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468Y1 -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468Y1
KR200351468Y1 KR20-2003-0037075U KR20030037075U KR200351468Y1 KR 200351468 Y1 KR200351468 Y1 KR 200351468Y1 KR 20030037075 U KR20030037075 U KR 20030037075U KR 200351468 Y1 KR200351468 Y1 KR 200351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hitting
sphere
putter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진민정
Original Assignee
이재영
진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진민정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20-2003-0037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8Golf club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obtaining a variable impa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버(D), 아이언(I), 퍼터(P) 등의 골프클럽(C)의 타면(F)의 타점 중심부에 부가적으로 다양한 형상체의 판상부재인 타격집중면구(50)를 더 가지거나,
드라이버(D),아이언(I),퍼터(P) 등의 골프클럽(C)에 부가적으로 장착 또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골프클럽(C)의 헤드(H)의 타면(F)의 무게중심에 반대향하는 측으로 연장부착되는 가이드교정관체 및 상기 가이드교정관체 내방에 수용되어 골프클럽(C)의 유동을 골퍼가 감지하게 하여 교정을 수행하는 골프클럽(C)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C)의 타면(F)의 타점 중심부에 부가적으로 다양한 형상체의 판상부재인 타격집중면구(50)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타격집중면구(50)에 골프공을 맞출려는 골퍼의 심리적인 요인으로 퍼터(P)의 운용이 천천히 이루어지는 효과, 타격방향성의 증가, 백스윙 등의 경우, 스윙동작의 교정 등의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Golf clubs for exercising and training}
본 고안은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드라이버 등의 다양한 골프클럽에 부가하여 구성하거나, 별도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서 골퍼들의 자세의 교정과 타격감각의 증대, 타격 시의 집중도의 향상, 골프클럽의 운용의 적합한 타이밍의 체화(Bodify) 등의 다양한 교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은 본 출원인이 기히 2003 년 8 월 6 일자로 특허출원 10-2003-0054338 호 및 그 이후 출원된 다수의 선출원에 대하여 모두 적용이 가능한 추가적인 기술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선출원의 마그네트를 이용한 구성에 더욱 적합하다.
본 고안은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선원의 기술을 선행하면서 선원의 구성과 권리범위를 달리 하면서 새로운 구성만을 부가적인 권리로서 하는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나아가, 퍼터, 아이언, 드라이브(우드형 포함) 등에 적용되어 타격감을 향상시키고, 타격 시의 집중도의 향상 및 골프클럽(C)의 파지자세의 향상, 골프클럽(C)의 운용의 적시화를 몸에 익힐 수 있는 구성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골프클럽의 운용에 바람직한 자세를 골프클럽(C)의 형상구성의 새로운 제공으로서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선출원과 마찬가지의 본 고안의 목적이기도 본 고안 구성의 기술적인 효과를 위한 설명을 간략하게 행한다.
골프는 마인드게임이라고 할 정도로 심리적인 요소가 중요한 변수이며 개개인의 성격이 반영되기 때문에 정확한 골프감각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되다.
특히 초심자의 경우는 성급한 골프클럽의 운용으로서 소망스럽지 못한 골프자세가 채화됨으로서 실력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중요시되면서도 골퍼들이 용이하게 몸에 익히지 못하는요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고,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은 이러한 요소들의 개선 또는 제거를 통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실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1) 퍼터(Putter), 아이언(Iron), 드라이버(Driver)의 사용 시에 백스윙은 비교적 천천히 할 것이 요구된다. 이는 타격자세를 교란시키지 않고 골프공의 진로의 정확한 설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2) 손목만을 사용하여 타격하거나 골프클럽을 운용하는 소위 "코킹(coaking) 현상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왼쪽 어깨가 오른쪽으로 향하여 들어가는 자세를 몸에 익히도록 하여야 한다.
(3) 모든 골프클럽의 사용 시에 과도한 힘이 실리지 않도록 힘을 제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 헤드업(Head up:공을 친 이후에도 머리가 공의 위치를 바라보고 있지 못하고 들어 올려 지는 것.)은 하지 않아야 한다.
(5) 백스윙(Back swing:샷을 위해 클럽을 뒤로 빼는 모션)의 스타트 시에 반동은 금하여야 하고 왼쪽어깨를 천천히 돌려야 하고 스윙작업을 천천히 이루어져야 한다.
(6) 백스윙 시에 하체의 요동이나 흔들림이 극소화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은 종래의 골프클럽(C)에 부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인 제품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헤드부의 구성의 변경을 가하여 상기하는 목적과 후술하는 작용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도 1 A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을 설명하기 위한 선출원의 구성이 퍼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을 설명하기 위한 선출원의 구성이 또 다른 구성형상의 퍼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을 설명하기 위하여 퍼터에 구현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퍼터에 적용된 본 고안 구성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후방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이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퍼터의 헤드부에 적용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을 설명하는 도 4 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 a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아이언으로의 적용사시도.
도 7 b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으로서 도 7 a 의 구성의 다른 적용예인 아이언으로의 적용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퍼터로의 적용사시도.
도 9 a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드라이버로의 적용사시도.
도 9 b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으로서 도 9 a 의 구성의 다른 적용예인 드라이버로의 적용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드라이버
I ;아이언
P: 퍼터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선 출원에 대하여 개선된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구성과 작동을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A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을 설명하기 위한 선 출원의 구성이 퍼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선 출원의 구성이 또 다른 구성형상의 퍼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을 설명하기 위하여 퍼터에 구현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퍼터에 적용된 기능성 골프클럽의 후방사시도, 도 5 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퍼터의 헤드부에 적용된 사시도, 도 6 은 도 4 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 a 는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아이언으로의 적용사시도, 도 7 b 는 다른 실시 구성으로서 도 7 a 의 구성의 다른 적용예인 아이언으로의 적용사시도,
도 8 은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퍼터로의 적용사시도, 도 9 a 는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드라이버로의 적용사시도, 도 9 b 는 다른 실시 구성으로서 도 9 a 의 구성의 다른 적용예인 드라이버로의 적용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은 종래로 부터의 아이언(I), 퍼터(P), 우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D 등의 다양한 골프클럽(C)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가이드교정관체(10)에 마그네트(M)를 장착한 구성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마그네트(M)를 사용한 가이드교정관체(10)를 가지는 구성을 예로서 도시하나, 일반적인 모든 골프클럽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2에 선출원 구성의 골프클럽(C)이 도시되어 있다.
골프클럽(C)의 하나인 퍼터(P)에 적용된 선출원의 구성은 가이드교정관체(10)를 가지고, 가이드교정관체(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절단된 파이프형상체이며 후방측이 폐쇄되어 관체단부면(1)을 구성하고,상기하는 관체단부면(1)의 반대면에는 개방된 개방단부(2)를 구성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방단부(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아니하는 나사산과, 샤프트(S)가 연결된 퍼터(P)의 헤드(H)의 타면(F)의 무게중심(G)에 반대향하는 면의 중앙부 측에 가이드교정관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관체결합공(O)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고정하고,
관체결합공(O)의 천공각도는 퍼터(P)의 사용 시의 타격선과 일치하는 직선상에 관체결합공(O) 및 이에 결합하는 가이드교정관체(10)가 놓여지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교정관체(10)의 관체단부면(1)의 외벽측에 동전의 일부를 삽입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개폐용슬릿(D)을 가지는 등의 캡 구성을 가짐으로서, 투입되는 유동센싱구(B)를 교체하거나 하는 등의 목적에 좋다.
또한, 가이드교정관체(10)의 후방측에는 유동센싱구(B)를 부착하기 위한 마그네트(M)를 하방에 장착하여 구성하였다.
만일 상기의 가이드교정관체(10)가 불투명한 플라스틱관체이거나 금속관체의 경우에는 가이드교정관체(10)의 축방향으로 따라서 상방으로 개방된 측벽부인 슬리트개방부(5)를 가이드교정관체(10)에 개방,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내지 3 의 퍼터(P)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D), 아이언(I) 등 모든 골프클럽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하는 선 출원의 구성으로서 본 출원인이 의도하고자 하는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퍼터(P)의 사용 시에는 근거리를 스토로우크 타격하기 위하여 백스윙을 하는 경우, 타격자세를 교란시키지 않고 골프공의 진로의 정확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천천히 하여야 하고, 자세를 교란시키는 손목의 급격한 요동현상인 "코킹(coaking) 현상이 유발되지 않도록 미시적인 시간 각에서의 속도변화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만일 본 고안이 적용된 퍼터(P)를 천천히 후퇴하여 백스윙하는 경우 타격을 위하여 골프공(D) 측으로 헤드(H)가 이동할 때에 급격한 속도의 변화 또는 코킹이 유발되지 않은 상태여야 유동센싱구(B)는 후방의 마그네트(M)상에 부착한 상태로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가 아닌, 즉 잘못된 자세나 코킹의 유발 시에는 헤드(H)에 급격한 각속도의 변화가 유발되어, 유동센싱구(B)는 급격한 관성력에 의하여 마그네트(M)로부터 이탈되어 요동하게 되고, 그를 골퍼는 손에 전해오는 감각으로, 또는 이탈할 때에 유발되는 소음으로서 감지하게 되어 자신이 잘못된 골프클럽(C)의 운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은 상기하는 구성과 같은 선 출원의 본 출원인의 골프클럽(C)의 구성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제조되어 유통되는 모든 형상체의 골프클럽(C)에 적용이 가능함은 매우 중요한 본 고안의 사상이 된다.
도 3 이하의 구성의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양한 골프클럽(C), 예를 들면 퍼터(P)에 적용되어 설명되는 본 고안의 도면에서 퍼터(P)의 헤드(H)의 타면(F)의 중심부 측에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타점중심(C)을 가지는 타격집중면구(50)를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타격집중면구(50)는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약간의 두께(T)를 가지는 디스크 형상체이며 그 소재로는 일반적인 다양한 금속, 또는 강도의 증가를 위한 티탄금속, 텡스턴합금 등의 고강도의 금속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고밀도 성형에 의한 고강도 플라스틱합성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타격집중면구(50)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하여 볼트 고정,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골프클럽(C)에 고정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상술하는 가이드교정관체가 없는 일반적인 골프클럽(C)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골프클럽(C)의 헤드(H)를 성형하는 경우 타격집중면구(50)와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두께를 부여하여 구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또 다른 타격집중면구(50A)는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클럽(C)의 헤드(H)의 타면(F)의 상당부분을 점하도록 타원형상의 타격집중면구(50A)의 것으로서 하여도 무방하며 그 평면형상은 다양한 다각형상 등 어떠한 형상체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타격집중면구(50)는 가급적이면 골퍼의 심리적인 측면에서 시선을 집중할 수 있도록 심리적인 시선이 중앙 센터(C)로 자연스럽게 집중되는 형상적인 수렴형상체인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삼각형, 마름모형, 원형, 타원형, 등 도형적으로 중심이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형상화되어 집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타격집중면구(50)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다양한 골프클럽(C) 또는 선출원한 마그네트(M)를 장착한 가이드교정관체(10)를 가지는 교정형 골프클럽에 도시하지 아니하는 고정볼트로서 헤드(H)의 타면(F)에 강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일체로 성형하거나 용접하는 등의 다양한 부착방법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 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는 퍼터(P)의 경우, 헤드(H)의 타면(HF)은 수직기준선(KC)와 협동하는 경사각(k)이 10 도 정도로 형성되나, 타면(F)에 타격집중면구(50)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타격집중면구(50)의 타격면(50')이 수직중심선(K)에 대하여 구성하는 경사각(α)인 개략 3 도 정도를 형성하도록 타격집중면구(50)이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본 고안의 주요부인 타격집중면구(50)와 협동하여 타격감을 골퍼에게 더 부여할 수 있음이 실험결과 밝혀져 바람직하다.
도 7 a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아이언으로의 적용사시도, 도 7 b 는 다른 실시 구성으로서 도 7 a 의 구성의 다른 적용예인 아이언으로의 적용사시도이다. 도 7 에서와 같이, 상기의 골프클럽(C)(도면에서는 아이언(I))의 헤드(H)에 타격집중면구(50)을 형성함에 있어서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격집중면구(50)의 타격면(50') 상에 다수의 함임한 형상의 마찰선부(55)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평행한 다수의 함입한 가공선을 기계적으로 가공한 마찰선부(55)를 구성하고 있지만 단순한 요철부, 돌기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서 마찰면부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타격면(50')에서의 마찰력을 제고하고 나아가서 심리적인 타격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 b 에서와 같이, 개략 V 자형의 시선집중유도마크(56)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시선집중유도마크(56)는 타격면(50') 상에서의 역시 함입하여 가공된 함입선부로서 구성하는 것이 좋고 골퍼의 심리적인 요소에 기반한다.
즉, 이 시선집중유도마크(56)가 존재함으로서 골퍼는 의도적으로 시선집중유도마크(56)가 형성하는 타격점 내에 골프공을 맞히기 위하여 끝까지 헤드(H)로부터 시선을 떼지 않게 되기 때문에 골프클럽(C)의 완만하고도 바람직한 운용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시선집중유도마크(56)는 단순한 V 형상이 아니고 일측의 상승부(56')가 타측의 상승부(56")보다 조금 낮은 것이 심리적인 면에서의 유도성이 높은 것으로서 실험결과 밝혀져있다.
도 8 은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퍼터(P)로의 적용사시도로서 역시 타격집중면구(60) 상에 골퍼의 시선의 집중과 정확한 타점의 안내를 위한 시선안내선(61)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도 9 a, b 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드라이버로의 적용사시도로서 역시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면(F)에 돌출하는 타격집중면구(70)가 일체로 또는 별도로 형성되고 타격집중면구(70)의 타격면(70') 상에 도 7 의 구성과 같은, 평행한 다수의 마찰선부(75)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시선집중유도마크(76)를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하는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의 타격집중면구(50)의 부여에 의한 작용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1) 본 고안의 타격집중면구(50)의 사용으로서 헤드(H)의 타면(F)의 면적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게 되어, 이 타격집중면구(50)에 골프공을 맞히고자 하는 골퍼의 심리적인 요인으로 퍼터(P)의 운용이 천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소망스러운 골프클럽(C)의 신중한 운용이 자연스럽게 골퍼의 몸에 체화된다.
(2) 타격집중면구(50)로 인하여 타면(F)의 면적이 축소됨으로서 타격 시의 방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골퍼는 방향성이 정확한 분석과 자신의 타구에 의한 골프공의 운용방향에 대한 감각을 익히게 된다.
(3) 부가적인 타격집중면구(50)의 부착으로 인하여 골프클럽(C)의 헤드(H)의 무게는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C)으로서 교정연습을 하고 타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경우 가벼운 느낌을 가지게 되어 보다 타격의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4) 퍼터(P)의 중요한 스윙작동 즉 백스윙등의 경우, 타격집중면구(50)를 ??주기 위하여 골퍼는 집중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급격한 스윙동작이 지양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 그에 따라서 지양되어야 하는 헤드업의 자세 또한 최소화되는 것이다.
(5) 일반적인 골퍼가 집중하기 어려운 타점을 타격집중면구(50)가 제공함으로서 타점으로의 정확한 타격이 용이하게 체화되고 타점으로의 집중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실시예의 본 고안의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은; 선출원의 구성 또는 일반적인 골프클럽에 적용됨으로서 소망스러운 골프클럽의 운용자세가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체화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은 기존의 골프클럽에도 용이하게 부착하여 제공함으로서 그 적용성은 더욱 증대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0)

  1. 드라이버(D),아이언(I),퍼터(P) 등의 골프클럽(C)의 타면(F)의 타점 중심부에 부가적으로 다양한 형상체의 판상부재인 타격집중면구(50)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2. 드라이버(D),아이언(I),퍼터(P) 등의 골프클럽(C)에 부가적으로 장착 또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골프클럽(C)의 헤드(H)의 타면(F)의 무게중심에 반대향하는 측으로 연장부착되는 가이드교정관체 및 상기 가이드교정관체 내방에 수용되어 골프클럽(C)의 유동을 골퍼가 감지하게 하여 교정을 수행하는 골프클럽(C)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C)의 타면(F)의 타점 중심부에 부가적으로 다양한 형상체의 판상부재인 타격집중면구(50)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집중면구(50)는 원형디스크, 타원형, 다각형상체 등으로서 그 중심점이 시각적으로 형성가능한 도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집중면구(50)는 골프클럽(C)의 헤드(H)의 타면(F)으로부터 돌출하여 두께(T)를 가지는 돌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집중면구(50)는 다양한 티탄금속, 텡스턴합금 등의 고강도 합금 내지 고밀도성형의 플라스틱합성체로서 구성하여 일반적인 형상체의 골프클럽(C)에 부가적으로 장착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집중면구(50)는 골프클럽(C)의 헤드(H)의 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집중면구(50)의 타격면(50') 상에 다수의 함임한 형상의 마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평행한 다수의 마찰선부(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에 부가하여 개략 V 자형의 시선집중유도마크(5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집중유도마크(56)는 타격면(50') 상에서의 함입, 가공된 함입선부이고, V 형상의 일측의 상승부(56')가 타측의 상승부(56")보다 낮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KR20-2003-0037075U 2003-11-27 2003-11-27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KR200351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75U KR200351468Y1 (ko) 2003-11-27 2003-11-27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75U KR200351468Y1 (ko) 2003-11-27 2003-11-27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118A Division KR20050051348A (ko) 2003-11-27 2003-11-27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468Y1 true KR200351468Y1 (ko) 2004-05-31

Family

ID=4943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075U KR200351468Y1 (ko) 2003-11-27 2003-11-27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4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733A (en) Golf putter
US7625298B2 (en) Dynamic golf club heads with momentum
JP2005518885A (ja) 一体化されたパターシステム
US5643100A (en) Golf putter
US7431659B2 (en) Golf club head
KR102504994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20080300067A1 (en) Golf Putter Head and Club
JP2017507700A (ja) 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機器
US20060019765A1 (en) Gravity compensated golf putter
KR200351468Y1 (ko)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US7658684B2 (en) Golf club grip
KR20050051348A (ko)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JP2006296462A (ja) スイング練習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ング練習機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US20070123365A1 (en) Golf club grip
KR200341696Y1 (ko) 교정 및 연습을 겸한 기능성골프클럽
KR102391213B1 (ko) 골프채 그립
US11338187B2 (en) Golf club for practicing swings
KR200341697Y1 (ko) 교정을 위한 기능성골프클럽의 교정구
KR20230126424A (ko) 골프용 메트로놈
KR200332229Y1 (ko) 교정 및 연습을 겸한 기능성골프클럽
JP3100487U (ja) ゴルフ用パターのヘッド構造
KR20080101308A (ko) 탄성 변형 구조 그립을 가지는 골프 클럽
KR20050049074A (ko) 교정 및 연습을 겸한 기능성골프클럽
JP2022118819A (ja) ゴルフ用パ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