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17B1 - 곡물계량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217B1
KR101493217B1 KR20140123762A KR20140123762A KR101493217B1 KR 101493217 B1 KR101493217 B1 KR 101493217B1 KR 20140123762 A KR20140123762 A KR 20140123762A KR 20140123762 A KR20140123762 A KR 20140123762A KR 101493217 B1 KR101493217 B1 KR 10149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nging
frame
sw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14012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65B1/22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에 일정 중량의 곡물을 담되 곡물이 포대의 내부게 고르게 적층되도록 하는 곡물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는, 포대가 내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계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 토출구에 구비되는 개폐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포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거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요동시키는 요동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백고정부; 및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에 내장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계량유닛, 개폐유닛 및 요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계량장치{Weighing Apparatus for Grain}
본 발명은 곡물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대에 일정 중량의 곡물을 담되 곡물이 포대의 내부게 고르게 적층되도록 하는 곡물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계량장치는 육면체의 골격구조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호퍼와 계량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퍼와 계량기 사이에 포대를 안치한 상태에서 콘트롤박스에 내장된 제어유닛이 상기 계량기의 중량을 읽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게 되면 호퍼의 토출구를 폐쇄한 다음 포대를 외부로 반출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기존의 곡물계량장치는 계량의 자동화에 주안점을 둔 경우가 대부분인데, 곡물이 포대에 고르게 적층되지 않으면 포대의 외형이 불규칙한 형상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포대의 적재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져 적재된 포대가 붕괴되거나 특히, 운송 중에 불안정한 적재로 인해 교통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곡물의 적층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호퍼(1)의 내부에 분산판(2)을 구비한 종래기술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3975호(공개일자: 1998.11.25.)에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곡물이 상기 호퍼(1)의 일측으로 편중되어 토출되면 분산판(132)이 있는 경우라도 편향되게 분산되어 포대에 적층될 수 있으므로 고른 적층이 이루어지기에는 한계가 있다.
KR 실1998-063975 U 1998.11.2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대에 곡물을 담을 때 계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곡물의 적층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포대에 요동을 가하는 곡물계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대에 요동을 가할 때 분진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물계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물계량장치는, 포대가 내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계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 토출구에 구비되는 개폐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포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거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요동시키는 요동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백고정부; 및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에 내장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계량유닛, 개폐유닛 및 요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계량장치는, 상기 요동유닛이 제 1자력요동수단 및 제 2자력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과 제 2자력요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구비되는 요동축, 상기 요동축에 권취되는 권취와이어, 상기 요동축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요동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하는 구동랙기어, 상기 구동랙기어의 일단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구동랙기어와 솔레노이드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자력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에 고정되며,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의 솔레노이드와 제 2자력요동수단의 솔레노이드는 상호 교호적으로 전력의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계량장치는, 상기 요동유닛이 제 1회전요동수단 및 제 2회전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회전요동수단과 제 2회전요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구비되는 요동축, 상기 요동축에 권취되는 권취와이어 및 상기 요동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요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회전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회전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에 고정되며,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1회전요동수단의 요동모터와 상기 제 2회전요동수단의 요동모터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계량장치는, 상기 요동유닛이 제 1공유압요동수단 및 제 2공유압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 및 제 2공유압요동수단은 각각 요동실린더, 상기 요동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는 요동바 및 상기 요동실린더에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하는 콤프레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 2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가 고정되며,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와 상기 제 2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는 상호 교호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계량장치는, 상기 요동유닛이 제 1캠요동수단 및 제 2캠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캠요동수단 및 제 2캠요동수단 각각에는 양단이 프레임의 수직 빔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요동캠바, 상기 요동캠바의 길이방향 중심에 구비되는 요동캠 및 상기 요동캠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동력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캠요동수단의 요동캠과 제 2캠요동수단의 요동캠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위상차가 180°를 이루며 상기 요동캠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캠요동수단의 요동캠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 2캠요동수단의 요동캠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곡물계량장치는, 상기 요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요동축의 사이에는 감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요동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직류 또는 교류 모터가 채용되고 상기 감속기는 웜기어와 웜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량유닛, 개폐유닛과 요동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부 및 포대에 요동을 가하는 상기 요동유닛을 통해, 계량과 함께 곡물의 고른 적층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포대의 적재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요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요동축의 사이에 구비되는 감속기 또는 웜기어와 웜휠로 이루어지는 감속기를 통해, 정숙한 요동을 가해 분진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요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요동축의 사이에 구비되는 감속기 또는 웜기어와 웜휠로 이루어지는 감속기를 통해, 소형의 저출력 모터로도 중하중의 포대에 요동을 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계량장치의 호퍼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의 자력요동수단을 도시한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의 회전요동수단을 도시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의 공유압요동수단을 도시한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의 캠요동수단을 도시한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포대(B)가 내부에 안치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급부(200), 상기 공급부(200)의 직하에 배치되고 상기 포대(B)를 고정한 상태에서 포대(B)에 요동을 가하는 백고정부(300) 및 상기 포대(B)의 계량과 요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40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100)는 포대(B)를 내부에 안치한 상태에서 포대(B)의 중량을 계량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프레임(110) 및 계량유닛(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지지체로서 통상 육면체의 골격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중하중의 포대(B)를 지지하는 특성상 강도 및 강성 강화를 위해 H빔 등의 빔(111)이 채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편의성을 위해 상기 프레임부(100)의 하부에는 바퀴(113)가 구비될 수 있고, 포대(B)의 중량 측정시 후술할 백고정부(300)에 의해 요동이 발생하므로 원위치 유지를 위해 지지판(115)이 상기 바퀴(113)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계량유닛(130)은 로드셀 등이 채용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포대(B)가 안치된 상태에서 곡물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포대(B)은 상부가 후술할 백고정부(300)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계량유닛(130)의 상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곡물계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하 규격이 상이한 이종의 포대(B)를 계량하기 위해서는 백고정부(300)와 계량유닛(130)의 상호 간격이 조절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수직 빔(111)에는 승하강수단(1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급부(200)는 외부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부(100)에 안치된 포대(B)에 곡물을 주입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210) 및 상기 호퍼(210)의 하부 토출구에 구비되는 개폐유닛(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유닛(230)은 실린더(231) 및 상기 실린더(231)의 로드에 일측이 고정되는 커버(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231)는 복동식 실린더가 채용되고, 상기 커버(233)는 상기 호퍼(210)에 힌지 고정된 상태에서 호퍼(210)의 토출구를 개폐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231)의 작동은 후술할 콘트롤부(400)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요동유닛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백고정부(300)는 곡물이 포대(B)의 내부에 고르게 적층되도록 포대(B)에 요동을 가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포대(B)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b)를 거는 고정구(310) 및 상기 고정구(310)를 요동시키는 요동유닛(3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3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b)를 상기 고정구(310)에 각각 걸게 되면 포대(B)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호퍼(210)로부터 토출되는 곡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요동유닛(330)이 포대(B)를 요동시키는 방식은 포대(B)를 상하로 주기운동시키거나, 또는 복수 개의 고리(b)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상호 교호적으로 주기운동시키는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고리(b)를 교호적으로 요동시키는 요동유닛(330)의 일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동유닛(330)이 제 1자력요동수단(340) 및 제 2자력요동수단(3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340)과 제 2자력요동수단(340') 모두는 상부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베어링(341), 상기 베어링(341)에 구비되는 요동축(342), 상기 요동축(342)에 권취되는 권취와이어(343), 상기 요동축(342)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 상기 요동축(342)의 일단에 구비되는 종동기어(344), 상기 종동기어(344)와 결합하는 구동랙기어(345), 상기 구동랙기어(345)의 일단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346) 및 상기 구동랙기어(345)와 솔레노이드(346)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340)의 권취와이어(343)는 단부가 제 1고정구(311)와 제 2고정구(312)에 고정되고, 상기 솔레노이드(346)에 전력이 공급되면 구동랙기어(345)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권취되며, 이로 인해 포대(B)의 일측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소정의 횟수로 권취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솔레노이드(346)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스프링(347)에 의해 구동랙기어(345)의 복원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포대(B)의 일측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제 2자력요동수단(340')의 권취와이어(343')는 단부가 제 3고정구(313)와 제 4고정구(314)에 고정되고, 작동방식이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340)의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후술할 콘트롤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 2자력요동수단(340')의 솔레노이드(346')와 제 1자력요동수단(340)의 솔레노이드(346)는 상호 교호적으로 전력의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포대(B)의 전후방 측은 교호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곡물은 고르게 적층될 수 있다.
요동유닛(330)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회전요동수단(350) 및 제 2회전요동수단(3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요동수단(350)과 제 2회전요동수단(350')은 상기 자력요동수단(340, 340')의 종동기어(344), 구동랙기어(345), 솔레노이드(346) 및 스프링(347) 대신 요동축(342)의 일단에 요동모터(351)와 클러치(355)가 채용되고, 나머지 구성은 상기 자력요동수단(340, 340')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포대(B)의 요동이 과도하면 계량작업 중에 곡물의 분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속의 요동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속의 요동을 위해 상기 요동모터(351)의 회전축과 상기 요동축(342) 사이에 감속기(35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감속을 통해 회전력을 증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터로서 저출력의 소형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요동모터(351)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직류 또는 교류 모터가 채용되고, 상기 감속기(353)는 감속비가 큰 웜기어와 웜휠이 채용될 수 있으며, 요동모터(351, 351')의 회전은 후술할 콘트롤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호 반대로 회전되도록 하면 포대(B)의 요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요동유닛(330)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공유압요동수단(360) 및 제 2공유압요동수단(3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360) 및 제 2공유압요동수단(360')은 각각 요동실린더(361), 상기 요동실린더(361)의 로드에 고정되는 요동바(363) 및 상기 요동실린더(361)에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하는 콤프레셔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실린더(361)는 공압 또는 유압의 복동식 실린더로서 후술할 콘트롤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360)의 요동바(363)에는 제 1고정구(311)와 제 2고정구(312)가, 상기 제 2공유압요동수단(360')의 요동바(363')에는 제 3고정구(313)와 제 4고정구(314)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요동실린더(361, 361')의 로드가 콘트롤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호 교호적으로 전후진 함으로써 포대(B)의 요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요동유닛(330)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캠요동수단(370) 및 제 2캠요동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캠요동수단(370) 및 제 2캠요동수단 각각에는 양단이 프레임(110)의 수직 빔(11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요동캠바(371), 상기 요동캠바(371)의 길이방향 중심에 구비되는 요동캠(373) 및 상기 요동캠(373)의 회전축(a)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력원(37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캠요동수단(370)의 요동캠(373)과 제 2캠요동수단의 요동캠(373')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위상차가 180°를 이루며 상기 회전축(a)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캠요동수단(370)의 요동캠바(371)와 제 2캠요동수단의 요동캠바에는 전술한 실시 예의 경우와 같이 제 1고정구(311)와 제 2고정구(312) 및 제 3고정구(313)와 제 4고정구(314)가 각각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동력원(375)으로서 모터가 채용되고, 감속기가 대상 포대(B)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요동캠(373, 373')의 위상차로 인해 포대(B)의 요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콘트롤부(400)는 곡물의 계량과 이를 위한 개폐유닛(230)의 개폐 및 요동유닛(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며, 공지기술을 채용한 것으로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유닛이 콘트롤박스(410)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계량유닛(130), 개폐유닛(230) 및 요동유닛(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이 개폐유닛(23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호퍼(210)의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한 다음, 포대(B)에 유입되는 곡물의 중량 측정값이 상기 계량유닛(130)으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측정값을 상기 콘트롤박스(410)의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된 기준 중량과 비교하고, 적정 중량 값이 수신되면 상기 개폐유닛(23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토출구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곡물의 계량 중 상기 콘트롤박스(410)의 입력버튼을 통해 설정된 중량 값에 해당하는 중량이 포대(B)에 쌓이거나 또는 상기 입력버튼을 통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요동유닛(330)을 작동시켜 상기 고정구(310)가 소정의 패턴으로 요동되도록 하여 곡물의 적층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프레임부
110: 프레임 111: 빔
113: 바퀴 115: 지지판
117: 승하강수단 130: 계량유닛
200: 공급부
210: 호퍼 230: 개폐유닛
231: 실린더 233: 커버
300: 백고정부
310: 고정구 311: 제 1고정구
312: 제 2고정구 313: 제 3고정구
314: 제 4고정구 330: 요동유닛
340: 제 1자력요동수단 340': 제 2자력요동수단
341: 베어링 342: 요동축
343: 권취와이어 344: 종동기어
345: 구동랙기어 346: 솔레노이드
347: 스프링 350: 제 1회전요동수단
350': 제 2회전요동수단 351: 요동모터
353: 감속기 360: 제 1공유압요동수단
360': 제 2공유압요동수단 361: 요동실린더
363: 요동바 370: 제 1캠요동수단
370': 제 2캠요동수단 371: 요동캠바
373: 요동캠
400: 콘트롤부
410: 콘트롤박스

Claims (7)

  1. 삭제
  2. 포대가 내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계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 토출구에 구비되는 개폐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대를 요동시키는 요동유닛을 포함하는 백고정부; 및
    상기 계량유닛, 개폐유닛 및 요동유닛을 제어하는 콘트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유닛은 제 1자력요동수단 및 제 2자력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과 제 2자력요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구비되는 요동축, 상기 요동축에 권취되는 권취와이어, 상기 요동축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요동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하는 구동랙기어, 상기 구동랙기어의 일단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구동랙기어와 솔레노이드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자력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에 고정되며,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1자력요동수단의 솔레노이드와 제 2자력요동수단의 솔레노이드는 상호 교호적으로 전력의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장치.
  3. 포대가 내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계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 토출구에 구비되는 개폐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대를 요동시키는 요동유닛을 포함하는 백고정부; 및
    상기 계량유닛, 개폐유닛 및 요동유닛을 제어하는 콘트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유닛은 제 1회전요동수단 및 제 2회전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회전요동수단과 제 2회전요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구비되는 요동축, 상기 요동축에 권취되는 권취와이어 및 상기 요동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요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회전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회전요동수단의 권취와이어는 단부가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에 고정되며,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1회전요동수단의 요동모터와 상기 제 2회전요동수단의 요동모터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요동축의 사이에는 감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직류 또는 교류 모터가 채용되고, 상기 감속기는 웜기어와 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장치.
  6. 포대가 내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계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 토출구에 구비되는 개폐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대를 요동시키는 요동유닛을 포함하는 백고정부; 및
    상기 계량유닛, 개폐유닛 및 요동유닛을 제어하는 콘트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유닛은 제 1공유압요동수단 및 제 2공유압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 및 제 2공유압요동수단은 각각 요동실린더, 상기 요동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는 요동바 및 상기 요동실린더에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하는 콤프레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 2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가 고정되며,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1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와 상기 제 2공유압요동수단의 요동실린더는 상호 교호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장치.
  7. 포대가 내부에 안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계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 토출구에 구비되는 개폐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대를 요동시키는 요동유닛을 포함하는 백고정부; 및
    상기 계량유닛, 개폐유닛 및 요동유닛을 제어하는 콘트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유닛은 제 1캠요동수단 및 제 2캠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캠요동수단 및 제 2캠요동수단 각각에는 양단이 프레임의 수직 빔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요동캠바, 상기 요동캠바의 길이방향 중심에 구비되는 요동캠 및 상기 요동캠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동력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캠요동수단의 요동캠과 제 2캠요동수단의 요동캠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위상차가 180°를 이루며 상기 요동캠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캠요동수단의 요동캠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1고정구와 제 2고정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 2캠요동수단의 요동캠바에는 상기 고정구의 제 3고정구와 제 4고정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장치.
KR20140123762A 2014-09-17 2014-09-17 곡물계량장치 KR10149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3762A KR101493217B1 (ko) 2014-09-17 2014-09-17 곡물계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3762A KR101493217B1 (ko) 2014-09-17 2014-09-17 곡물계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217B1 true KR101493217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3762A KR101493217B1 (ko) 2014-09-17 2014-09-17 곡물계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2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8895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곡물 계량장치
CN112693647A (zh) * 2020-12-14 2021-04-23 马国建 一种颗粒状农作物快速装袋打包设备
CN114572434A (zh) * 2022-03-02 2022-06-03 周淑梅 一种减肥茶剂分装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1207A (ko) * 1987-10-06 1989-12-19 곡물 제분방법과 그 장치
KR960706066A (ko) * 1994-08-26 1996-11-08 조합 계량 장치(combination weighing equipment)
KR100238746B1 (ko) 1998-02-11 2000-01-15 최병준 곡물 조선기.
KR20120050331A (ko) * 2010-11-10 2012-05-18 이재주 살균 모듈을 갖는 자동계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1207A (ko) * 1987-10-06 1989-12-19 곡물 제분방법과 그 장치
KR960706066A (ko) * 1994-08-26 1996-11-08 조합 계량 장치(combination weighing equipment)
KR100238746B1 (ko) 1998-02-11 2000-01-15 최병준 곡물 조선기.
KR20120050331A (ko) * 2010-11-10 2012-05-18 이재주 살균 모듈을 갖는 자동계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8895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곡물 계량장치
CN112693647A (zh) * 2020-12-14 2021-04-23 马国建 一种颗粒状农作物快速装袋打包设备
CN114572434A (zh) * 2022-03-02 2022-06-03 周淑梅 一种减肥茶剂分装机
CN114572434B (zh) * 2022-03-02 2024-03-22 周淑梅 一种减肥茶剂分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217B1 (ko) 곡물계량장치
CN207401746U (zh) 一种米粒分拣装置
CN106586153B (zh) 一种振动式的集装袋卸料设备及卸料方法
CN207086319U (zh) 一种带有刮板的颗粒振动筛
CN107931144A (zh) 一种锂电池的分拣装置
CN108000488A (zh) 输送用机器人
CN108584725A (zh) 一种散货船吊运装置
CN106429904A (zh) 自动平衡吊机
CN109230589A (zh) 新能源汽车磁钢原料配料设备
CN107583850A (zh) 新型建筑材料筛选装置
CN111661271A (zh) 一种用于集装箱船的货舱导轨试箱装置
CN203283432U (zh) 多点供料提升机
CN105347198A (zh) 一种零件分拣设备
CN207687938U (zh) 一种具有多方位旋转摆动的探照灯
CN109677722A (zh) 一种吨袋自动卸料装置
CN108246605A (zh) 一种可调平多自由度振动筛分装置
CN211336622U (zh) 一种零食干果分装系统
JP5317455B2 (ja) 電動巻上装置
KR102164591B1 (ko)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CN202180948U (zh) 挂面纸包机用挂面齐平装置
CN105501486B (zh) 一种棒料自动打捆装桶机
CN209350280U (zh) 一种机械手装置
CN108176583B (zh) 一种可调节多层精密振动筛分装置
CN106733595A (zh) 一种白炭黑生产用筛分装置
CN102275647A (zh) 挂面纸包机用挂面齐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