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344A -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동종의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동종의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344A
KR20170128344A KR1020177026474A KR20177026474A KR20170128344A KR 20170128344 A KR20170128344 A KR 20170128344A KR 1020177026474 A KR1020177026474 A KR 1020177026474A KR 20177026474 A KR20177026474 A KR 20177026474A KR 20170128344 A KR20170128344 A KR 2017012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dapter
seat
backrest
g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582B1 (ko
Inventor
마틴 포스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4098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1283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2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6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push c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6Carriages supporting a rigi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2Persons or animals, dead or al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접이식 차일드 시트(1)가 개시되는데, 등받이(10)와, 시트 표면 요소(20) 및 차이드 시트(1)가 유머차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다수의 어댑터 요소(30, 30')들과, 시트 표면 요소(20)가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록킹될 수 있는 제1 록킹 요소(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록킹 요소는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한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동종의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COLLAPSIBLE CHILD SEAT AND PUSHCHAIR COMPRISING SUCH A CHILD SEAT}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베이비 캐리지(baby carriage), 특히 유모차(pushchair), 버기(buggy), 또는 유아를 위한 유사 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의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차일드 시트가 공지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는 유모차 프레임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거나, 필요시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된다.
그러나 차일드 시트는 일정하게 사용하지 않으며, 필요하지 않은 시간 동안 보관해야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 차일드 시트는 최대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그 자체로 또는 유모차 프레임과 함께 보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일드 시트는 종종 접혀질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접이식 차일드 시트의 단점은 이들을 접는 것이 매우 복잡하고 기술적으로 다루기 힘들다는 것이다. 특히, 차일드 시트를 펼친(folded-out) 상태(사용된 상태)에서 접힌 상태(사용되지않은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차일드 시트의 접힘(collapsing)을 위해서는 많은 손 움직임이 수행되어야 한다. 차일드 시트의 접힘을 위한 많은 손 움직임은 종종 기억하기 어렵고, 직관적이지 않고 기계적으로 복잡하다. 또한, 공지된 접이식 차일드 시트의 경우, 특히 손가락 및/또는 손이 차일드 시트를 접는 동작에서 끼일 수 있다는 점에서, 부상의 위험이 상당하다. 또한, 공지된진 접이식 차일드 시트는 기술적으로 비싼 방식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접기 쉽고, 기술적으로 단순한 움직임을 이용하여 펼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변경될 수 있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를 제안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유모차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상기한 목적은 등받이, 시트 표면 요소, 차일드 시트가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댑터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댑터 요소들에 대한 시트 표면 요소가 록킹될 수 있는 제1 록킹 요소를 포함하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에 의해 달성되는데, 제1 록킹 요소는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에 대한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하나의 장점은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 해제는 단지 한 손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단지 한 손 움직임/기계적으로 간단한 움직임만을 필요로 한다.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 해제가 간단하다는 사실 때문에, 차일드 시트는 간단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록킹된 시트 표면 요소를 해제하여 차일드 시트를 접기 위해 오직 한 손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상,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손이 끼어서 상해를 입을 위험이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일드 시트를 취급하는 안전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차일드 시트는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또한 제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다. 부가적으로, 차일드 시트를 접는 움직임은 직관적이어서 차일드 시트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조차도 차일드 시트를 빨리 접을 수 있다. 또한, 등받이를 움직여서 낮추거나 접을 때, 시트 표면 요소도 해제되어 낮추거나 접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를 계속 감소시킴으로써, 등받이는 최종적으로 시트 표면 요소에 접촉하고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을 향해 (등받이와 함께) 시트 표면 요소를 이동시키며, 이로써 차일드 시트가 공간 절약 방식으로 접힌다. 따라서, 단일 움직임을 사용하여, 등받이 및 시트 표면 요소는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의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이로써 차일드 시트가 접힐 수 있다.
차일드 시트는 또한 차일드 시트에 유아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요소(retaining element) 및 시트 표면 요소에 대해 유지 요소를 록킹하기 위한 제2 록킹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록킹 요소는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시트 표면 요소에 대한 유지 요소의 록킹이 해제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유지 요소로 인해, 유아는 차일드 시트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또한, 유지 요소의 록킹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 장점은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과 유지 요소의 록킹이 모두 등받이의 하나의 움직임((기계적으로 간단한)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단일 움직임, 즉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의 감소가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과 유지 요소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요구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 은 간단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더욱이, 둘다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움직임(시트 표면 요소 방향으로의 등받이의 움직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를 접는 동안 부상의 위험이 감소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을 끼일 위험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등받이를 움직여 낮추거나 접을 때, 유지 요소도 해제되어, 시트 표면 요소와 별도로, 낮추고/접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를 계속 감소시킴으로써, 등받이는 최종적으로 우선 유지 요소에 접촉하여, 유지 요소를 시트 표면 요소를 향해 이동시킨 다음, 시트 표면 요소에 접촉하고 시트 표면 요소를 (등받이 및 유지 요소와 함께)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을 향하여 이동시키며, 이로써 차일드 시트가 공간 절약 방식으로 접힌다.
일 실시 예에서, 등받이 및 시트 표면 요소는 제1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것의 한 가지 장점은 차일드 시트가 기술적인 방식으로 설계되고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1 록킹 요소는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는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확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및 시트 표면 요소가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힘은 명백하게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차일드 시트는 적은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을 요구한다. 따라서, 더 경제적인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는 저비용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유지 요소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의 하나의 장점은 유지 요소와 시트 표면 요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어댑터 요소들 사이의 각도가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등받이 및 시트 표면 요소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유지 요소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 회전축은 제2 회전축과 동일하지 않다. 제2 회전축으로부터 제1 회전축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힘은 차일드 시트에 걸쳐 분산된다. 따라서, 과도한 힘이 차일드 시트의 임의의 지점에서 발생하지 않고, 특히 2개의 회전축 중 어느 것에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일드 시트는 덜 안정적인 상태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더 가벼운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받이는 해제 기구, 특히 해제 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제 기구는 바람직하게 제1 록킹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는 등받이의 단부에 배치되고, 등받이를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에 대해 록킹시키기 위한 제1 록킹 요소가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차일드 시트는 해제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특히 해제 기구를 제1 록킹 요소로부터 풀링(pulling)함으로써, 등받이와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 사이의 록킹이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등받이와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 사이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고, 특히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의 한가지 이점은 등받이의 록킹(시트 표면 요소 및 필요에 따라 유지 요소와 관련하여)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등받이의 록킹 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지 기계적으로 간단한 움직임/손 움직임(한 손으로)이 필요하다. 등받이의 록킹(시트 표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어댑터 요소와 관련하여)이 해제된 후에, 등받이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 및 유지 요소의 록킹이 모두 해제된다. 따라서, 한 손을 움직임으로써, 차일드 시트가 하나의 연속적/중단없는 움직임(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 감소)으로 접힐 수 있다. 즉, 등받이, 시트 표면 요소 및 유지 요소는 가능하면 서로 접근하고/가능하면 서로에 대해 작은 각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필요하지 않을 때, (접힌) 차일드 시트를 수납하기 위해, 매우 적은 수납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차일드 시트를 접는 동안의 부상의 위험은, 해제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그리고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키는 등받이의 후속 움직임으로 인해, 모든 록킹(등받이의 록킹,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 및 유지 요소의 록킹)이 해제되기 때문에, 추가로 감소된다. 따라서,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이 끼어서 스스로 부상을 당할 위험을 감소시킨다.
제1 록킹 요소는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에 대해 시트 표면 요소를 록킹하기 위한 제1 기어 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트 표면 요소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1 기어 휠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것의 한가지 장점은 차일드 시트가 기술적으로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설계되고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어 휠은 긴 내용년수(service life)를 가지므로, 차일드 시트의 수명이나 내용년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기어 휠은 쉽게 교체될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는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수리될 수 있다. 시트 표면 요소의 해제 위치는 제1 록킹(시트 표면 요소와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 사이의 록킹)이 해제되는 위치이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기어 휠은 제1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기어 휠이 어댑터 요소 및/또는 시트 표면 요소와 결합 해제될 수 있고, 따라서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에 대한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이 해제 가능하다. 이것은 제1 록킹/래칭(시트 표면 요소와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 사이의 록킹/래칭)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해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록킹 요소는 시트 표면 요소에 대해 유지 요소를 록킹하기 위한 제2 기어 휠일 수 있으며, 유지 요소의 해제 위치에서, 제2 기어 휠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것의 한 가지 장점은 차일드 시트가 기술적으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어 휠은 장시간 지속 되므로, 차일드 시트의 수명/내용년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기어 휠은 쉽고 저렴하게 피팅될 수 있으므로, 쉽고 저렴하게 수리될 수 있다. 유지 요소의 해제 위치는 제2 록킹(유지 요소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록킹)이 해제되는 위치이다.
제2 기어 휠은 제2 회전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으므로, 제2 기어 휠이 유지 요소와 결합 해제될 수 있어, 유지 요소의 록킹이 시트 표면 요소에 대해 해제 가능하다. 따라서, 제2 록킹(유지 요소와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 사이의 록킹)이 형성되고,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록킹 요소는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에 대해 등받이를 록킹하기 위한 제3 기어 휠을 포함한다. 이것의 한가지 장점은 차일드 시트가 기술적으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어 휠은 장시간 지속되므로, 차일드 시트의 수명/내용년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기어 휠은 쉽고 저렴하게 피팅될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는 쉽고 저렴하게 수리될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차일드 시트는 해제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등받이와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 사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제3 기어 휠이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것의 한가지 장점은 록킹 요소가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제1 록킹 요소는 케이블 풀(pull), 특히 보우덴(Bowden) 케이블을 통해 제2 록킹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의 보조로, 제1 록킹이 유지 요소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제2 록킹보다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더 작은(또는 더 큰) 각도로 해제되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제1 록킹 및 제2 록킹의 연속적인 해제/언록킹은 특히 안전하고 신뢰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또한, 케이블 풀은 기술적으로 비용 효율적이므로, 차일드 시트는 저비용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풀은 쉽게 수리할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는 쉽게 수리될 수 있다. 이는 제조 비용 및 수리 비용의 감소를 의미한다. 또한, 케이블 풀은 무게가 낮고, 그결과 차일드 시트의 무게가 낮아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은 특히 유모차,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를 위한 유모차, 사륜차 또는 유사한 차량에 의해 달성되며, 이들은 유모차 프레임 및 위에서 언급한 특징 조합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차일드 시트를 포함한다. 이것의 한가지 장점은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이 쉽게 해제된다는 것이다.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한 손의 움직임/기계적으로 간단한 움직임만이 필요하다.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이 차일드 시트의 해제를 용이하게 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접힐 수 있다. 시트 표면 요소의 록킹을 해제하여 차일드 시트/유모차를 접기 위해, 단지 한 손만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이 끼어 부상을 당할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유모차의 작동시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유모차는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유모차를 접기 위한 움직임은 직관적이므로, 차일드 시트/유모차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조차도 신속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등받이를 움직여 낮추거나 접을 때, 시트 표면 요소도 해제되어 낮추거나 접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등받이와 시트 표면 요소 사이의 각도를 계속 감소시킴으로써, 등받이는 최종적으로 시트 표면 요소에 접촉하고 시트 표면 요소를 (등받이와 함께) 어댑터 요소 또는 어댑터 요소들을 향해 이동시켜서,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가 공간 절약 방식으로 접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하위 청구항들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컷-아웃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제1 커버가 제거된, 도 2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등받이 연결 요소 및 유지 요소 스트럿(strut)이 제거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또다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풀 요소 및 제3 압축 스프링이 제거된,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또다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돌기 및 제2 기어 휠이 제거된, 도 2,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또다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 및 제3 기어 휠이 제거된, 도 2, 도 4,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또다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스러스트 링(thrust ring)이 제거된, 도 2, 도 4, 도 6,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제1 기어 휠이 제거된, 도 2,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8은 도 1 내지 도 17로부터의 등받이 연결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0은 도 1 내지 도 17로부터의 차일드 시트의 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1)에 대한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차일드 시트(1)는 등받이(10), 시트 표면 요소(20), 및 2개의 어댑터 요소(30, 30')를 포함하며, 도 1에서는 하나의 어댑터 요소(30)만이 가시적이다(다른 어댑터 요소(30')는 시트 표면 요소(20)에 의해 커버된다). 차일드 시트(1)는 시트 표면 요소(20)의 바닥 영역(24)의 중간을 통해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 거울-대칭적으로 구성된다.
등받이(10)는 유아가 차일드 시트(1)에 앉거나/있을 때 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유아가 차일드 시트(1)에 앉거나/있을 때, 유아는 등받이(10)에 등을 대고 기댈 수 있다. 시트 표면 요소(20)는 유아가 차일드 시트(1)에 앉거나/있을 때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일드 시트(1)는 유지 요소(40)를 더 포함한다. 유지 요소(40)는 차일드 시트(1)에 유아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유지 요소(40)는 유아가 도 1에서 정면으로부터(즉, 우측/상부 우측을 향해) 차이드 시트(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등받이(10)는 등받이(10)의 상단부(19)(즉, 어댑터 요소(30)에 대한 등받이(10)의 말단부)를 (연결 요소(18, 18')를 통해) 제1 록킹 요소(50)와 연결하는 2개의 외부 스트럿(12, 12')를 포함한다. 등받이(10)의 상단부(19)에 직접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외부 스트럿(12, 12')은 등받이(10)의 중간 부분에서 연장되는 등받이(10)의 길이방향 부분(14)과의 거리/여유 공간을 갖는다. 유아가 차일드 시트(1)에 앉을 때, 등이 길이방향 부분(14)에 접촉한다. 즉, 유아는 등받이(10)의 길이방향 부분(14)에 대해 등을 기댈 수 있다.
길이방향 부분(14)은 등받이(10)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요추 지지 영역(16)에 결합된다. 요추 지지 영역(16)은 유아가 (예상되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에 앉을 때 유아의 허리 영역에 위치한다. 외부 스트럿(12, 12')은 요추 지지 영역(16)으로 전이(transition)/그를 통해 연장한다. 사용시, 길이방향 부분(14) 아래의 등받이(10)의 중간에 있는 이러한 여유 공간(13) 내에는 유아의 등/허리에 대한 지지 요소가 없다. 요추 지지 영역(16)은 2개의 등받이 연결 요소(18, 18')를 통해 제1 록킹 요소(50)에 연결된다. 등받이 연결 요소(18, 18')는 요추 지지 영역(16) 아래에 인접하여 이를 제1 록킹 요소(10)에 연결하고/등받이 연결 요소(18)의 하단은 제1 록킹 요소(10)의 일부를 형성한다.
등받이(10)는 길이방향 부분(1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고 등받이(10)의 상단부(19)로부터 시트 표면 요소(20)의 바닥 영역(24)의 중간을 통해 연장되는 거울면과 거울-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등받이(10)의 상단부(19)에는 해제 기구가 제3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해제 기구는, 특히 (도 15에서) 위로 풀링할 수 있는 해제 핸들(15)이다.
시트 표면 요소(20)는 쉘(shell) 형상을 갖는다. 시트 표면 요소(20)는 기본적으로 그 중간에 바닥 영역(24)을 포함한다. 바닥 영역(24)에 측방향으로 결합되는 시트 표면 요소(20)의 2개의 측방향 단부(22, 22')는 베이스 영역/평면 바닥 영역(24)을 지나 상부를 향해 돌출한다. 유아가 (의도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에 앉거나/있을 때, 2개의 측방향 단부(22, 22')는 유아의 엉덩이의 움직임이 측방향으로 제한되도록 시트 표면 요소(20)의 바닥 영역(24)을 넘어서 돌출한다.
시트 표면 요소(20)는 제1 록킹 요소(50)에 연결된다. 제1 록킹 요소(50)는 시트 표면 요소(20)의 후방 단부(도 2에서 좌측)에 인접하여 시트 표면 요소(20)의 중심선(기본적으로 도 2에서 수평적으로 연장하는) 바로 위에 배치된다.
2개의 외측 스트럿(12, 12') 및 2개의 등받이 연결 요소(18, 18')는 시트 표면 요소(20)의 측방향 단부(22, 22')를 지나 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차일드 시트(1)의 접힌 상태에서, 시트 표면 요소(20)가 외부 스트럿(12, 12')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차일드 시트(1)는 2개의 어댑터 요소(30, 30')들(도 1에서 하나의 어댑터 요소(30)만이 도시됨)을 더 포함한다. 어댑터 요소(30, 30')들은 차일드 시트(1)를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는 어댑터 요소(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을 통해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차일드 시트(1)는 단지 하나의 어댑터 요소(3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어댑터 요소들, 예를 들어 3개, 4개, 5개 또는 6개도 가능할 수 있다. 더 많은 수의 어댑터 요소들은 차일드 시트(1)와 유모차 프레임 사이의 연결을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만든다. 또한, 어댑터 요소(30)/ 어댑터 요소(30, 30')들을 통한 차일드 시트(1)와 유모차 프레임 사이의 연결은 해제 불가능/해제하기에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댑터 요소(30)는 2개의 어댑터 요소 절반부(31, 31')들로 구성된다. 2개의 어댑터 요소 절반부(31, 31')들은 유모차 프레임의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한다(텅(tongue)-그루브(groove) 조인트). 다른 종류의 연결도 가능할 수 있다.
어댑터 요소(30, 30')는 어댑터 요소(30, 30')와 유모차 프레임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는 언록킹 버튼(33)을 포함한다. 언록킹 버튼(33)은 안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는 어댑터 요소(30, 30')와 유모차 프레임 사이의 언록킹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차일드 시트(1)와 유모차 프레임 사이의 연결은 단단하다. 이는 어댑터 요소(30, 30')와 유모차 프레임 사이의 연결이 록킹되고, 제자리에 스냅(snap)되거나 또는 래칭되는 한, 차일드 시트가 상하 또는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록킹 버튼(33)을 누른 후에, 차일드 시트는 상향 방향(즉, 도 2의 상향으로), 즉 들어올린 상태로 유모차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등받이(10)는 제1 록킹 요소(50)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 회전축(59)은 제1 록킹 요소(50)의 중심(110)을 통해 연장하고, 도 2에서는 용지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한다.
시트 표면 요소(20)는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회전 가능하다.
유지 요소(40)는 제2 록킹 요소(60)의 중심(120)을 통해 연장되는 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 회전축(69)은 또한 도 2에서 용지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제1 회전축(59)과 제2 회전축(69)은 동일하지 않다. 제1 회전축(59)과 제2 회전축(69)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러나, 제1 회전축(59)과 제2 회전축(69)이 동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지 요소(40)가 등받이(10) 및 어댑터 요소(30)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고 고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회전축(59) 및 제2 회전축(69)은 동일하지 않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지 않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제1 회전축(59) 및 제2 회전축(69)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차일드 시트(1)는 펼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 표면 요소(20)는 하나의 어댑터 요소(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록킹된다. 이것은 시트 표면 요소(20)가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트 표면 요소(20)는 하나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록킹 위치에서, 시트 표면 요소(20)와 어댑터 요소(30, 30')들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없으며, 특히 감소되지 않는다. 이것은 시트 표면 요소(20)가 어댑터 요소(30, 30')들의 방향으로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또한 반시계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록킹 상태에서, 등받이(10)는 또한 시트 표면 요소(20)에 대해 록킹, 즉 래칭되어 있다. 등받이(10)는 또한 어댑터 요소/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록킹, 즉 래칭되어 있다. 록킹 위치에서, 등받이(10)는 또한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으며, 등받이(10)의 록킹 또는 래칭 위치에서 등받이(10)와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없다. 즉, 제3 록킹일 때,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등받이(10)와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뿐만 아니라 등받이(10)와 어댑터 요소(30)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없다.
등받이(10)와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는 등받이(10)의 상단부로부터 시작되는 등받이(10)의 길이방향 부분(14)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과, 시트 표면 요소(20)의 평면 바닥 영역(24)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사이의 각도로 이해된다.
어댑터 요소(30, 30')와 등받이(10) 사이의 각도는 제1 록킹 요소(50)의 중심(110)을 통해 연장되고 어댑터 요소(30)를 따라 기본적으로 아래쪽으로 (도 2에서) 연장되는 평면과, 등받이(10)의 길이방향 부분(14)에 의해 형성되는/등받이(10)를 따라 연장되는 평면 사이의 각도이다.
또한, 차일드 시트(1)는 유지 요소(40)를 포함한다. 해제된 상태, 즉 언록킹 상태에서, 유지 요소(40)는 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1에서, 유지 요소(40)는 록킹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즉 제2 록킹 장치는 고정되어 있다. 록킹 상태에서, 유지 요소(40)는 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다. 제2 회전축(69)은 제1 회전축(59)에 평행하게 오프셋(offset)된다. 제2 회전축(69)은 시트 표면 요소(20)의 길이(도 2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는)의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제2 회전축(69)은 시트 표면 요소(20)의 바닥 영역(24)의 레벨에/평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회전축(69)(도 1에서 차일드 시트의 펼친 상태에서)은 제1 회전축(59)보다 등받이(1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도 2는 차일드 시트(1)의 컷-아웃 부분, 특히 제1 록킹 요소(50) 및 제2 록킹 요소(60)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서의 본질적으로 동일한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록킹 요소(50)는 제1 커버(51)를 포함한다. 제1 커버(51)는 먼지, 습기 등의 침입에 대해 제1 록킹 요소(50)의 메커니즘을 보호하고, 제1 록킹 요소(50)를 외측으로 광학적으로 마무리하는 플라스틱/합성 요소이다. 제1 커버(51)의 재료 또는 재료의 일부로서의 금속 합금 또는 금속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하는데, 제1 커버(51)는 제거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서와 같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컷-아웃 부분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는 등받이 연결 요소(18)의 정면에 대한 평면도/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는 등받이 연결 요소(18)의, 전방에 대향하는, 후방의 평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유지 요소(40)는 2개의 유지 요소 스트럿(42, 42')들을 포함하며, 이들을 통해 유지 요소가 제2 록킹 장치(60)에 각각 연결된다.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추가 평면도를 도시하는데, 등받이 연결 요소(18)와 유지 요소 스트럿(42)들이 제거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록킹 요소(50)는 제3 기어 휠(52)을 포함한다. 제3 기어 휠(52)은 11개의 (등거리) 기어 휠 치형부(teeth)(53)를 갖는다. 기어 휠 치형부(53)는 전체적으로 약 180도 이상의 각도로 연장된다. 2개의 가장 외측의 기어 휠 치형부(53)는 계단 형상을 포함한다. 가장 외측의 기어 휠 치형부(53)의 계단 형상은 제1 회전축(59)에 대해 거울-대칭적이다. 다른 (9개) 기어 휠 치형부(53)는 직사각형이다.
어댑터 요소(30)는 제3 내부 기어링(gearing)(54)을 포함한다. 제3 내부 기어링(54)은 다수의 그루브들을 포함한다. 등받이(10)가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제3 기어 휠(52)의 기어 치형부(53)는 제3 내부 기어링(54)의 그루브(55)에 결합한다.
등받이의 래칭된 위치(제3 록킹)에서, 제3 기어 휠(52)은 등받이(10)의 등받이 연결 요소(18)의 제4 내부 기어링(130)에 추가로 결합한다(도 18 및 도 19 참조). 제4 내부 기어링(130)은 14개의 그루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그루브들은 약 270° 이상의 각도로 연장된다. 제4 내부 기어링(130)의 4개의 각각의 가장 외측의 그루브들은 제3 기어 휠(52)의 2개의 가장 외측의 기어 휠 치형부(53)에 상보적인 계단 형상을 갖는다. 제4 내부 기어링(130)의 각각의 가장 외측의 그루브들 사이의 6개의 그루브들은 직사각 형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확하게 4개의 위치에서, 제3 기어 휠(52)은 제2 록킹 요소(60)의 제2 내부 기어링(61)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4개의 위치에서, 등받이(10)(또는 등받이(10)의 등받이 연결 요소(18))는 어댑터 요소(30)에 대해 록킹된다.
제1 록킹 요소(50)는 풀(pull) 요소(56)를 포함한다. 풀 요소(56)는 제1 회전축(59)을 통해 연장되는 리세스(57)를 갖는다. 리세스(57)는 타원형이다. 측면도에서, 즉 도 6의 평면도에 직각으로 본 도면에서, 풀 요소(56)는 삼각형 형상이다(이는 도 7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풀 요소(56)는 제3 압축 스프링(58)을 통해 케이블 풀/보우덴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이 케이블 풀을 통해, 풀 요소(56)는 등받이(10)의 상단부(19)에서 해제 기구/해제 핸들(15)에 연결된다. 제3 압축 스프링(5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풀 요소(56)를 유지한다. 풀 요소(56)는 해제 핸들(15)을 작동시킴으로써 이동되며, 제3 압축 스프링(58)이 압축되고 풀 요소(56)가 제3 기어 휠(52)에 대해 (도 6에서 우측 하부에서 좌측 상부로) 이동된다.
이는 삼각형 모양의 풀 요소(56)가 제1 측면상의 돌출부(81)(도 8 및 도 9 참조)에 대해 그리고 제1 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상의 등받이 연결 요소(18)에 대해 가압하는 효과를 갖는다. 등받이 연결 요소(18)가 (제1 회전축(59)의 축 방향으로) 제1 회전축(59)을 통해 시트 표면 요소(2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등받이 연결 요소(18)/등받이(10)는 외측으로(도 2에서 지면(paper plane) 밖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제3 기어 휠(52)은 내측으로, 즉 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으로(도 6에서 지면 내로) 가압된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록킹/래칭 위치에서, 자연스럽게 제3 록킹에 필요한 등받이 연결 요소(18)가 없더라도, 제3 기어 휠(52)은 그것의 기어 휠 치형부(53)가 제4 내부 기어링(130)과 부분적으로 결합하고 제3 내부 기어링(54)과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위치에 있다. 특히, 각각의 기어 휠 치형부(53)의 대략 절반은 하나의 내부 기어링(130)과 결합하고 나머지 절반은 다른 내부 기어링(54)과 결합하고 있다.
해제 핸들(15)을 작동시킴으로써, 풀 요소(56)는 제3 기어 휠(52)에 차례로 작용하여 내측으로 (제1 회전축(59)을 따라 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제3 기어 휠(52)의 기어 휠 치형부(53)는 내부 기어링(61) 외부로 이동하고, 제3 기어 휠(52)은 제3 내부 기어링(54) 내로 완전히 결합한다. 이는 제3 기어 휠(52), 특히 기어 휠 치형부(53)가 외측으로(즉, 도 5에서 지면 밖으로, 시트 표면 요소(20)로부터 멀리) 돌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등받이(10)는 이제 어댑터 요소(30)에 대해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제3 기어 휠(52)의 후방 측에는, 제3 기어 휠(52)을 외측으로(도 6, 도 8 및 도 10에서 지면 밖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3 기어 휠(52)이 작용받도록 보장하는 추가 스프링이 배치된다. 해제 핸들(15)을 놓은 후, 제3 압축 스프링(58)은 풀 요소(56)를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누르게 된다. 그러므로, 제3 기어 휠(52)에 작용하는 내부 압력 또는 힘이 없으므로, 제3 기어 휠(52)의 후방 측 상의 스프링(도 6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인해, 제3 기어 휠(52)은 다시 외부로 가압되어, 제2 내부 기어링(61)과 부분적으로 다시 결합한다. 해제 핸들(15)을 놓은 후, 제3 기어 휠(52)은 등받이(10)가 록킹 요소(30)에 대해 록킹(제3 록킹)되도록 다시 록킹 위치에 도달한다.
도 6은 스러스트 링(thrust ring)(90)의 2개의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들을 도시한다. 2개의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들은 제1 회전축(59)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2개의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들은 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의 리세스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리세스를 통해 우측으로 결합하며, 리세스는 제3 기어 휠 (52)의 외주에 직접 결합된다.
도 8에서, 도 4의 도면과 관련하여 추가 "층"이 제거되었다. 즉, 제3 압축 스프링(58)뿐만 아니라 풀 요소(56)가 제거되었다. 제3 기어 휠(52)의 중심 영역에는 돌출부(81)를 갖는 경사 요소(80)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80)는 풀 요소(56)와 함께 풀링 핸들(15)이 작동될 때 제3 기어 휠(52)이 내측으로 가압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9는 도 8의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경사 요소(80)가 제거되고 제1 록킹 요소(50)의 추가 "층"이 노출된다. 내부 영역(기어 치형부(53)와 제1 회전축(59) 사이의 영역)에는 디스크 형상의 활주면(85)이 있다. 경사 요소(80)는 이 활주면(85) 위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제3 기어 휠(52)은 경사 요소(8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경사 요소는 제3 기어 휠(52)에 대해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 도 4,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다른 평면도이다. 여기서, 제1 어댑터 요소(30)의 일부, 즉 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 및 제3 기어 휠(52)은 제거된다. 도 13은 도 12의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에 대해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장착된 본질적으로 디스크형의 스러스트 링(90)이 명확하게 인식될 수있다. 스러스트 링은 제1 기어 휠(95)에 대해 강성/고정되어 있으며, 즉 회전 불가능하다.
제1 회전축(59)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스러스트 링(90)의 2개의 면에는 시트 표면 요소(20)를 가리키는 (도 12에서 지면 밖으로) 2개의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가 형성된다. 이들은 어댑터 요소(30)/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도 12에서 이전에 제거된)의 개구/리세스를 통해 돌출한다.
등받이(10)가 시트 표면 요소(20)에 대해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2개의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는 등받이 연결 요소(18)의 2개의 대향하는 돌출부(63, 63')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돌출부(63, 63')는 등받이 연결 요소(18)의 하부 원형 단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서히 상승한다. 등받이(10)와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돌출부(63, 63')는 2개의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와 접촉하게 된다.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는 등받이 연결 요소(18)의 하부 원형 단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더욱 돌출된 돌출부(63, 63') 상으로 활주/올라타게(get onto) 된다. 등받이(10)와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돌출부(63, 63')는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에 대한 압력을 꾸준히 증가시키고, 즉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는 돌출부(63, 63')에 대한 이들의 압력을 꾸준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등받이(10)가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돌출부(63, 63')로 인해, 압력이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를 통해 스러스트 링(90) 상에 가해지므로, 스러스트 링(90)은 내측으로, 즉 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으로(도 12에서 지면 내로) 가압된다.
스러스트 링(90)은 제1 기어 휠(95) 상에 놓인다. 도 14에서, 스러스트 링(90)은 제거되어, 제1 기어 휠(95)이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제1 기어 휠(95)은 어댑터 요소(30)와 부분적으로 맞물린 그것들의 치형부를 갖는다. 내측으로 향하는 스러스트 링(90)의 압력으로 인해, 제1 기어 휠(95)은 스프링(도시안됨)에 대해 내측으로, 즉 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으로 (도 12 및 도 14에서 지면 내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1 기어 휠(95)은 어댑터 요소(30)/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의 제1 내부 기어링(99)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따라서, 어댑터 요소(30)/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는 양측면에, 즉 제1 커버(51)에 대향하는 면 및 시트 표면 요소(20)에 대향하는 면에 각각 내부 기어링(99, 54)을 포함한다.
제1 기어 휠(95)이 어댑터 요소(30)/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로부터 결합 해제된 후, 시트 표면 요소(20)는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표면 요소(20)는 해제 위치에 도달한다. 이러한 해제 위치에서, 시트 표면 요소(20)와 어댑터 요소(30) 사이의 각도는 감소될 수 있다. 시트 표면 요소(20)는 이제 접혀지고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4는 도 2, 도 4, 도 6,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다른 평면도이다. 여기서, 스러스트 링(90)은 제거된다. 도 15는 도 14의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2,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컷-아웃 부분의 추가 도면이다. 여기서, 제1 기어 휠(95)은 제거된다. 도 17은 도 16의 컷-아웃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에서, 제1 기어 휠(95)은 제거되었다. 도 17에서, 제1 압축 스프링이 보이고, 이는 제1 기어 휠(95)을 가압하여, 그것을 외측으로(도 16에서 지면 밖으로, 즉 시트 표면 요소(20)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제1 기어 휠(95)은 경사 돌출부(97)를 포함한다. 경사 돌출부(97)는 도 14에서 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제1 기어 휠(95)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도 2/도 14에서 등받이(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풀 요소(106)는 돌출부(97)를 통해 (도 14에서 왼쪽으로) 이동된다. 제2 풀 요소(105)는 풀 요소(106)를 제2 록킹 요소(60)에 연결시키는, 케이블 풀/보우덴 케이블을 이동시킨다. 케이블 풀/보우덴 케이블(도시안됨)을 풀링함으로써, 제2 기어 휠(64)은 내측으로 (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지 요소(40)와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제2 록킹을 해제한다.
제1 록킹 요소(50)는 풀 요소 리세스(106) 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풀 요소(105)를 포함한다. 풀 요소 리세스는 도 16에서 약 5° 내지 10°의 각도로 우측 상단쪽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다른 제2 케이블 풀(도시안됨)은 제2 풀 요소(105)를 작동시키고, 이런 케이블 풀은 제2 록킹 요소(60)를 록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이는 제2 록킹에 해당함).
등받이(10)의 회전(도 2에서의 시계 방향) 중에,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는 외부 어댑터 요소 절반부(31)의 돌출부(63, 63')와 접촉하게 된다(도 18 및 도 19 참조). 스러스트 링 돌출부(92, 92')는 돌출부(63, 63')를 가압한다(원주방향으로 천천히 상승함). 이것의 효과는 스러스트 링(90)이 내측으로(도 16에서 지면 내로) 가압된다는 것이다. 차례로, 스러스트 링은 제1 압축 스프링(98)에 대해 내측으로(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으로) 제1 기어 휠(92)을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동시에, 제1 기어 휠(92)의 경사 돌출부(97)는 제2 풀 요소(105)를 가압하여 제2 록킹 요소(60)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도 16에서 좌측을 향해). 제2 록킹 요소, 특히 제2 기어 휠(64)은 제2 풀 요소(105)에 연결된 제2 케이블 풀/보우덴 케이블을 통해 작동되고, 유지 요소 스트럿(42)의 내부 기어링과 결합 해제된다.
제2 록킹 요소(60)는 시트 표면 요소(20)의 그루브(65)와 결합되는 제2 기어 휠(64)을 포함한다. 제2 케이블 풀이 작동될 때(즉, 제1 기어 휠(52)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제2 풀 요소(105)를 제2 록킹 요소(60)로부터 멀리 이동시킴으로써), 제2 기어 휠(64)이 제2 회전축(69)을 따라 시트 표면 요소(20)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되도록 제2 기어 휠(64)은 제2 압축 스프링(75)에 대해 가압된다. 그 결과, 제2 기어 휠(64)이 시트 표면 요소(20)의 제2 내부 기어링(61) 내로 완전히 이동된다는 점에서, 제2 기어 휠(64)은 유지 요소 스트럿(42, 42')의 내부 기어링과 결합 해제된다. 제2 기어 휠(64)이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요소 스트럿(42)/유지 요소(40)와 결합 해제되면, 유지 요소(40)는 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시트 표면 요소(20)에 대해).
유지 요소(20)의 래칭된 위치에서(제2 록킹), 제2 기어 휠(64)은 시트 표면 요소(20)의 제2 내부 기어링(61)과 부분적으로 결합하고 유지 요소(20)/유지 요소 스트럿(42)의 내부 기어링과 부분적으로 결합한다. 특히, 제2 기어 휠(64)의 대략 절반은 시트 표면 요소(20)의 하나의 내부 기어링(61)과 결합하고 나머지 절반은 유지 요소(20)/유지 요소 스트럿(42)의 다른 내부 기어링과 결합한다.
등받이(10)가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등받이(10)와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등받이(20)를 시트 표면 요소(20) 쪽으로,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 유지 요소(40)의 록킹은 취소/해제된다(제2 록킹). (30)에 대해 (도 2 내지도 19에서 시계 방향으로) 등받이(10)와 어댑터 요소(30) 사이의 각도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어댑터 요소(30)에 대한 시트 표면 요소(20) 이후 취소되었습니다 (첫 번째 록킹). 유지 요소(30)에 대해 등받이(10)와 어댑터 요소(30) 사이의 각도를 추가로 감소시킴으로써(도 2 내지 도 19에서 시계방향으로), 또한 어댑터 요소(30)에 대한 시트 표면 요소(20)의 록킹이 순차적으로 취소된다(제1 록킹).
따라서, 해제 기구/해제 핸들(15)를 작동시키고 등받이(10)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유지 요소(40) 및 시트 표면 요소(20)가 해제되어 접혀지므로, 이들과 어댑터 요소(30)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접이식 차일드 시트(1)의 외부 치수가 감소된다. 차일드 시트는 이제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수납될 수 있다.
유지 요소(30)는 스냅-인(snap-in) 위치를 가지며, 이 위치에서 유지 요소(30)는 차일드 시트(1)의 펼친 상태 동안에 록킹된다. 이 스냅-인 위치/록킹 위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시트 표면 요소(20)는 스냅-인 위치를 가지며, 이 위치에서 시트 표면 요소(20)는 스냅-인된다. 이 스냅-인 위치/록킹된 위치는 도 2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방향에서, 모든 3개의 록킹(제1 록킹, 제2 록킹, 제3 록킹)은 제자리에 고정되며. 이는 시트 표면 요소(20), 유지 요소(40) 및 어댑터 요소/어댑터 요소(30, 30')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요소들 간의 각도 및 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제1 록킹 요소(50)까지의 말단의 거리가 변경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모든 3개의 록킹에 있어서, 하나의 기어 휠(95, 64, 52)의 각각은 2개의 내부 기어링(각각, 외측 내부(outer internal) 기어링 및 내측 내부(inner internal) 기어링)과 각각 결합한다. 각각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각각의 기어 휠(95, 64, 52)은 압축 스프링에 대해 내측으로(도 2,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4에서 지면 내로, 즉 시트 표면 요소(20)를 향해) 이동되어, 각각의 기어 휠은 각각의 내측 기어링(예를 들어, 시트 표면 요소(2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기어)에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외측 기어는 각각의 기어 휠(95, 64, 52)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따라서 제1 회전축(59)/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각각의 내측 기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1 차일드 시트
10 등받이
12, 12' 외부 스트럿
13 여유 공간
14 길이방향 부분
15 해제 핸들
16 요추 지지 영역
18, 18' 등받이 연결 요소
19 등받이 상단부
20 시트 표면 요소
22, 22' 측방향 단부
24 바닥 영역
30, 30' 어댑터 요소
31, 31' 어댑터 요소 절반부
33 언록킹 버튼
40 유지 요소
42, 42' 유지 요소 스트럿
50 제1 록킹 요소
51 제1 커버
52 제3 기어 휠
53 제3 기어 휠 치형부
54 제3 내부 기어링
55 그루브
56 제1 풀 요소
57 리세스
58 제3 압축 스프링
59 제1 회전축
60 제2 록킹 요소
61 제2 내부 기어링
63, 63' 등받이 요소의 돌출부
64 제2 기어 휠
65 그루브
69 제2 회전축
75 제2 압축 스프링
80 경사 요소
81 돌출부
85 활주면
90 스러스트 링
92, 92' 스러스트 링 돌출부
95 제1 기어 휠
97 경사 돌출부
98 제1 압축 스프링
99 제1 내부 기어링
105 제2 풀 요소
106 풀 요소 리세스
110 제1 록킹 요소의 중심
120 제2 록킹 요소의 중심
130 제4 내부 기어링

Claims (14)

  1. 접이식 차일드 시트(1)로서,
    - 등받이(10),
    - 시트 표면 요소(20),
    - 상기 차일드 시트(1)가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다수의 어댑터 요소(30, 30')들, 및
    -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가 상기 하나의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다른 어댑터 요소(30, 30')에 대해 록킹가능한 제1 록킹 요소(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록킹 요소(50)는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의 록킹이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해제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접이식 차이드 시트(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1)는,
    - 상기 차일드 시트(1) 내에 유아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요소(40), 및
    -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에 대해 상기 유지 요소(40)를 록킹하기 위한 제2 록킹 요소(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록킹 요소(60)는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유지 요소(40)의 록킹이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에 대해 해제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는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접이식 차일드 시트(1).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40)는 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접이식 차일드 시트(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는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유지 요소(40)는 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축(59)은 상기 제2 회전축(69)과 동일하지 않은, 접이식 차일드 시트(1).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는 해제 기구, 특히 해제 핸들(15)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 기구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록킹 요소(50)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기 등받이(10)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상기 등받이(10)를 록킹하기 위한 제1 록킹 요소(50)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차일드 시트(1)는, 상기 해제 기구를 작동함으로써, 특히 상기 해제 기구를 상기 제1 록킹 요소(50)로부터 풀링함으로써,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 사이의 록킹이 해제되고,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 사이의 각도가 변경도록, 특히 감소되도록 설계되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1).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 요소(50)는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를 록킹하기 위한 제1 기어 휠(9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 휠(95)은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의 해제 위치에서 제1 회전축(5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접이식 차일드 시트(1).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휠(95)은 상기 제1 회전축(59)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기어 휠(95)이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및/또는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와 결합 해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한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1).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킹 요소는 상기 시트 표면 요소(20)와 관련하여 상기 유지 요소(40)를 록킹하기 위한 제2 기어 휠(6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 휠(64)은 상기 유지 요소(40)의 해제 위치에서 제2 회전축(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접이식 차일드 시트(1).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 휠(64)은 상기 제2 회전축(69)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 휠(64)이 상기 유지 요소(40) 및/또는 시트 표면 요소(20)와 결합 해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시트 표면 요소(20)에 대한 유지 요소(40)의 록킹이 해제 가능한, 접이식 차일드 시트(1).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 요소(50)는 상기 어댑터 요소(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들에 대해 상기 등받이(10)를 록킹하기 위한 제3 기어 휠(52)을 포함하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1).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1)는 상기 해제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등받이(10)와 상기 어댑터 요소(30, 30') 또는 어댑터 요소(30, 30') 사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제3 기어 휠(52)이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1).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 요소(50)는 케이블 풀, 특히 보우덴 케이블을 통해 제2 록킹 요소(60)에 연결되는, 접이식 차일드 시트(1).
  14. 베이비 캐리지, 특히 유모차, 버기 또는 유아를 위한 유사 차량으로서,
    유모차 프레임, 및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일드 시트(1)를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지, 특히 유모차, 버기 또는 유아를 위한 유사 차량.
KR1020177026474A 2015-02-23 2016-02-22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동종의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 KR102494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2538.8A DE102015102538A1 (de) 2015-02-23 2015-02-23 Zusammenklappbarer Kindersitz sowie Kinderwagen mit einem solchen Kindersitz
DE102015102538.8 2015-02-23
PCT/EP2016/053624 WO2016135074A1 (de) 2015-02-23 2016-02-22 Zusammenklappbarer kindersitz sowie kinderwagen mit einem solchen kinder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344A true KR20170128344A (ko) 2017-11-22
KR102494582B1 KR102494582B1 (ko) 2023-02-02

Family

ID=5540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474A KR102494582B1 (ko) 2015-02-23 2016-02-22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동종의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21770B2 (ko)
EP (2) EP3261901B1 (ko)
JP (3) JP6705829B2 (ko)
KR (1) KR102494582B1 (ko)
CN (1) CN107428355B (ko)
BR (1) BR112017017829B1 (ko)
DE (2) DE102015102538A1 (ko)
ES (1) ES2926632T3 (ko)
PL (1) PL3261901T3 (ko)
WO (1) WO2016135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2538A1 (de) * 2015-02-23 2016-08-25 Cybex Gmbh Zusammenklappbarer Kindersitz sowie Kinderwagen mit einem solchen Kindersitz
CN106541977B (zh) 2015-09-16 2019-08-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
CN108784135B (zh) * 2017-05-02 2024-02-13 广东奥迪动漫玩具有限公司 婴幼儿支撑装置的杆组转接卡固机构
US10173710B1 (en) * 2017-06-16 2019-01-08 Unique Product & Design., Ltd. Cart
DE102017124742A1 (de) * 2017-10-23 2019-04-25 Nebu-Tec Med. Produkte Eike Kern Gmbh Automatische Medikamentendosierung bei Verneblern
CN114304981B (zh) 2018-04-20 2024-04-3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载具、婴儿座具及其连动收折机构
CN115195844A (zh) 2018-04-23 2022-10-1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旋转释锁机构、座椅及具有该座椅的婴儿载具
CN110775133A (zh) * 2018-07-29 2020-02-11 刘玲芝 一种座椅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JP6957028B2 (ja) * 2018-07-31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N114302842B (zh) * 2018-09-14 2024-04-05 爱康国际有限公司 可折叠儿童座椅
US11071396B2 (en) 2018-10-29 2021-07-27 Baby Jogger,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 folding high chair
CN109515509A (zh) * 2018-11-29 2019-03-26 宁波妈咪宝婴童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折叠推车
CN111483503B (zh) * 2019-01-29 2022-07-19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枢转座机构及包含该枢转座机构的儿童推车
CN114104074B (zh) * 2020-08-28 2023-10-2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及其背靠角度调整机构
NL2032196B1 (en) * 2020-12-18 2023-05-15 Royalty Bugaboo Gmbh Foldable stroller, foldable bassinet, foldable seat, stroller and stroller and luggage system
CN114179893B (zh) * 2021-12-10 2024-02-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4046A1 (en) * 2000-09-14 2004-07-15 Paul Giampavolo Seat belt with child resistant buckle
WO2010050804A1 (en) * 2008-10-27 2010-05-06 Royalty Bugaboo Gmbh Child's seat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984B2 (ja) * 1990-10-05 1995-08-1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リクライニング若しくは倒伏機構
US5820144A (en) * 1996-05-31 1998-10-13 Wang; Frank Stroller with shock absorbing device for mounting a seat member on a stroller frame
US6386575B1 (en) * 2000-08-10 2002-05-14 Convaid Products, Inc. Mobile seat arrangement
JP3766821B2 (ja) * 2002-06-05 2006-04-1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US20050017469A1 (en) * 2003-07-21 2005-01-27 Hill William R. Multifunction stroller
GB2412577B (en) * 2004-03-31 2008-02-20 Catalyst Developments Fitting for child safety seat
CN201116134Y (zh) * 2006-10-22 2008-09-17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单一收合轴的婴儿车及单轴心的车架收合机构
EP2231461B1 (en) * 2007-12-17 2013-11-27 Mamas & Papas (Holdings) Limited Pushchair seat
GB0818605D0 (en) 2008-10-10 2008-11-19 Scs London Ltd Apparatus and method
AU2014218398B2 (en) 2008-10-10 2016-06-23 Icandy World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US8474854B2 (en) 2009-03-24 2013-07-0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and fold interlock mechanism
US8764048B1 (en) 2009-01-08 2014-07-0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removable, reversible stroller seat
CN101954922A (zh) * 2009-07-16 2011-01-26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座位可拆结构
CN102030026B (zh) * 2009-09-24 2012-10-3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双向使用状态的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US8616638B2 (en) * 2010-01-15 2013-12-31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carrier apparatus having multiple seating positions
US8827283B2 (en) 2010-04-01 2014-09-09 Nuna International B.V.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child support accessory on a stroller frame
US8523218B2 (en) * 2010-08-09 2013-09-03 Europe Brands S.A.R.L. Stroller with articulating structure
US20130113185A1 (en) 2011-11-07 2013-05-09 Dynamic Brands, Llc Baby stroller
CN103373382B (zh) * 2012-04-20 2015-11-25 珠海优力创工贸有限公司 换向座位和具有换向座位的可收合婴儿车
CN202574327U (zh) 2012-04-20 2012-12-05 珠海优力创工贸有限公司 换向座位和具有换向座位的可收合婴儿车
NL2009461C2 (nl) 2012-09-13 2014-03-18 Mutsy Bv Zitje en kinderwagen of buggy voorzien van een dergelijk zitje.
NO335333B1 (no) 2012-09-19 2014-11-17 Stokke As Barnevogn
ITMI20131079A1 (it) * 2013-06-27 2014-12-28 Peg Perego Spa Seggiolino per bambini applicabile a telai, in particolare del tipo ripiegabili "a libro", di passeggini e passeggino per bambini, in particolare deltipo ripiegabile "a libro", comprendente tale seggiolino
CN203427850U (zh) 2013-07-05 2014-02-1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收折关节的释放机构
EP2832625B1 (en) 2013-08-02 2017-11-08 Dorel Juvenile (Zhongshan) Product Co., Ltd. A stroller frame and a foldable and detachable chair frame
GB2516906A (en) 2013-08-06 2015-02-11 Mamas & Papas Holdings Ltd Child support apparatus
CN203544082U (zh) 2013-09-23 2014-04-16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插接式婴儿车座椅收折机构
CN203805969U (zh) 2014-03-07 2014-09-03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座椅
DE102015102538A1 (de) * 2015-02-23 2016-08-25 Cybex Gmbh Zusammenklappbarer Kindersitz sowie Kinderwagen mit einem solchen Kindersitz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4046A1 (en) * 2000-09-14 2004-07-15 Paul Giampavolo Seat belt with child resistant buckle
WO2010050804A1 (en) * 2008-10-27 2010-05-06 Royalty Bugaboo Gmbh Child's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1901A1 (de) 2018-01-03
JP2022106699A (ja) 2022-07-20
WO2016135074A1 (de) 2016-09-01
JP7419421B2 (ja) 2024-01-22
JP2018505815A (ja) 2018-03-01
KR102494582B1 (ko) 2023-02-02
JP7048662B2 (ja) 2022-04-05
DE102015102538A1 (de) 2016-08-25
US10321770B2 (en) 2019-06-18
DE102015102538A8 (de) 2016-10-06
JP6705829B2 (ja) 2020-06-03
CN107428355B (zh) 2019-11-29
US20180027989A1 (en) 2018-02-01
EP4098514A1 (de) 2022-12-07
EP3261901B1 (de) 2022-07-13
PL3261901T3 (pl) 2022-11-21
JP2020146472A (ja) 2020-09-17
CN107428355A (zh) 2017-12-01
DE202016008785U1 (de) 2019-08-22
BR112017017829A2 (pt) 2018-04-10
BR112017017829B1 (pt) 2022-11-22
ES2926632T3 (es)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8344A (ko) 접이식 차일드 시트 및 동종의 차일드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
US10479391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EP2231461B1 (en) Pushchair seat
EP2918474B1 (en) Foldable vehicle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folding such an assembly
JP5587977B2 (ja) 転動可能なベビーシートに変換することができるベビー安全カーシート
US9561816B2 (en) Compact foldable stroller with one-handed fold control
EP2332807B1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JP6189382B2 (ja) 乳母車のための遊びなしヒンジ
US20080150247A1 (en)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a child carrier
JP6721441B2 (ja) テーブルユニット
CN116917185A (zh) 腿部折叠机构和推车
KR102425090B1 (ko)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
CN104837710A (zh) 座椅和具有该座椅的婴儿车或童车
CN107776641B (zh) 推车车架
EP3697670B1 (en) Push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