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960A -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960A
KR20170127960A KR1020160058903A KR20160058903A KR20170127960A KR 20170127960 A KR20170127960 A KR 20170127960A KR 1020160058903 A KR1020160058903 A KR 1020160058903A KR 20160058903 A KR20160058903 A KR 20160058903A KR 20170127960 A KR20170127960 A KR 20170127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illegal parking
smart fen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151B1 (ko
Inventor
김완기
조승표
장영준
이신광
하상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브레인 filed Critical (주)에이치브레인
Priority to KR102016005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15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법주정차 차량 감지 및 감지된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장비들이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위치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함과 동시에 사각지대 없이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단속장비들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PTZ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영상들을 통해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컨트롤러가 인식된 차량번호들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차량번호를 최종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검증부를 포함함으로써 임의의 카메라의 촬영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경고등을 점멸시키되, 주정차 시간(경과시간)에 대응하여 색상을 가변함과 동시에 점멸속도가 빨라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 운전자에게 불법주정차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Enforcement system of illegal parking}
본 발명은 불법주정차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불법주정차 차량 감지 시 불법주정차 차량을 다양한 각도에서 다발적으로 촬영함과 동시에 획득된 영상 중 번호판영역의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증거자료로 활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번호판이 촬영되지 않는 사각지대 또는 음영존 없이 차량 단속이 가능하여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에 과한 것이다.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이란,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불법 주정차 차량을 근절하기 위하여 불법 주정차가 이루어지는 지역에 단속원을 배치하거나 카메라를 설치하여 불법주정차 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최근 들어 한정된 도로에 반하여 차량의 보급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교통정체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고, 특히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불법으로 주정차된 차량은 주행 중인 차량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로의 이동폭을 좁게 만들며,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불법주정차에 대한 철저한 단속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관련 단체에서는 단속원을 수시로 배치하여 불법주정차의 계도 및 단속을 병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인력소모 및 비용이 크며, 단속원의 배치 여부에 따라 단속율의 차이가 큰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정차금지 구역(S)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벌금을 부과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이 연구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불법주정차 단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종래의 불법주정차 단속장치(이하 종래기술1이라고 함)(100)는 불법 주정차 금지구역에 지주(110)가 설치되고, 지주(110)의 상단에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상하여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차량 검지 카메라(111)가 설치되고 차량 검지 카메라(111)에서 촬상된 영상에서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차량번호 촬상 카메라(113)가 이를 촬상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1(100)은 차량 검지 카메라(111)의 촬상각도가 한정되어 있어 촬상을 하지 못하는 사각지역(P1)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검지 카메라(111)의 촬상각도가 한정되어 있어 촬상을 하지 못하는 사각지역이 있으며 이러한 사각지역에 주정차된 차량은 불법주정차 금지 구역 내에 불법으로 주정차하고 있지만 단속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각지역에서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될 수 있다 하여도 2차적으로 차량번호 촬상 카메라(113)의 촬상각의 한계로 인하여 차량번호를 촬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불법주정차 차량이 사각지역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복수개의 차량이 인접하게 주정차되는 경우 종래기술(100)과 가까운 차량에 의해 그 후방에 주정차된 차량의 번호가 촬영되지 못하는 현상(이하 음영현상이라고 함)이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기술(100)은 사각지역 또는 음영현상으로 인해 차량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도 2는 국내출원번호 제10-2008-0004838호(발명의 명칭 : 사각지대 단속이 가능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에 개시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이하 종래기술2라고 함)(20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210)와, 지주대(2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220)과, 지주대(210) 및 회전봉(220)에 설치되어 회전봉(22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30)과, 회전봉(220)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봉(240)과, 연결봉(240)의 단부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 유닛(250)을 포함한다. 사각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2(200)는 지주대(210)에 회전봉(2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봉(22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봉(240)의 단부에 감시카메라 유닛(250)을 설치함으로써 불법 주정차 단속을 피하기 위해 감시카메라 유닛의 사각지대에 불법주정차 된 차량을 회전봉(220)을 회전시켜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200)는 택시 등이 손님을 기다리며 앞차와 주차 간격을 좁혀 주차하거나, 차량 번호판을 박스와 같은 물체로 번호판을 가리거나, 수건 등으로 고의적으로 번호판을 가리는 방법 등에 의해 무인 주정차 단속을 피할 경우에 단속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2(200)는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더라도, 촬상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메라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해당 촬영 시 외부 환경에 의해 번호판의 선명도가 떨어지거나, 번호판영역이 휘도 및 이물질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려지는 경우 차량번호를 검출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2(200)는 불법주정차 차량의 운전자가 주정차금지 구역(S)에 주정차할 때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각심을 갖지 못하여 정차가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불법주정차 차량 감지 및 감지된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장비들이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위치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함과 동시에 사각지대 없이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단속장비들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PTZ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복수개의 영상들을 통해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컨트롤러가 인식된 차량번호들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차량번호를 최종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검증부를 포함함으로써 임의의 카메라의 촬영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경고등을 점멸시키되, 주정차 시간(경과시간)에 대응하여 색상을 가변함과 동시에 점멸속도가 빨라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 운전자에게 불법주정차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컨트롤러가 동일 차량에 대한 복수개의 영상들을 전송받으면, 이들 중 가장 선명도가 높은 영상을 검출한 후 이를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소모 및 연산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기 설정된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지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단속장비들인 스마트펜스 폴들을 포함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은 상기 주정차금지 구역(S)들 중 기 설정된 감지영역(△S)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영역(△S)으로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해당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펜스 폴은 일측이 개구되어 투명판이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가 설치되는 몸체; 상기 카메라의 팬-틸트-줌(Pan-Tilt-Zoom)을 제어하는 PTZ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야 및 상기 센서의 신호는 상기 몸체의 투명판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펜스 폴은 상기 센서에 의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로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검출 확인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의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상기 카메라들 각각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스마트펜스 폴로부터 차량검출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카메라들 각각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정보와, 전송받은 차량검출 확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감지된 불법주정차 차량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들을 검출하는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카메라들이 장착되는 스마트펜스 폴들로 불법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는 차량 진행방향을 외측이라고 하고, 대향되는 방향을 내측이라고 할 때, 상기 주정차금지 구역(S)에 현재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두 대 이상인 경우, 인접하는 불법주정차 차량들 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되는 스마트펜스 폴로 정의되는 기준 폴들을 검출하며,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최내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과 그 외측의 기준 폴 사이의 스마트펜스 폴들은 불법주정차 차량들 중 최내측의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후보들로 설정하며, 최외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과 그 내측의 기준 폴 사이의 스마트펜스 폴들은 불법주정차 차량들 중 최외측의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후보들로 설정하며, 최내측 기준 폴과 최외측 기준 폴 사이에 기준 폴이 존재하면 인접하는 기준 폴들 사이의 스마트펜스 폴들을 상기 인접하는 기준 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후보들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는 상기 동일 후보로 설정된 스마트펜스 폴들의 카메라들 각각의 회동 가능한 팬각 정보와, 상기 동일 후보로 설정된 스마트펜스 폴들의 촬영대상인 불법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후보들 중 촬영 가능한 카메라들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펜스 폴은 상기 센서에 의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촬영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카메라의 PTZ를 제어하여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영상이 획득되면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와 획득된 영상을 매칭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동일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한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펜스 폴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과 차량번호를 분석하여 전송받은 차량번호들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차량번호를 해당 불법주정차 차량의 차량번호로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차량번호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 및 모니터링 하는 관제센터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기 설정된 선명도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일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한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펜스 폴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들을 분석하여 전송받은 영상들 중 가장 선명도가 높은 영상을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할 영상으로 결정하는 전송영상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영상 판별부에 의해 결정된 영상을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펜스 폴로부터 차량검출 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경과시간(t)을 측정하는 경과시간 측정부; 경과시간(t) 별로 색상 및 점멸속도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테이블을 탐색하여 입력된 경과시간(t)에 대응되는 색상 및 점멸속도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색상 및 점멸속도가 포함되는 표출정보를 생성하는 표출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출정보를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표출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표출정보의 색상 및 점멸속도에 따라 점멸되는 경고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불법주정차 차량 감지 및 감지된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장비들이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위치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함과 동시에 사각지대 없이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속장비들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PTZ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영상들을 통해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컨트롤러가 인식된 차량번호들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차량번호를 최종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검증부를 포함함으로써 임의의 카메라의 촬영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경고등을 점멸시키되, 주정차 시간(경과시간)에 대응하여 색상을 가변함과 동시에 점멸속도가 빨라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 운전자에게 불법주정차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가 동일 차량에 대한 복수개의 영상들을 전송받으면, 이들 중 가장 선명도가 높은 영상을 검출한 후 이를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소모 및 연산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불법주정차 단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국내출원번호 제10-2008-0004838호(발명의 명칭 : 사각지대 단속이 가능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에 개시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마트펜스 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6의 스마트펜스 폴의 촬영영역 및 감지영역(△S)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마트펜스 폴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가 불법주정차 영역(S)에 한 대의 불법주정차 차량이 있을 때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가 불법주정차 영역(S)에 2대 이상의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있을 때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1)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인도에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어 주정차금지 구역(S)들 중 자신에게 할당된 감지영역(△S)의 불법주정차 차량을 감지함과 동시에 이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속장비(이하 스마트펜스 폴이라고 함)(5-1), ..., (5-N)들과, 스마트펜스 폴(5-1), ..., (5-N)들 각각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3)와, 컨트롤러(3)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함과 동시에 모니터링 하는 관제센터 서버(7)와, 컨트롤러(3) 및 관제센터 서버(7)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러(3)가 스마트펜스 폴(5-1), ..., (5-N)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이들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관제센터 서버(7)로 전송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1)은 컨트롤러(3)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컨트롤러의 동작 및 구성이 스마트펜스 폴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도 4의 스마트펜스 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개념도이다.
스마트펜스 폴(5-1), ..., (5-N)들은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인도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촬영된 영상을 컨트롤러(3)로 전송함과 동시에 컨트롤러(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스마트펜스 폴(5)은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와, 멀티빔 LED 센서(53), 카메라(54), PTZ 구동부(55), 스피커(57), 경고등(59), 제어부(50)로 이루어진다.
몸체(51)는 상부가 반구 형상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51)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투명판(511)이 설치되며, 내부에 카메라(54), 멀티빔 LED 센서(53), PTZ 구동부(55), 제어부(50)가 설치된다. 이때 카메라(54) 및 멀티빔 LED 센서(53)는 촬영시야 및 광 경로들이 몸체(51)의 투명판(511)을 통과하도록 몸체(51) 내부에 설치된다.
카메라(54)는 촬영시야가 몸체(51)의 투명판(511)을 통과하도록 몸체(51) 내부에 설치되며, PTZ 구동부(55)에 의하여 팬-틸트-줌(Pan-Tilt-Zoom)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54)는 주정차금지 영역(S) 중 기 설정된 감지영역(△S)으로 차량이 진입하여 멀티빔 LED 센서(53)에 의해 감지되거나 또는 다른 스마트펜스 폴(5)에 의하여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위치를 향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PTZ 제어된 후 촬영을 수행하여 주정차차량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스마트펜스 폴(5)은 카메라(54)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컨트롤러(3)로 전송한다.
멀티빔 LED 센서(53)는 복수개의 LED들을 부채꼴 형상으로 송출한 후 반사 신호를 수신 받으며, 수신된 반사 신호를 통해 주정차금지 영역(S) 중 기 설정된 감지영역(△S)의 차량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멀티빔 LED 센서(53)는 광 경로들이 몸체(51)의 투명판(511)을 통과하도록 몸체(51) 내부에 설치된다.
도 8은 도 6의 스마트펜스 폴의 촬영영역 및 감지영역(△S)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펜스 폴(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54)가 PTZ 구동부(55)에 의하여 팬(Pan)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51)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카메라(54)의 팬 회동각도(θ1)는 120°보다 크고 180°미만을 형성함으로써 자신의 감지영역(△S)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스마트펜스 폴의 감지영역까지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멀티빔 LED 센서(53)는 LED 광신호들을 부채꼴 형상으로 LED 광신호들을 발광한다. 이때 가장 이격되게 송출되는 LED 광신호들의 평면상의 사이각(θ2)은 45°보다 크고 90°미만으로 형성된다.
이때 멀티빔 LED 센서(53)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의 크기는 감지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반비례, 상세하게로는 감지객체가 멀리 이격된 경우 반사신호의 크기는 작으며, 감지객체가 가깝게 인접한 경우 반사신호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제어부(50)는 반사신호의 크기가 임계치 이상일 때 해당 감지영역(△S)에 차량이 진입하였다고 판단한다.
스피커(57)는 몸체(5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음향 경고데이터를 표출함으로써 주정차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도록 한다.
경고등(59)은 몸체(51)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빛을 점멸시키되 경과시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됨과 동시에 점멸속도가 빨라지도록 점멸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어 불법주정체가 장기화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펜스 폴(5-1), ..., (5-N)들의 경고등(59)은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된 이후부터 `t1`을 초과하면 제1 색상 및 `v1`의 점멸속도로 점멸되며, 경과시간이 `t2`를 초과하면 제2 색상 및 `v2`(> v1)의 점멸속도로 점멸되며, 경과시간이 `t3`를 초과하면 제3 색상 및 `v3`(> v2)의 점멸속도로 점멸되는 것을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스마트펜스 폴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펜스 폴(5)의 제어부(50)는 연결대상(53), (54), (55), (5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도 9의 제어부(50)는 제어모듈(501)과, 메모리(502), 통신 인터페이스모듈(503), 차량검출모듈(504), PTZ 제어모듈(505), 차량번호 인식모듈(507), 경고등 점멸모듈(509)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501)은 연결대상(502), (503), (504), (505), (507), (50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501)은 차량검출모듈(504)에 의해 차량 위치가 검출되면, 검출된 위치정보를 PTZ 제어모듈(505)로 입력함과 동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모듈(503)을 제어하여 컨트롤러(3)로 감지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컨트롤러(3)는 스마트펜스 폴(5)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스마트펜스 폴(5-1), ..., (5-N)들 중 해당 위치로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펜스 폴들을 검출한 후 검출된 스마트펜스 폴들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촬영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은 스마트펜스 폴들은 PTZ 제어모듈(505)이 해당 위치정보로 카메라(54)의 팬-틸트를 제어함으로써 주정차금지 영역(S)에 차량을 주정차한 차량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임의의 카메라의 촬영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어모듈(501)은 통신 인터페이스모듈(503)을 실시간 크롤링(Crawling) 하여 컨트롤러(3)로부터 촬영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촬영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PTZ 제어모듈(50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모듈(501)은 컨트롤러(3)로부터 색상 및 점멸속도를 포함하는 표출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를 경고등 점멸모듈(509)로 입력하여 경고등(59)에서 입력된 색상 및 점멸속도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메모리(502)에는 카메라(54)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임시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02)에는 스마트펜스 폴(5-1), ..., (5-N)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카메라(54)의 팬의 회동 가능한 각도들과, 현장 위치에 대응되는 카메라(54) 팬의 회동 각도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02)에는 차량검출모듈(504)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02)에는 멀티 LED 센서(53)에게 할당된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02)에는 기 설정된 신호분석 알고리즘과 번호인식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모듈(503)은 컨트롤러(3)와의 유무선 데이터통신을 지원한다. 이때 스마트펜스 폴(5-1), ..., (5-N)들 및 컨트롤러(3)는 유선 케이블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검출모듈(504)은 기 설정된 신호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멀티 LED 센서(53)로부터 송수신된 광신호를 분석하며, 분석을 통해 감지영역(△S)으로 차량의 주정차가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한다.
또한 차량검출모듈(504)은 차량의 주정차가 감지되면, 감지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차량검출모듈(504)에 의해 검출되는 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감지 확인데이터는 제어모듈(501)의 제어에 따라 PTZ 제어모듈(505)로 입력됨과 동시에 컨트롤러(3)로 전송된다.
PTZ 제어모듈(505)은 차량검출모듈(504) 또는 컨트롤러(3)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위치에 대응되는 팬-틸트 각을 검출하며, 검출된 팬-틸트 각을 PTZ 구동부(55)로 입력하여 카메라(54)가 감지된 주정차 차량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번호 인식모듈(507)은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카메라(54)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이때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는 제어모듈(501)의 제어에 따라 컨트롤러(3)로 전송된다.
경고등 점멸모듈(509)은 컨트롤러(3)로부터 입력되는 표출정보에 따라 경고등(59)을 점멸시킴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어 장기적인 주정차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표출정보는 불법주정차한 이후부터의 경과시간이 `t1`을 초과하면 제1 색상 및 `v1`의 점멸속도를 포함하며, 경과시간이 `t2`를 초과하면 제2 색상 및 `v2`(> v1)의 점멸속도를 포함하며, 경과시간이 `t3`를 초과하면 제3 색상 및 `v3`(> v2)의 점멸속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 관제센터 서버(7)를 살펴보면, 관제센터 서버(7)는 컨트롤러(3)로부터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한 영상과, 단속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함과 동시에 단속정보를 통해 범칙금을 부과한다.
또한 관제센터 서버(7)는 컨트롤러(3)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모니터링 한다. 이때 관제센터 서버(7)는 모니터링 시 모니터링 영역에 대응되는 스마트펜스 폴(5)의 카메라(54)의 팬-틸트-줌을 제어 및 조작하는 것을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의 컨트롤러(3)는 관제센터 서버(7)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기 할당된 스마트펜스 폴(5-1), ..., (5-N)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러(3)가 관제센터 서버(7)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마트펜스 폴(5-1), ..., (5-N)들을 관리하기 위한 연산을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컨트롤러(3)의 이러한 동작 및 구성은 스마트펜스 폴(5)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컨트롤러(3)는 제어부(30)와, 데이터베이스부(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 차량번호 검증부(34), 전송영상 판별부(35), 경과시간 측정부(36), 표출정보 생성부(37), 단속데이터 생성부(38)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컨트롤러(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 (38)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관제센터 서버
또한 제어부(30)는 스마트펜스 폴(5)로부터 해당 감지영역(△S)으로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었다는 차량감지 확인데이터(위치정보 포함)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차량감지 확인데이터를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 경과시간 측정부(36) 및 단속데이터 생성부(38)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스마트펜스 폴(5)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가 매칭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차량번호 정보를 차량번호 검증부로 입력하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영상 판별부(3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번호 검증부(34)에 의해 검증된 차량번호를 단속데이터 생성부(38)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전송영상 판별부(35)에 의해 스마트펜스 폴(5)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들 중 관제센터 서버(7)로 전송할 영상이 판별되면, 판별된 영상과 차량번호를 매칭하여 관제센터 서버(7)로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표출정보 생성부(37)에 의해 표출정보가 생성되면, 스마트펜스 폴(5)들로 생성된 표출정보가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한다. 이때 표출정보는 경고등(59)의 색상 및 점멸속도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단속데이터 생성부(38)에 의해 단속데이터가 생성되면, 관제센터 서버(7)로 생성된 단속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스마트펜스 폴(5-1), ..., (5-N)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각 스마트펜스 폴의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의 카메라(54)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스마트펜스 폴(5)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들이 임시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단속데이터 생성부(38)에 의해 생성되는 단속데이터와, 표출정보 생성부(37)에 의해 생성되는 표출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차량번호 검증부(34)에 의해 검증된 차량번호와, 전송영상 판별부(35)에 의해 판별된 및 영상을 매칭하여 저장한다.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제어부(30)에 의하여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었다는 차량감지 확인데이터(위치정보 포함)가 입력된다.
또한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우선, 현재 주정차금지 영역(S) 내 불법주정차 차량이 한 대인지 또는 2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현재 주정차금지 영역(S) 내 불법주정차 차량이 한 대인 경우, 불법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의 카메라(54)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를 활용하여 해당 불법주정차 차량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54)들을 검출한다.
도 11은 도 10의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가 불법주정차 영역(S)에 한 대의 불법주정차 차량이 있을 때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법주정차 영역(S)에 한 대의 불법주정차 차량(C)이 있는 경우, 컨트롤러(3)의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현재 불법주정차 차량(C)의 위치정보와, 기 설정된 각 카메라의 회동 가능한 각도를 이용하여 현재 불법주정차 차량의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펜스 폴(5a), (5b), (5c), (5d), (5e), (5f)들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30)는 해당 스마트펜스 폴(5a), (5b), (5c), (5d), (5e), (5f)들로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스마트펜스 폴(5a), (5b), (5c), (5d), (5e), (5f)들은 컨트롤러(3)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에 따라 PTZ를 제어하여 해당 차량(C)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차량 진행방향을 외측이라고 하고, 대향되는 방향을 내측이라고 할 때, 현재 주정차금지 영역(S) 내 불법주정차 차량이 2대 이상인 경우, 인접하는 불법주정차 차량들 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되는 스마트펜스 폴(이하 기준 폴이라고 함)을 검출한 후 검출된 기준 폴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들의 카메라들은 인접하는 불법주정차 차량들 중 내측에 배치된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후보들로 설정하며, 검출된 기준 폴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들의 카메라들은 인접하는 불법주정차 차량들 중 외측에 배치된 불법주정차 차량을 후보들로 설정한다.
또한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후보들로 설정된 카메라들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 및 촬영대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후보들 중 촬영 가능한 카메라들을 검출한다.
도 12는 도 10의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가 불법주정차 영역(S)에 2대 이상의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있을 때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법주정차 영역(S)에 3대의 불법주정차 차량(C1), (C2), (C3)들이 있는 경우, 컨트롤러(3)의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우선 인접한 불법주정차 차량(C1, C2), (C2, C3)들 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되는 스마트펜스 폴들인 기준 폴(P1), (P2)들을 검출한다.
또한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일측 기준 폴(P1)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들을 불법주정차 차량(C1)을 촬영하기 위한 후보(5-1)들로 설정한다.
또한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타측 기준 폴(P1)의 내측에 배치되되 일측 기준 폴(P1)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들을 불법주정차 차량(C2)을 촬영하기 위한 후보(5-2)들로 설정한다.
또한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타측 기준 폴(P2)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들을 불법주정차 차량(C3)을 촬영하기 위한 후보(5-3)들로 설정한다.
또한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는 동일 후보(5-1 or 5-2 or 5-3)로 설정된 스마트펜스 폴들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 및 위치정보와, 촬영대상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동일 후보로 설정된 스마트펜스 폴들 중 촬영 가능한 카메라들을 검출한다.
또한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33)에 의해 검출된 카메라들이 결정되면, 제어부(30)는 해당 스마트펜스 폴(5)들로 촬영대상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주정차금지 영역(S)으로 진입한 복수대의 차량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차량번호 검증부(34)는 스마트펜스 폴(5)들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차량번호 정보들의 점유율에 따라 최종적으로 차량번호를 결정한다.
즉 차량번호 검증부(34)는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한 6대의 스마트펜스 폴들 중 5대로부터 `1234`라는 차량번호를 전송받되 1대의 스마트펜스 폴로부터 `1235`라는 차량번호를 전송받으면, 차량번호 `1234`가 차량번호 `1235` 보다 점유율이 높기 때문에 차량번호를 `1234`로 최종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해 임의의 스마트펜스 폴에서 차량번호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한 대의 불법주정차 차량에 대해 복수개의 스마트펜스 폴들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동일 차량에 대한 복수개의 영상들이 컨트롤러(3)로부터 관제센터 서버(7)로 전송될 때 동일차량에 대한 영상들이 중복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소모 및 통신부하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트롤러(3)가 전송영상 판별부(35)를 포함하고, 전송영상 판별부(35)는 동일 차량에 대한 영상들의 선명도를 검출한 후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관제센터 서버(7)로 전송될 영상(이하 전송영상이라고 함)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동일 차량에 대한 영상전송의 중복을 방지하여 데이터소모 및 통신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전송영상 판별부(35)는 스마트펜스 폴(5)들로부터 촬영영상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영상들 중 동일 차량에 대한 영상들을 분류하며, 기 설정된 선명도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류된 영상들 각각의 선명도를 검출한 후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해당 차량에 대한 전송영상으로 결정한다.
이때 전송영상 판별부(35)에 의해 전송영상이 판별되면, 제어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하여 판별된 전송영상과 차량번호를 매칭하여 관제센터 서버(7)로 전송하도록 한다.
경과시간 측정부(36)는 스마트펜스 폴(5)로부터 차량감지 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차량감지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
또한 경과시간 측정부(36)는 측정된 경과시간(t)을 주기적으로 표출정보 생성부(37)로 입력한다.
표출정보 생성부(37)는 경과시간(t) 별로 색상 및 점멸속도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테이블을 탐색하여 입력된 경과시간(t)에 대응되는 색상 및 점멸속도를 결정한다.
또한 표출정보 생성부(37)는 결정된 색상 및 점멸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표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30)는 만약 주정차금지 영역(S)에 한 대의 불법주정차 차량(C)이 있는 경우 스마트펜스 폴(5)들 전체로 표출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며, 만약 주정차금지 영역(S)에 2대 이상의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있는 경우 도 12에서와 같이 설정된 후보들의 표출정보를 별도로 생성한 후 대응되는 스마트펜스 폴(5)들로 표출정보를 전송한다.
단속데이터 생성부(38)는 차량번호, 진입시간, 진출시간, 표출정보 등을 ?l마하는 단속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단속데이터 생성부(38)에 의해 생성된 단속데이터는 관제센터 서버(7)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1)은 불법주정차 차량 감지 및 감지된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장비들인 스마트펜스 폴(5-1), ..., (5-N)들이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위치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함과 동시에 사각지대 없이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1)은 스마트펜스 폴(5-1), ..., (5-N)들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54)가 PTZ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1)은 스마트펜스 폴(5-1), ..., (5-N)들에 의해 복수개의 영상들을 통해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컨트롤러(3)가 인식된 차량번호들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차량번호를 최종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검증부를 포함함으로써 임의의 카메라의 촬영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단속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1)은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스마트펜스 폴(5-1), ..., (5-N)들 각각의 경고등(59)을 점멸시키되, 주정차 시간(경과시간)에 대응하여 색상을 가변함과 동시에 점멸속도가 빨라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 운전자에게 불법주정차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1)은 컨트롤러(3)가 동일 차량에 대한 복수개의 영상들을 전송받으면, 이들 중 가장 선명도가 높은 영상을 검출한 후 이를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소모 및 연산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1: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3:컨트롤러 5:스마트펜스 폴
7:관제센터 서버 10:통신망 30:제어부
31:데이터베이스부 32:통신 인터페이스부
33: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 34:차량번호 검증부
35:전송영상 판별부 36:경과시간 측정부
37:표출정보 생성부 38:단속데이터 생성부
51:몸체 53:멀티빔 LED 센서 54:카메라
55:PTZ 구동부 57:스피커 501:제어모듈
502:메모리 503:통신 인터페이스모듈
504:차량검출모듈 505:PTZ 제어모듈 507:차량번호 인식모듈
509:경고등 점멸모듈

Claims (8)

  1. 기 설정된 주정차금지 구역(S)에 인접한 지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단속장비들인 스마트펜스 폴들을 포함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은
    상기 주정차금지 구역(S)들 중 기 설정된 감지영역(△S)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영역(△S)으로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해당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스 폴은
    일측이 개구되어 투명판이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가 설치되는 몸체;
    상기 카메라의 팬-틸트-줌(Pan-Tilt-Zoom)을 제어하는 PTZ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야 및 상기 센서의 신호는 상기 몸체의 투명판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펜스 폴은 상기 센서에 의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로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검출 확인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 각각의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상기 카메라들 각각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스마트펜스 폴로부터 차량검출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카메라들 각각의 회동 가능한 팬 각도정보와, 전송받은 차량검출 확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감지된 불법주정차 차량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들을 검출하는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카메라들이 장착되는 스마트펜스 폴들로 불법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는
    차량 진행방향을 외측이라고 하고, 대향되는 방향을 내측이라고 할 때, 상기 주정차금지 구역(S)에 현재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두 대 이상인 경우, 인접하는 불법주정차 차량들 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되는 스마트펜스 폴로 정의되는 기준 폴들을 검출하며,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최내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과 그 외측의 기준 폴 사이의 스마트펜스 폴들은 불법주정차 차량들 중 최내측의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후보들로 설정하며, 최외측에 배치되는 스마트펜스 폴과 그 내측의 기준 폴 사이의 스마트펜스 폴들은 불법주정차 차량들 중 최외측의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후보들로 설정하며, 최내측 기준 폴과 최외측 기준 폴 사이에 기준 폴이 존재하면 인접하는 기준 폴들 사이의 스마트펜스 폴들을 상기 인접하는 기준 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후보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 검출부는
    상기 동일 후보로 설정된 스마트펜스 폴들의 카메라들 각각의 회동 가능한 팬각 정보와, 상기 동일 후보로 설정된 스마트펜스 폴들의 촬영대상인 불법주정차 차량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후보들 중 촬영 가능한 카메라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스 폴은 상기 센서에 의해 불법주정차 차량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촬영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카메라의 PTZ를 제어하여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영상이 획득되면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와 획득된 영상을 매칭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동일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한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펜스 폴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과 차량번호를 분석하여 전송받은 차량번호들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차량번호를 해당 불법주정차 차량의 차량번호로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차량번호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 및 모니터링 하는 관제센터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기 설정된 선명도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일 불법주정차 차량을 촬영한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펜스 폴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들을 분석하여 전송받은 영상들 중 가장 선명도가 높은 영상을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할 영상으로 결정하는 전송영상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영상 판별부에 의해 결정된 영상을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펜스 폴로부터 차량검출 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경과시간(t)을 측정하는 경과시간 측정부;
    경과시간(t) 별로 색상 및 점멸속도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테이블을 탐색하여 입력된 경과시간(t)에 대응되는 색상 및 점멸속도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색상 및 점멸속도가 포함되는 표출정보를 생성하는 표출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출정보를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펜스 폴들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표출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표출정보의 색상 및 점멸속도에 따라 점멸되는 경고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20160058903A 2016-05-13 2016-05-13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187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903A KR101870151B1 (ko) 2016-05-13 2016-05-13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903A KR101870151B1 (ko) 2016-05-13 2016-05-13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960A true KR20170127960A (ko) 2017-11-22
KR101870151B1 KR101870151B1 (ko) 2018-06-25

Family

ID=6080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903A KR101870151B1 (ko) 2016-05-13 2016-05-13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202B1 (ko) 2018-02-27 2019-01-16 주식회사 하이앤텍 Cctv를 이용한 불법주정차 차량의 감시 방법
KR20200095736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플랜비 경계석에 고정되는 주정차 알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97B1 (ko) * 2007-06-07 2008-01-07 (주)동화이엔지 무인 불법 주정차 차량 자동 검지 시스템
KR100876304B1 (ko) 2008-07-08 2008-12-31 광주광역시 남구 주정차 금지 경고장치
KR101403936B1 (ko) * 2013-02-20 2014-06-27 (주)인펙비전 차량촬영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202B1 (ko) 2018-02-27 2019-01-16 주식회사 하이앤텍 Cctv를 이용한 불법주정차 차량의 감시 방법
KR20200095736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플랜비 경계석에 고정되는 주정차 알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151B1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569B1 (ko)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KR101967610B1 (ko) 다차로 차량속도 및 차량번호 인식이 가능한 다차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9802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cctv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0882890B1 (ko)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1594128B1 (ko) 이동식 교통 단속 시스템
KR101852057B1 (ko) 영상 및 열화상을 이용한 돌발 상황 감지시스템
KR101936837B1 (ko) 맵기반 지능형 영상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101051005B1 (ko)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98500B1 (ko)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2101956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시스템
KR101498461B1 (ko) 구간 속도의 산출이 가능한 차량용 방범 촬영시스템
JP6110183B2 (ja) 防犯システム
KR101498458B1 (ko) 복수의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객체 및 속도 감지를 병행하는 차량용 방범 촬영시스템
KR20140014987A (ko)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KR20170014913A (ko)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20190110476A (ko) 열화상센서를 갖는 스마트폰, 차량,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감지 방법
KR102499410B1 (ko) 무인 경비를 위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6506A (ko) 다리 난간의 추락 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락 탐지 방법
KR20190011495A (ko) 단속 정확도 및 효율성을 높인 단속차량
KR101870151B1 (ko)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WO2020105527A1 (ja)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70140954A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322162B1 (ko) 차량 검지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KR20100004706A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101719799B1 (ko) 교통정보 감응형 cctv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