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636A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636A
KR20170126636A KR1020160056911A KR20160056911A KR20170126636A KR 20170126636 A KR20170126636 A KR 20170126636A KR 1020160056911 A KR1020160056911 A KR 1020160056911A KR 20160056911 A KR20160056911 A KR 20160056911A KR 20170126636 A KR20170126636 A KR 2017012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door lock
value
authentication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6005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636A/ko
Publication of KR2017012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을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어락은,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비콘; 상기 출입문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재밍 신호를 송신하는 실내측 비콘; 및 상기 실외측 비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 수단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Digital door lock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제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출입문의 안과 밖을 구분하여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기계식 메커니즘에 의해 문을 개폐하던 방식에서 출입보안을 위해 비밀번호 입력 또는 RF(Radio frequency)카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이 인기를 끌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기계식 잠금장치가 지닌 열쇠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 및 제3자에 의한 열쇠 도난 및 복제에 따른 방범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키입력(비밀번호) 또는 RF카드(또는 IC카드) 방식 등 다양한 전자키를 이용한 출입 통제 장치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도어락에 저전력 블루투스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 인증이 되는 서비스가 많이 활성화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도어락에 접근함에 있어 현관 문의 안과 밖의 구별 없이 자동으로 사용자가 인증되어 문이 열리거나 열릴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된다면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상용 업체들도 이러한 문제로 자동 인증 기능을 제공하지 않거나, 안과 밖을 구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적용했지만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출입 인증을 하는 도어락과 같이 보안에 민감한 제품에는 신뢰도가 높지 않은 기능을 적용하지 말아야 하며, 사용자에 입장에서는 자동 인증의 경우 편리한 기능이기에 신뢰도만 높다면 요구되는 기능이다.
따라서,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신뢰도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문의 안과 밖을 구분하여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을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어락은,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비콘; 상기 출입문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재밍 신호를 송신하는 실내측 비콘; 및 상기 실외측 비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 수단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실외측 비콘을 통한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재밍 신호에 의해 상기 실외측 비콘을 통한 상기 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지 못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 혹은 상기 도어락은,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 혹은 상기 도어락은,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기준 RSSI 값과 비교하여, 상기 RSSI 값이 상기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은,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실외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을 기준 실외 지자기 값과 기준 실내 지자기 값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이 상기 기준 실외 지자기 값에 해당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 측면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을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과 상기 도어락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락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실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비콘과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재밍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비콘과 정상적으로 통신하지 못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실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과 상기 도어락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기준 RSSI 값과 비교하여, 상기 RSSI 값이 상기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지자기 값을 기준 실외 지자기 값 및 기준 실내 지자기 값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이 상기 기준 실외 지자기 값에 해당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과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판단한 결과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판단한 결과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고,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락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에 의해 도어락이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실내에서 사용자가 도어락에 접근함에 따라 의도치 않게 도어락이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와 같은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이전에 비콘 신호의 RSSI 값과 실내외의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 실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의 위치 판단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 1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 2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0)은 스마트 단말(110)과 도어락(1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스마트 단말(1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단말(110)은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터치 폰(touch phone), PDA 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hone), 와이브로 폰(wireless broadband internet phone), 및 DMB 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130)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가정이나 회사 등의 출입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110)과의 자동 인증을 통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상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130)은 스마트 단말(110)이 실외에 위치하고, 스마트 단말(110)과의 상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스마트 단말(110)이 실내에 위치하는 위치하는 경우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도어락(130)은 출입문의 실외 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잠금장치부(130-1)와 출입문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잠금장치부(130-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130)은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외측 비콘, 실내측 비콘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측 비콘은 실외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110)과 제어 모듈 사이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실외측 잠금장치부(130-1)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실내측 비콘은 실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110)과 제어 모듈 사이의 통신을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측 잠금장치부(130-3)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도어락(130)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실내측 잠금장치부(130-1)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상세 구성 및 각 구성별 기능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200)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단말(210)의 구성은 도 1의 스마트 단말(110)에 적용되고, 도 2에 도시된 도어락(230)의 구성은 도 1의 도어락(13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단말(210)은 도어락(230)과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도어락(230)을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며, 특히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통해 도어락(230)을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230)은 스마트 단말(21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구현된다.
먼저, 상기 스마트 단말(210)을 살펴보면, 상기 스마트 단말(210)은 제 1 저장부(211), 통신부(213) 및 제 1 제어부(215)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단말(210)의 구성은 설명을 위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210)이 도 2에 도시된 구성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저장부(211)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와 기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수신 신호 강도 지수) 값을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RSSI 값은 스마트 단말(21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준 RSSI 값의 설정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분석되는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저장부(211)는 스마트 단말(21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구동 후의 데이터 등을 더 저장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1 저장부(211)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로는 Fe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change RAM), RRAM(Resistive RAM), MRAM(Magnetoresistive RAM), 플래시(flash) 메모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3)는 도어락(230)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도어락(230)의 실외측 비콘(231)과 통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통신부(213)는 도어락(230)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거나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도어락(230)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213)는 도어락(230)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기 설정되는 주기에 따라, 즉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213)의 제어는 제 1 제어부(2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213)는 제 1 제어부(215)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230)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이벤트로는 도어락(230)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210)에 설치되는 영역(버튼 혹은 키패드)의 터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215)는 스마트 단말(21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스마트 단말(210)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도어락(23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215)는 도어락(230)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을 제 1 저장부(211)에 저장된 기준 RSSI 값과 비교하여, 스마트 단말(23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215)는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스마트 단말(230)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미만이면 스마트 단말(23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부(215)는 도어락(23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제어부(215)는 제 1 저장부(211)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도어락(230)으로 송신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의 블루투스 주소,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서버에서 부여하는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 범용 단일 식별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인증 정보로 도어락(230)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스캔 이름 또는 도어락(230)의 블루투스 주소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락(230)을 살펴보면, 상기 도어락(230)은 스마트 단말(210)과의 사용자 인증 후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 수단을 잠금 해제시키며, 특히, 스마트 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 후, 잠금 수단을 잠금 해제시킨다.
상기 도어락(230)은 실외측 비콘(231), 실내측 비콘(233), 제 2 저장부(235), 잠금수단 구동부(237) 및 제어 모듈(239)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 모듈(239)은 인증부(239a) 및 제 2 제어부(239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측 비콘(231) 및 실내측 비콘(233)은 예를 들어,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일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도어락(230)의 구성은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도어락(230)이 도 2에 도시된 구성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외측 비콘(231)은 예를 들어,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잠금장치부(도 1의 130-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측 비콘(231)은 스마트 단말(21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콘 신호를 스마트 단말(21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실외측 비콘(231)이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기 설정되는 주기에 따라, 즉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실외측 비콘(231)의 제어는 제어 모듈(239)의 제 2 제어부(239b)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측 비콘(231)은 제 2 제어부(239b)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단말(210)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이벤트로는 도어락(230)을 잠금해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도어락(230)에 설치되는 영역(버튼 혹은 키패드)의 터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비콘(233)은 예를 들어, 출입문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잠금장치부(도 1의 130-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210)이 실외측 비콘(230)과 통신하지 못하도록 재밍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실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210)은 실내측 비콘(233)으로부터의 재밍 신호에 의해 실외측 비콘(231)과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210)이 도어락(230)의 실외측 비콘(231)과 연결이 되더라도, 실내측 비콘(233)으로부터 출력되는 재밍 신호에 의해 스마트 단말(210)과 실외측 비콘(231) 사이의 신호가 왜곡된다.
결국, 실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210)과 실외측 비콘(231) 사이의 인증이 실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락(230)은 실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210)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저장부(235)는 외부,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 및 기준 RSSI 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외에 다른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2 저장부(235)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로는 Fe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change RAM), RRAM(Resistive RAM), MRAM(Magnetoresistive RAM), 플래시(flash) 메모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 구동부(237)는 제 2 제어부(239b)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잠금수단이 잠금 상태가 되거나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수단 구동부(237)에 의해 잠금 수단의 상태 전환은 기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 모듈(239)은 스마트 단말(210)과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수단 구동부(237)를 제어하여, 잠금수단 구동부(237)가 잠금 수단을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239)은 인증부(239a)와 제 2 제어부(239b)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인증부(239a)는 스마트 단말(210)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증부(239a)는 스마트 단말(210)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정보를 제 2 저장부(235)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고, 두 인증 정보가 동일하면,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부(239a)는 스마트 단말(210)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제 2 제어부(239b)로 인증 성공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 2 제어부(239b)는 인증부(239a)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수단 구동부(237)를 제어하여 잠금수단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2 제어부(239b)는 스마트 단말(21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제어부(239b)는 스마트 단말(21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을 제 2 저장부(235)에 저장된 기준 RSSI 값과 비교하여, 스마트 단말(23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제어부(239b)는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스마트 단말(230)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미만이면 스마트 단말(23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상세 구성 및 각 구성별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 1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 1 동작을 살펴보되, 도어락은 잠금 상태에 있으며, RSSI 값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의 위치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스마트 단말과 도어락 사이의 인증 과정을 통해 도어락을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S300). 이때, 스마트 단말(210)은 실외에 있는 상태일 수도 있고 실내에 있는 상태일 수도 있으며,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연결은 비콘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연결은 스마트 단말(210)기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도어락(230)이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도어락(230)이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스마트 단말(210)이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30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이 연결되면,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S310).
이때, 스마트 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는(①), 스마트 단말(210)은 도어락(230)의 실외측 비콘(231)과 정상적으로 통신하고(S320),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다(S330).
상기 단계 S33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도어락(230)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S340).
반면, 스마트 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②), 실내측 비콘(233)이 재밍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스마트 단말(210)은 도어락(230)의 실외측 비콘(231)과 비정상적으로 통신하고(S350),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실패한다(S360).
상기 단계 S35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실패하면, 도어락(230)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370).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 2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들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 2 동작을 살펴보되, 도어락은 잠금 상태에 있으며, RSSI 값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의 위치 판단이 이루어지고, 스마트 단말과 도어락 사이의 인증 과정을 통해 도어락을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S400). 이때, 스마트 단말(210)은 실외에 있는 상태일 수도 있고 실내에 있는 상태일 수도 있으며,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연결은 비콘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연결은 스마트 단말(210)기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도어락(230)이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도어락(230)이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스마트 단말(210)이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40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스마트 단말(210)과 도어락(230)의 연결에 이용되는 비콘 신호에 대한 RSSI 값의 측정이 이루어진다(S410). 이러한 RSSI 값의 측정은 스마트 단말(21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어락(23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계 S310에 따라 측정된 RSSI 값을 기준 RSSI 값과 비교하여,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위치 판단이 이루어진다(S420). 이러한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위치 판단은 스마트 단말(21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어락(23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계 S420에서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스마트 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미만이면 스마트 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스마트 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430-아니오),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지 않는다(S440).
반면, 스마트 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430-예),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S450).
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기 전에, 비콘 신호에 대한 RSSI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210)의 위치를 판단하고, 스마트 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앞선 제 1 동작의 경우와 달리, 실내측 비콘(233)으로부터 출력되는 재밍 신호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비록 비콘 신호에 대한 RSSI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21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 비콘 신호의 송신 및 수신 시의 신호 왜곡이 발생 등의 이유로 RSSI 값이 변화게 되면, 스마트 단말(210)의 위치 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비콘 신호의 RSSI 값뿐만 아니라, 실내측 비콘(233)으로부터 출력되는 재밍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2-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단계 S450에 따라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되, 스마트 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는(③), 스마트 단말(210)은 도어락(230)의 실외측 비콘(231)과 정상적으로 통신하고(S460),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다(S470).
상기 단계 S47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도어락(230)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S480).
반면, 상기 단계 S450에 따라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되, 스마트 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④), 실내측 비콘(233)이 재밍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스마트 단말(210)은 도어락(230)의 실외측 비콘(231)과 비정상적으로 통신하고(S390),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실패한다(S500).
상기 단계 S50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210)에 대한 인증에 실패하면, 도어락(230)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510).
제 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 예에서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500)의 스마트 단말(510)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스마트 단말(510)은 도 1의 스마트 단말(11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어락(530)과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도어락(530)을 잠금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며, 특히,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 후 도어락(530)을 잠금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510)은 제 1 저장부(511), 통신부(513), 제 1 제어부(515) 및 지자기 센서(517)를 포함하며, 도 2의 스마트 단말(210)과 대비하여 지자기 센서(5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저장부(511)는 외부, 예를 들면 지자기 센서(517) 혹은 제 1 제어부(51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 1 제어부(515)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본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의 제 1 저장부(511)는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스캔되는 지자기 값을 저장하고, 저장하고 있는 지자기 값을 제 1 제어부(515)의 요청에 따라 제 1 제어부(51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스캔된 지자기 값은 직접 제 1 저장부(511)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제 1 제어부(515)를 통해 제 1 저장부(511)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 1 저장부(511)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기준 RSSI 값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통신부(513) 및 제 1 제어부(515)는 제 1 실시 예에서의 통신부(213) 및 제 1 제어부(215)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지자기 센서(517)와 연관된 설명은 지자기 센서(517)에 대한 설명 후에 하도록 한다.
상기 지자기 센서(517)는 지자기를 스캔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자기 센서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출입 보안을 위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설치 혹은 재설정하는 경우에 출입문의 안과 밖의 지자기를 스캔한다.
이때, 상기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스캔된 지자기 값은 제 1 저장부(511)에 저장되고, 지자기 값은 출입문의 안과 밖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flag)와 함께 제 1 저장부(511)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설치 혹은 재설정 시에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스캔된 지자기 값은 출입문의 안과 밖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출입문 안팎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 설정된 지자기 값을 ‘기준 지자기 값’이라 하고, 출입문 밖에서 스캔된 지자기 값을 ‘기준 실외 지자기 값’이라 하고, 출입문 안에서 스캔된 지자기 값을 ‘기준 실내 지자기 값’이라 한다.
즉, 상기 지자기 센서(517)는 위치별 고유 정보를 스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스캔된 지자기 값을 출입문의 안팎을 구별할 수 있는 기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출입문의 안과 밖에 대한 지자기 값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정확한 출입문의 안팎 구별을 위해서는 기준 지자기 값에 대한 업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자기 센서(517)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이 설치 및 재설정된 후 동작하는 상황에서 제 1 제어부(515)의 제어에 따라 지자기를 스캔하여, 지자기 값을 제 1 제어부(515)로 제공하는데, 이하에서는 제 1 제어부(515)의 제어에 따라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스캔된 지자기 값을 ‘현재 지자기 값’이라 한다.
한편, 출입문의 안팎 구별을 위해 얼마나 많이 기준 지자기 값을 저장할 것인지, 그리고 출입문 안팎 구별을 위해 지자기를 얼마나 스캔할 것인지는 디지털 도어 시스템의 설치 환경, 목적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제어부(515)는 스마트 단말(51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스마트 단말(510)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도어락(53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 예의 제 1 제어부(215)는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였으나, 본 제 2 실시 예의 제 1 제어부(515)는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515)는 지자기 센서(517)를 제어하여 지자기 센서(517)로부터 현재 지자기 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지자기 값을 제 1 저장부(511)에 저장된 기준 지자기 값과 비교하여, 스마트 단말(510)이 출입문의 안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출입문의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특히, 상기 제 1 제어부(515)는 현재 지자기 값이 기준 실외 지자기 값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기준 실내 지자기 값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의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제어부(515)는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나, 지자기 값과 RSSI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515)는 RSSI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의 위치를 판단한 후,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제어부(515)는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의 위치를 판단한 후, RSSI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부(515)는 RSSI 값을 바탕으로 판단된 결과와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판단된 결과 모두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도어락(53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500)의 도어락(530)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도어락(530)은 도 1의 도어락(13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락(530)은 실외측 비콘(531), 실내측 비콘(533), 제 2 저장부(535), 잠금수단 구동부(537) 및 제어 모듈(539)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 모듈(539)은 인증부(539a) 및 제 2 제어부(539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530)의 구성들(531 ~ 539b)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230)의 구성들(231 ~ 239b)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어락(530)의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상세 구성 및 구성별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되, 도어락은 잠금 상태에 있으며, RSSI 값 및 지자기 값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의 위치 판단이 이루어지고, 스마트 단말과 도어락 사이의 인증 과정을 통해 도어락을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RSSI 값과 지자기 값 모두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앞선 RSSI 값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단말의 위치 판단 및 이하에서 설명될 RSSI 값과 지자기 값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의 위치 판단으로부터 지지가 값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단말의 위치 판단에 대한 동작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스마트 단말(510)과 도어락(53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S600). 이때, 스마트 단말(510)은 실외에 있는 상태일 수도 있고 실내에 있는 상태일 수도 있으며, 스마트 단말(510)과 도어락(530) 사이의 연결은 비콘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단말(510)과 도어락(530) 사이의 연결은 스마트 단말(510)기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도어락(530)이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도어락(530)이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스마트 단말(510)이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60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510)과 도어락(53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스마트 단말(510)과 도어락(530)의 연결에 이용되는 비콘 신호의 RSSI 값과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측정되는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610).
이때, 상기 단계 S610에 있어서,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과 기준 RSSI 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RSSI 값이 기준 RSSI 값 미만이면 스마트 단말(5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610에 있어서, 지자기 센서(517)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지자기 값이 기준 실외 지자기 값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기준 실내 지자기 값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현재 지자기 값이 기준 실외 지자기 값에 해당하면,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지자기 값이 기준 실내 지자기 값에 해당하면, 스마트 단말(5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최종적으로,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한 판단 결과와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한 판단 결과 모두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상기 단계 S610에 따른 판단 결과,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610-아니오),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지 않는다(S620).
반면, 상기 단계 S610에 따른 판단 결과,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620-예),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S630).
상기 단계 S630에 따라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되, 스마트 단말(5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⑤), 스마트 단말(510)은 도어락(530)의 실외측 비콘(531)과 정상적으로 통신하고(S640),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다(S650).
상기 단계 S65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도어락(530)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S660).
반면, 상기 단계 S630에 따라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되, 스마트 단말(5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⑥), 실내측 비콘(533)이 재밍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스마트 단말(510)은 도어락(530)의 실외측 비콘(531)과 비정상적으로 통신하고(S670),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에 실패한다(S680).
상기 단계 S680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510)에 대한 인증에 실패하면, 도어락(530)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69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500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110, 210, 510 : 스마트 단말
130, 230, 530 : 도어락
211, 511 : 제 1 저장부
213, 513 : 통신부
215, 515 : 제 1 제어부
231, 531 : 실외측 비콘
233, 533 : 실내측 비콘
235, 535 : 제 2 저장부
237, 537 : 잠금수단 구동부
239, 539 : 제어 모듈
239a, 539a : 인증부
239b, 539b : 제 2 제어부
517 : 지자기 센서

Claims (15)

  1.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을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어락은,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비콘;
    상기 출입문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재밍 신호를 송신하는 실내측 비콘; 및
    상기 실외측 비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 수단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실외측 비콘을 통한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재밍 신호에 의해 상기 실외측 비콘을 통한 상기 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지 못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 혹은 상기 도어락은,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 혹은 상기 도어락은,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기준 RSSI 값과 비교하여, 상기 RSSI 값이 상기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실외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을 기준 실외 지자기 값과 기준 실내 지자기 값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이 상기 기준 실외 지자기 값에 해당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8.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을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과 상기 도어락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락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실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비콘과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재밍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출입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비콘과 정상적으로 통신하지 못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에 실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과 상기 도어락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기준 RSSI 값과 비교하여, 상기 RSSI 값이 상기 기준 RSSI 값 이상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지자기 값을 기준 실외 지자기 값 및 기준 실내 지자기 값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이 상기 기준 실외 지자기 값에 해당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과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바탕으로 판단한 결과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현재 지자기 값을 바탕으로 판단한 결과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60056911A 2016-05-10 2016-05-10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70126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911A KR20170126636A (ko) 2016-05-10 2016-05-10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911A KR20170126636A (ko) 2016-05-10 2016-05-10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36A true KR20170126636A (ko) 2017-11-20

Family

ID=6080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911A KR20170126636A (ko) 2016-05-10 2016-05-10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6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70B1 (ko) * 2018-04-16 2019-03-18 (주)인트세인 Ble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WO2020214003A1 (ko) 2019-04-18 2020-10-22 주식회사 툴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조성물 및 이의 방법
WO2020235974A2 (ko) 2019-05-22 2020-11-26 주식회사 툴젠 단일염기 치환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49034B1 (ko) * 2020-01-28 2021-05-07 휴먼플러스(주)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70B1 (ko) * 2018-04-16 2019-03-18 (주)인트세인 Ble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WO2020214003A1 (ko) 2019-04-18 2020-10-22 주식회사 툴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조성물 및 이의 방법
WO2020235974A2 (ko) 2019-05-22 2020-11-26 주식회사 툴젠 단일염기 치환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49034B1 (ko) * 2020-01-28 2021-05-07 휴먼플러스(주)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39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ing function using direction sensor in portable terminal
KR20170126636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U2015367766B2 (en) Authentication of a user for access to a physical space
US10027842B2 (en) Setting system, image processing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program
CN105138254A (zh) 电子设备的接近解锁和锁定操作
US9118676B2 (en)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060068759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US82044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in portable terminal
JP2008124960A (ja) 遠隔機器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5323824A (zh) 辅助wifi设备入网的电子设备、wifi设备及方法
KR20150026654A (ko) 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459956A (zh) 车门解锁控制装置、方法和车辆
KR101138924B1 (ko)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8834142B (zh) 无线路由器及其连接认证方法
US10212683B2 (en) System for allowing registration of DECT devices
KR20190036583A (ko) 도어락 앱을 구비한 휴대통신장치
US20030187990A1 (en) Intelligent scheme for seamlessly maintaining communication sessions while switching devices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996890B1 (ko)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37830B1 (ko)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모드가 자동 변환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1024284B1 (ko)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4727A (ko)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US11316890B2 (en) Network denial of service defense method and system
JP2006080674A (ja) 無線データ通信装置、無線データ通信方法、及び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101383894A (zh) 一种电视机管理门禁的方法及电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