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895A - 곡물 계량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895A
KR20170128895A KR1020160059533A KR20160059533A KR20170128895A KR 20170128895 A KR20170128895 A KR 20170128895A KR 1020160059533 A KR1020160059533 A KR 1020160059533A KR 20160059533 A KR20160059533 A KR 20160059533A KR 20170128895 A KR20170128895 A KR 20170128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horizontal plate
plate
vertical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232B1 (ko
Inventor
차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6005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6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 B65B37/18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05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11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mechanisms for moving, e.g. pivoting, lids or frame parts, e.g. pedal-ope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호퍼가 설치되는 곡물 거치대; 상기 곡물 거치대에 설치되며 톤백을 고정하는 톤백 거치대; 상기 곡물 거치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톤백에 담긴 곡물의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유닛; 상기 호퍼의 개폐작용 및 계량수단을 제어가능하게 조작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곡물 거치대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직선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정량이 담긴 톤백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과정에 있어 지게차의 포크부가 상기 곡물 거치대에 접촉하는 간섭을 차단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상기 수직플레이트가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물 계량장치{Weighing Apparatus for Grain}
본 발명은 곡물 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을 담기 위한 톤백의 교체작업 및 계량이 완료된 톤백의 인출작업을 한층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곡물 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계량장치는 곡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일정 무계단위로 계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는 상부에 호퍼(20)를 형성한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톤백에 담긴 곡물의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수단(40)과, 상기 톤백을 개방하는 상태로 고정시키는 톤백 거치대(22)와, 상기 호퍼의 개폐작용 및 계량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톤백에 담기는 곡물의 중량이 상기 계량수단(40)에 설정된 계량수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유닛(50)에 의해 상기 호퍼(20)가 폐쇄된다. 이후 정량을 담은 톤백은 지게차 등과 같은 운반수단에 의해 외부로 반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곡물을 담기 위한 새로운 톤백을 상기 톤백 거치대(22)에 설치하여 곡물 배출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의 경우 톤백에 담기는 곡물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과정에 있어, 지게차의 포크부(들어올리는부재)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접촉하는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게차 운전자의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10)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신중하게 상기 포크부를 조작해야 했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93217호(2015.02.0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곡물을 담기 위한 톤백의 교체작업 및 계량이 완료된 톤백의 인출작업을 한층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곡물 계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는, 호퍼가 설치되는 곡물 거치대; 상기 곡물 거치대에 설치되며 톤백을 고정하는 톤백 거치대; 상기 곡물 거치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톤백에 담긴 곡물의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유닛; 상기 호퍼의 개폐작용 및 계량수단을 제어가능하게 조작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곡물 거치대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직선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이동수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전후방향의 테두리 상하면에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보호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는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삼각형상에 대응하도록 폭방향 중심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이동수단에는 상기 계량유닛 및 컨트롤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수평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자동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톤백 거치대는 상기 곡물 거치대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세워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재와 거치부재 사이에는 상기 거치부재의 높낮이 및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위치가변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량유닛은 곡물이 담긴 톤백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면에 설치되는 로드셀로 구성되며, 상기 계량유닛은 상기 곡물 거치대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얹혀지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 둘레면에는 지게차의 포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후방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 거치대의 수직플레이트가 수평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직선이동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정량이 담긴 톤백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과정에 있어 지게차의 포크부가 상기 곡물 거치대에 접촉하는 간섭을 차단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상기 수직플레이트가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와 연장부재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재가 삽입부재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위치가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톤백의 결속끈을 연결고리에 결속시키는 작업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량유닛은 상기 곡물 거치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계량유닛 자체를 직접 들어올려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직선이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직선이동수단을 이용한 수직플레이트의 전후방향 직선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곡물 거치대의 구성 및 회전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계량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는 호퍼(101)가 설치되는 곡물 거치대(100)와, 상기 곡물 거치대(100)에 설치되며 톤백(B)을 고정하는 톤백 거치대(200)와, 상기 곡물 거치대(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톤백(B)에 담긴 곡물의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유닛(300)과, 상기 호퍼(101)의 개폐작용 및 계량수단을 제어가능하게 조작하는 컨트롤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곡물 거치대(100)는 곡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일정 무게 단위로 계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구조물로서, 일정 넓이를 가지는 수평플레이트(110)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플레이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다리(111)와, 지면에 대하여 구름이동이 가능한 바퀴(112)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고정다리(111)는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플레이트(120)는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플레이트(120)의 상단에는 곡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호퍼(101)가 설치된다.
즉, 상기 호퍼(101)는 곡물저장탱크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곡물을 모아서 아래 쪽으로 배출하는 상광하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101)의 하부에는 곡물의 유출을 단속하는 개폐수단(101a)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호퍼(101)의 구성은 당 업계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호퍼(101)의 표면에는 곡물의 이동과정 및 정체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101b)이 형성된다(도 3참조).
즉, 상기 표시창(101b)은 호퍼(101)를 통과하는 곡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는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곡물 거치대(100)는 상기 수직플레이트(120)가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선이동수단(13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직선이동수단(130)은 상기 수직플레이트(1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량이 담긴 톤백(B)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과정에 있어 지게차의 포크부(미도시)가 상기 수직플레이트(120)에 접촉하는 간섭을 차단하여 그에 따른 상기 수직플레이트(120)가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톤백(B)에 담기는 곡물의 중량이 상기 계량유닛(300)에 설정된 계량수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직선이동수단(13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수직플레이트(120)를 수평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게차의 포크부와 접촉하는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선이동수단(130)은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의 전후방향의 테두리 상하면에 형성되는 레일부재(131)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131)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부재(132)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20)의 하단 설치되어 상기 롤러부재(132)를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보호브라켓(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부재(131)는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제1부재(131a)와 제2부재(131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131)는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의 후방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길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수직플레이트(12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롤러부재(132)는 상기 레일부재(131)의 삼각형상에 대응하도록 폭방향의 중심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의 경사면(13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직선이동수단(130)에는 상기 계량유닛(300) 및 컨트롤유닛(400)과 연동하여 상기 수직플레이트(120)를 수평플레이트(110)의 전후방향으로 자동 이동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직접 힘으로 상기 수직플레이트(120)를 전,후이동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전,후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톤백 거치대(200)는 상기 곡물 거치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곡물을 담는 톤백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톤백 거치대(200)는 상기 곡물 거치대(100)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세워지는 수직부재(210)와, 상기 수직부재(210)의 길이방향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20)와, 상기 삽입부재(220)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거치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210)는 상기 곡물 거치대(10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내부에는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220)의 길이방향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220) 사이에는 결속력 강화 및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재(222)가 설치된다.
상기 거치부재(230)의 길이방향에는 톤백(B)의 결속끈이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고리(2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230)의 단부에는 상호간의 폭 넓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부재(232)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부재(220)와 거치부재(230) 사이에는 상기 거치부재(230)의 높낮이 및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위치가변부재(240)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가변부재(240)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공(221)에 체결되어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체결구(나사체결구조, 가압식 관통볼트)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재(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게 회전연결부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가변부재(24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220)가 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톤백(B)을 상기 연결고리(231)에 결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톤백(B)을 상기 연결고리(231)에 결속시키기 위해서는 일측의 연결고리(231)에 톤백 결속끈을 결속시키는 작업을 완료하면 작업자는 다시 타측으로 이동하여 나머지 결속끈을 연결고리(231)에 결속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삽입부재(220)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개선하여 작업자가 같은 위치에서 양측에 대한 결속끈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계량유닛(300)은 상기 곡물 거치대(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톤백(B)에 담긴 곡물의 무게를 계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계량유닛(300)은 곡물이 담긴 톤백(B)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 하면에 설치되는 로드셀(320)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셀(320)은 받침다리(320a)에 연결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감지센서(321)와, 상기 감지센서(321)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고정시키는 나사축(322)과, 상기 감지센서(321)의 감지된 수치를 외부로 전달하는 중량감지전달부재(32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계량유닛(300)은 상기 곡물 거치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플레이트(110)에 얹혀지는 상태로 적재된다.
이는 작업장의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톤백(B)의 결속끈을 이용하지 않고 계량유닛(300) 자체를 직접 들어올려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테두리 둘레면에는 지게차의 포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삽입구(311)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유닛(400)은 상기 곡물 거치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101)의 개폐작용 및 계량수단(300)을 제어가능하게 조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유닛(400)은 당 업계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 거치대(100)의 수직플레이트(120)가 수평플레이트(110)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직선이동수단(130)을 구성함으로써, 정량이 담긴 톤백(B)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과정에 있어 지게차의 포크부가 상기 곡물 거치대(100)에 접촉하는 간섭을 차단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상기 수직플레이트(120)가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220)와 연장부재(230)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재(230)가 삽입부재(22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위치가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톤백(B)의 결속끈을 연결고리(231)에 결속시키는 작업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량유닛(300)은 상기 곡물 거치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계량유닛(300) 자체를 직접 들어올려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00 : 곡물 거치대 110 : 수평플레이트
120 : 수직플레이트 130 : 직선이동수단
200 : 톤백 거치대 300 : 계량유닛
400 : 컨트롤유닛 B : 톤백

Claims (8)

  1. 호퍼가 설치되는 곡물 거치대;
    상기 곡물 거치대에 설치되며 톤백을 고정하는 톤백 거치대;
    상기 곡물 거치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톤백에 담긴 곡물의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유닛;
    상기 호퍼의 개폐작용 및 계량수단을 제어가능하게 조작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곡물 거치대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직선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수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전후방향의 테두리 상하면에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보호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삼각형상에 대응하도록 폭방향 중심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수단에는 상기 계량유닛 및 컨트롤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수평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자동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톤백 거치대는,
    상기 곡물 거치대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세워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와 거치부재 사이에는 상기 거치부재의 높낮이 및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위치가변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유닛은 곡물이 담긴 톤백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면에 설치되는 로드셀로 구성되며,
    상기 계량유닛은 상기 곡물 거치대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얹혀지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 둘레면에는 지게차의 포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후방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계량장치.
KR1020160059533A 2016-05-16 2016-05-16 곡물 계량장치 KR10186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33A KR101863232B1 (ko) 2016-05-16 2016-05-16 곡물 계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33A KR101863232B1 (ko) 2016-05-16 2016-05-16 곡물 계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95A true KR20170128895A (ko) 2017-11-24
KR101863232B1 KR101863232B1 (ko) 2018-06-01

Family

ID=6081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33A KR101863232B1 (ko) 2016-05-16 2016-05-16 곡물 계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28A (ko) 2018-07-10 2020-01-20 김오호 과립 또는 분말 충진장치
KR102077340B1 (ko) * 2019-01-07 2020-02-17 김흥수 자동 계량 장치
CN111595421A (zh) * 2020-05-20 2020-08-28 河南省计量科学研究院 一种化学计量用检测仪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329B1 (ko) 2019-05-10 2019-09-20 한호섭 벌크 백용 계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29Y1 (ko) * 2005-04-14 2005-07-14 한국정밀(주) 곡물 계량 작업기
KR101462371B1 (ko) * 2014-05-09 2014-11-14 유한회사 호남산업 자동 계량장치
KR101493217B1 (ko) 2014-09-17 2015-02-16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곡물계량장치
WO2015046604A1 (ja) * 2013-09-30 2015-04-02 株式会社日本触媒 粒子状吸水剤の充填方法および粒子状吸水剤充填物のサンプリ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29Y1 (ko) * 2005-04-14 2005-07-14 한국정밀(주) 곡물 계량 작업기
WO2015046604A1 (ja) * 2013-09-30 2015-04-02 株式会社日本触媒 粒子状吸水剤の充填方法および粒子状吸水剤充填物のサンプリング方法
KR101462371B1 (ko) * 2014-05-09 2014-11-14 유한회사 호남산업 자동 계량장치
KR101493217B1 (ko) 2014-09-17 2015-02-16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곡물계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28A (ko) 2018-07-10 2020-01-20 김오호 과립 또는 분말 충진장치
KR102077340B1 (ko) * 2019-01-07 2020-02-17 김흥수 자동 계량 장치
CN111595421A (zh) * 2020-05-20 2020-08-28 河南省计量科学研究院 一种化学计量用检测仪器
CN111595421B (zh) * 2020-05-20 2022-02-15 河南省计量科学研究院 一种化学计量用检测仪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232B1 (ko)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232B1 (ko) 곡물 계량장치
US7790990B2 (en) Combination weigher with peripheral annular recycling table
CA2856240C (en) Improved seed cart
KR101971234B1 (ko) 캐터필러를 구비한 농업용 지게차
US7045721B1 (en) Lifting device for use with drum weighing machine
KR20180016824A (ko) 라인 겸용 이동식 전자저울장치
CN110155730A (zh) 一种自动叠包设备
JP4040021B2 (ja) 昇降作業機
JP3170495U (ja) 肥料配送用コンテナ装置
CN208757771U (zh) 一种车载移动式破碎站的可折叠式给料机
KR20130047935A (ko) 삼방향 덤프 운반차
KR100599582B1 (ko) 사료이송차량의 무게측정 장치
CN216660525U (zh) 一种带滚筒的吨袋包装机
CN200993596Y (zh) 全悬浮变频调速秤秤架
CN219319551U (zh) 一种电子衡器称重装置
KR101462371B1 (ko) 자동 계량장치
KR20150142771A (ko) 폐타이어 정량 공급장치
US20240138316A1 (en) Agricultural wagon
CN220465858U (zh) 一种包装机用称量装置
JP2011064591A (ja) 積載量計測装置およびタンク車
CA2697319A1 (en) Low profile telescopic conveyor system
CN208941005U (zh) 一种海洋养殖用碎料装置
JP4848257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コンベヤスケール
JP2004106717A (ja) リフト付運搬台車のフレーム構成
JP3587618B2 (ja) 組合せ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