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877A -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877A
KR20170127877A KR1020160058659A KR20160058659A KR20170127877A KR 20170127877 A KR20170127877 A KR 20170127877A KR 1020160058659 A KR1020160058659 A KR 1020160058659A KR 20160058659 A KR20160058659 A KR 20160058659A KR 20170127877 A KR20170127877 A KR 2017012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ead
driver
bent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헌
임수희
Original Assignee
이충헌
임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헌, 임수희 filed Critical 이충헌
Priority to KR102016005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877A/ko
Publication of KR2017012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버, 훼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클럽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골프클럽의 적용되고, 주물체로 형성되어 중공내방의 공간부(V)를 가지는 중공체로서,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격면(F)과 상면의 크라운면부(C) 및 쇼울면부(S) 및 샤프트(S)와의 연결단부인 샤프트고정관체부(O)를 일체로 구성하여 가지는 골프클럽인 드라이버골프클럽의 헤드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관체부(O)와 샤프트(O) 사이에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넥부(N)(bended neck part)를 더 개재하고, 상기 절곡넥부(N)는 헤드(H) 측으로 진입하여 절곡되는 헤드진입부(N1)와, 상기 헤드진입부(N1)에서 상방으로 연정되어 샤프트(S)와 연결되는 샤프트연결부(N2)를 일체로 절곡하여 가짐으로서 샤프트(S)이 축중심선이 상기 헤드(H)의 무게중심점(G)에 더 근접하여 가지고, 상기 절곡넥부(N)는 중실체의 금속재로서, 피팅작업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페이스각의 절곡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Golf driver having an improved neck}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양한 골프클럽 특히, 드라이버, 훼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 클럽에 적용되어 개선된 다양한 작용효과를 발하기 위한 골프클럽, 특히 드라이버의 개선된 연결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개량헤드는 본 출원인이 기히 다수 건 선출원한 골프클럽의 다양한 개선에 관한 일련의 연속적인 개량된 출원 중에 하나로서 헤드 특히 드라이버, 훼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의 골프클럽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다수의 선출원 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골프는 멘탈게임이라고 할 정도로 심리적인 요소가 중요한 변수이며, 다양한 심리적인 요소가 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특히, 초심자의 경우는 일정한 리듬과 템포없이 성급한 골프클럽의 운용으로서 소망스럽지 못한 골프자세와 스윙감각 등이 몸에 익어버리게 되어 실력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드레스 셋업시의 자세가 정립되지 않고 백스윙(Back swing:샷을 위해 클럽을 뒤로 빼는 모션)의 스타트 시에 심한 손목 사용과 반동은 금하여야 하고 손목 코킹을 자제하여 천천히 백스윙을 위해 헤드를 움직여야 하고,
백스윙의 탑위치에서는 한박자 쉰 담다음 다운스윙을 하여야 하나, 초심자들은 실제적으로 교육에 의하여 본인이 의식하고 이러한 올바른 골프자세를 견지하고자 노력을 하지만, 대부분 소위 입스(Yips)라 불리우는 체육심리학적인 현상으로서 심리적인 조급함이나 시각적인 집중도가 저하됨으로서 실제적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드라이버의 경우, 헤드에 샤프트가 직선상으로 고정되어 있어 헤드의 실제적인 타구중심점과 샤프트 간에 이격거리가 상당하고 그에 따른 관성모우멘트의 아암(arm)의 길이가 길어져서 정확한 스위트스팟에 맞추기가 어려워 비거리의 증대와 방향성의 개선에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가 고려된 드라이버는 국내에 선행기술이 존재하지 아니한다.
한국 공개번호 특1997-0058744호 한국 공개번호 특1997-0061295호
상술하는 종래 구성의 일반적인 드라이버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또는 소망되는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골프클럽의 헤드의 운용 시에 시선을 집중하여 타구종료 시까지 주시하게 하는 부가적인 심리적인 효과가 요청된다.
(2) 백스윙(Back swing)의 스타트 시에 심한 손목의 코킹과 반동은 금하여야 하고 왼쪽어깨를 천천히 돌려야 하고 스윙작업을 천천히 이루어 지게 하고, 백스윙의 탑(top) 시점에서 한 템포 정도(약 0.2초) 늦추고 다운스윙을 해야 하고, 백스윙 시에 하체의 요동이나 흔들림이 극소화하여야 하게 하여 심리적인 코킹을 방지하게 하는 수단이 요청된다.
(3) 타격면의 스윙스팟이 면적을 확대시킴으로서 안정적인 타구가 가능하고 그에 따른 심리적인 안정과 비거리의 증대 및 방향성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타구 이후의 심리적으로 팔로우어가 쉽게 되어 양호한 샷이 유발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드라이버는 샤프트가 드라이버의 헤드의 단부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샤프트 자체는 중공체의 관체이기 때문에 타면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불가능하여 골퍼에게 맞는 타면각도의 제공이 불가능하였다.
나아가 헤드가 부착되는 샤프트의 길이를 시각적으로 모두 인지함으로서 타구점을 스윙스팟에 맞추기가 어려운 시각적, 심리적인 문제점 또한 해결하여야 한다.
상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개량헤드는; 드라이버, 훼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클럽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골프클럽의 적용되고, 주물체로 형성되어 중공내방의 공간부(V)를 가지는 중공체로서,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격면(F)과 상면의 크라운면부(C) 및 쇼울면부(S) 및 샤프트(S)와의 연결단부인 샤프트고정관체부(O)를 일체로 구성하여 가지는 골프클럽인 드라이버골프클럽의 헤드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관체부(O)와 샤프트(O) 사이에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넥부(N)(bended neck part)를 더 개재하고,
상기 절곡넥부(N)는 헤드(H) 측으로 진입하여 절곡되는 헤드진입부(N1)와, 상기 헤드진입부(N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샤프트(S)와 연결되는 샤프트연결부(N2)를 일체로 절곡된 부재로서 가짐으로써 샤프트(S)이 축중심선이 상기 헤드(H)의 무게중심점(G)에 더 근접하여 가진다.
또한, 절곡넥부(N)는 중실체의 금속재로서, 피팅작업에 의하여 페이스면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출하 이후에 사용자에 맞게 절곡조절이 가능한 것 역시 주요한 구성요소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개량헤드는, 타점에서의 관성모우멘트의 유발을 최소화시켜 타격 시에 헤드의 흔들림을 최소화함으로써 스윙스팟의 면적을 증대시킨 표과를 가지게 하여, 비거리의 증대와 방향성의 개선이 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타구를 제공하며, 타구의 정확도를 제고하면서 용이하게 타격이 가능한 골프클럽을 제공한다.
또한, 골프클럽의 헤드의 운용 시에 특이한 넥부의 형상으로 인하여 시선을 집중하여 타구종료 시까지 주시하게 되는 시선집중효과의 제공으로서 백스윙의 스타트 시에 코킹(손목의 사용을 의미함)을 금하고 스윙작업을 천천히 이루어 지게 하는 연습의 효과 또한 얻을 수 있으며,
종래 생산 시에 설정되는 0.5~1.0 도 정도의 페이스면의 각도를 사용자인 골퍼에게 적합하게 드라이버의 피팅작업 시에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골퍼에게 맞는 최적의 드라이버를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유효한 타격중심영역을 증대하여 용이하게 적합한 타격을 수행하게 하고 당연한 효과로서 비거리의 증가와 방향성의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면서 어드레스 자세를 정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로부터의 골프클럽인 드라이버의 예시적인 형태의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인 드라이버의 예시적인 구성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상의 설명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라이버의 작용을 설명하는 부가적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의 작용효과를 더 설명하는 부가적인 설명도이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개량헤드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로부터의 골프클럽인 드라이버의 예시적인 형태의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인 드라이버의 예시적인 구성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상의 설명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라이버의 작용을 설명하는 부가적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의 작용효과를 더 설명하는 부가적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 또는 훼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 클럽 등 드라이버 계열의 골프클럽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드라이버(D)를 도시하는 도 1 의 구성과 같이,
적용된 본 발명의 통상적인 드라이버의 헤드에서와 같이, 그 내방이 비어있는 중공체의 드라이버(D)의 헤드(H) 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도시하지 아니하는 훼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에도 바람직하게 동일한 이론과 기술적인 사상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골프클럽 중, 드라이버(D)의 헤드(H)는 도 1과 같이,
통상적으로는 주물 또는 단조체로 형성되어 중공내방의 공간부(V)를 가지는 중공체로서,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격면(F)과 상면의 크라운면부(C) 및 쇼울면부(SF)를 각각 구성하면서 폐쇄된 통체로서 성형되어 일정한 위치에 무게중심(G)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통상적인 골프클럽의 헤드의 타격면(F)에서 바라본 정면도가 도 5에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또한, 헤드(H)의 일측단에는 샤프트(S)를 압입하여 용착 등의 방법으로 강고하게 고정하는 목이 짧은 일체형의 샤프트고정관체부(O)를 구비하게 된다.
통상적인 샤프트(S)는 중공관체의 파이프형상체로서 이 샤프트고정관체부(O)에 강고하고 고정되어 타격 시에 요동이 없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유발되는 종래로부터의 문제점은,
샤프트(S)가 샤프트고정관체부(O)에 강고하게 고정되고 샤프트(S) 자체가 파이프형상체이므로 사용자에 맞게 타격면(F)의 접선면과 샤프트(S)의 축방향연장선에 대한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6 좌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샤프트(S)의 축방향연장선에 대한 타격면(F)은 0.5 ~ 1 도 정도 샤프트축 중심선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기울여지게 페이스각(a)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페이스면을 미리 닫아서 설계하면(+a)각을 부여하면) 초보자들이 쉽게 범하는 슬라이스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로프트각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페이스각의 각도는 사용자인 골퍼의 타구특성이나 감각정도에 따라서 출하 이후에 피팅작업에 의한 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종래로부터의 이러한 파이프관체의 구성의 샤프트(S)는 절곡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구성으로서 정면도인 도 5에서와 같이, 전체 드라이버(D)의 헤드(H)에는 전체 중량이 구성하는 무게중심점(G)이 존재하게 되고, 이 무게중심점(G)의 주위의 일정한 타격영역이 방향성과 타격성을 유지하게 하여 소망하는 타구를 가능하게 하는 스윙스팟(SS1)이 형성된다. 즉, 일정한 영역으로서, 여기에 맞으면 비거리의 감소와 방향성의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게 되는 일정한 안전영역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타격 시에는 이 타격면(F)의 무게중심점(G)을 중심으로 하는 스윙스팟(SS1)에 골프공이 타격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구성의 드라이버(D)의 헤드(H)의 경우, 무게중심점(G)과 샤프트(S)의 축중심선(SL)이 형성하는 아암(A)의 길이가 구조적인 특성 상, 길게 형성되어 이 아암(A)에 의한 관성모우먼트가 쉽게 유발되어 바람직한 스윙스팟(SS1)의 영역은 극히 작아지게 된다.
즉, 직진성과 방향성의 조절이 어려워 골퍼의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이 아주 작음을 의미하고 이는 초심자의 경우 타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실험에 의하면 타구 시에 이 스윙스팟(SS1)으로부터 1cm 벗어나 타구가 이루어지면 버거리가 약 20야드 정도 줄어들 정도로 이 스윙스팟(SS1)으로의 타구는 비거리의 확보와 방향성의 증대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스윙스팟(SS1)의 면적을 증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있고 이 스윙스팟(SS1)의 면적을 증대하는 구성의 제공이 본발명이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안이 도 2 이하에 본 발명으로서 도시되고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버(D1)의 헤드(H)의 샤프트(S)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샤프트고정관체부(O)와 샤프트(S) 사이에 개략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넥부(N)(bended neck part)를 더 개재하여 구성한다.
절곡넥부(N)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H) 측으로 진입하여 절곡되는 헤드진입부(N1)와, 헤드진입부(N1)에서 상방으로 연정되어 샤프트(S)와 연결되는 샤프트연결부(N2)를 일체로 절곡하여 가진다.
절곡넥부(N)는 중실체의 금속재질로서 만들어 샤프트(S)와 샤프트고정관체부(O) 사이에 강고하게 용착 등으로 고정되어 진다. 헤드진입부(N1)와, 헤드진입부(N1)에서 상방으로 연정되어 샤프트(S)와 연결되는 샤프트연결부(N2)가 형성하는 각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또는 개별 골퍼의 특성에 맞게 최적각도가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 도 3이다.
종래 구성의 드라이버(D)의 샤프트(S)와 샤프트고정관체부(O)가 강고하게 고정되어 구성하는 상태에서의 샤프트(S)의 축중심연장선(SL)은 절곡넥부(N)의 헤드진입부(N1)의 존재로 인하여 새롭게 형성되는 축중심연장선(SL1)은 헤드(H)의 무게중심(G)의 근접하여 안쪽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형성되는 무게중심(G)과 축중심연장선(SL1)과의 아암(A1)의 거리는 짧아지게 된다.
최적의 조절에 의한 절곡넥부(N)의 경우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절곡넥부(N')와 같은 경우에는 무게중심에 가장 근접하게 되어 관성모우먼트는 최소화될 것이다.
이것은 유효한 타격력에 의한 관성모우먼트의 유발이 쉽지않다는 의미(아암(A1)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부언하면 관성모우먼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힘이 커지므로)이므로 상대적으로 스윙스팟(SS2)의 면적이 도 5에서와 같이 넓어짐을 의미한다.
즉, 비거리와 방향성을 상실하게 하는 힘이 더 큰 것으로서 요구되어 안정적인 타구가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측면도에서와 같이, 종래의 구성으로부터도 메이커에서 샤프트(S)의 축중심연장선(SL1)과 타격면(F)과의 페이스각도(a)를 제공하였으며 그 이유는 임팩트 시에 왼손 위에 오른손을 올려서 타구하는 팔로워가 잘되지 않아 슬라이스가 잘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페이스각도(a)의 설정에서, 종래의 파이프형성의 샤프트(S)의 경우는 조절이 불가능하여 최초 공장에서 출하된 설정각도로서만 채용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사용자인 골퍼가 작업실에서의 피팅작업으로서 자신에게 최적인 타격면(F) 페이스각도(a)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절곡넥부(N)가 중실체로서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절곡이 가능하기 때문으로서 종래 파이프 형상의 샤프트(S) 자체의 각도조절의 불가능함(파이프재의 경우 절곡 시에 길이방향으로의 파절 등의 손상이 유발됨)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으로서 유효타격영역이 넓어져 타격이 극히 용이하게 되고 초심자의 경우도 타격이 쉽게 되는 유용성을 가진다. 잘못 치게 될 확률의 경우를 형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관성모우먼트가 커져서 즉, 소위 말하는 스윗스팟(Sweet spot)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골퍼는 절곡된 절곡넥부(N)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인식함으로서 자신있고 완만하게 조급하지 않은 드라이버(D)의 운용을 의식하게 되고, 시각적으로는 전체 샤프트(S)의 길이가 1인치 정도 짧아지므로 시각적인 근접성이 개선된다.
나아가, 타구의 유효한 면적이 넓어짐으로서 다운스윙 때에는 헤드의 스피드가 증가하게 되어 비거리가 증가하며 스윙 시에 양팔을 뻗치게 되어 방향성이 증대되며, 스윙의 마지막 팔로우어와 헤드를 앞으로 던지는 바람직한 타구자세가 자연적으로 만들어지고, 절곡넥부(N)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되어 백스윙 시에 손목을 꺽지 않고 사용함으로서 천천히 드라이버(D)를 운용하게 되고 백스윙의 탑위치에서 빠르게 다운스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자연적으로 한 박자(약 0.2초) 쉰 뒤에 다운스잉으로 타격을 가하는 바람직한 타구태도가 몸에 익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얻어지는 이러한 미묘한 작용효과는 골프가 지극히 심리적인 스포츠라는 점에서 그 의의와 유용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D: 드라이버
H: 헤드
G: 무게중심점

Claims (3)

  1. 드라이버, 훼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클럽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골프클럽의 적용되고, 주물체로 형성되어 중공내방의 공간부(V)를 가지는 중공체로서,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격면(F)과 상면의 크라운면부(C) 및 쇼울면부(S) 및 샤프트(S)와의 연결단부인 샤프트고정관체부(O)를 일체로 구성하여 가지는 골프클럽인 드라이버골프클럽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관체부(O)와 샤프트(O) 사이에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넥부(N)(bended neck part)를 더 개재하고,
    상기 절곡넥부(N)는 헤드(H) 측으로 진입하여 절곡되는 헤드진입부(N1)와, 상기 헤드진입부(N1)에서 상방으로 연정되어 샤프트(S)와 연결되는 샤프트연결부(N2)를 일체로 절곡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샤프트(S)이 축중심선이 상기 헤드(H)의 무게중심점(G)에 더 근접하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넥부(N)는 중실체의 금속재로서, 피팅작업에 의하여 페이스각을 임의 각도로 절곡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넥부(N)는 독립된 중실체의 금속재로서, 제조되어 피팅작업에 의하여 종래의 드라이버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KR1020160058659A 2016-05-13 2016-05-13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KR20170127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59A KR20170127877A (ko) 2016-05-13 2016-05-13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59A KR20170127877A (ko) 2016-05-13 2016-05-13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77A true KR20170127877A (ko) 2017-11-22

Family

ID=6081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659A KR20170127877A (ko) 2016-05-13 2016-05-13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8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3554A (en) Golf putter
US7374497B2 (en) Golf putter head with visual alignment system
US5518235A (en) Golf club head
US4702477A (en) Golf putter
US6045453A (en) Golf clubhead for putting or chipping the golfball
JP2012525214A (ja) 補強または局所補剛されたフェース部分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または他の打球装置
US20030008724A1 (en) Golf putter
JP2001212267A (ja) ウッド型クラブ
US6561919B2 (en) Golf club
US5004236A (en) Balance shaft
JP6388879B2 (ja) ゴルフクラブ
US200200691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fitted putters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JP5540168B2 (ja) ゴルフクラブ
JPH0698955A (ja) スイングの間の感知情報を与えることのできるゴルフクラブ
KR20170127877A (ko) 골프클럽의 개량 드라이버
JP3244323U (ja) ハンドファースト練習クラブ
KR200314223Y1 (ko) 골프의 퍼팅 및 스윙 연습용 골프채
KR20230126424A (ko) 골프용 메트로놈
KR20240037022A (ko) 골프클럽용 샤프트
KR200351468Y1 (ko)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KR101605732B1 (ko) 골프연습용 배트 소리장치
WO1998008576A9 (en) Golf putter
KR20060022150A (ko) 타구시인성을 증대한 골프클럽
JPH114921A (ja) アイアン用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