN (1) CN105982547A (ko)
AU (1) AU2016234285B2 (ko)
TW (1) TW201704138A (ko)
WO (1) WO2016148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827B2 (ja) 2016-10-26 2021-01-2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注出ポンプ及び液体ディスペンサ
CN109393981A (zh) * 2018-12-11 2019-03-01 山东河马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饮料现制机
CN109303489A (zh) * 2018-12-11 2019-02-05 山东河马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挠性防滴液阀门的注料系统
JP7263110B2 (ja) * 2019-05-10 2023-04-2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体ディスペンサ
US20230294973A1 (en) * 2020-11-06 2023-09-21 Versabev, Inc. Scalable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reserving,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EP4227260A1 (en) * 2022-02-11 2023-08-16 Unito Smart Technologies Limited Liquid dispens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0029A (en) * 1971-09-01 1974-02-05 W Ward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mixing liquids
US3777697A (en) * 1972-04-07 1973-12-11 Baxter Laboratories Inc Indicator device for collapsible fluid container
US4634022A (en) * 1985-05-28 1987-01-06 Halloran P Joseph O Fixture for bag-type liquid dispenser
US5000351A (en) * 1986-03-21 1991-03-19 The Coca-Cola Company Concentrate dispensing system for a post-mix beverage dispenser
DE4108586A1 (de) * 1991-03-14 1992-09-17 Schenk Helga Anordnung zum pumpen und dispensieren von hochviskosen fluessigkeiten oder dergleichen
JPH0551089A (ja) * 1991-08-26 1993-03-02 Kinki Koka Cola Botoringu Kk 補助冷却装置を具備するカツプ式飲料供給装置
US5353963A (en) * 1993-06-02 1994-10-11 Karma, Inc. Post mix dispenser
JPH08119348A (ja) * 1994-10-31 1996-05-14 Yamani Nyugyo Kk 定量注出部付袋
JP3020741U (ja) * 1995-07-18 1996-02-06 伊藤工機株式会社 流動性内容物供給装置
JP3533040B2 (ja) * 1996-06-13 2004-05-31 東芝機器株式会社 液体抽出装置
US6003733A (en) * 1996-07-22 1999-12-21 Compass Worldwide Apparatus for the dispensing of heated viscous food product
US20030017066A1 (en) * 2001-07-19 2003-01-23 Baxter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lexible bag and method for dispensing
JP2006232328A (ja) * 2005-02-25 2006-09-0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供給装置
US7651010B2 (en) * 2005-09-23 2010-01-26 Nestec S.A. Food dispenser with pump for dispensing from a plurality of sources
CA2656708C (en) * 2006-07-07 2015-05-19 Hrp Manufacturing, Llc Liquid food dispenser system and method
BE1019327A3 (nl) * 2010-05-07 2012-06-05 Tatjana Yazgheche Een modulaire doseringsinrichting en een verdeelinrichting, omvattende een dergelijke doseringsinrichting.
WO2013036564A2 (en) * 2011-09-09 2013-03-14 Fountain Master, Llc Beverage maker
US9739272B2 (en) * 2012-11-29 2017-08-22 Fair Oaks Farms Brands, Llc Liquid product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9505600B2 (en) * 2013-11-13 2016-11-29 TRV Dispense, LLC Soft food and beverag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2702A4 (en) 2018-11-14
JP6906889B2 (ja) 2021-07-21
CN105982547A (zh) 2016-10-05
US20180065838A1 (en) 2018-03-08
JP2016175676A (ja) 2016-10-06
TW201704138A (zh) 2017-02-01
WO2016148203A1 (ja) 2016-09-22
AU2016234285A1 (en) 2017-11-09
EP3272702A1 (en) 2018-01-24
AU2016234285B2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9859A (ko) 용기
KR20170129858A (ko) 액체 디스펜서
US9145289B2 (en) Mixing nozzle fitment and mixed liquid dispenser
CN105982554B (zh) 容器
JP6129949B2 (ja) 飲料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飲料コンテナ及び飲料装置
US9687122B2 (en) Mini pump with compressible air inlet chamber for providing residual suck-back
US20040096126A1 (en) Flexible bag for use in dispensing a fluent material
JP2023547906A (ja) 流動性食品を分注するための分注アセンブ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